KR101925598B1 -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 Google Patents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598B1
KR101925598B1 KR1020180014354A KR20180014354A KR101925598B1 KR 101925598 B1 KR101925598 B1 KR 101925598B1 KR 1020180014354 A KR1020180014354 A KR 1020180014354A KR 20180014354 A KR20180014354 A KR 20180014354A KR 101925598 B1 KR101925598 B1 KR 10192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routing pipe
continuous wall
underground continuous
gro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
정병래
남경용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01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외벽이 위치할 상부 둘레를 따라 양측에 가이드 월(10)을 시공하는 단계(S1); 가이드 월(10) 사이를 굴착하여 굴착된 영역과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 일렬로 배치하는 제1굴착단계(S2); 그라우팅관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제1굴착단계 의해 확보된 제1수용홈(40)에 투입하는 단계(S3); 제1수용홈(40)에 경계막 고정단계(S4);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시공하는 단계(S5); 시공된 각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연통되게 제2수용홈(40a)을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S6); 그라우팅관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제2굴착단계 의해 확보된 각 제2수용홈(40a)에 투입하는 단계(S7);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들과 일체로 연결되게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단계(S8); 시공된 지하연속벽 내측의 흙을 파내는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 지하연속벽(100)의 누수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S10); 연결부(80)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경우,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S10-1); 그라우팅관(20)으로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그라우팅 단계(S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Underground continuous wall grouting water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 축조시 지하층 최외벽을 형성하는 수직벽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지하연속벽 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연속벽을 형성하는 제1,2콘크리트 패널 연결부에 그라우팅관을 매설하여 그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때 그라우팅관으로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공급된 그라우트가 누수부분에 직접 침투하여 연속벽과 일체로 고착되어 연결부의 강성을 높여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수효과를 극대화 하고, 더 나아가 건축물 준공 후 지하연속벽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그 때마다 연결부에 매설된 그라우팅관을 통해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간단히 차단함으로써 준공된 건축물 지하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이 대형화 되고 지하공간의 중요성이 증가되면서 구조물 시공 시 지반 굴착에 대한 중요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건축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굴착 심도가 깊어지고 면적도 넓어져 굴착에 따른 문제점들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지반 굴착에 대한 연구개발이 10년 전까지는 흙막이 벽체의 안전성에 국한 되었으나, 점차 구조물 및 주변지반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다방면으로 고려하고 있는 경향이 있고, 특히 지하 누수 현상은 건축물 기초부분에서 발생되는 문제이므로 건축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지하연속벽은 건축물 지하 최외측 수직벽을 연속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그 내부에 지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지하연속벽은 일거에 시공이 불가능하므로 어쩔 수 없이 단위 콘크리트 패널을 순차적으로 연속 타설 양생하여 그들의 경계부가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콘크리트로 구성된 각 패널의 연결부에는 서로 맞물려 연결될 수 있도록 요철형태로 이루어진 조인트가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되는 양측 패널이 시차를 두고 양생됨에 따라 그 조인트 연결부는 밀접하게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더구나, 각 패널의 연결부분, 즉 조인트 부분은 여러 가지 토사와 굴착시 토사 안정액으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용액과 각종 부산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강도가 점차 약화됨에 따라 흙막이 벽체의 안전성이 취약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그 연결부분은 수밀가능하게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누수 현상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방법의 하나로 슬러리 월(Slurry wall) 시공방식이다. 이 시공법은 굴착된 지중 공간에 철근망을 삽입한 후 그 곳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판형태의 제1,2콘크리트 패널(2)(3)을 일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밀접하게 연결하여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지중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1콘크리트 패널(2)들을 양생한 다음 그들 사이에 제2콘크리트 패널(3)을 형성하기 위해 굴착기로 공간을 굴착할 때 굴착기의 한 쌍의 오거가 회전하면서 제1콘크리트 패널(2)의 각 단부를 요철형태로 가공하여 조인트를 형성하므로, 이때의 충격으로 양측 제1콘크리트 패널(2)의 조인트 부분은 강도가 약화되거나 심할 경우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후 각 제1콘크리트 패널(2) 사이의 굴착 공간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2콘크리트 패널(3)을 형성하면, 상기 제2콘크리트 패널(3)은 제1콘크리트 패널(2)과 일체로 연결되어 지하연속벽(1)을 형성한다.
이러한 슬러리 월 시공방법은 제1,2콘크리트 패널(2)(3) 연결부가 일체로 성형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려 있으나, 조인트가 형성된 연결부(6)는 오거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는 등 손상되거나 강도가 약화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지하연속벽(1)을 시공한 다음 도 1과 같이 각 제1,2콘크리트 패널(2)(3) 연결부(6)와 대응되는 후방 위치에 별도로 그라우팅관(4)을 지하연속벽(1) 바닥까지 삽입한 후 그 내부로 그라우트(5)를 공급하면서 이 그라우팅관(4)을 서서히 들어올리면 토출된 그라우트(5)가 제1,2콘크리트 패널(2)(3) 연결부(6)의 후방 토사 내부로 침투하여 토사의 공극을 긴밀하게 메꾸면서 경화된 상태로 연결부 후방을 차단하므로, 연결부(6)는 후방 토사에 의해 수밀성이 확보되어 누수가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은 지하연속벽(1) 시공 후에 차수를 위해 제1,2콘크리트 패널(2)(3) 연결부(6)와 대응되는 후방에 중장비인 오거를 이용하여 그라우팅관(4)이 삽입되는 구멍을 먼저 굴착한 다음 이 구멍에 그라우팅관(4)을 삽입해야 하므로 이의 공정이 대단히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결부(6) 후방에 다량의 그라우트(5)가 투입되므로 이로 인하여 지하수가 오염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그라우팅 작업을 지하연속벽(1) 후방 지상에서 시공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건축물의 지하 공간면적이 감소되는 문제도 있었다.
더 중요한 문제점은, 건축물 준공 후 지하연속벽(1)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할 때 이를 해결할 마땅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다시 그 곳에 그라우팅관(4)을 삽입하여 누수를 차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고, 이때 그 곳에 장애물 예컨대, 그 건축물과 근접거리에 다른 건축물이 축조되어 장애물로 존재하거나 이동할 수 없는 장애물이 있으면 그라우팅 시공 조차도 불가능하여 차수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지하연속벽 시공에 관한 문헌상의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6904호의 차수벽 흙막이 공법이 제시된다. 이 시공법은 주열식 지하연속벽 시공법으로 본 발명과 전혀 다른 시공법으로 관련성이 없다.
또한, 종래 다른 문헌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7826호의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이 있다. 이 공법의 경우도 넓은 의미의 주열식 지하연속벽 시공법으로 본 발명과 관련성이 없는 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690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7826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연속벽을 형성하는 제1,2콘크리트 패널 연결부에 그라우팅관을 매설하여 그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때 그라우팅관으로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공급된 그라우트가 누수부분에 직접 침투하여 연속벽과 일체로 고착되어 연결부분의 강성을 높여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연속벽 후방에 그라우팅관을 삽입하고 이를 통해 그라우트를 대량 공급하여 누수현상을 차단할 때 지하연속벽 외부로 노출된 그라우트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라우팅 작업을 지하연속벽 후방 지상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공간이 확보로 인하여 건축물의 지하 공간면적이 감소되는 종래 문제점을 간단히 해결하여 지하 공간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 준공 후 지하연속벽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그 때마다 패널 연결부에 매설된 그라우팅관을 통해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간단히 차단함으로써 준공된 건축물 지하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은 건축물의 지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그 외벽이 위치할 상부 둘레를 따라 양측에 가이드 월(10)을 시공하는 단계(S1);
상기 시공된 가이드 월(1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굴착된 영역과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 일렬로 교호되게 배치하는 제1굴착단계(S2);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1굴착단계(S2) 의해 확보된 각 제1수용홈(40)에 투입하는 단계(S3);
각 제1수용홈(40)의 내부 철근망(30) 양측에 경계막(50)을 삽입 고정하여 제1수용홈(40) 양측단을 폐쇄하여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경계막 고정단계(S4);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지하 연속벽 일부를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시공하는 단계(S5);
상기 시공된 각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연통되게 제2수용홈(40a)을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S6);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2굴착단계(S6) 의해 확보된 각 제2수용홈(40a)에 투입하는 단계(S7);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들과 일체로 연결되게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단계(S8);
상기 시공된 지하연속벽(100) 내측에 위치한 흙을 연속벽 하단부까지 파내어 건축물 지하 공간을 확보하는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
상기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에 의해 확보된 지하공간에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속 이음되어 형성된 지하연속벽(100)의 누수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S10);
상기 S10단계 결과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제2콘크리트 패널(70)이 이음되는 연결부(80)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에 위치한 그라우팅관(20)에 진동발생기로 진동을 가하여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S10-1); 및
상기 S10-1단계에 의해 밀착력이 완화된 그라우팅관(20)으로 액상의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이 그라우트가 그라우팅관(20)의 배출 통로(20a) 또는 노즐공(20d)을 통해 토출되어 그와 연결되고 누수 현상의 원인이 되는 크랙에 침투하여 지하연속벽(100)과 일체로 고착 성형되어 누수를 차단토록 하는 그라우팅 단계(S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이음되는 각 연결부(8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우팅관(20)이 배치되게 하여, 어느 연결부(80)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라우팅관(20)으로 그라우트를 투입하여 누수를 차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가이드 월(10)의 길이방향을 다수 구간으로 구획하여, 각 구획된 구간마다 상기 S2단계부터 S8단계를 시공하여, 처음 구간의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마지막 구간의 제2콘크리트 패널(70)이 일체로 연결되어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그 외경 최외측면이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결되는 연결부(80)에서 30∼100㎜ 거리 이내에 위치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이 콘크리트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배출 통로(20a)를 갖도록 복수 개의 돌기(20b)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이 통로(20a)는 그라우트가 토출될 수 있는 메시를 갖는 망사형상의 필터(20c)로 차단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이 노즐공(20d) 외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망사형상의 필터(20e)가 부착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이 노즐공(20d)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체크밸브(20f)가 장착된다.
본 발명은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외부에 형성된 레일에 노즐공(20d)을 차단하는 커버(110)가 슬라이드 조립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커버(110)는 노즐공(20d)을 차단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상기 커버(110)는 레일에서 제거되어 노즐공(20d)을 개방시킨다.
이상과 같이 지하연속벽을 시공하는 본 발명은 그라우트가 지하연속벽 누수부분에 직접 침투하여 연속벽과 일체로 고착되므로 지하연속벽의 강성을 높여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차수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하연속벽 외부로 그라우트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라우팅 작업을 지하연속벽에 미리 매립된 그라우팅관을 이용하므로 지하연속벽을 종래 그라우팅 작업이 진행되는 위치까지 확대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지하공간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물 준공 후 누수가 발생할 때마다 준비된 그라우팅관을 통해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구조물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슬러리 월 시공법에 의해 축조된 지하연속벽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을 시공하기 위한 가이드 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가이드 월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수용홈에 철근망과 그 측면에 경계막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콘크리트 패널이 일렬로 연결된 일부 구간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콘크리트 패널이 구획된 구간에서 시공되는 순서를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콘크리트 패널 단부에 그라우팅관이 매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콘크리트 패널 단부에 그라우팅관이 매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콘크리트 패널 단부에 그라우팅관 2개가 매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콘크리트 패널 단부에 그라우팅관 2개가 매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팅관이 매립된 제1,2콘크리트 패널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원내부를 확대한 그라우팅관의 단부를 확대한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그라우팅관의 정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그라우팅관의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그라우팅관의 정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그라우팅관의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 시공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은 건축물의 지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그 외벽이 위치할 상부 둘레를 따라 양측에 가이드 월(10)을 시공하는 단계(S1);
상기 시공된 가이드 월(1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굴착된 영역과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 일렬로 교호되게 배치하는 제1굴착단계(S2);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1굴착단계(S2) 의해 확보된 각 제1수용홈(40)에 투입하는 단계(S3);
각 제1수용홈(40)의 내부 철근망(30) 양측에 경계막(50)을 삽입 고정하여 제1수용홈(40) 양측단을 폐쇄하여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경계막 고정단계(S4);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지하 연속벽 일부를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시공하는 단계(S5);
상기 시공된 각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연통되게 제2수용홈(40a)을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S6);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2굴착단계(S6) 의해 확보된 각 제2수용홈(40a)에 투입하는 단계(S7);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들과 일체로 연결되게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단계(S8);
상기 시공된 지하연속벽(100) 내측에 위치한 흙을 연속벽 하단부까지 파내어 건축물 지하 공간을 확보하는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
상기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에 의해 확보된 지하공간에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속 이음되어 형성된 지하연속벽(100)의 누수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S10);
상기 S10단계 결과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제2콘크리트 패널(70)이 이음되는 연결부(80)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에 위치한 그라우팅관(20)에 진동발생기로 진동을 가하여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S10-1); 및
상기 S10-1단계에 의해 밀착력이 완화된 그라우팅관(20)으로 액상의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이 그라우트가 그라우팅관(20)의 배출 통로(20a) 또는 노즐공(20d)을 통해 토출되어 그와 연결되고 누수 현상의 원인이 되는 크랙에 침투하여 지하연속벽(100)과 일체로 고착 성형되어 누수를 차단토록 하는 그라우팅 단계(S1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월(10)을 시공하는 단계(S1)는 도 2와 같이 축조되는 건축물의 지하 최외곽 경계부에 시공되므로, 이 경계부 내측이 건축물의 지하 공간 면적이 된다. 이 가이드 월(10)은 일정한 간격으로 틈새가 형성되도록 도 3과 같이 양측에 평행하게 콘크리트를 일정깊이로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 콘크리트 내부에는 철근망이 미리 매립되어 견고하게 시공된다. 이 가이드 월(10)은 흙을 파내어 외부로 배출하는 굴착기의 오거가 삽입되는 초기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결국 가이드 월(10)의 안내에 따라 그 틈새 내부로 삽입된 오거가 흙을 굴착하므로 이 가이드 월(10)의 틈새 수직방향 하부에 지하연속벽(100)이 시공되고, 틈새의 폭에 따라 지하연속벽(100)의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 제1굴착단계(S2)는 시공된 가이드 월(10)의 안내에 따라 그의 틈새 사이로 굴착기의 오거가 삽입되고, 그후 수직방향으로 진입하면서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까지 지중에 위치한 흙을 파내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굴착방법은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을 단계적으로 시간차를 두고 연속 이음되게 타설해야 하므로, 먼저 타설되는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타설하는 영역을 먼저 타설하고 그 영역에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타설 양생한 다음 제1콘크리트 패널(60)들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나중에 굴착하여 제2콘크리 패널(70)을 타설 양생한다. 그러므로 굴착되지 않은 영역 사이에 굴착된 영역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굴착된 영역과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 일렬로 교호되게 배치되게 한다.
예컨대, 지하연속벽(100)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도 6과 같이 가이드 월(10)의 길이방향을 다수 구간으로 구획하여 그 중에서 1구간을 먼저 굴착한 다음 나중에 2구간, 3,4,5.....N구간을 굴착한다. 1구간을 굴착할 때 제1,2,3영역을 먼저 굴착한 후 이들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복수 개의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시공한 다음, 이들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4,5번영역을 나중에 굴착하여 이 곳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제2콘크리트 패널(70)들을 시공한다. 그 후 2구간은 6,7영역을 먼저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들을 시공하고, 이어서 8,9영역을 굴착하여 그 곳에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한다. 이러한 시공방식으로 전 구간에 걸쳐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을 연속 이음되게 시공하면 지하연속벽(100)을 일체로 시공할 수 있다.
제1굴착단계(S2)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반이 약할 경우 주변의 토사가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종래와 같이 굴착 위치에 안정액을 투입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작업을 병행한다.
상기 S3단계는 제1굴착단계(S2) 의해 확보된 각 제1수용홈(40)에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투입하는 공정이다. 제1굴착단계(S2)에서 먼저 굴착된 영역은 제1수용홈(40)이 되므로 이곳에 그라우팅관(20)이 조립된 철근망(30)을 투입한다. 철근망(30)의 길이는 지하연속벽(100)의 길이와 같으므로 그 길이가 상당하여 대형 중장비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린 후 제1수용홈(40)으로 삽입하는 위험한 작업이므로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은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종래의 경우도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할 때 철근망을 사용하지만, 이 철근망에 그라우팅관이 일체로 조립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철근망(30)에 조립된 그라우팅관(20)은 철근망(3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면 시공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결되는 각 연결부(8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되므로 어느 연결부(80)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라우팅관(20)으로 그라우트를 투입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제1콘크리트 패널(6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1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8은 제2콘크리트 패널(7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1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9는 제1콘크리트 패널(6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2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제2콘크리트 패널(7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1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0은 제1콘크리트 패널(6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1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제2콘크리트 패널(70) 내부에 투입된 철근망(30) 일단부에 2개의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라우팅관(20)이 많으면 그만큼 그라우트를 연결부에 쉽게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제1콘크리트 패널(60)들 양측에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제2콘크리트 패널(70)에는 그라우팅관(20)을 매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제1콘크리트 패널(60)들 양측에 매립된 그라우팅관(20)을 이용하여 그 양측 연결부(80)에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개념으로 제2콘크리트 패널(70)들 양측에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제1콘크리트 패널(60)에는 그라우팅관(20)을 매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그 외경 최외측면이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이음되는 연결부(80)에서 30∼100㎜ 거리 이내에 위치되게 하여 공급된 그라우트가 연결부(80)로 원할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라우팅관(20)의 매립된 거리가 연결부(80)에서 30㎜ 이내가 되면 연결부(80)와 너무 가까워 굴착기의 오거가 굴착할 때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 측면을 가공하여 조인트를 형성할 때 그라우팅관(20)이 오거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고, 연결부(80)에서 100㎜를 벗어나게 되면 연결부(80)와 거리가 멀어 그라우트가 연결부(80)로 침투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11은 그라우팅관(20)이 매립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의 측단면도로서, 제2콘크리트 패널(70) 양단부에 매립된 그라우팅관(20)이 제1콘크리트 패널(60)과의 연결부(80)에 근접되게 설치되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그라우팅관(20)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내부로 침투하지 않아야 하고, 또한 내부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되어 연결부(80)로 침투해야 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이를 만족하기 위한 실시예는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이 콘크리트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도 12와 같이 하단부에 배출 통로(20a)를 갖도록 복수 개의 돌기(20b)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이 통로(20a)는 그라우트가 토출될 수 있는 메시를 갖는 망사형상의 필터(20c)로 차단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이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노즐공(20d)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부(80)에 위치하므로 그라우트를 연결부(80) 전역에 빨리 침투할 수 있다. 도 13의 그라우팅관(20)은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이 개방된 출구에 도 12와 같이 망사형 필터(20c)를 차단하면 콘크리트가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고 내부의 그라우트는 망사형 필터(20c)를 통해 연결부(80)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이 노즐공(20d) 외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 14와 같이 망사형상의 필터(20e)가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이 노즐공(20d)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그라우팅 단계(S11)에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도 15와 같이 체크밸브(20f)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20f)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로서, 급배수관 또는 냉매관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요소이므로 그에 관한 구성은 생략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6 내지 도 17과 같이 철근망(30)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조립 고정된 그라우팅관(20)은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형성된 융기부(90)가 돌출되고, 이 융기부(90) 외부에 형성된 레일에 노즐공(20d)을 차단하는 커버(110)가 슬라이드 조립되게 한다.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커버(110)는 노즐공(20d)을 차단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상기 커버(110)를 레일에서 제거하여 노즐공(20d)을 개방하면 그라우트를 연결부(8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철근망(30)에 일체로 조립된 그라우팅관(2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어도 그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 각 연결부(8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임의의 연결부(8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즉시 그라우트를 투입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건축물 준공 후 그 인접거리에 상대방 건축물이 시공되거나 움직일 수 없는 부동식 장애물이 설치될 경우 그라우팅 시공을 하지 못하여 차수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므로 차수에 관한 상승효과는 종래와 비교할 바가 아니다.
상기 경계막 고정단계(S4)는 철근망(30) 양측 제1수용홈(40)에 경계막(50)을 삽입 고정하여 제1수용홈(40) 양측단을 폐쇄하여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렇게 되면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경계막(50)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그 측면이 매끈하게 되고,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경계막(50)을 중장비로 들어올려 제거한다. 상기 경계막(50) 시공방법은 공지 기술이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콘크리트 패널을 시공하는 단계(S5)는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지하 연속벽 일부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제1수용홈(40)이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성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이 두고 형성되고, 그 양단부는 경계막(50)에 의해 매끈하게 처리된다. 제1콘크리트 패널(60) 내부에 매립된 철근은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그라우팅관(20)이 조립되는데, 이 그라우팅관(20) 입구는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마개 등으로 개폐가능하게 폐쇄하는 것이 좋다.
종래의 경우에도 제1수용홈(40)에 철근망(30)을 투입한 다음에 이 철근망(30) 사이에 복수 개의 파이프 형태의 케이싱을 삽입하는데, 이 케이싱은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지하연속벽(100) 하부 깊숙히 삽입되어 지하연속벽(100) 하부를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굴착을 통해 지하연속벽(100) 하부 깊숙히 케이싱을 삽입하고, 그 내부에 H형강 또는 철근망을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므로 이 케이싱은 지하연속벽(100) 하부에 기둥형태로 깊이 삽입되어 지하연속벽(100) 하부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매립된 후 그라우트 주입을 위해 내부가 빈공간으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그라우팅관(20)과는 사용 목적이 전혀 달라 서로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밝힌다.
상기 제2굴착단계(S6)는 시공된 각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까지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연통되게 제2수용홈(40a)을 굴착하는 공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1구간에서 4,5영역, 2구간에서 8,9번영역에 해당하는 위치를 굴착하면 이곳이 제2수용홈(40a)이 된다. 상기 제2수용홈(40a)의 굴착은 굴착기의 오거 회전날이 미리 형성된 제1콘크리트 패널(60)의 측면을 가공하여 도 7 내지 도 10과 같이 연결부(80)에 요철부(80a)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상기 S7단계는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2굴착단계(S6) 의해 확보된 각 제2수용홈(40a)에 투입하는 공정이다. 제2굴착단계(S6)에서 굴착된 영역은 제2수용홈(40a)이 되므로, 이곳에 그라우팅관(20)이 조립된 철근망(30)을 투입한다. 제2수용홈(40a)에 철근망(30)을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요철부(80a)에 충전되어 제2콘크리트 패널(70)은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가 되어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게 된다. 제2굴착단계(S6)에 사용된 철근망(30)은 그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그라우팅관(20)이 장착되는데 이에 관한 설명은 S3단계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단계(S8)는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들과 일체로 연결되게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공정이다.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측 제1콘크리트 패널(60)의 요철부(80a)에 충전되므로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일체로 연결되어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는 시공된 지하 연속벽 내측의 흙을 연속벽 하단부까지 파내어 건축물 지하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이다. 이는 건축물의 지하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수행해야 할 공정이다.
상기 누수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S10)는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에 의해 확보된 지하공간에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속 이음되어 형성된 지하연속벽(100)의 연결부(80)에 누수가 발생하는지 검사를 진행하는 공정이다. 이 검사는 누수가 발생할 경우 그 부분이 젖어 있어 마른 부분과 확인히 구별되므로 육안으로 진행할 수 있다.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지하연속벽(100)이 성공적으로 시공된 것이므로, 이후에는 지하공간의 바닥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비로소 지하공간을 완료하게 된다.
만약, 지하연속벽(100)에 누수가 발생하면 그 누수 부분에 그라우트를 투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제2콘크리트 패널(70)이 이음되는 연결부(80)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에 위치한 그라우팅관(20)에 진동발생기로 진동을 가하여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S10-1)를 진행한다.
진동발생기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진동발생기에 금속재로 구성된 그라우팅관(20)을 연결한 다음 진동발생기를 구동시키면 그라우팅관(20)이 약하게 진동하여 콘크리트와의 밀착력이 완화되어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 사이에 아주 미세한 틈새가 발생된다. 그러면 이후 수행하는 그라우트 단계(S11)에서 그라우트가 그 틈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까지 원할하게 침투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우팅관(20)에 진동을 가할 때 진동을 너무 강하게 가하면 그라우팅관(20)을 밀착하고 있는 콘크리트 부분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손상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진동을 너무 약하게 가하면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와의 밀착력이 완화되지 않아 의미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이점을 감안하여 콘크리트가 손상되지 않은 강도 범위내에서 그라우팅관(20)에 진동을 가해야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그라우트관(20)에 진동이 가해지면, 누수 부분을 차단하는 그라우팅 단계(S11)를 진행한다. 상기 그라우팅 단계(S11)는 누수가 발생되는 연결부(80)에 위치한 그라우팅관(20)으로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이 그라우트가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지하연속벽(100) 내부 위치까지 직접 침투하여 연속벽과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누수를 차단토록 하는 공정이다. 제1,2콘크리트 패널(60)(70) 연결부(80)에 누수가 발생한다는 것은 조인트 부분이 손상되어 크랙이 발생하거나, 콘크리트가 완충되지 않는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정상적으로 시공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그 연결부(80)에 누수가 발생하면 그라우팅관(20)을 통해 토출되는 그라우트가 S10-1단계에서 확보된 미세한 틈새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연결부(80)의 크랙 또는 공극에 신속히 침투하여 그 부분을 메꿔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그라우트는 연결부(80)에 채워져 지하연속벽(100)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지하연속벽(10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 연결부(80)에 누수가 발생하는 이유는 거의 대부분 그 부분에 발생하는 크랙 때문이다. 이 크랙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굴착기의 오거 회전날이 미리 형성된 제1콘크리트 패널(60)의 측면을 가공하여 요철부(80a)를 형성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발생된다. 연결부(80)에 충격이 가해지면 그 부분의 강도 취약부분에 미세한 크랙이 집중 발생하고, 이 발생된 크랙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축물 진동이나 제1,2콘크리트 패널(60)(70) 자중에 의해 점차 길어지면서 확대되어 그와 가까운 그라우팅관(20)까지 이어져 결국 노즐공(20d)과 연결된다.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연결부에 누수가 발생된다는 것은 결국 크랙이 존재한다는 의미이고, 이 크랙은 시공 당시부터 연결부(80)에서 30∼100㎜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아주 근접한 그라우팅관(20)과 연결될 수 있고, 시공 당시 그라우팅관(20)과 연결되지 않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건축물 노후 현상에 의해 점차 확대되어 그와 아주 근접한 그라우팅관(20)과 연결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에 매립된 그라우팅관(20)을 통해 액상의 그라우트를 고압으로 공급하면 이 그라우트는 노즐공(20d)으로 배출된 후 진동으로 형성된 틈새를 통해 각 크랙으로 침투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고체상태로 접착되어 크랙을 견고하게 메꿔 누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은 그라우트가 지하연속벽(100) 누수부분에 직접 침투하여 연속벽과 일체로 고착되어 지하연속벽(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점, 그라우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는 점, 지하연속벽(100)을 종래보다 더 외곽으로 이동시켜 건축물 지하공간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점, 건축물 준공 후 누수가 발생할 때마다 준비된 그라우팅관(20)을 통해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누수를 신속하면서도 간단히 차단할 수 있는 점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종래 시공법보다 진보성을 갖춘 발명이라 하겠다.
10 : 가이드 월 20 :그라우팅관
30 : 철근망 40 : 제1수용홈
40a : 제2수용홈 50 : 경계막
60 : 제1콘크리트 패널 70 : 제2콘크리트 패널
80 : 연결부 90 : 융기부
100 : 지하연속벽 110 : 커버
S1 : 가이드 월 시공단계 S2 : 제1굴착단계
S3 : 철근망 투입단계 S4 : 경계막 고정단계
S5 : 제1콘크리트 패널 시공단계 S6 : 제2굴착단계
S7 : 철근망 투입단계 S8 : 제2콘크리트 패널 시공단계
S9 : 내부 터파기 단계 S10 : 누수 검사단계
S10-1 : 그라우트관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
S11 : 그라우팅 단계

Claims (9)

  1. 건축물의 지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 그 외벽이 위치할 상부 둘레를 따라 양측에 가이드 월(10)을 시공하는 단계(S1);
    상기 시공된 가이드 월(10)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굴착된 영역과 굴착되지 않은 영역이 일렬로 교호되게 배치하는 제1굴착단계(S2);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1굴착단계(S2) 의해 확보된 각 제1수용홈(40)에 투입하는 단계(S3);
    각 제1수용홈(40)의 내부 철근망(30) 양측에 경계막(50)을 삽입 고정하여 제1수용홈(40) 양측단을 폐쇄하여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경계막 고정단계(S4);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1수용홈(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지하 연속벽 일부를 형성하는 제1콘크리트 패널(60)을 시공하는 단계(S5);
    상기 시공된 각 제1콘크리트 패널(60) 사이에 위치한 굴착되지 않은 영역을 지하연속벽(100)을 형성하는 깊이 또는 그 이상 굴착하여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연통되게 제2수용홈(40a)을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S6);
    철근이 망형태로 조립되고, 그 일단 또는 양단 길이방향을 따라 그라우팅관(20)이 일체로 조립된 철근망(30)을 상기 제2굴착단계(S6) 의해 확보된 각 제2수용홈(40a)에 투입하는 단계(S7);
    상기 철근망(30)이 투입된 각 제2수용홈(40a)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그라우팅관(20)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양생시켜 미리 시공된 제1콘크리트 패널(60)들과 일체로 연결되게 제2콘크리트 패널(70)을 시공하는 단계(S8);
    상기 시공된 지하연속벽(100) 내측에 위치한 흙을 연속벽 하단부까지 파내어 건축물 지하 공간을 확보하는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
    상기 흙막이 내부 터파기 단계(S9)에 의해 확보된 지하공간에서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속 이음되어 형성된 지하연속벽(100)의 누수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S10);
    상기 S10단계 결과 제1콘크리트 패널(60)과 제2콘크리트 패널(70)이 이음되는 연결부(80)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된 연결부(80)에 위치한 그라우팅관(20)에 진동발생기로 진동을 가하여 그라우팅관(20)과 콘크리트의 밀착력을 완화시키는 단계(S10-1);
    상기 S10-1단계에 의해 밀착력이 완화된 그라우팅관(20)으로 액상의 그라우트를 공급하여 이 그라우트가 그라우팅관(20)의 배출 통로(20a) 또는 노즐공(20d)을 통해 토출되어 그와 연결되고 누수 현상의 원인이 되는 크랙에 침투하여 지하연속벽(100)과 일체로 고착 성형되어 누수를 차단토록 하는 그라우팅 단계(S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이음되는 각 연결부(8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우팅관(20)이 배치되게 하여, 어느 연결부(80)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라우팅관(20)으로 그라우트를 투입하여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그라우팅관(20)은 그 외경 최외측면이 제1,2콘크리트 패널(60)(70)이 연결되는 연결부(80)에서 30∼100㎜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이 콘크리트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배출 통로(20a)를 갖도록 복수 개의 돌기(20b)가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이 통로(20a)는 그라우트가 토출될 수 있는 메시를 갖는 망사형상의 필터(20c)로 차단되고;
    상기 그라우팅관(20)은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형성된 융기부(90)가 돌출되고, 이 융기부(90) 외부에 형성된 레일에 노즐공(20d)을 차단하는 커버(110)가 슬라이드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커버(110)는 노즐공(20d)을 차단하여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상기 커버(110)를 레일에서 제거하여 노즐공(20d)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팅관(20)은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연결부(80)와 인접한 외경 최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노즐공(20d)이 관통되고, 이 노즐공(20d) 외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내부에서 공급된 그라우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망사형상의 필터(20e)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8. 삭제
  9. 삭제
KR1020180014354A 2018-02-06 2018-02-06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KR10192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54A KR101925598B1 (ko) 2018-02-06 2018-02-06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54A KR101925598B1 (ko) 2018-02-06 2018-02-06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598B1 true KR101925598B1 (ko) 2019-02-20

Family

ID=6556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54A KR101925598B1 (ko) 2018-02-06 2018-02-06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5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0700A (zh) * 2019-11-18 2020-02-2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水电站防渗墙及其施工方法
CN110924447A (zh) * 2019-11-22 2020-03-27 浙江大学 一种新型综合管廊施工缝处防水结构及施工方法
CN110952644A (zh) * 2019-12-31 2020-04-03 黑龙江科顺防水堵漏技术有限公司 一种渗漏探测和堵漏一体化装置及方法
CN114232693A (zh) * 2021-12-09 2022-03-2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外墙及施工方法
CN114837208A (zh) * 2022-05-16 2022-08-02 中铁七局集团郑州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连续墙渗漏水处置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28A (ja) * 1994-08-08 1996-02-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背面へのグラウト注入方法およびその注入装置
KR20020046904A (ko) 2001-08-04 2002-06-21 김영길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20040022281A (ko) * 2002-09-03 2004-03-12 주식회사 우지스 토류벽의 차수를 위한 전면방수 그라우팅 공법
KR20090007826A (ko) 2007-07-16 2009-01-21 김창근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20100115019A (ko) * 2009-04-17 2010-10-27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28A (ja) * 1994-08-08 1996-02-20 Kajima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背面へのグラウト注入方法およびその注入装置
KR20020046904A (ko) 2001-08-04 2002-06-21 김영길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20040022281A (ko) * 2002-09-03 2004-03-12 주식회사 우지스 토류벽의 차수를 위한 전면방수 그라우팅 공법
KR20090007826A (ko) 2007-07-16 2009-01-21 김창근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20100115019A (ko) * 2009-04-17 2010-10-27 박길석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0700A (zh) * 2019-11-18 2020-02-21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水电站防渗墙及其施工方法
CN110924447A (zh) * 2019-11-22 2020-03-27 浙江大学 一种新型综合管廊施工缝处防水结构及施工方法
CN110952644A (zh) * 2019-12-31 2020-04-03 黑龙江科顺防水堵漏技术有限公司 一种渗漏探测和堵漏一体化装置及方法
CN110952644B (zh) * 2019-12-31 2021-04-02 黑龙江科顺防水堵漏技术有限公司 一种渗漏探测和堵漏一体化装置及其工艺方法
CN114232693A (zh) * 2021-12-09 2022-03-25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外墙及施工方法
CN114232693B (zh) * 2021-12-09 2023-10-24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水外墙及施工方法
CN114837208A (zh) * 2022-05-16 2022-08-02 中铁七局集团郑州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连续墙渗漏水处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597B1 (ko)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KR101925598B1 (ko)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KR100927186B1 (ko)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CN107542108A (zh) 一种建筑物地下室结构的逆向施工方法
KR100559978B1 (ko) 지중 물막이 또는 흙막이용 파일 및 이를 이용한 물막이또는 흙막이 시공방법
KR100415809B1 (ko)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CN109371980B (zh) 喷锚逆作与冲孔桩组合的深基坑围护施工方法
CN106812131B (zh) 一种永久板桩地下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807366B1 (ko) 논리턴밸브조립체 삽입유도관 일체형의 오버랩 원통부재와 이를 이용한 주열식 차수벽 시공방법
KR101974826B1 (ko) 인터로킹 시컨트 프리캐스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지지 벽체의 시공방법
KR100476839B1 (ko)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36117B1 (ko) 지반 굴착 및 개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차수벽 시공방법
KR200296444Y1 (ko) 배노트 공법에 의해 설치된 현장타설 대구경 파일을이용한 지중연속벽체
KR100477357B1 (ko) 차수벽 흙막이 공법
KR102576665B1 (ko) 구조물의 누수방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905296B2 (ja) 山留め壁の構築方法及び山留め壁
WO2009139510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ntinuous cut-off wall using overlap casing
KR102515341B1 (ko)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구용 강관의 차수구조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102342510B1 (ko) 주열식 차수벽 설치용 오버랩 원통부재
JPH0813495A (ja) 土留め壁及びその構築工法
KR102610909B1 (ko) 침하방지를 위해 강관내부 앵커설치를 이용한 강관추진 공법 및 그 구조물
NL1008594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rukvloer uit be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