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500B1 -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 Google Patents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500B1
KR101205500B1 KR1020110107359A KR20110107359A KR101205500B1 KR 101205500 B1 KR101205500 B1 KR 101205500B1 KR 1020110107359 A KR1020110107359 A KR 1020110107359A KR 20110107359 A KR20110107359 A KR 20110107359A KR 101205500 B1 KR101205500 B1 KR 10120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excavation
underground
perforato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두
김채현
Original Assignee
김채현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현,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채현
Priority to KR102011010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3Foundation slots or slits; Implements for making these slots or sl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1With a rotary table, i.e. a fixed rotary drive for a relatively advancing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4Directional drilling
    • E21B7/046Directional drilling horizontal dr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하여 차로 중앙부분 지중으로 지나가는 전력선을 전력선 맨홀에서 분기하여 패드 스위치까지 전선을 인입하기 위하여 비개착식으로 시공하는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으로서, 상기 비굴착 공법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인 제1단계와;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의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력선 맨홀 옆에 다각도 천공기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조립하는 제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로 천공하여 굴착공을 만드는 제6단계와; 천공 완료 후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해체하는 제7단계와; 천공한 상기 굴착공에 지중 전선관을 매설하고 마감캡으로 마무리 하는 제8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제9단계와; 상기 도달구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추진기지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제11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르면 지중 지장물 탐지가 가능하여 지중시설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전선관을 인입 후 남은 굴착공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유압실린더를 천공기 후방에 부착하여 후방천공을 쉽게 할 수 있고 천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패드 스위치 기준으로 인입관로 매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패드 변압기 선로 관로 기준으로 케이블 및 관로 소요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개착 시 소요되는 교통 혼잡 비용과, 개착 시 나오는 포장재 폐기물의 발생을 대부분 줄일 수 있고, 전선 포설 후 도로 재포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Constraction Method of Non-Open Cut for Undergroud Cable Conduit}
본 발명은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하여 도로나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도로나 일반 지반의 지중에 전력구용 관로 등을 시공하는 비굴착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하여 지중 지장물 탐지가 가능하여 지중시설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전선관을 인입 후 남은 굴착공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유압실린더를 천공기 후방에 부착하여 후방천공을 쉽게 할 수 있고 천공능력을 향상시킨 다각도 천공기의 길이를 확장하여 8m 정도의 거리를 개착하지 않고 굴착공을 형성한 후 관로를 삽입하여, 차로 중앙부분 지중으로 지나가는 전력선을 전력선 맨홀에서 분기하여 패드 스위치까지 전선을 인입하기 위하여 비개착식으로 시공하는 비굴착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일반 지반의 지중에 하수관로, 우수관로, 전력구용 관로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도로나 지반의 표면을 원하는 깊이로 개착한 후 흄관 등으로 관로를 설치한 후 다시 복토, 경화하여 도로나 일반 지반을 원상 복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개착, 관로설치 및 복개 등 시공이 진행되는 동안은 물론 복토된 토사가 경화되는 동안 그 도로나 지반 등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사기간 중 우회도로를 개설하고 교통을 통제하여야 하는 등 도로나 지반 이용에 막대한 차질을 줌은 물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설폐기물(폐콘크리트, 폐아스콘)이 다량 발생되어 그 처리의 공간 및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폐해가 유발 되고 있어 이것을 줄일 필요가 있으며, 포장도로의 경우 관로 시공 후 도로포장 공사를 시행하여야 하므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압입공법은 현장주변에 장비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공사 단가가 높아 소규묘 현장에 적용 곤란하여 도로측구, 옹벽, 담, 등의 밑부분을 관통하는 관로 매설시 굴착 및 복구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과, 지하매설물이 많은 개소에는 규정된 매설깊이 확보가 어려워 선로고장 및 안전사고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점과, 현재 굴착공법은 공사 기간중 통행방해, 먼지발생 등으로 주변 주민들의 영업지장 및 보상요구 등 민원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 한국공개특허 10-2009-0129244(공개일자 2009. 12. 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하여 도로나 지반을 개착하지 않고 도로나 일반 지반의 지중에 전력구용 관로 등을 시공할 수 있어 도로나 지반 이용에 막대한 차질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시공 후 도로포장 공사를 재시공할 필요가 없으며, 지중 지장물 탐지가 가능하여 지중시설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전선관을 인입 후 남은 굴착공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유압실린더를 천공기 후방에 부착하여 후방천공을 쉽게 할 수 있고 천공능력을 향상시킨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하여 차로 중앙부분 지중으로 지나가는 전력선을 전력선 맨홀에서 분기하여 패드 스위치까지 전선을 인입하기 위하여 비개착식으로 시공하는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으로서, 상기 비굴착 공법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인 제1단계와;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의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력선 맨홀 옆에 다각도 천공기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조립하는 제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로 천공하여 굴착공을 만드는 제6단계와; 천공 완료 후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해체하는 제7단계와; 천공한 상기 굴착공에 지중 전선관을 매설하고 마감캡으로 마무리 하는 제8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제9단계와; 상기 도달구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추진기지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제11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추진기지의 토사 터파기는 폭 2.0~2.5m, 깊이 1.5~1.8m로 파서 굴착공의 깊이가 지면에서 1.2m가 되도록 하며, 상기 도달구는 폭 0.5~1.0m, 깊이 1.5~1.8m의 크기로 확보한다.
상기 제6단계는 8m의 굴착공을 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5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다각도 천공기로 제1굴착을 하는 제6-1단계와; 제1 확장 로드를 설치하는 제6-2단계와; 제1 확장 로 설치 후 제2굴착을 하는 제6-3단계와; 제2 확장 로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4단계와; 제2 확장 로드 설치 후 제3굴착을 하는 제6-5단계와; 제3 확장 로드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6단계와; 제3 확장 로드 설치 후 제4굴착을 하는 제6-7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7단계는 8m의 굴착공을 굴착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역회전으로 1차 후진시키는 제7-1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에서 제3 확장 로드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과 연결하는 제7-2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2차 후진시키는 제7-3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에서 제2 확장 로드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3차 후진시키는 제7-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에서 제1 확장 로드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과 연결하는 제7-6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4차 후진시키는 제7-7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를 완전히 현장에서 철수시키는 제7-8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8단계는 상기 굴착공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을 부설하는 제8-1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 부설 후 상기 전력선 맨홀에 설치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통과한 지중 전선관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와 지중 전선관 사이를 코킹하는 제8-2단계와; 상기 마감캡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의 양측을 막아 습기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제8-3단계로 구성된다.
제11단계는 지면을 고르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패드스위치용 암거 설치 준비작업을 하는 제11-1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를 설치하는 제11-2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의 슬리브와 지중 전선관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와 지중 전선관 사이를 코킹하는 제11-3단계와; 되메우기과 지반 다짐작업을 하는 제11-4단계와; 보도블럭을 복구하고 작업구역을 정리하는 제11-5단계로 구성된다.
상술한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르면 지중 지장물 탐지가 가능하여 지중시설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전선관을 인입 후 남은 굴착공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유압실린더를 천공기 후방에 부착하여 후방천공을 쉽게 할 수 있고 천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패드 스위치 기준으로 인입관로 매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패드 변압기 선로 관로 기준으로 케이블 및 관로 소요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개착 시 소요되는 교통 혼잡 비용과, 개착 시 나오는 포장재 폐기물의 발생을 대부분 줄일 수 있고, 전선 포설 후 도로 재포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굴착공 작업구간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굴착공 작업구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비굴착 공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2단계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3단계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4단계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5단계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6-1단계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6-7단계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1단계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2단계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3단계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4단계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5단계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6단계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7단계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8단계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9단계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10단계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11단계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후방천공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2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3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2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3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분해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가이드 튜브 스크류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실린더 튜브 개략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피스톤 로드 개략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 로드 개략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드릴 코어 헤드 개략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드릴 코어 헤드 커버 개략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로토매틱 실하우징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로 중앙부분 지중으로 지나가는 전력선을 전력선 맨홀(A)에서 분기하여 패드 스위치(B)까지 전선을 인입하기 위하여 비개착식으로 시공하는 비굴착 공법으로서, 상기 비굴착 공법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A)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인 제1단계와;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200)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력선 맨홀(A) 옆에 다각도 천공기(200)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A)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K)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조립하는 제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천공하여 굴착공(G)을 만드는 제6단계와; 천공 완료 후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해체하는 제7단계와; 천공한 상기 굴착공(G)에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하고 마감캡(C2)으로 마무리 하는 제8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제9단계와; 상기 도달구(K)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추진기지(J)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제11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는 폭 2.0~2.5m, 깊이 1.5~1.8m로 파서 굴착공의 깊이가 지면에서 1.2m가 되도록 하며, 상기 도달구(K)는 폭 0.5~1.0m, 깊이 1.5~1.8m의 크기로 확보해야 한다.
상기 제6단계는 8m의 굴착공을 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5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제1굴착을 하는 제6-1단계와; 제1 확장 로드(60a)를 설치하는 제6-2단계와; 제1 확장 로드(60a) 설치 후 제2굴착을 하는 제6-3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4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 설치 후 제3굴착을 하는 제6-5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6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 설치 후 제4굴착을 하는 제6-7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7단계는 8m의 굴착공을 굴착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역회전으로 1차 후진시키는 제7-1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3 확장 로드(60c)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2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2차 후진시키는 제7-3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2 확장 로드(60b)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3차 후진시키는 제7-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1 확장 로드(60a)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6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4차 후진시키는 제7-7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완전히 현장에서 철수시키는 제7-8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8단계는 상기 굴착공(G)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부설하는 제8-1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 부설 후 상기 전력선 맨홀(A)에 설치된 슬리브(H)와, 상기 슬리브(H)를 통과한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8-2단계와; 상기 마감캡(C2)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의 양측을 막아 습기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제8-3단계로 구성된다.
제11단계는 지면을 고르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패드스위치용 암거 설치 준비작업을 하는 제11-1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하는 제11-2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의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11-3단계와; 되메우기과 지반 다짐작업을 하는 제11-4단계와; 보도블럭을 복구하고 작업구역을 정리하는 제11-5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는 굴삭기 부움(1)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기구(2)를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고정판(3)과 결합되어 굴삭기의 유압에 의해 동력을 구동하는 구동기구(10)와; 상기 구동기구(10)의 출력축(12)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로타리 조인트(20)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천공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1~3개의 확장 로드(60a,b,c)와; 상기 로타리 조인트(20) 또는 상기 확장 로드(60a,b,c)의 출력축(6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 튜브(Cylinder Tube)(30)와; 상기 실린더 튜브(3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지하의 흙을 파고들어가는 스크류 블레이드(Screw Blade)(41)가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튜브 스크류(Guide Tube Screw)(40)와;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선단에 팁(Tip)(51)이 부착되어 있는 드릴 코어 헤드(Drill Core Head)(50)로 구성되며, 추가로 유압실린더(300)가 구성되어, 90°천공이나 후방천공 시와 같이 상기 굴삭기(100)의 전진하는 힘을 이용하지 못할 때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힘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 뒤에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부착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밀어주는 구조이며, 상기 굴삭기 부움(1)의 상기 고정판(3)과 구동기구(10) 사이에, 천공하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기능이 있는 각도조정기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동기구(10)의 앞부분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CCD 카메라(70)가 설치되며, 굴삭기 운전석에는 상기 CCD카메라(7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방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7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10)에는 다각도 천공기의 작업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80)를 설치하여 상기 각도센서(80)에서 체크한 각도를 운전석에서 알 수 있도록 운전석에 각도표시장치를 두며, 상기 각도센서(80)의 영점을 설정할 수 있는 영점설정용 스위치를 운전석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내측에는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외측을 따라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가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형중공(42a)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31)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기구(10)에는 굴삭기에서 오는 유압을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과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에 분배하는 유압분배기(13)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분배기(13)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과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5)이 각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에는 유압유가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말단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원형중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일측에는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의 출력축(2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육각홈(33)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일측에는 전?후진운동에 사용하는 유압이 누설되지 않게 하는 패킹하우징(Packing Housing)(34)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 말단은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유압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할 때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동시에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2개의 육각너트(35)로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력이 부족할 시 유압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16)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에는 유압유의 누설을 막고 2개의 유압유홀(36d)이 형성된 로토매틱 실 하우징(Rotomatic Seal Housing)(36)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굴착공 작업구간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굴착공 작업구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비굴착 공법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2단계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3단계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4단계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5단계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6-1단계 설명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6-7단계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1단계 설명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2단계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3단계 설명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4단계 설명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5단계 설명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6단계 설명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7-7단계 설명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8단계 설명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9단계 설명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10단계 설명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제11단계 설명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후방천공 설명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2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3개를 장착한 다각도천공기를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2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3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조립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로드 1개를 장착한 다각도 천공기 분해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가이드 튜브 스크류 개략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실린더 튜브 개략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피스톤 로드 개략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확장 로드 개략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드릴 코어 헤드 개략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드릴 코어 헤드 커버 개략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른 로토매틱 실하우징 개략도이다.
도 1은 굴착공 작업구간의 개요도로서 전력선 맨홀(A)로 지나가는 메인케이블(D1)에서 분기하여 일정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기 한 것으로 다각도 천공기(A)로 천공 시작구와 천공 도달구까지 굴착공을 뚫은 후 전선관을 삽입하여 관로를 부설하고 패드 스위치(B)의 암거를 설치한 후 전력선 맨홀(A)와 패드 스위치 암거(B1)에 전선관이 들어오는 부분을 슬리브(H)를 설치하여 전선관이 들어오도록 하고 들어온 부분을 코킹하여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한 후 케이블을 포설하면 된다.
상기 패드 스위치(B)는 도로 경계석(I)를 지나 보도(X)의 가장자리에 설치하여 통행에 불편이 없어야 하며, 상기 패드 스위치(B)와 패드 변압기(E) 사이의 작업도 개착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추진기지(J)는 폭 2.0~2.5m, 깊이 1.5~1.8m로 파서 굴착공의 깊이가 지면에서 1.2m가 되도록 하며, 도달구(K)는 1.2m 깊이 이상으로 파고 폭은 0.5~1.0m로 하되 되도록 좁게 파서 굴착공이 형성되는 것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차도의 개착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도 2는 굴착공 작업구간 단면도로서, 작업 완료 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확대도에서와 같이 전력선 맨홀(A)과 패드 스위치 암거(B1)를 통과하는 부분은 슬리브(H)를 설치한 후 상기 슬리브(H)를 통하여 전선관(C1)이 통과하여야 하며 통과한 부분은 실리콘으로 코킹(H2)를 하여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고, 상기 슬리브(H)를 통하여 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H)에는 중앙 부분에 원주로 윙(H1)이 형성되어 물이 상기 윙(H1)을 넘어야 들어오게 가면 완벽한 방수를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비굴착 공법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A)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인 제1단계와;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200)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력선 맨홀(A) 옆에 다각도 천공기(200)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A)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K)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조립하는 제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천공하여 굴착공(G)을 만드는 제6단계와; 천공 완료 후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해체하는 제7단계와; 천공한 상기 굴착공(G)에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하고 마감캡(C2)으로 마무리 하는 제8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제9단계와; 상기 도달구(K)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추진기지(J)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제11단계로 구성된다.
제 1단계는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A)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이다.
상기 줄파기는 터파기 하부 지반을 조사 시 예를 들어 지장물이 있을 경우 등을 대비해 가로로 절취하는 것으로 도로측에 접한 구간에서 천공 또는 항타할 때는 시공전에 그 위치에 인력굴착으로써 줄파기를 하여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고 매설물 보호공을 해야 한다.
줄파기 작업을 할 구간은 사전에 시공측량 실시후 컷팅할 구간에 LINE을 표시하며, 시공전 구조물 횡단도를 작성하여 현지지형에 부합되는가 확인하고, 용수가 있는 장소의 줄파기는 물이 고이지 않도록 물푸기를 하여야 하며, 줄파기시공시 관리자의 상주로 B/H 장비로인한 지하매설물의 훼손에 주의해야 하고, 중요 지하매설물(광케이블 및 전력선,한전선등)의 훼손시 즉각 원청사에 보고하며, 줄파기 완료후 신속히 안전시설물을 설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해 미연에 방지해야 하고, 교통 통제시 신호수의 배치전에 사전교육을 실시하여 사고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줄파기 작업시 발생할수 있는 비산먼지 및 D/T 상차시 떨어질 수 있는 폐기물 및 토사에 대비해 청소 인원을 항시 대기 시키고, 작업전 B/H 운전원의 교육을 실시하여 D/T가 운행중에 적재함에서 토사 및 폐기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상차에 주의를 기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단계는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단계로서 추진기지 구간과 굴삭기(B/H, 100)가 자리 잡고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는 구간의 보도블럭을 제거하여 작업구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진구간은 2m가량, 굴삭기가 전후진하는 공간 약 2.5m와 굴삭기가 자리 잡는 공간 약 2.5~3.0m를 총 5~5.5m 이상의 상기 굴삭기(100) 작업구간이 필요하다.
상기 굴삭기(100)의 전진 작업구간이 확보되지 않을 때는 후방천공을 해야 하므로 도 21과 같이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힘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 뒤에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부착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밀어주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압실린더(300)가 뒤로 밀리지 않고 다각도 천공기 쪽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측벽에 반력벽(4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3단계는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200)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 단계로서, 상기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는 폭 2.0~2.5m, 깊이 1.5~1.8m로 파서 굴착공의 깊이가 지면에서 1.2m 정도가 되도록 하여 지중 전선관(C1)이 도로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깊이로 매설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4단계는 상기 전력선 맨홀(A) 옆에 다각도 천공기(200)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A)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K)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단계로서, 상기 도달구(K)는 폭 0.5~1.0m, 깊이 1.5~1.8m의 크기로 확보하는 것이 좋으나, 최대한 폭을 좁게 하여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도달구(K) 내에서 지중 전선관(C1)의 말단에 마감캡(C2)을 막거나 전력선 맨홀(A)의 슬리브(H) 내로 지중전선관(C1)을 배관하여 상기 전력선 맨홀(A) 내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이 통과한 후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의 사이를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코킹하여야 하므로 최소한의 작업공간은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5단계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조립하는 단계로서, 굴삭기 부움(1)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기구(2)를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고정판(3)과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과 조립하며, 상기 추진기지(J)의 폭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길이보다는 커야만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상기 추진기지(J)에 넣어 천공작업을 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천공하여 굴착공(G)을 만드는 단계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6-1단계는 제5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제1굴착을 시작하는 장면을 도시한 것으로 제1굴착을 시행하는 단계이다.
제6단계는 8m의 굴착공을 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 제1 확장 로드(60a)를 설치하는 제6-2단계와, 제1 확장 로드(60a) 설치 후 제2굴착을 하는 제6-3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4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 설치 후 제3굴착을 하는 제6-5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6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 설치 후 제4굴착을 하는 제6-7단계로 구성된다.
도 9는 제3 확장 로드(60c)까지 설치한 후 제4굴착까지 시행한 것을 보여 준 설명도이다.
상기 제7단계는 8m의 굴착공을 굴착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역회전으로 1차 후진시키는 제7-1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3 확장 로드(60c)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2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2차 후진시키는 제7-3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2 확장 로드(60b)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3차 후진시키는 제7-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1 확장 로드(60a)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6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4차 후진시키는 제7-7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완전히 현장에서 철수시키는 제7-8단계로 구성된다.
도 10는 제7-1단계에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역회전으로 1차 후진시켰을 때를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3 확장 로드(60c)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한 제7-2단계를 보여주며, 도 12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2차 후진시키는 제7-3단계를 보여주고, 도 13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2 확장 로드(60b)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한 제7-4단계를 보여주고, 도 14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3차 후진시키는 제7-5단계를 보여주며, 도 15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1 확장 로드(60a)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한 제7-6단계를 보여주고, 도 16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4차 후진시키는 제7-7단계를 보여준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8단계는 천공한 상기 굴착공(G)에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하고 마감캡(C2)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8단계는 상기 굴착공(G)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부설하는 제8-1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 부설 후 상기 전력선 맨홀(A)에 설치된 슬리브(H)와, 상기 슬리브(H)를 통과한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8-2단계와; 상기 마감캡(C2)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의 양측을 막아 습기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제8-3단계로 구성된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9단계는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단계로서, 도로의 하중에 의해 굴착공(G)와 지중 전선관(C1) 사이의 공간은 여굴에 침하 방지용 모래를 주입하여 침하를 방지하는 단계이며, 상기 여굴에 모래가 완전히 충진될 수 있도록 모래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주입하고 반대쪽에서 공기만 빠져나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고 주입하여야 한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0단계는 상기 도달구(K)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중 전선관(C1)이 상기 전력선 맨홀(A)의 슬리브(H)를 통과한 후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코킹하여야 하며, 상기 전력선 맨홀(A)에 제작 시 만들어진 슬리브(H)가 없을 시에는 상기 전력선 맨홀(A)에 오프닝을 내어 상기 슬리브(H)를 매설하되 슬리브(H)의 길이 방향의 중앙 원주에 윙(H1)을 부착하여 물이 타고 넘지 못하도록 해서 방수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1단계는 상기 추진기지(J)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단계이다.
제11단계는 지면을 고르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패드스위치용 암거(B1) 설치 준비작업을 하는 제11-1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하는 제11-2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의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11-3단계와; 되메우기과 지반 다짐작업을 하는 제11-4단계와; 보도블럭을 복구하고 작업구역을 정리하는 제11-5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스위치용 암거(B1)은 현장 제작보다는 프리패브리케이션된 기성품을 사용하는 것이 강도나 공기에 있어서 유리하다.
도 21은 협소 장소의 비개착을 위한 후방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는 추가로 유압실린더(300)가 구성되어, 90°천공이나 후방천공 시와 같이 상기 굴삭기(100)의 전진하는 힘을 이용하지 못할 때는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힘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 뒤에 상기 유압실린더(300)를 부착하여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밀어주는 구조로서, 작업구간 공간확보를 하지 못하는 협소장소에서 다각도 천공기(200)의 뒤에 유압실린더(300)을 설치하여 천공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다각도 천공기(100)는 상기 굴삭기 부움(1)의 상기 고정판(3)과 구동기구(10) 사이에, 천공하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기능이 있는 각도조정기가 설치되어 스윙천공을 할 수 있게 하여, 천공 각도를 15˚,30˚,45˚,90°등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5-1단계의 제1굴착시 확장 로드(60)를 설치하지 않고 다른 장치는 모두 설치한 굴삭기에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의 정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굴삭기 부움(1)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기구(2)를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고정판(3)과 결합되어 굴삭기의 유압에 의해 동력을 구동하는 구동기구(10)와; 상기 구동기구(10)의 출력축(12)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로타리 조인트(20)와;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 튜브(Cylinder Tube)(30)와; 상기 실린더 튜브(3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지하의 흙을 파고들어가는 스크류 블레이드(Screw Blade)(41)가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튜브 스크류(Guide Tube Screw)(40)와;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선단에 팁(51)이 부착되어 있는 드릴 코어 헤드(Drill Core Head)(5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3)과 상기 구동기구(10)와의 연결은 연결 브라켓(11)로 한다.
상기 구동기구(10)의 앞부분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CCD 카메라(70)가 설치되며, 굴삭기 운전석에는 상기 CCD카메라(7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방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71)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구(10)에는 다각도 천공기의 작업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80)를 설치하여 상기 각도센서(80)에서 체크한 각도를 운전석에서 알 수 있도록 운전석에 각도표시장치를 두며, 상기 각도센서(80)의 영점을 설정할 수 있는 영점설정용 스위치를 운전석에 설치한다.
상기 드릴 코어 헤드(Drill Core Head)(50)에는 작업 현상을 운전석에서 확인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 초음파 카메라 또는 X선 카메라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 초음파 카메라 또는 X선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으로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71)로 전송되어 운전석에서 굴착지점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며, 상기 모니터(71)에는 운전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영상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스위치가 설치된다.
굴삭기 부움(1)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기구(2)와 축선회 할 수 있게 고정판(3)과 굴삭기의 유압에 의해 동력을 구동하는 구동기구(10)와 상기 구동기구(10) 내의 유압모터(10a) 및 감속기(10b)와 상기 구동기구(10)의 출력축(12)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로타리 조인트(20) 설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에서 제외한다.
또한 CCD카메라(7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방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71)가 설치되는 것과 작업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80)를 설치하여 상기 각도센서(80)에서 체크한 각도를 운전석에서 알 수 있도록 운전석에 각도표시장치설치와 상기 드릴 코어 헤드(Drill Core Head)(50)에는 작업 현상을 운전석에서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 카메라 또는 X선 카메라(80)의 설치 및 촬영된 영상은 유?무선으로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71)로 전송되어 운전석에서 굴착지점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것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에서 제외하나 상기 초음파 카메라 또는 X선 카메라의 영상이 유선으로 굴삭기 운전석의 모니터에 전달될 때에는 회전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무접점을 사용하여 상기 실린터 튜브(30) 내에 중공을 설치하여 배선이 될 수 있게 한다.
도 23은 도 22에서 다각도 천공기의 길이를 1차로 확장하기 위하여 확장 로드(60a)를 1개 추가로 설치한 도면이며, 제6-2단계의 제1 확장 로드 설치 단계 때 설치하며 설치 후 제6-3단계의 제2굴착 단계를 시행하며, 다른 사항은 도 2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도 23에서 다각도 천공기의 길이를 2차로 확장하기 위하여 확장 로드(60b)를 1개 더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확장 로드(60a,60b)를 2개 설치한 도면이며, 제6-4단계의 제2 확장 로드 설치 단계 때 설치하며 설치 후 제6-5단계의 제3굴착 단계를 시행하며, 다른 사항은 도 2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는 도 24에서 다각도 천공기의 길이를 3차로 확장하기 위하여 확장 로드(62c)를 1개 더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확장 로드(60a,60b,60c)를3개 설치한 도면이며, 제6-6단계의 제3 확장 로드 설치 단계 때 설치하면 설치 후 제6-7단계의 제4굴착 단계를 시행하면, 다른 사랑도 도 2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 천공기 자체의 조립도로서 각각의 연결 및 조립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특히 결합부분은 단면도로 표시하여 연결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6에서 확장 로드(60a)을 1개 추가로 설치한 다각도 천공기 자체의 조립도로서 각각의 연결 및 조립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특히 결합부분은 단면도로 표시하여 연결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6에서 확장 로드(60a,60b)을 2개 추가로 설치한 다각도 천공기 자체의 조립도로서 각각의 연결 및 조립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특히 결합부분은 단면도로 표시하여 연결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6에서 확장 로드(60a,60b,60c)을 3개 추가로 설치한 다각도 천공기 자체의 조립도로서 각각의 연결 및 조립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특히 결합부분은 단면도로 표시하여 연결 상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 로드(60a)을 1개 추가한 것의 분해도로서 각 구성품을 연결 관계은 상기 도 26과 도 27을 같이 연계하여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는 중공 파이프(47)에 링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상기 스크류 블레이드(41)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우측은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외측을 따라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고 회전운동시 회전력 전달을 확실히 하기 위해 약 150~200mm의 원형바(Round Bar)(48)를 사용하여 4각중공(42)을 형성시키고, 상기 중공 파이프(47)는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Sch 160의 스틸파이프를 사용하므로 원형중공(42a)이 형성된다. 상기 4각중공(42)의 형상은 4각으로 제한하지 않고 회전력 전달을 확실히 하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중공 내경은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외경보다 0.1mm 크게 제작하여 유격없이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외측으로 전?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며, 전?후진운동은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피스톤 로드 체결홀(46)에 2개의 육각너트(35)로 체결되어 유압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전방으로 밀릴 때에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도 같이 전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후진운동을 할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도 같이 후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선단은 스틸 플레이트(49)에 각 체결홀(44,45,46)을 형성시켜 드릴 코어 헤드 카버(43) 및 상기 드릴 코어 헤드(50)와 결합되게 한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튜브 개략도로서 도 32a는 정면도이고, 도 32b는 A' - A" 섹션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2c는 B' - B" 섹션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실린더 튜브(30)는 출력축(21)이 결합되는 육각홈(33)이 설치된 부분과 로토매틱 실 하우징(36)이 설치되는 로토매틱 실 설치면(36a)과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가 전?후진운동을 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내측에는 실린더(38)가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내경과 외경사이의 두께 부분에는 유압유가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말단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원형중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일측에는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의 출력축(2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상기 육각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30)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31)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상기 구동기구(10) 측에는 유압의 누설을 막고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원형중공(32) 쪽으로 유압유를 회전하면서 보내기 위한 로토매틱 실 하우징(Rotomatic Seal Housing)(36)이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내측 실린더(38)의 표면과 상기 로토매틱 실 설치면(36a)은 하드 크롬으로 표면경화처리를 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31) 및 상기 로토매틱 실 하우징(36)이 전?후진운동 및 회전운동시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유압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상기 실린더 튜브(30)와 상기 로터리 조인트(20)의 출력축(21)과의 결합은 상기 출력축(21)을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육각홈(33)에 삽입하고 실린더 측 축 연결 볼트홀(37)과 출력축(21)의 축 연결 볼트홀(37a)과 일열로 맞춘 후 출력축 연결볼트(22)로 결합하여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도 3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도 33a는 피스톤 로드(31)의 조립 개략도이며, 도 33b는 피스톤 로드(31)의 개략도면이고, 도 33c는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의 결합을 위한 육각너트(35) 도면이며, 도 33d는 패킹하우징(34)에 대한 상세 도면으로 패킹을 장착한 것과 장착하지 않은 것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일측에는 전?후진운동에 사용하는 유압이 누설되지 않게 하는 패킹하우징(Packing Housing)(34)이 설치되며 상기 패킹하우징(34)이 빠지지 않도록 패킹하우징 채움너트(35a)로 결속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31) 말단은 나사홈(39)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유압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할 때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동시에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2개의 육각너트(35)로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표면은 하드 크롬으로 표면경화처리 한다.
도 34는 확장 로드(60)의 개략도로서 상기 확장 로드(60)은 유압모터(10a)에서 발생시킨 회전력을 출력축 삽입부(64)로 출력축(12)의 회전을 전달받아 출력축(61)로 다시 전달하여야 하며, 로터리 조인트(63)을 통하여 유압유를 회전하면서 유압유홀(62)를 거쳐 전달하여 피스톤 로드(31)가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확장 로드(60)을 2개 설치할 때는 출력축(61)이 상기 출력축 삽입부(64)로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고, 로터리 조인트(63)을 통하여 유압유를 회전하면서 유압유홀(62)를 거쳐 전달하여 피스톤 로드(31)가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확장 로드(60)의 설치는 제 1굴착단계인 제6-1단계 후에 제1 확장 로드(60a) 설치단계인 제6-2단계에 천공기의 길이를 확장하기 위해 설치하고. 제 2굴착단계인 제6-3단계 후에 제2 확장 로드(60b) 설치단계인 제6-4단계에 추가 설치하여 제 3굴착단계인 제6-5단계 후에 제3 확장로드(60c) 설치단계인 제6-6단계에 추가 설치하여 제 4굴착단계인 제6-7단계를 시행하여 천공기의 길이를 3번 확장하여 약 8m의 굴착공을 뚫을 수 있게 한다. 6m의 굴착공을 뚫을 때는 제2 확장 로드(60b)까지만 설치하여 굴착하면 되고, 상기 확장 로드(60a, 60b, 60c)는 길이가 약 2m 이고, 확장 로드를 설치하지 않았을 시의 길이는 약 2.2~2.5m 정도 된다.
도 3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드릴 코어 헤드(50)는 지하 흙을 천공하는 팁(51)과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의 체결홀(52)와 연결핀(5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드릴 코어 헤드 커버(43)와 결합된다.
도 3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드릴 코어 헤드 커버(43)는 4개의 체결홀(43a) 및 O-링 홀(43b)이 형성되어 O-링(43c)이 삽입되며, 상기 체결홀(43a) 2개는 상기 드릴 코어 헤드(50)와 결합되고 다시 상기 체결홀(43a) 2개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O-링(43c)이 유압유의 누설을 방지하고, 각 연결부위의 면에는 가스켓을 사용하여 누설을 방지한다.
도 37에 도시 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로토매틱 실 하우징(36)은 2개의 더블와이프 패킹(36c)과 3개의 로토매틱 실(36b)과 2개의 유압유홀(36d)이 형성되며, 회전하면서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원형중공(32)를 통하여 유압유를 2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 및 실린더 튜브(30)의 지지 역할과 유압유의 누설 방지를 위한 실링 역할을 한다.
유압유라인에 대해 설명하면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구동기구(10)에는 굴삭기에서 오는 유압을 유압모터(10a)를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과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에 분배하는 유압분배기(13)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분배기(13)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과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5)이 각 2개씩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력이 부족할 시 유압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16)가 설치되며, 배관은 파이프 배관 및 호스배관(17)으로 상황에 따라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부연해서 설명하면 굴삭기에서 유입된 유압유는 상기 유압분배기(13)로 인입되고 유압분배기(13)에서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과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5)으로 나누어져 나오며, 상기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은 로토매틱 실 하우징의 상기 유압유홀(36d)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5)은 상기 유압모타(10a)로 연결되어 유압유를 공급 및 리턴 시키며 상세한 유압도의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에 따르면 지중 지장물 탐지가 가능하여 지중시설물의 파손을 막을 수 있고, 전선관을 인입 후 남은 굴착공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도 유압실린더를 천공기 후방에 부착하여 후방천공을 쉽게 할 수 있고 천공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패드 스위치 기준으로 인입관로 매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패드 변압기 선로 관로 기준으로 케이블 및 관로 소요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개착 시 소요되는 교통 혼잡 비용과, 개착 시 나오는 포장재 폐기물의 발생을 대부분 줄일 수 있고, 전선 포설 후 도로 재포장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전력선 맨홀 A1 : 옹벽
A2 : 맨홀 뚜껑 B : 패드 스위치
B1 : 패드 스위치용 암거 C : 관로
C1 : 지중 전선관 C2 : 마감캡
D : 케이블 D1 : 메인 케이블
D2 : 분기 케이블 E : 패드 변압기
G : 굴착공 G1 : 모래
H : 슬리브 H1 : 윙
H2 : 코킹 I : 경계석
J : 추진기지 K : 도달구
L : 측구 X : 보도
Y : 차도 Y1 : 아스콘
Y2 : 보조기층 Y3 : 노상
Z : 중앙선
100 : 굴삭기 200 : 다각도 천공기
300 : 유압실린더 400 : 반력벽
1 : 굴삭기 부움 2 : 회전기구
3 : 고정판 5 : 유압배관
10 : 구동기구
10a : 유압모터 10b: 감속기
11 : 연결 브라켓 12 : 출력축
13 : 유압분배기 14 :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
15 :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
16 : 솔레노이드 밸브 17 : 호스 배관
18 : 교축밸브(유량조절밸브) 20 : 로터리 조인트
21 : 출력축 22 : 출력축 연결볼트
23 : 조인트 플레이트 30 : 실린더 튜브
31 : 피스톤 로드 32 : 원형중공
33 : 육각홈 34 : 패킹하우징
35 : 육각너트 35a: 패킹하우징 채움너트
36 : 로토매틱 실 하우징 36a: 로토매틱 실 설치면
36b: 로코매틱 실 36c: 와이프 패킹
36d: 유압유홀 37 : 실린더 측 축 연결 볼트홀
37a: 축 연결 볼트홀 38 : 실린더
39 : 나사홈 40 : 가이드 튜브 스크류
41 : 스크류 블레이드 42 : 4각중공
42a : 원형중공 43 : 드릴 코어 헤드 카버
43a: 체결홀 43b: O-링 홀
43c: O-링 44 : 드릴 코어 헤드 카버 체결홀
45 : 드릴 코어 헤드 체결홀 46 : 피스톤 로드 체결홀
47 : 중공 파이프 48 : 원형바
49 : 스틸 플레이트 50 : 드릴 코어 헤드
51 : 팁 52 : 가이드 튜브 스크류와의 체결홀
53 : 연결핀 60, 60a, 60b, 60c : 확장 로드
61 : 출력축 62 : 유압유홀
63 : 로타리 조인트 70 : CCD 카메라
71 : 모니터 80 : 각도센서

Claims (6)

  1. 차로 중앙부분 지중으로 지나가는 전력선을 전력선 맨홀(A)에서 분기하여 패드 스위치(B)까지 전선을 인입하기 위하여 비개착식으로 시공하는 비굴착 공법에 있어서,
    상기 비굴착 공법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상기 전력선 맨홀(A) 데이터를 수집하고 천공할 위치를 마킹하는 현장조사 및 작업준비를 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시 매설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로횡단 개소 줄파기 단계인 제1단계와;
    보도에 있는 보도블럭을 철거하여 작업구역를 확보하는 제2단계와;
    천공을 위하여 다각도 천공기(200)를 설치하여 천공작업을 하는 공간인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전력선 맨홀(A) 옆에 다각도 천공기(200)가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전력선 맨홀(A)과의 연결 작업을 위한 도달구(K)의 아스콘절단 깨기 및 토사 터파기를 하는 제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조립하는 제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천공하여 굴착공(G)을 만드는 제6단계와;
    천공 완료 후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해체하는 제7단계와;
    천공한 상기 굴착공(G)에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하고 마감캡(C2)으로 마무리하는 제8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매설한 후 남은 천공 부분의 여굴에 모래를 주입하는 제9단계와;
    상기 도달구(K)의 되메우기 및 포장을 복구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추진기지(J)에 패드 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한 후 되메우기와 보도블럭 복구와 같은 작업구역를 정리하는 제11단계로 구성되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지(J)의 토사 터파기는 폭 2.0~2.5m, 깊이 1.5~1.8m로 파서 굴착공의 깊이가 지면에서 1.2m가 되도록 하며,
    상기 도달구(K)는 폭 0.5~1.0m, 깊이 1.5~1.8m의 크기로 확보하고,
    상기 제6단계는 8m의 굴착공을 천공하는 것을 기준으로, 제5단계에서 설치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로 제1굴착을 하는 제6-1단계와;
    제1 확장 로드(60a)를 설치하는 제6-2단계와;
    제1 확장 로드(60a) 설치 후 제2굴착을 하는 제6-3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4단계와;
    제2 확장 로드(60b) 설치 후 제3굴착을 하는 제6-5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를 추가로 설치하는 제6-6단계와;
    제3 확장 로드(60c) 설치 후 제4굴착을 하는 제6-7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7단계는 8m의 굴착공을 굴착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역회전으로 1차 후진시키는 제7-1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3 확장 로드(60c)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2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2차 후진시키는 제7-3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2 확장 로드(60b)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4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3차 후진시키는 제7-5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에서 제1 확장 로드(60a)을 분해하여 제거하고 다시 굴삭기 부움 고정판(3)과 연결하는 제7-6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4차 후진시키는 제7-7단계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를 완전히 현장에서 철수시키는 제7-8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8단계는 상기 굴착공(G)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을 부설하는 제8-1단계와;
    상기 지중 전선관(C1) 부설 후 상기 전력선 맨홀(A)에 설치된 슬리브(H)와, 상기 슬리브(H)를 통과한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8-2단계와;
    상기 마감캡(C2)으로 상기 지중 전선관(C1)의 양측을 막아 습기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하는 제8-3단계로 구성되고,
    제11단계는 지면을 고르고 버림콘크리트를 타설 하는 패드스위치용 암거 설치 준비작업을 하는 제11-1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를 설치하는 제11-2단계와;
    패드스위치용 암거(B1)의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에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슬리브(H)와 지중 전선관(C1) 사이를 코킹하는 제11-3단계와;
    되메우기과 지반 다짐작업을 하는 제11-4단계와;
    보도블럭을 복구하고 작업구역을 정리하는 제11-5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는 굴삭기 부움(1)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기구(2)를 통하여 축선회 할 수 있게 고정판(3)과 결합되어 굴삭기의 유압에 의해 동력을 구동하는 구동기구(10)와;
    상기 구동기구(10)의 출력축(12)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로타리 조인트(20)와;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의 천공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1~3개의 확장 로드(60a,b,c)와;
    상기 로타리 조인트(20) 또는 상기 확장 로드(60a,b,c)의 출력축(6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실린더 튜브(Cylinder Tube)(30)와;
    상기 실린더 튜브(30)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지하의 흙을 파고들어가는 스크류 블레이드(Screw Blade)(41)가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튜브 스크류(Guide Tube Screw)(40)와;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선단에 팁(Tip)(51)이 부착되어 있는 드릴 코어 헤드(Drill Core Head)(50)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 내측에는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외측을 따라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가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형중공(42a)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30)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피스톤 로드(Piston Rod)(31)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구(10)에는 굴삭기에서 오는 유압을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과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에 분배하는 유압분배기(13)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분배기(13)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과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5)이 각 2개씩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30)에는 유압유가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말단까지 공급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원형중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30)의 일측에는 상기 로타리 조인트(20)의 출력축(2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게 육각홈(33)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31)의 일측에는 전?후진운동에 사용하는 유압이 누설되지 않게 하는 패킹하우징(Packing Housing)(34)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 말단은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31)가 유압에 의해 전?후진운동을 할 때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동시에 전?후진운동을 할 수 있도록 2개의 육각너트(35)로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와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31) 전?후진운동 유압조절용 유압분배관(14)에는 상기 가이드 튜브 스크류(40)의 회전력이 부족할 시 유압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16)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30)에는 유압유의 누설을 막고 2개의 유압유홀(36d)이 형성된 로토매틱 실 하우징(Rotomatic Seal Housing)(36)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10)의 앞부분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CCD 카메라(70)가 설치되며, 굴삭기 운전석에는 상기 CCD카메라(7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방의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7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구(10)에는 다각도 천공기의 작업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센서(80)를 설치하여 상기 각도센서(80)에서 체크한 각도를 운전석에서 알 수 있도록 운전석에 각도표시장치를 두며, 상기 각도센서(80)의 영점을 설정할 수 있는 영점설정용 스위치를 운전석에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도 천공기(200)는 상기 굴삭기 부움(1)의 상기 고정판(3)과 구동기구(10) 사이에, 천공하는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기능이 있는 각도조정기가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KR1020110107359A 2011-10-20 2011-10-20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KR101205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359A KR101205500B1 (ko) 2011-10-20 2011-10-20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359A KR101205500B1 (ko) 2011-10-20 2011-10-20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500B1 true KR101205500B1 (ko) 2012-11-27

Family

ID=4756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359A KR101205500B1 (ko) 2011-10-20 2011-10-20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5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5B1 (ko) 2012-11-30 2013-03-06 에스제이공간정보(주) 도로경계석을 이용한 지적측량장치
KR101620787B1 (ko) 2015-06-19 2016-05-23 현진이앤씨 주식회사 비개착식 공법에 의한 기존 지중 맨홀 구조물 연결 설치 시공방법
CN107894461A (zh) * 2017-12-29 2018-04-10 上海岩土工程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下埋式混凝土构件缺陷检测的非开挖装置及方法
KR101872971B1 (ko) * 2017-08-03 2018-08-02 박금순 상수도관 매립방법
CN109084080A (zh) * 2018-09-02 2018-12-25 青岛安装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csp管道预制施工方法
CN112531549A (zh) * 2020-11-09 2021-03-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缆巡视装置
KR102530492B1 (ko) * 2022-10-28 2023-05-08 이배현 케이블관 매설 시공방법
KR102546808B1 (ko) * 2022-04-21 2023-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충돌사고 회피기능을 갖는 수평지향성 압입시스템 및 수평지향성 압입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5B1 (ko) 2012-11-30 2013-03-06 에스제이공간정보(주) 도로경계석을 이용한 지적측량장치
KR101620787B1 (ko) 2015-06-19 2016-05-23 현진이앤씨 주식회사 비개착식 공법에 의한 기존 지중 맨홀 구조물 연결 설치 시공방법
KR101872971B1 (ko) * 2017-08-03 2018-08-02 박금순 상수도관 매립방법
CN107894461A (zh) * 2017-12-29 2018-04-10 上海岩土工程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用于下埋式混凝土构件缺陷检测的非开挖装置及方法
CN107894461B (zh) * 2017-12-29 2024-05-28 上海勘察设计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下埋式混凝土构件缺陷检测的非开挖装置及方法
CN109084080A (zh) * 2018-09-02 2018-12-25 青岛安装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csp管道预制施工方法
CN112531549A (zh) * 2020-11-09 2021-03-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缆巡视装置
KR102546808B1 (ko) * 2022-04-21 2023-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시간 충돌사고 회피기능을 갖는 수평지향성 압입시스템 및 수평지향성 압입공법
KR102530492B1 (ko) * 2022-10-28 2023-05-08 이배현 케이블관 매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00B1 (ko) 다각도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 전선 관로용 비굴착 공법
CN102032393B (zh) 小口径超长距离曲线顶管工法
CN100410485C (zh) 水平螺旋钻机与水平定向钻机协同工作顶管施工方法
RU257308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в грунте
JPH0157239B2 (ko)
JP4914550B2 (ja) 高度化封じ込めシステム
CN107191675A (zh) 铁路站场电化区段管道铺设施工工法
CN111794764A (zh) 一种顶拉施工方法
CN112252973A (zh) 一种用于管道埋设通道的非开挖定向钻进施工方法
AU2015257479A1 (en) Conveyance member removal method and device
CN101141054A (zh) 一种防止非开挖水平钻孔后地面沉降的压密注浆方法
Bayer HDD practice handbook
Chapman et al. Research needs for on-line pipeline replacement techniques
CN214403592U (zh) 一种大直径暗管系统及其拉管施工系统
WO2018078575A1 (en) Drilling equipment for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description
CN204098067U (zh) 方涵式地下管廊
JPH10317883A (ja) 超小口径削孔工法
CN212248659U (zh) 一种暗涵截污管的清洗系统
Najafi et al. An overview of common methods in trenchless technology
WO2005098195A1 (en) Equipment and procedure of coupling socket pipe sections for trenchless laying
Sinna Application of trenchless construc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in urban road construction
Shang et al. Application of guided boring trenchless technology on pipeline cross railway
JP3724734B2 (ja) 地下空洞充填工法
KR20140109008A (ko) 오픈실드공법
Orton et al. Phoenix is bursting with more capa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