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112B1 -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112B1
KR102171112B1 KR1020190133020A KR20190133020A KR102171112B1 KR 102171112 B1 KR102171112 B1 KR 102171112B1 KR 1020190133020 A KR1020190133020 A KR 1020190133020A KR 20190133020 A KR20190133020 A KR 20190133020A KR 102171112 B1 KR102171112 B1 KR 10217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meter
pipe
coupling member
support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규
복형준
김영민
나민호
나장훈
Original Assignee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필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3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measured by means of a movable element, e.g. diaphragm, piston, Bourdon tube or flexible caps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어 시스템의 파이프에 장착되어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기립된 자세로 유지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로서,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기립된 자세로 지지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로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와 연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플로우 미터의 측정 프로브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SUPPORT DEVICE FOR FLOW METER}
본 발명은,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플레어 시스템의 헤더라인(headerline)에 설치되는 플로우 미터를 기립된 자세로 유지시키고, 더불어, 풍하중에 의한 플로우 미터의 유동을 방지하여 플로우 미터가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레어 가스란 정유공장이나 석유화학공장 들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및 가연성을 가지고 있는 가스를 의미한다.
지속적이고 대용량으로 발생되는 플레어 가스를 관리하고 배출하기 위해서, 플레어 시스템이 마련되며, 플레어 시스템은, 플레어 가스가 유동되는 다수의 파이프(헤더라인), 방출 가스나 액체 등을 포집하는 플레어 헤더, 플레어 헤더로부터 전달된 액체를 가스와 분리 포집하는 녹아웃 드럼, 소각탑으로서 파일럿 버너, 점화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플레어 가스를 연소시키며 방출하는 플레어 스택, 플레어 스택으로부터 역류된 화염으로 인해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 드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어 가스는 플레어 스택이라는 배출 및 폐가스 처리 장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플레어 가스는 파이프를 통하여 플레어 스택으로 전달되며, 이 플레어 스택에서 연소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플레어 스택은 다수개의 파이프와 연결되어 플레어 가스를 전달받기 때문에, 파이프의 내부 압력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 플레어 스택에 의한 플레어 가스의 연소 효율이나 플레어 스택의 구조적 안정성 등 다양한 사항들이 파이프의 내부 압력이나 플레어 가스의 유동 상태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를 따라 유동되는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결과에 따라 파이프 내 가스 유동의 이상 유무, 또는, 두 지점 사이에서 유량의 차이 데이터를 이용한 플레어 가스의 누출유무 등을 파악하여 플레어 스택 및 플레어 시스템 전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플레어 시스템에서 유동되는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다양한 위치에서 모니터링할 경우, 전체 유량을 동시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레어 시스템의 제어 방향을 즉각적으로 결정하여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에 필요한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미 설비 완료된 플레어 시스템에 기존의 유량 측정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플로우 미터를 삽입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를 핫탭핑(Hot Tapping)하는 과정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존 설비에 유량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고비용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파이프를 천공하고 그 천공된 위치에 공지의 플로우 미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비용적으로나 안정성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배관이 이미 완료된 파이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또한, 물리적 조건이 불균일하면서도 저속/저압을 가지는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는 '플로우 미터'를 개발하고 특허출원한 바 있다.(출원번호 제10-2019-0006298호, 2019.01.17.)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플로우 미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에 마련된 벤트노즐(N)에 장착되어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수직 바(BAR)의 형태를 가지는 플로우 미터의 측정 프로브가 벤트노즐(N)에 삽입되어 파이프(N)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상기 벤트노즐(N)은, 파이프(P)의 길이방향 부위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되어 파이프(P)의 압력 변동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로서, 공지의 밸브 장치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플로우 미터(10)는, 파이프(P)에 마련된 기존의 벤트노즐(N)을 활용하여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파이프(P)를 별도로 천공하는 핫탭핑(Hot Tapping)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파이프(P)를 따라 흐르는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벤트노즐(N)에 삽입된 측정 프로브(11)의 하단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내측 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측정 프로브(11)의 하단부가 실질적으로 플레어 가스의 속도와 밀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플레어 가스의 유속에 따른 난류/층류를 고려하여 유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 프로브의 하단부가 파이프 내측 중심부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벤트노즐(N)에 삽입된 플로우 미터(10)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P)에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파이프의 직경보다 큰 길이를 가지 있고, 또한, 측정 프로브(11)의 상단에는 각종 센싱장치와 PCB, 배터리, 전자부품 등이 내장된 고중량의 하우징(12)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벤트노즐(N)에 장착된 플로우 미터(10)가 균형을 잃고 일측으로 편중되는 배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파이프(P)의 내부에 배치된 측정 프로브(11)의 하단부 위치를 변경시켜 플레어 가스의 유량 측정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유발하고, 더불어, 벤트노즐(N)에 관통공에 삽입된 측정 프로브(11)의 길이방향 일부 부위가 하우징(12)의 중량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벤트노즐(N)의 내면과 접촉됨에 따라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도 유발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벤트노즐(N)과 측정 프로브(11) 간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별도의 클램프를 제작하여 벤트노즐(N)의 상단부위에 마련하였으나, 클램프에 의해 결합된 측정 프로브(11)의 길이방향 부위만 움직임이 최소화될 뿐 여전히 벤트노즐(10)의 상부로 노출된 측정 프로브(11)의 길이방향 부위와 하우징(12)은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레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파이프(P)는, 통상 지면에서부터 상부로 약10m~20m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작업자나 차량이 이동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건물이나 기타 정비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부지 확보측면에서 파이프(P)를 지면에서부터 상부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P)의 벤트노즐(N)에 장착되는 플로우 미터(10)는, 실질적으로 지면에서 10m~20m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균형을 잃고 쉽게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7192호의 '플로우미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파이프에 장착된 플로우 미터를 파이프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력으로부터 플로우 미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플로우 미터의 측정 프로브가 기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게끔 하여 유량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정 프로브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플로우 미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서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측정 프로브의 길이가 달라져도 이에 대응하여 플로우 미터의 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레어 시스템의 파이프에 장착되어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기립된 자세로 유지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로서, 파이프의 외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와 연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플로우 미터의 측정 프로브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 및 상기 메인 결합부재와 연결된 채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결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을 감싸는 띠 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과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재는, 상기 메인 결합부재의 외면에 길이방향 단부가 결합된 채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메인 결합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의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보조 결합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결합구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보조 결합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턴버클을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결합공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는,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내부로 측정 프로브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된 플로우 미터를 파이프의 상부 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플로우 미터가 외력에 간섭되지 않고 기 설정된 자세를 유지한 채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는, 파이프의 내부로 기 설정된 깊이만큼 삽입된 측정 프로브의 하단부가 외력으로부터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플로우 미터가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높은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는, 파이프의 상부로 노출되는 플로우 미터의 하우징 높이에 대응하여 플로우 미터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길이의 측정 프로브나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는, 플로우 미터가 지면에서부터 상부로 수십 미터 이격되게 배관된 파이프에서도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높은 정확도록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헤더라인에 마련된 벤트노즐에 플로우 미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서포트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가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 파이프에 적용되어 플로우 미터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100)는, 플레어 가스가 유동되는 파이프(P)의 외면과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와 연결되는 다리부(12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합부(110)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파이프(P)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 및 상기 메인 결합부재(111)와 연결된 채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 결합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결합부재(111)는, 파이프(111)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고, 상기 보조 결합부재(112)는, 메인 결합부재(111)를 매개로 파이프(111)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메인 결합부재(1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둘레면을 감싸는 띠 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파이프(P)의 둘레면과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 호 형태를 가지는 한 쌍의 브라켓이 파이프(P)의 상부측 둘레면과 하부측 둘레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어 파이프(P)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띠 형의 금속부재를 파이프(P)를 둘레방향을 따라 두른 후 그 양단을 서로 체결하여 파이프(P)의 둘레면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메인 결합부재(111)는, 경량이면서 연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이프(P)의 둘레면 형태 또는 외경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파이프(P)의 둘레면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벼우면서 연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 결합부재(111)는, 후술할 다리부(120)의 제1지지부재(121)와 연결되는 제1결합구(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구(111a)는, 메인 결합부재(111)가 파이프(P)의 둘레면과 밀착되었을 때, 파이프(P)의 상측 둘레면 부위와 접촉된 메인 결합부재(111)의 길이방향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111a)에는 제1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결합부재(111)는, 상기 보조 결합부재(112)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제2결합구(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구(111b)는, 상기 제1결합구(111a)를 사이에 두고 제1결합구(111a) 양측에 각각 배치된 채 메인 결합부재(111)의 외면에 마련되며, 보조 결합부재(112)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 또는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결합부재(112)는,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할 다리부(120)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보조 결합부재(112)는, 메인 결합부재(111)의 외면에 마련된 제2결합부(111b)에 길이방향 단부가 결합된 채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 결합부재(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둘레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결합부재(112)에는 후술할 다리부(120)의 제2지지부재(122)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결합공(112a)이 보조 결합부재(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결합부재(112)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구(111b)에 홈이 아닌 관통공이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결합부재(112)의 길이방향 단부 부위에도 다수개의 결합공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제2결합구(111b)에 결합되는 보조 결합부재(112)의 단부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 결합부재(112)는,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벤트노즐(N)로 삽입된 플로우 미터(10)의 측정 프로브(11)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플로우 미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리부(120)는, 상기 메인 결합부재에(111)의 제1결합구(111a)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10)의 하우징(12)을 수용한 채 지지하는 받침부재(1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121); 및 상기 보조 결합부재(112)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1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1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메인 결합부재(111)에 두 개 이상의 제1지지부재(121)가 마련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지지부재(1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보조 결합부재(112)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보조 결합부재(112)에 두 개 이상의 제2지지부재(12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결합부재(111)에 마련된 제1결합구(111a)의 결합공 삽입된 후 걸림되기 위하여, 고리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결합부재(112)에 형성된 결합공(112a)에 삽입된 후 보조 결합부재(112)에 걸림되기 위하여, 고리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결합부재(112)는,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파이프(P)의 외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채 메인 결합부재(111)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보조 결합부재(112)는,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파이프(P)의 외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파이프(P)와 보조 결합부재(112)가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으로 보조 결합부재(112)의 결합공(112a)을 통과한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간격이란 파이프(P)의 외면과 밀착되게 결합된 메인 결합부재(111)의 두께라 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재(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한 쌍의 지지봉은 턴버클(t)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지지부재(122)도 한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되 이 한 쌍의 지지봉은 턴버클(t)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22)는, 파이프(P)의 상부로 노출된 플로우 미터(10)의 높이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타단은 받침부재(1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파이프(P)의 상부로 노출되는 플로우 미터(10)의 높이,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가 서로 이격된 거리, 그리고, 한 쌍의 보조 결합부재(112)가 서로 이격된 거리 등에 대응하여 회동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이프(P)의 상부로 노출된 플로우 미터(10)의 하우징(12) 높이에 대응하여 파이프(P)의 외면과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111) 간의 간격이 세팅 되고, 이에 따른, 제1지지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 및 경사 각도가 세팅 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우 미터(10)의 높이에 용이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1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받침부재(1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1지지부재(121)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받침부재(1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회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지지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22)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구 형태의 회동핀을 형성하고, 받침부재(123)에는 이 회동핀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여 제1지지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22)가 받침부재(123) 상에서 피봇 방식으로 회동 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23)는, 플로우 미터(10)의 하우징(1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커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플로우 미터(10)의 하우징(12)이 삽입되어 안치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부 덮개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로 구현되어 플로우 미터(10)의 하우징(12)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장치(100),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채 파이프(P)에 삽입된 플로우 미터(10)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파이프(P) 마련된 벤트노즐(N)의 위치에 따라서 경사진 자세를 가진 채로 파이프(P)에 장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사진 자세를 가진 채로 배치되는 플로우 미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서포트 장치 110 : 결합부
111 : 메인 결합부재 111a :제1고정구
111b : 제2고정구 112 : 보조 결합부재
120 : 다리부 121 : 제1지지부재
122 : 제2지지부재 123 : 받침부재

Claims (8)

  1. 플레어 시스템의 파이프에 장착되어 플레어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기립된 자세로 유지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로서,
    파이프의 외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와 연결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플로우 미터의 측정 프로브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메인 결합부재; 및
    상기 메인 결합부재와 연결된 채 상기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보조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부재는,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을 감싸는 띠 형의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과 밀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결합부재는,
    상기 메인 결합부재의 외면에 길이방향 단부가 결합된 채 상기 파이프의 둘레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메인 결합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플로우 미터의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보조 결합부재에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결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1결합구; 및
    상기 제1결합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결합구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보조 결합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턴버클을 매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단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결합공이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KR1020190133020A 2019-10-24 2019-10-24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KR10217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0A KR102171112B1 (ko) 2019-10-24 2019-10-24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20A KR102171112B1 (ko) 2019-10-24 2019-10-24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112B1 true KR102171112B1 (ko) 2020-10-28

Family

ID=7301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20A KR102171112B1 (ko) 2019-10-24 2019-10-24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83B1 (ko) * 2022-10-12 2023-05-26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965A (ja) * 2000-06-29 2002-01-18 Yamatake Corp 機器の取付方法および機器の保持機構
JP2002148084A (ja) * 2000-11-14 2002-05-22 Fuji Electric Co Ltd 複合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3965A (ja) * 2000-06-29 2002-01-18 Yamatake Corp 機器の取付方法および機器の保持機構
JP2002148084A (ja) * 2000-11-14 2002-05-22 Fuji Electric Co Ltd 複合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883B1 (ko) * 2022-10-12 2023-05-26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철도터널의 배수구 막힘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112B1 (ko) 플로우 미터 서포트 장치
CN106251766B (zh) 可视化矿井热动力灾害烟气蔓延模拟实验台及实验方法
CN103712752A (zh) 热交换器用管束的气密试验装置
CN103912792A (zh) 基于光纤光栅的套管式地下管道泄漏预警系统及其方法
Blanchat et al. The Phoenix series large scale LNG pool fire experiments
US8281649B1 (en) Advanced hot section materials and coatings test rig
CN107462514A (zh) 一种能够在线检测介质内腐蚀的钢质常压储罐及检测方法
CN111983133B (zh) 一种模拟管廊管道火灾实验平台及其实验方法
CN106556676A (zh) 一种用于多通道气体的检测装置和检测方法
RU2570304C1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коп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я и отвода воздух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ядер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US6862941B2 (en) Heat flux measurement pipe and method for determining sprinkler water delivery requirement
Bianchini et al. Natural gas pipelines distribution: Analysis of risk, design and maintenance to improve the safety performance
CN212410487U (zh) 相邻外墙立面耦合构型保温板材火灾燃烧特性测试装置
RU236588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утечки газа из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CN105758612A (zh) 一种二氧化碳示踪的建筑物外通风和换气测量装置
Suo-Anttila et al. Thermal measurements from a series of tests with a large cylindrical calorimeter on the leeward edge of a JP-8 pool fire in cross-flow
CN112557441A (zh) 输气管道喷射火对邻近液烃管安全性影响实验平台及方法
Benedetti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wind towers: residual fatigue life estimation
WO2019080445A1 (zh) 一种用于管道渗漏准分布式实时监测的装置及方法
CN113533617B (zh) 一种用于研究液烃储罐多重池火灾的模型装置及应用
CN104792814B (zh) 带压lng闪蒸实验方法
CN110274746B (zh) 一种消除风力干扰的风场环境池火燃烧速率测试装置
Luketa Model Validation Database for Fires Involving Fuels at Liquefied Natural Gas Facilities
CN203069216U (zh) 一种环形孔板流量计
CN209369291U (zh) 一种化工设备内部检修用格栅平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