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548A -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548A
KR20160125548A KR1020150055661A KR20150055661A KR20160125548A KR 20160125548 A KR20160125548 A KR 20160125548A KR 1020150055661 A KR1020150055661 A KR 1020150055661A KR 20150055661 A KR20150055661 A KR 20150055661A KR 20160125548 A KR20160125548 A KR 20160125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diation
inspected object
uni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백
강성필
배상득
심선만
박종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548A/ko
Publication of KR20160125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4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steel, cas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welds, bonds, sealing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 내주면에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 다음, 구동부의 롤러를 자화시켜 롤러를 피검사물에 부착한다. 그 후,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가 피검사물의 제1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을 이동킨 다음, 방사선을 상기 피검사물의 제1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그리고, 방사선조사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가 다음의 검사 위치인 피검사물의 제2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을 이동시킨 다음, 방사선을 피검사물의 제2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프레임이 이동하는 도중에는, 방사선조사부를 프레임측과 인접되게 위치시켜, 방사선조사부의 높이를 낮출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검사를 수행하므로, 검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RADIATION NON-DESTRUCTIVE 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MOVING ON OBJECT OF INSPECTION BY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는 용접 후, 용접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접 부위의 결함유무를 검사하기 위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유체를 운송하는 배관의 용접 부위나,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 등의 용접 부위에 결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한다.
비파괴 검사에는 방사선 투과검사, 초음파 탐상검사, 자분 탐상검사, 침투 탐상검사, 와전류검사 및 누설검사 등이 있으며, 비교적 간단하면서 결과가 정확한 방사선 투과검사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는 방사선을 피검사물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방사선으로부터 필름이나 CRT 등에 맺힌 상을 재생하여 피검사물의 결함을 검사한다. 방사선은 작업자에게 유해하므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에 작업자가 피폭되면 작업자의 신체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규칙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프레임, 방사선을 발생하는 방사선원,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방사선원이 보관되는 차폐함, 상기 방사선원이 조사되는 콜리메이터, 상기 방사선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원을 조종하는 조종부 등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물의 부위에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 다음, 상기 프레임을 필름이 부착된 피검사물의 제1위치에 작업자가 고정한다.
그 후, 조종부를 조종하여 상기 방사선원의 방사선을 피검사물의 제1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피검사물의 제1위치의 촬영이 끝나면, 방사선이 누출되지 않도록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를 안전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을 다음의 검사 지점인 피검사물의 제2위치로 이동하여 고정한다. 그 후, 조종부를 다시 조종하여 상기 방사선원의 방사선을 피검사물의 제2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동안에는 작업자가 피검사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가,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고 누출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가 되면, 피검사물로 가서 프레임을 다음의 검사 위치로 옮겨서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검사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선을 발생하는 방사선원이 설치된 프레임을 원격으로 조정하여 피검사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검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검사물에 착탈되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을 직선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 부위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가지는 방사선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 내주면에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 다음, 구동부의 롤러를 자화시켜 롤러를 피검사물에 부착한다. 그 후,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가 피검사물의 제1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을 이동킨 다음, 방사선을 상기 피검사물의 제1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그리고, 방사선조사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구동부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가 다음의 검사 위치인 피검사물의 제2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을 이동시킨 다음, 방사선을 피검사물의 제2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프레임이 이동하는 도중에는, 방사선조사부를 프레임측과 인접되게 위치시켜, 방사선조사부의 높이를 낮출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검사를 수행하므로, 검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사선조사부가 회전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사선조사부가 회전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물의 검사 부위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 부위에 결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검사물은 LPG(L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유체가 저장되는 금속재의 탱크일 수 있고,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 부위는 용접에 의하여 상호 접합 결합된 용접 부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장치는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110), 구동부(130) 및 방사선조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금속재인 상기 피검사물에 착탈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상기 피검사물에 부착되어,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0)는 제어부(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원격 조정될 수 있다.
구동부(130)의 회전에 의하여 프레임(110)은 직선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부(130)는 프레임(110)의 모서리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원격 제어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1구동부(130a) 내지 제4구동부(130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구동부(130a) 내지 제4구동부(130d)를 모두 구동 회전시키면, 프레임(110)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동부(130a) 내지 제4구동부(130d) 중, 어느 하나를 정지시키고 나머지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게 회전시키면 프레임(110)은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제1구동부(130a) 내지 제4구동부(130d)는 매그스위치(131)와 롤러(135)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그스위치(131)는 영구자석(131a)과 레버(131b)를 포함할 수 있고, 레버(131b)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영구자석(131a)의 자력이 온(On) 또는 오프(Off)될 수 있다.
롤러(135)는 매그스위치(131)의 영구자석(131a)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131a)의 자력이 온되면 자화될 수 있고, 영구자석(131a)의 자력이 오프되면 비자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롤러(135)가 자화되면 상기 피검사물에 부착될 수 있고, 롤러(135)가 비자화되면 상기 피검사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롤러(135)는 상기 피검사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매그스위치(131)의 영구자석(131a)은 강력한 자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피검사물에 부착되었을 때, 떨어지지 않고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직선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5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사선조사부가 회전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조사부(150)는 방사선을 발생하는 방사선원을 포함하며,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50)는 상기 제어부의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50)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를 투과하면 필름이나 CRT 등에 상이 맺히며, 상기 피름이나 상기 CRT에 맺힌 상을 재생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의 결함을 검사한다.
방사선조사부(150)는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와 적정 거리 이격되어 방사선을 조사하여야 한다. 즉, 방사선조사부(150)는 프레임(110)으로부터 적정 거리 이격되어 방사선을 조사하여야 한다. 그런데, 방사선조사부(15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이 직선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하면, 상기 피검사물에 존재하는 물체에 방사선조사부(150)가 걸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선조사부(150)는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으며, 방사선조사부(150)의 높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50)는 진자형태로 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프레임(110)에는 지지부재(121)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부재(121)의 타단부에는 방사선조사부(150)가 착탈가능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지지부재(121)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부재(121)의 타단부가 프레임(110)의 직상방에 위치(도 3 참조)되면, 방사선조사부(15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위치되고, 지지부재(121)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부재(121)의 타단부가 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도 4 참조)되면, 방사선조사부(150)가 프레임(110)으로부터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방사선조사부(1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5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사선조사부(150)는 프레임(110)에 대하여 항상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10)과 방사선조사부(150) 사이에는 일측은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방사선조사부(150)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링크모듈(125)이 설치될 수 있다.
링크모듈(125)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복수의 링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링크모듈(125)의 링크(125a, 125b)의 길이와 지지부재(121)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지지부재(121)가 회전함에 따라 프레임(110)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하는 방사선조사부(150)가 프레임(110)과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사선조사부가 회전 하강한 상태를 보인 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1)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카메라(141), 레이저 포인터(143) 및 조명장치(145)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를 촬영할 수 있고, 레이저 포인터(143)는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를 지시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143)에서 지시하는 부위가 검사하고자 하는 정확한 부위인가를 카메라(140)를 통하여 보면서 프레임(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장치(145)는 프레임(110)이 직선으로 이동 또는 회전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때, 프레임(110)의 주위를 밝혀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는 상기 피검사물의 용접 부위 내주면에 필름을 소정 간격으로 부착한 다음, 구동부(130)의 롤러(135)를 자화시켜 롤러(135)를 상기 피검사물에 부착한다. 그 후, 구동부(130)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150)가 상기 피검사물의 제1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110)을 이동시킨 다음, 방사선을 상기 피검사물의 제1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그리고, 방사선조사부(150)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구동부(130)를 원격 제어하여 방사선조사부(150)가 다음의 검사 위치인 상기 피검사물의 제2위치에 정위치되도록 프레임(110)을 이동시킨 다음, 방사선을 상기 피검사물의 제2위치로 조사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이때, 프레임(110)이 이동하는 도중에는, 방사선조사부(150)를 프레임(110)측과 인접되게 위치시켜, 방사선조사부(150)의 높이를 낮출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검사를 수행하므로, 검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프레임
121: 지지부재
125: 조절링크
130: 구동부
131: 매그스위치
135: 롤러
150: 방사선조사부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피검사물에 착탈되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프레임을 직선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키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의 검사 부위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가지는 방사선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피검사물에 각각 착탈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원격 제어되면서 회전하는 제1구동부 내지 제4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물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부 내지 제4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자력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매그스위치;
    상기 매그스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매그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자화 또는 비자화되면서 상기 피검사물에 착탈되며,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피검사물 상에서 회전하는 롤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조사부는 원격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지지부재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방사선조사부가 지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방사선조사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과 이루는 각도가 가변하는 상기 방사선조사부가 상기 프레임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절하는 링크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1020150055661A 2015-04-21 2015-04-21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20160125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61A KR20160125548A (ko) 2015-04-21 2015-04-21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661A KR20160125548A (ko) 2015-04-21 2015-04-21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548A true KR20160125548A (ko) 2016-11-01

Family

ID=5748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661A KR20160125548A (ko) 2015-04-21 2015-04-21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54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77B1 (ko) * 2018-11-07 2019-05-10 주식회사 에이피엔 마킹 수단을 가진 플로어 스캐너
KR20200025187A (ko)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200025186A (ko)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격검사장치의 주행제어 시스템
KR20220097849A (ko) 2020-12-30 2022-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비파괴 검사 장치용 마그네틱 휠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폼 장치
KR20220097848A (ko) 2020-12-30 2022-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이동형 비파괴 검사 장치
KR20230123044A (ko) 2022-02-14 2023-08-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마그네틱 휠 및 그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용 플랫폼
KR20230126748A (ko) 2022-02-23 2023-08-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비파괴 검사용 플랫폼의 추락 방지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87A (ko)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200025186A (ko) 2018-08-29 2020-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원격검사장치의 주행제어 시스템
KR101976477B1 (ko) * 2018-11-07 2019-05-10 주식회사 에이피엔 마킹 수단을 가진 플로어 스캐너
KR20220097849A (ko) 2020-12-30 2022-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비파괴 검사 장치용 마그네틱 휠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폼 장치
KR20220097848A (ko) 2020-12-30 2022-07-0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이동형 비파괴 검사 장치
KR20230123044A (ko) 2022-02-14 2023-08-23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마그네틱 휠 및 그를 포함하는 비파괴 검사용 플랫폼
KR20230126748A (ko) 2022-02-23 2023-08-3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비파괴 검사용 플랫폼의 추락 방지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548A (ko)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RU2567184C2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11714054B2 (en) Inline x-ray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20200130960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WO2015194599A1 (ja) 非破壊検査装置
TW201740105A (zh) 檢查裝置及雷射加工裝置
KR101492562B1 (ko) 배관 검사용 방사선 차폐 장치
KR101418263B1 (ko) 위치 보조 기기를 가진 콜리메이터 장치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20160069113A (ko) 방사선 검사장치
CN104155318A (zh) 车载x射线管道实时成像检测系统
KR101313047B1 (ko) 원자로 용기 밀폐헤드의 오메가 씰 용접부 비파괴 검사장치
CN203760048U (zh) Oled面板显示缺陷修复系统
KR101341957B1 (ko)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661908B1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102420923B1 (ko) 배관 용접부 자동 검사장치
KR20200025187A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20170036180A (ko)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101584285B1 (ko) X선 비파괴 검사 장치
KR101263751B1 (ko) X선 비파괴 검사용 필름지지장치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101193854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수평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