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187A - 방사선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187A
KR20200025187A KR1020180102162A KR20180102162A KR20200025187A KR 20200025187 A KR20200025187 A KR 20200025187A KR 1020180102162 A KR1020180102162 A KR 1020180102162A KR 20180102162 A KR20180102162 A KR 20180102162A KR 20200025187 A KR20200025187 A KR 2020002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coupled
plate
travel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182B1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8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9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welds, bonds, sealing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부위에 방사선의 조사와 동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를 통해 용접부위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방사선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용접부가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거치되는 플레이트의 상기 용접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용접부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방사사선 조사 방향에 배치되는 투과도계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상기 지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1원격검사장치과 대응되게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조사된 상기 방사선을 수신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방사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사선검출장치; 및 상기 방사선조사장치와 상기 방사선검출장치를 용접부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주행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 시스템{Radiation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부위에 방사선의 조사와 동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를 통해 용접부위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방사선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은 금속을 맞붙여 원하는 구조물을 생산하는 유용한 기술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선박, 공장 시설, 건축물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방식의 용접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은 금속을 빈틈없이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나 기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의 제조에도 이용되고 있다. 작게는 가정용 액화석유가스의 용기, 크게는 액화천연가스의 저장시설의 저장탱크의 생산에 용접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선박, 가스 저장탱크, 유류 저장탱크와 같은 시설은 사용 용도의 특성상 안정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용접은 맞붙는 금속을 부분적으로 용해시킨 후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두 금속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결함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즉,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은 틈이 생기거거나, 용접 부위의 충분한 용융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시설의 제조시에 작업이 이루어진 용접부위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특히, 용접된 부위의 검사는 유관 검사와 같이 검사방법의 제한이 있어, 이러한 결점을 정확하고 빠르게 찾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때문에 국제규격을 통해 위험시설의 제조에 용접을 이용하는 경우 용접부위에 방사선 투과 검사(Radiographic Testing: RT)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사선 투과 검사는 검사자에 의해 직접 수행됨으로써 검사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검사로 인해 다른 공정의 지연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125548(공개일 2016.11.01.)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부위에 방사선의 조사와 동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를 통해 용접부위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자가 검사를 위한 필름 설치, 노출 및 이동의 과정을 반복하지 않고, 검사용 원격검사장치을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방사선 검사를 위한 방사선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용접부가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거치되는 플레이트의 상기 용접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용접부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방사사선 조사 방향에 배치되는 투과도계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상기 지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1원격검사장치과 대응되게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조사된 상기 방사선을 수신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방사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사선검출장치; 및 상기 방사선조사장치와 상기 방사선검출장치를 용접부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주행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용접부위에 방사선의 조사와 동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를 통해 용접부위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빠른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은 검사자가 검사를 위한 필름 설치, 노출 및 이동의 과정을 반복하지 않고, 검사용 원격검사장치을 이용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3은 제1원격검사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투과도계와 제1원격검사장치의 주행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투과도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검사시스템은 검사대상인 플레이트(50)에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고, 방사선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방사선 이미지를 주행제어기(90) 또는 주행제어기(90)와 연결되는 터미널(미도시)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함으로써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는 주행제어기(90)의 제어에 따라 용접부(52)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된 위치에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주행제어기(90)가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의 이동방향과 거리를 지정하여 전달하면,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은 지정된 위치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방사선조사장치(10)는 플레이트(50)의 위쪽을 주행하게 되고, 방사선검출장치(60)는 플레이트(50)의 하부 즉, 지면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50)는 지지부재(54)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어 지면과 이격된다. 주행제어기(90)가 지정한 위치로 이동하면 방사선조사장치(10)는 방사선(23)을 용접부(52)를 포함하는 플레이트(50)에 조사하게 된다. 이때, 방사선조사장치(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사선검출장치(60)가 플레이트(50)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방사선을 수신하고, 수신된 방사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방사선검출장치(60)는 생성된 이미지를 주행제어기(9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는 방사선(23)에 의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반응시간 동안 현재위치에서 검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 반응시간은 플레이트(50)의 두께와 재질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때문에 플레이트(50)의 재질 또는 두께가 달라지는 부분에서는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체류시간의 결정은 주행제어기(90)가 미리 획득한 설계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하며, 이미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주행제어기(90)를 통해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방사선(52)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장치(10)와 플레이트(50)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사선검출장치(60)에 의해 검사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람이 직접 작업하는 경우에 비해 검사효율을 향상시키고, 검사지연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선박 추진 연료의 저장을 위해 액화천연가스가 이용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저장탱크는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에 적합하도록 니켈(Ni) 함량이 높거나 고망간강 등이 이용된다. 이러한 새로운 강종의 경우 용접부(52)에 대한 100%검사 즉, 용접부(52) 전체에 대한 검사가 요구된다.
이러한 용접부(52) 전체를 검사하는 경우 기존과 같이 사람이 직접 필름과 방사선 조사를 수행하는 경우 9미터의 용접부를 검사하기 위해 최소 6시간 이상 소요되어 수 키로 미터 길이의 용접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연 단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검사자를 투입하는 경우 검사기간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인력동원에 따른 비용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방사선검출장치(60)는 전자 디텍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되던 필름에 비해 이미지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의 원격검사장치을 이용하여 빠르게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람이 검사 작업을 수행할 때에 비해 검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내지 도 3은 방사선조사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사선조사장치(10)는 주행장치(11), 무빙서포터(15), 방사선원컨테이너(17), 콜리메이터(19), 탑커버(21) 및 투과도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행장치(11)는 방사선조사장치(10)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가 내장되며, 방사선조사장치(10)를 주행제어기(90)가 지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행장치(11)는 무빙서포터(15)와 결합되며, 무빙서포터(15: 15a, 15b)를 통해 방사선원 컨테이너(17), 콜리메이터(19) 및 탑커버(21)와 결합된다.
주행장치(11)의 외부에는 이동을 위한 주행휠(13)이 복수로 구비되고, 주행휠(13)은 주행장치(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모터는 스테핑모터와 같이 회전수의 정밀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형태의 모터와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면 어떠한 형태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모터는 주행휠(13) 각각에 구성될 수 있으나, 기어 또는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소수의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다수의 모터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주행장치(11)의 내부에는 주행제어기(9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데이터저장부, 방사선조사장치제어부, 전원부, 무빙서포터 구동부와 같이 방사선조사장치(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원격검사장치제어부(미도시)는 주행휠(13)을 구동하는 모터 또는 동력원을 제어하여 주행장치(11)가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지정된 위치에서 주행제어기(90)에서 지정한 시간 동안 방사선(23)을 조사하도록 하는 일련의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1원격검사장치제어부는 무빙서포터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사선원 컨네이너(21)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플레이트(50)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콜리메이터(19)의 초점이 변경되도록 무빙서포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는 내부에 배터리 형태로 내장될 수도 있으나, 장시간 작업을 위해 유선의 전원선을 통해 외부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내부 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빙서포터 구동부는 모터와 같은 동력부와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무빙서포터 구동부는 주행장치(11) 내부에서 무빙서포터(15)와 결합되어 구동되고, 이를 통해 무빙서포터(15)에 결합되는 방사선원 컨테이너(17)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무빙서포터(15)는 방사선원 컨테이너(17), 콜리메이터(19), 탑커버(21)를 주행장치(11)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무빙서포터(15)는 주행장치(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5a)과, 복수의 수직프레임(15a)을 가로질러 연결하거나, 방사선원 컨테이너(17)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1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프레임(15a)은 일측면이 개구된 각파이프 또는 타원형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으로 수평프레임(15b)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 수직프레임(15a)의 내부에는 나선샤프트(미도시) 또는 체인(미도시)과 같이 수평프레임(15b)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나선샤프트 또는 체인은 무빙서포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동작하여 수평프레임(15b)을 개구된 부분을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프레임(15a)은 수평프레임(15b)을 지지함과 아울러, 수평프레임(15b)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에서는 무빙서포터(15)가 4개의 수직프레임(15a)과 2개의 수평프레임(15b)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평프레임(15b)은 대향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5a)에 연결되도록 수직프레임(15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수직프레임(15b)은 양단이 각각 다른 수직프레임(15a)의 개구부를 통해, 수직프레임(15b) 내부의 체인 또는 나선샤프트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5b)은 체인 또는 나선샤프트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 수평프레임(15b)의 중간 부분에는 방사선원 컨테이너(19)가 결합된다.
방사선원 컨테이너(17)는 방사선원이 내부에 수용되고, 방사선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이 콜리메이터(19)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방사선원 컨네이너(17)는 무빙서포터(15)의 수평프레임(15b)에 결합된다. 또한, 방사선원 컨테이너(17)의 일측에는 방사선원에서 발생된 방사선을 외부로 방출하는 콜리메이터(19)가 결합된다.
콜리메이터(19)는 방사선원 컨테이너(17)에 일측에 연결되어 방사선원으로부터 발생된 방사선을 플레이트(50)에 조사한다. 이 콜리메이터(19)는 플레이트(50)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플레이트(50)와의 거리 조절이 필요하며, 방사선원 컨테이너(17)가 무빙서포터(15)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이러한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탑커버(21)는 무빙서포터(15)의 수직프레임(15a) 상단에 결합된다. 이 탑커버(21)는 방사선원 컨테이너(17)의 상부를 통해 유출되는 방사선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탑커버(2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는 납(Pb) 또는 텅스텐(W)과 같은 금속성분을 포함하거나, 이러한 금속으로 제조된다.
또한, 탑커버(21)에는 방사선조사장치(10)의 측면을 가리는 차폐제가 결합되는 고리 또는 연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차폐제는 납(Pb) 또는 텅스텐(W)과 같은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탑커버(21)의 연결수단에 연결됨으로써 방사선조사장치(10)의 측면을 차폐하게 된다.
투과도계(30)는 주행장치(11)의 개구부(32)에 설치된다. 이 투과도계(30)는 방사선 촬영위치 및 필름의 감도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투과도계(30)는 방사선검출장치(60)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생성된 이미지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용도로 이미지에 마커이미지를 포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투과도계(30)는 플레이트(50)의 용접부(52)와 콜리메이터(19)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투과도계(3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사선검출장치(60)는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리프트(65) 및 디지털 디텍터(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는 방사선조사장치(10)의 주행장치(11)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의 외부에는 이동을 위한 주행휠(63)이 복수로 구비되고, 주행휠(63)은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의 내부에는 주행제어기(9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디지털 디텍터(69)로부터 전달되는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방사선검출장치제어부, 전원부 및 리프트 구동부와 같이 방사선검출장치(6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방사선조사장치(10)의 주행장치(11)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불필요하여 생략된 구성은 아니다.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는 리프트(65)가 결합되며, 장치 내부에서 리프트(6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리프트(65)와 결합된다. 이 구동장치는 모터와 기어 또는 유압발생기와 유압실린더 또는 컴프레셔와 공압실린더와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리프트(65)는 일단이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61)와 결합되고, 타단이 디지털 디텍터(69)와 결합된다. 이 리프트(65)는 구동장치의 동작에 따라 디지털 디텍터(69)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플레이트(50)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 디텍터(69)는 콜리메이터(19)로부터 방출되어 플레이트(50)를 투과하는 방사선을 수신하여 플레이트(50)에 대한 투과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지털 디텍터(69)는 이 투과이미지를 디지털이미지로 변환하여 변한된 이미지를 제2원격검사장치주행장치(61)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디텍터(69)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이 디텍터(69)를 리프트(65)에 결합시키기 위한 디텍터 프레임(67)이 마련된다.
한편, 방사선조사장치(10) 또는 방사선검출장치(60)에는 레이저 측정기(40: 40a, 40b)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레이저 측정기(40)는 플레이트(50)의 종단에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기준타겟(42)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의 비행시간과 반사여부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의 이동방향, 위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50)에는 방사선조사장치(10)와 방사선검출장치(60)의 진행방향 종단에 레이저의 반사를 위한 기준타겟(42)이 설치될 수 잇다. 이를 위해, 기준타겟(42)은 홀더(44)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플레이트(50)의 종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측정기(40)는 주행장치(11, 61) 또는 탑커버(21) 또는 디지털 디텍터(69)의 전방(진행방향 쪽)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 부분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투과도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4는 투과도계와 방사선검출장치의 주행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투과도계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투과도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텍터(69)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가 적합한지를 판별하기 위해 이미지에 포함되는 마커를 생성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투과도계(30)는 투과도계 주행장치(70)를 이용하여 방사선조사장치(10)의 주행장치(11) 개구부(32)에 설치된다.
투과도계 주행장치(70)는 투과도계(30)가 용접부(52)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투과도계(30)는 상부케이스(71), 하부케이스(72), 탄성부재(73), 카세트(74), 주행휠(7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투과도계 주행장치(70)에 투과도계(30)가 설치된다.
상부케이스(71)는 주행장치(11)와 투과도계 주행장치(70)를 결합하여, 투과도계 주행장치(70)가 주행장치(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부케이스(71)는 하부케이스(72) 및 탄성부재(73)와 함께 댐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부케이스(72)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부케이스(71)는 하부케이스(72)와 결합되어 내부에 탄성부재(73)를 수납한다.
하부케이스(72)는 일단에 카세트(74)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케이스(7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하부케이스(72)는 탄성부재(73)에 의해 카세트(74) 방향으로 압력을 받고, 이를 카세트(74)에 전달하여 카세트(74)가 플레이트(50)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부케이스(72)는 상부케이스(72) 내부에 일단 삽입되어 플레이트(50)의 굴곡에 따라 삽입깊이가 변화된다.
카세트(74)는 투과도계(30)와 결합하여 투과도계(3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카세트(74)는 상부케이스(71), 하부케이스(72) 및 탄성부재(73)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플레이트(50)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카세트(74)는 투과도계 주행장치가 플레이트(50) 표면을 주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주행휠(75)가 마련된다.
이러한 투과도계 주행장치(70)는 주행장치(11)가 주행하는 동안 플레이트(50) 면을 주행한다. 그리고, 투과도계(30)는 검사위치에서 탄성부재(73)와 상부 및 하부케이스(71, 72)에 의해 플레이트(50) 방향으로 가압되고, 용접부(52) 상에 미찰된다. 이를 통해, 검사 수행시 얻어지는 이미지에 투과도계(30)의 영상이 정확히 포함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방사선조사장치 11: 주행장치
13, 63: 주행휠 15: 무빙서포터
17: 방사선원 컨테이너 19: 콜리메이터
21: 탑커버 23: 방사선
30: 투과도계 40: 레이저측정기
42: 기준타겟 44: 홀더
50: 플레이트 52: 용접부
54: 지지부재 60: 방사선검출장치

Claims (5)

  1. 용접부가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거치되는 플레이트의 상기 용접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용접부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상기 방사사선 조사 방향에 배치되는 투과도계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상기 지면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제1원격검사장치과 대응되게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조사된 상기 방사선을 수신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방사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사선검출장치; 및
    상기 방사선조사장치와 상기 방사선검출장치를 용접부를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이미지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주행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조사장치는
    상기 주행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목표 위치로 이동하는 주행장치;
    상기 주행장치에 결합되는 무빙서포터;
    상기 무빙서포트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사선원 컨테이너;
    상기 방사선원 컨테이너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을 출력하는 콜리메이터; 및
    상기 무빙서포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탑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상기 콜리메이터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방사선의 조사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과도계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투과도계주행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도계주행장치는
    상기 주행장치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투과도계가 결합되는 카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검출장치는
    상기 검사단말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방사선조사장치의 위치로 이동하는 주행장치;
    상기 주행장치 상부에 결합되는 리프트; 및
    상기 리프트에 결합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며, 상기 플레이트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집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디텍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20180102162A 2018-08-29 2018-08-29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255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162A KR102559182B1 (ko) 2018-08-29 2018-08-29 방사선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162A KR102559182B1 (ko) 2018-08-29 2018-08-29 방사선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87A true KR20200025187A (ko) 2020-03-10
KR102559182B1 KR102559182B1 (ko) 2023-07-26

Family

ID=6980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162A KR102559182B1 (ko) 2018-08-29 2018-08-29 방사선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59B1 (ko) * 2020-08-14 2021-03-0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용접비드 방사선 검사장치
KR20220058494A (ko) * 2020-10-30 2022-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0Y2 (ja) * 1989-06-30 1995-03-06 川崎製鉄株式会社 X線撮影装置のマークホルダ保持装置
JPH08210995A (ja) * 1994-10-19 1996-08-20 Kvaerner Masa Yards Oy 弧状プレート組立体検査用装置
JP2009047440A (ja) * 2007-08-13 2009-03-05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KR20160125548A (ko) 2015-04-21 2016-11-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0Y2 (ja) * 1989-06-30 1995-03-06 川崎製鉄株式会社 X線撮影装置のマークホルダ保持装置
JPH08210995A (ja) * 1994-10-19 1996-08-20 Kvaerner Masa Yards Oy 弧状プレート組立体検査用装置
JP2009047440A (ja) * 2007-08-13 2009-03-05 Central Res Inst Of Electric Power Ind 非破壊検査装置及び非破壊検査方法
KR20160125548A (ko) 2015-04-21 2016-11-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59B1 (ko) * 2020-08-14 2021-03-09 주식회사 현대알비 파이프 용접비드 방사선 검사장치
KR20220058494A (ko) * 2020-10-30 2022-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220057765A (ko) * 2020-10-30 2022-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182B1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524B1 (ko) 자동 초음파 탐상장치
US200500561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reactor head components
KR200436664Y1 (ko) 비파괴검사에서의 방사선사고방지를 위한 방사선방출부 정위치구동장치
JP2007183172A (ja) 航空機機体の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200025187A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1506709B1 (ko) 판재 검사용 x선 비파괴 검사장치
KR20160125548A (ko)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JP5868198B2 (ja) 溶接部の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KR20100034478A (ko) 배관 방사선 촬영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센터링장치
JP2015001501A (ja) 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用移動体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JP2020071903A (ja) 漏洩検査装置及び漏洩検査システム
JP2017020847A (ja) 油入機器の漏油検出装置
KR20200130960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1377448B1 (ko) 협소한 장소의 용접 비드부에 대한 수침 초음파 탐상장치
CN114038603A (zh) 一种屏蔽容器的屏蔽性能扫描检测装置
RU2629687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контроля
JP2007003400A (ja) 制御棒貫通孔部材検査装置
CN104155318A (zh) 车载x射线管道实时成像检测系统
KR101313047B1 (ko) 원자로 용기 밀폐헤드의 오메가 씰 용접부 비파괴 검사장치
KR102559181B1 (ko) 원격검사장치의 주행제어 시스템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Smith et al. Inspection of nuclear storage tanks using remotely deployed ACFMT.
KR2023005768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용접부 검사장치 및 방법
CN107782752B (zh) 一种焊缝射线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