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87B1 - 캠핑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캠핑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87B1
KR101506687B1 KR1020130055126A KR20130055126A KR101506687B1 KR 101506687 B1 KR101506687 B1 KR 101506687B1 KR 1020130055126 A KR1020130055126 A KR 1020130055126A KR 20130055126 A KR20130055126 A KR 20130055126A KR 101506687 B1 KR101506687 B1 KR 10150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ailer
vehicle
cap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985A (ko
Inventor
석주호
Original Assignee
석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주호 filed Critical 석주호
Priority to KR102013005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출입도어를 트레일러의 측면에 설치하여 트레일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과 같은 면적의 바닥을 갖고 차량의 적재함 펜스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편 차량의 운전캡 상측을 덮어주는 형태로 적재함에 실리는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도어가 설치되는 트레일러에서 적재함 펜스로 가려지는 부위에는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가리는 차단캡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캡은 트레일러의 측방향으로 회동하며 출입도어의 하부공간을 막아주거나 개방되게 하고,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에는 보조도어를 설치하여 차단캡으로 가려지는 만큼 내측 상부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캠핑 트레일러{Camping trailer}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출입도어를 트레일러의 측면에 설치하여 트레일러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란 야영 등을 할 때 편안한 숙박을 제공하고, 원하는 요리를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한편 편안한 휴식을 제공해 주는 차량으로서, 주로 차량과 캠핑 트레일러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거나 차량 뒤에 캠핑 트레일러를 따로 매달아 사용하거나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싣고 다니며 사용하게 된다.
차량과 캠핑 트레일러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는 캠핑카의 경우에는, 차량 가격 자체가 다른 일반적인 차량에 비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차량 구조 자체가 캠핑을 하기 위한 구조로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캠핑 등의 야외 활동이 아닌 쇼핑 등의 여가 활동이나 출퇴근을 하기에는 주차 등의 문제로 캠핑카를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그리고, 캠핑 트레일러를 차량 뒤에 따로 매달아 사용할 경우에는, 트레일러 면허증을 구비한 운전자만이 운전할 수 있어 일반 면허증만 구비한 운전자의 경우 운전 자체를 하지 못하는 문제와 함께 트레일러 면허증을 구비한 운전자라 하더라도 숙련된 전문가가 아니면 야외에서 주차 및 운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실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목적지에 도착하여서는 차량에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차량에 실린 채로 이용할 수 있는 캠핑 트레일러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캠핑 트레일러는 별도의 운전 면허증 없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캠핑 트레일러와 차량을 분리시킴으로써 차량을 별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캠핑 트레일러는 출입도어를 후방에 설치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은 방식으로 내부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출입도어를 후방에 설치하는 이유는 캠핑 트레일러의 바닥은 적재함의 폭과 일치하게 되나, 적재함 펜스의 상측으로는 적재함의 폭보다 넓게 제작하기에 트레일러의 측면 방향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할 수 없게 된다.
이 같이 캠핑 트레일러의 후방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하는 경우 내부 활용도는 출입도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트레일러의 길이 방향으로 화장실과 주방을 배열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통로로 활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치 못하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183700호(2012.09.11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9-0054645호(2009.06.01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05-0036939호(2005.04.20 공개) 대한민국 디자인 등록 30-0667634호(2012.11.06 등록)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캠핑 트레일러에서 출입도어를 후방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어 트레일러의 내부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출입도어를 트레일러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트레일러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과 같은 면적의 바닥을 갖고 차량의 적재함 펜스보다 높은 위치에서는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한편 차량의 운전캡 상측을 덮어주는 형태로 적재함에 실리는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출입도어가 설치되는 트레일러에서 적재함 펜스로 가려지는 부위에는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가리는 차단캡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캡은 트레일러의 측방향으로 회동하며 출입도어의 하부공간을 막아주거나 개방되게 하고,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에는 보조도어를 설치하여 차단캡으로 가려지는 만큼 내측 상부로 회동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상시 차량의 적재함 펜스가 세워진 상태에서 적재함에 실을 때는 출입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차단캡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적재함 펜스가 내려진 상태에서는 차단캡이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회동하면서 노출되어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가려주는 한편 출입도어에 설치된 보조도어를 하측으로 펼침으로써 출입도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입도어는 이동시 보조도어가 접힌 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차단캡은 트레일러에 내장된 상태에서 차량의 적재함에 실릴 수 있도록 하며, 사용시에는 보조도어를 펼쳐 출입도어를 열어주되 차단캡을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회동시켜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차단캡으로 막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캠핑 트레일러를 싣고 이동한 후 사용하거나 적재함에서 분리시킨 후 차량만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캠핑 트레일러와 차량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차량에 적재하여 누구나 간편하게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도어를 후방이 아닌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트레일러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트레일러의 측면에 설치된 출입도어의 하측은 차단캡을 회동시켜 막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하여도 사용시 개방된 곳을 막아주는 한편 이동시에는 적재함 펜스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캠핑 트레일러의 내부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 캠핑 트레일러의 내부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캠핑 트레일러가 차량에 실린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캠핑 트레일러가 차량에 실린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차량에 실린 상태에서 적재함 펜스가 내려진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출입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출입도어에서 보조도어를 젖힌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출입도어 개방 후 차단캡 개방 상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단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차단캡이 내장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단캡이 돌출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실려지는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측면으로 출입도어를 설치하여 트레일러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일러는 적재함 펜스가 세워진 상태에서 적재함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적재함 펜스의 상부 외측으로 트레일러가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하며, 이 같이 트레일러의 바닥은 적재함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하되 적재함 펜스의 상측은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은 법규를 위반하지 않고 최대한 트레일러의 공간을 늘리기 위함이며, 운전캡의 상측으로 침실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일러는 측면으로 출입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도어의 후방으로 화장실과 주방이 일자로 형성되는 것이어서, 트레일러의 내부 공간을 크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의 후방 양쪽 모서리에는 트레일러에서 돌출되지 않고 내장된 상태로 아웃 트리거를 설치하고, 상기 트레일러의 전방에는 이동 중에는 내측으로 회동하고 사용 중에는 외측으로 회동되는 아웃 트리거를 설치한다.
상기 트레일러의 측면으로는 출입도어를 설치하되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트레일러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 채로 회동하는 차단캡에 의해 막아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단캡은 트레일러가 적재된 상태에서는 트레일러의 내측으로 내장된 상태에서 출입도어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사용 중에는 차단캡을 외측으로 회동시켜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차단캡으로 막아주게 하며, 상기 출입도어의 하부는 보조도어를 회동시켜 막아주도록 한다.
상기 차단캡은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를 갖는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의 하측은 트레일러의 하부 외측과 힌지 결합되게 하는 한편 바디의 상측은 바디와 외측으로 직각 방향을 갖는 차단판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바디가 트레일러의 외측에 밀착되는 형태로 내장되게 하고, 트레일러를 사용할 때에는 외부로 회동시켜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막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즉, 평상시는 차단판이 출입도어의 하부 공간을 막아주고, 사용시에는 바디의 양측 날개가 출입도어의 하부 외측면 공간을 막아주게 되며, 출입도어의 하부 전면 공간은 출입도어에 보조도어를 펼쳐줌으로써 막아주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트레일러(100)는 차량(10)의 적재함(11)에 실리게 되는 것으로, 적재함 펜스(12)를 세운 상태에서 적재함(11)에 실리게 되고, 침실이 설치되는 곳은 운전캡의 상측을 덮어주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일러(100)는 적재함 펜스(12)에 의해 적재함(11)에 실리는 부분보다 적재함 펜스(12)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크게 함으로써 최대한 공간을 활용하게 한다.
트레일러(100)의 하부 폭이 적재함 펜스(12)를 세웠을 때 적재함(11)에 실을 수 있는 넓이를 갖고, 상기 적재함 펜스(12)의 상측으로는 적재함 펜스(12)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이유는 법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 최대한 공간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평편한 상태의 후방에 출입도어를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측면으로 출입도어(20)를 설치하는 경우 적재함 펜스(12)가 세워지는 공간을 막아주지 못하여 출입도어(20)를 측면에 설치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단캡(200)을 이용하여 출입도어(20)의 하부 공간을 적절히 막아주도록 함으로써 출입도어(20)의 측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트레일러(100)의 측면으로 출입도어(20)를 설치하되 상기 출입도어(20)는 적재함 펜스(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려주게 하고, 상기 출입도어(20)의 하측에서 적재함 펜스(12)로 가려지는 부분은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를 갖는 차단캡(200)으로 공간을 막아주되 상기 차단캡(200)은 트레일러(100)의 측면 방향으로 회동되게 한다.
즉, 출입도어(20)를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출입도어(20)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차단캡(200)을 측면으로 개방시켜 출입도어(20)의 하부공간에 대한 측면으로 개방된 부분을 가려주고, 상기 출입도어(20)의 내측에서 차단캡(200)의 전방을 가려주는 보조도어(30)를 회동시켜 출입도어(20)와 일자가 되게 함으로써 출입도어(20)의 하부공간을 완전히 막아주도록 한다.
따라서,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보조도어(30)를 펼쳐서 고정한 후 차단캡(200)을 트레일러(100)의 측면으로 회동시켜 돌출시키면 출입도어(20)의 하부에서 개방된 공간을 보조도어(30)와 차단캡(200)을 이용하여 막아주게 된다.
상기 차단캡(200)에는 차단판(220)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차단캡(200)을 트레일러(100)의 내측으로 내장시키는 한편 출입도어(20)를 닫아준 상태에서 출입도어(20)의 하부가 개방되는 곳을 차단판(220)으로 막아주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도어(20)를 트레일러(100)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트레일러(100)의 후방으로 화장실(1)과 주방(2)을 폭 방향에 맞추어 일자로 설치되게 하여, 거실로 사용할 수 있는 상당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장실(1)의 크기를 넓혀 샤워가 가능할 정도가 되게 하여도 충분할 정도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기존의 트레일러는 도 1과 같이 후방으로 출입도어(20)가 설치되어 화장실(1)과 주방(2)이 트레일러(100)의 통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통로로 낭비되는 공간이 많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트레일러(100)의 측면으로 출입도어(20)를 형성하여 기존과 같이 통로로 허비되는 공간을 줄이는 한편 화장실(1)과 주방(2)을 후방에 폭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 거실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넓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트레일러(100)의 후방에는 양측 모서리에 함몰된 상태의 아웃트리거를 설치하여, 이동 중에는 아웃트리거를 함몰시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아웃트리거를 사용하여 지면을 받쳐 세워지게 하며, 트레일러(100)의 전방 모서리에는 좌우로 회동하는 아웃 트리거를 설치하여 이동 중에는 아웃트리거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 중에는 외측으로 돌출시켜 아웃트리거를 작동시킴으로써 지면에 받쳐주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방으로 사다리(40)를 설치하여 트레일러(100)의 상부로 짐을 올릴 수 있도록 하고, 트레일러(100)의 상부에는 펜스(41)를 설치하여 올린 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트레일러(100)는 차량(10)의 적재함(11)에 실은 후 측면과 후방의 적재함 펜스(12)를 올려 고정시킴으로써 차량(10)을 이용한 운반을 하게 되고,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에는 차량(10)에 실린 채로 적재함 펜스(12)를 개방시켜 이용하거나, 트레일러(100)의 아웃 트리거를 펼쳐서 적재함(11)에 실린 트레일러(100)를 들어준 후 차량(10)을 빼내고, 트레일러(100)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일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출입도어(20)를 열고 닫아야 트레일러(100)의 내부 출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트레일러(100)의 측면에 설치된 출입도어(20)를 열고, 출입도어(20)의 하부 공간을 막아준 차단캡(200)을 측면으로 개방시켜 출입도어(20)의 하부 공간에 대한 측면을 막아주도록 하고, 상기 출입도어(20)의 하부에 설치된 보조도어(30)는 전방으로 회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출입도어(20)의 하부에서 전면으로 개방되는 공간은 보조 도어(30)로 막아주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출입도어(20)는 트레일러(10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당기면 열리게 되는 것으로, 공지의 도어 시건장치를 이용하여 원할 때만 열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입도어(2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보조도어(30)를 접철시켜 고정함으로써, 출입도어(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조도어(30)가 출입도어(20)의 내측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하고, 사용 중에는 보조도어(30)가 하부로 펼쳐져 출입도어(20)와 일자 형태가 되게 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보조도어(30)는 출입도어(20)의 내측으로 접혀져 고정되거나, 하측으로 펼쳐져 고정된다.
본 발명의 차단캡(200)은 출입도어(20)의 하부 공간이 개방되지 않게 막아주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트레일러(100)의 내측으로 내장된 상태에서 개방된 곳이 없도록 하고, 상기 차단캡(200)이 내장된 상태에서는 차단판(220)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날개(230)의 외측을 받치면서 출입도어(20)가 닫히게 함으로써, 차단캡(200)이 내장된 후 출입도어(20)가 닫히게 되면, 차단캡(2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차단캡(200)이 함몰된 상태에서는 차단판(220)이 바닥으로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게 되므로, 트레일러(100)의 출입도어(20) 하측으로 개방된 곳이 없게 된다.
상기 차단캡(200)은 출입도어(20)를 열어준 상태에서 측면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차단캡(200)을 측면으로 회동시키면 바디(210)의 양쪽 날개(230)가 출입도어(2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의 전후면을 막아주게 되고,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펼쳐진 보조도어(30)가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형성된 공간의 전면을 막아주게 되므로, 출입도어(20)의 하측 공간에 개방된 곳이 없어진다.
즉, 차단캡(200)은 바디(210)의 하측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바디(210)의 측면에 형성된 날개(230)가 출입도어(20)의 하부에서 전후 공간을 막아주게 되고,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회동되어 고정되는 보조도어(30)가 측면을 막아주게 되며, 상기 차단캡(200)이 측면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계단을 이용하여 출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하측으로 보조도어(30)가 펼쳐져 고정된 출입도어(20)를 트레일러(100)의 측면에 설치하되 한정된 적재함(10)에 적재하기 위하여 저면을 좁게 형성한 트레일러(100)의 출입도어(20) 하측의 공간은 차단캡(200)을 이용하여 막아주는 것이다.
따라서, 출입도어(20)를 측면에 설치하여도 하등 무리가 없게 되며, 출입도어(20)가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기존과 같이 통로를 길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후방으로 화장실(1)과 주방(2)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어서,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화장실(1)을 넓혀서 샤워도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입도어(20)가 측면에 설치된 트레일러(100)는 기존의 출입도어가 후방에 설치된 트레일러와 비교할 때 내부 면적이 동일하더라도 활용하지 못하였던 공간이 통로가 크게 줄어들게 되므로,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10 : 차량 11 : 적재함
20 : 출입도어 30 : 보조도어
40 : 사다리 100 : 트레일러
200 : 차단캡 210 : 바디
220 : 차단판 230 : 날개

Claims (2)

  1. 차량(10)의 적재함(11)에 실려서 운반되는 한편 운전캡의 상부를 덮어주는 형태를 갖는 트레일러(100)를 구비하되 상기 트레일러(100)의 하부는 적재함 펜스(12)가 세워졌을 때 적재함(11)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적재함 펜스(12)의 상측으로는 적재함 펜스(12)를 벗어난 폭을 갖게 하고,
    상기 트레일러(100)의 측면으로 출입도어(20)를 형성하되 상기 출입도어(20)는 적재함 펜스(1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형성하는 한편 그 하측의 적재함 펜스(12)로 가려지는 부위는 개방되게 하며,
    상기 출입도어(20)의 하측에는 내측으로 접혀져 회동되는 보조도어(30)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도어(30)는 트레일러(100)의 출입도어(20) 하측에 형성된 공간의 전면을 가려주게 하고,
    상기 출입도어(2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에는 평면이 ㄷ자 형태를 갖는 바디(210)의 하측이 트레일러(100)의 하측에 회동되어 결합되게 차단캡(200)을 설치하되 상기 차단캡(200)의 바디(210) 상측으로 차단판(220)을 설치하여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판(220)으로 막아주게 하며,
    상기 차단판(220)은 측면으로 회동될 때 바디(210)의 양쪽 날개(230)가 출입도어(20) 하측에 개방공간에 대한 양측면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출입도어(20)가 개방되면 출입도어(20)의 하측으로 보조도어(30)가 펼쳐져 고정되고, 차단캡(200)은 측면으로 회동되어 차단판(220)이 수평으로 놓이면서 바디(210)의 양쪽 날개(230)가 세워지면서 공간을 막아주게 되며, 출입도어(20)가 닫힐 때 보조도어(30)가 차단캡(200)의 전면 개방 부위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 트레일러.
KR1020130055126A 2013-05-15 2013-05-15 캠핑 트레일러 KR10150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26A KR101506687B1 (ko) 2013-05-15 2013-05-15 캠핑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26A KR101506687B1 (ko) 2013-05-15 2013-05-15 캠핑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85A KR20140134985A (ko) 2014-11-25
KR101506687B1 true KR101506687B1 (ko) 2015-03-30

Family

ID=5245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126A KR101506687B1 (ko) 2013-05-15 2013-05-15 캠핑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9573B (zh) * 2016-05-30 2018-05-29 刘章巨 一种房车
KR101908884B1 (ko) * 2018-02-22 2018-10-16 김민성 온돌장치가 구비된 캠핑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924A (en) * 1995-02-24 1996-11-05 Norco Industries, Inc. Scissors actuated trailer slide-out
KR20050036939A (ko) * 2005-03-29 2005-04-20 김한주 차량 탑재용 캠핑하우스
KR20090054645A (ko) * 2007-11-27 2009-06-01 티엘엠(주) 트럭결합형 캠핑카
KR101183700B1 (ko) 2010-07-27 2012-09-17 이승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캠핑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0924A (en) * 1995-02-24 1996-11-05 Norco Industries, Inc. Scissors actuated trailer slide-out
KR20050036939A (ko) * 2005-03-29 2005-04-20 김한주 차량 탑재용 캠핑하우스
KR20090054645A (ko) * 2007-11-27 2009-06-01 티엘엠(주) 트럭결합형 캠핑카
KR101183700B1 (ko) 2010-07-27 2012-09-17 이승대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에 장착되는 캠핑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85A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869B1 (en) Multi-hinged tailgate assembly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US9027984B2 (en) Truck bed door with optional extension and accessories
JP5639618B2 (ja) テールゲート付き車両
US20110031771A1 (en) Storage trunk in the front of a vehicle
US11565645B2 (en) Pivotable sill for a vehicle
EP2900509B1 (fr) Implantation de reservoir d'uree dans un vehicule utilitaire a moteur diesel et vehicule correspondant
KR101506687B1 (ko) 캠핑 트레일러
US7281744B1 (en) Convertible pickup canopy
RU2428324C1 (ru) Открывающийся верх для кабриолета и кабриолет с открывающимся верхом
CN102887116B (zh) 车辆的后部行李箱结构
CN107531138B (zh) 可枢转的机动车后盖
US6257651B1 (en) Hatchback door for a motor vehicle
KR20150142480A (ko) 원터치식 차량용 텐트의 바닥면 세팅장치
KR20090029031A (ko) 트럭 캠퍼
KR101587729B1 (ko) 트럭 캠퍼
JP5992571B1 (ja) キャンピングシェル
KR20150056089A (ko) 차량용 트레일러
US9809094B2 (en) Vehicle
KR200482458Y1 (ko)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US20160257238A1 (en) Truck tail door assembly
CN220096233U (zh) 一种皮卡车载露营装置
CN204821749U (zh) 一种货厢结构及具有该货厢结构的载货车
KR100828775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20180020649A (ko) 카고형 화물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복합재질의 윙바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