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458Y1 -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458Y1
KR200482458Y1 KR2020160003422U KR20160003422U KR200482458Y1 KR 200482458 Y1 KR200482458 Y1 KR 200482458Y1 KR 2020160003422 U KR2020160003422 U KR 2020160003422U KR 20160003422 U KR20160003422 U KR 20160003422U KR 200482458 Y1 KR200482458 Y1 KR 200482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oading
closing
loading box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엔브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엔브이
Priority to KR2020160003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4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특히 SUV 또는 픽업트럭의 후방에 구비되는 적재함을 개폐하는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을 덮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짐으로서 적재함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적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상기 본체의 덮개부가 상기 적재함에 밀착되어 이루어지는 하프탑 또는 적재함에 이격되어 이루어지는 탑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COVER DEVICE OF LOAD ROOM FOR VEHICLE }
본 고안은 자동차, 특히 SUV 또는 픽업트럭의 후방에 구비되는 적재함을 개폐하는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적재함을 덮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짐으로서 적재함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적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상기 본체의 덮개부가 상기 적재함에 밀착되어 이루어지는 하프탑 또는 적재함에 이격되어 이루어지는 탑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승용차와 달리 SUV 또는 픽업트럭의 경우에는 후방에 짐을 싣기 위한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고, 적재함에 실리는 짐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함을 덮기 위한 커버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70745호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이나 소형 픽업트럭의 뒷부분에 마련되는 적재함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단을 기준으로 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적재함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되, 적재함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덮개 본체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함에 덮여진 상태에서는 덮개본체가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 적재함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30434호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평판재의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사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테두리프레임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차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적재함 상부로 개방가능하도록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본체, 상기 덮개본체의 저면 양쪽에 각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이 적재함의 내측 양쪽에 각각 고정되어 덮개본체의 상승을 보조하는 쇽업쇼바가 구비된 적재함 덮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이나 소형 픽업트럭의 적재함을 모두 덮으며, 이를 함께 개방하는 방식으로 크기가 큰 적재함의 경우 자연스럽게 덮개장치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장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적재함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적재함 전체가 개방됨에 따라 내부에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24538호 『픽업형 자동차의 적재함 덮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자동차의 후방에 형성된 적재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후방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도어는 자동차의 후방쪽에서 기억자 형으로 성형되어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도어의 수평방향으로는 수평덮개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수직방향으로는 수평덮개에서 연장된 수직덮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도어의 좌우 내측에는 후방도어의 개폐각 조절이 가능한 원터치 가스쇼바가 각각 설치된 픽업형 자동차의 적재함 덮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적재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경우, 적재함 전체를 덮는 덮개를 모두 힌지운동시켜야 함으로서 사용자가 덮개의 무게로 인하여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19278호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개별적으로 에스엠씨 또는 인젝션 가스 사출 등의 대량양산을 위한 공법으로 성형되어 소정의 결합수단을 통해서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 지붕,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누름작동에 의한 오픈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도어와, 차량의 제동상태를 알리는 스톱램프와, 야간에 적재함 내부 및 그 주변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룸램프장착부 및 파워 아웃렛 소켓 장착부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가스 사출 성형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고, 적재함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서 적재된 화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스톱램프에 의한 차량의 안전한 운행 및 오픈부재에 의한 사용상 편의성 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적재함을 덮되 차량의 차고 높이만큼 적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탑 방식의 적재함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종류를 선택할 수 없음으로서, 운전자에 따라 짐이 적은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 덮개에 의해 후방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와 덮개부재로 이루어진 본체로 차량의 적재함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유닛을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 전체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적재함을 보다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를 상기 적재함에 인접하게 구비하거나 이격시켜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본체를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짐이 적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하프탑 형상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는
적재함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덮개부재에 결합되는 회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의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쇽업쇼바를 포함하는 개폐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적재함 상부에 이격되거나 인접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는 스포츠유틸리티 차량이나 픽업트럭의 적재함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적재함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유닛을 구비하여, 적재함 내의 물건을 꺼내는 경우에 적재함 전체를 개방할 필요 없이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적재함을 개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렇게 상기 적재함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음에 따라 비가 오는 경우에 적재함 전체에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적재물이 파손되거나 망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는 상기 적재함에 인접하게 구성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거나, 적재함과 이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특히, 짐을 적게 싣는 사용자는 적재함과 인접하게 구성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를 설치함으로서 운전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개폐유닛에는 쇽업쇼바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개폐부재를 움직일 수 있어 편의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의 제1 실시예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의 제2 실시예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A1) 커버장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와 상기 본체(20)에 구비되는 개폐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본체(20)는 상기 적재함(A1)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재(23)와 상기 덮개부재(23)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때 상기 덮개부재(23)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적재함(A1)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탑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적재함(A1) 상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하프탑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A)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20), 특히 본체(20)를 구성하는 덮개부재(23)가 상기 적재함(A1)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본체(20)에 개폐유닛(3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적재함(A1)의 양측 지지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1)를 연결하도록 지붕 역할을 하는 덮개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재(23)는 상기 지지부재(21)의 높이만큼 상기 적재함(A1)으로부터 이격되어 별도의 적재부(211)라 지칭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많은 양의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 및 덮개부재(23)의 전방은 차량의 좌석 뒷면에 밀착 또는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21)가 체결된 적재함(A1)의 총 높이는 차량의 차고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A1) 및 적재부(211)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1) 또는 후술하는 개폐유닛(30)의 개폐부재(31) 또는 이들 모두에는 윈도우(213)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적재함(A1)에 설치된 본체(20)에는 상기 적재함(A1) 및 적재부(211)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유닛(30)이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본체(2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유닛(30)의 개폐부재(31)에는 회동부(3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311)가 상기 덮개부 후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동부(311)를 기준으로 개폐부재(31)가 상부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일반적으로 픽업트럭의 경우에는 적재함(A1)을 개폐하는 하부도어가 적재함(A1) 후단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개폐부재(31)는 상기 하부도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하부도어와 개폐부재(31)가 양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1)를 개방하는 경우,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보다 적은 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31)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쇽업쇼바(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쇽업쇼바(33)는 상기 개폐부재(31)와 상기 일측 또는 양측, 바람직하게는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양측의 지지부재(21)를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걔폐부재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쇽업쇼바(33)에 의해 힘을 적게 사용하여 상기 회동부(311)를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 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1)를 닫는 경우에, 상기 개폐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21)의 밀착면 사이의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21)의 후면에는 충격흡수부재(33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적재함(A1) 및 적재부(211)에 짐을 싣는 경우에, 차량의 움직임에 의하여 실려있는 짐이 움직여 운전석방향 또는 양측으로 충격을 가하여 윈도우(213) 등이 깨지거나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힐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안전프레임(2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안전프레임(25)에 의해 적재물이 윈도우(213) 또는 운전석에 직접적인 충격을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20)의 내측에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구성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내부를 밝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차량에 설치되는 실내등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개폐유닛(30)과 본체(20) 사이 등 체결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각각의 틈새에는 패킹부재(35)를 더 구비하여 방수, 방진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30)의 상부에는 보조등(281) 및 상기 보조등(281)이 구비되는 스포일러(28)를 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A)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20)의 덮개부재(23)가 상기 적재함(A1)으로부터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하프탑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21)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지지부재(21)와는 달리 적재함(A1)에 결합될 수 있을 정도로의 높이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21)를 서로 연결하는 덮개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가 제1 실시예처럼 적재부(211)를 새로 형성하지 않고 적재함(A1)을 덮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흔히 이러한 방식을 하프탑 구조라고 한다.
또한 본 고안에는 상기 본체(20)에 개폐유닛(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개폐유닛(30)의 개폐부재(31)는 상기 본체(20)의 후단부분에 구비되어 있으며, 회동부(311)는 본체(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311)를 통하여 상기 개폐유닛(30)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부(211) 전체가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적재부(211)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절반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여서 적재부(211)를 열어 짐을 실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다 손쉬운 개방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31)에는 상기 개폐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21)를 잇는 쇽업쇼바(3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1)의 내측에는 스위치(313)와 상기 스위치(313)와 연동되는 발광부재(3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스위치(313)부재를 동작함으로서 상기 발광부재(315)에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하여 어두운곳에서도 적재함(A1)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발광부재(315)는 차량의 실내등 또는 개폐부재(31)가 개방되면 자연스럽게 작동할 수 있도록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31)와 본체(20) 사이에 패킹부재(35)를 구성하여 방진,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재(23)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7)과 상기 측면프레임(27)을 연결하는 스포일러(2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프레임(27)은 상기 덮개부 상부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7)의 상부에는 스포일러(28)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측면프레임(27)과 스포일러(28) 사이에는 개방부(271)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27)은 차량 전체의 차고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부(271)를 통해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스포일러(28)에는 후방차량에게 신호를 줄 수 있는 보조등(281)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가 상기 적재함(A1)에 체결되는 바, 상기 본체(20), 특히 상기 본체(20)의 지지부재(21)와 적재함(A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지지부재(21)와 상기 적재함(A1)의 외측벽(A2)에 각각 형성되는 볼트결합부(21a)(21b)와 이 볼트결합부에 체결되는 변형된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부재(21)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215)가 상기 적재함(A1)의 외측벽(A2)에 접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볼트부재(100)를 구비하는 경우, 나사부(101)에 너트를 조립하여 보완할 수 있으나,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적재함(A1)을 모두 분리하여야 하여 설치가 어려워지거나, 공임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체결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변형된 볼트부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먼저 상기 볼트부재(100)는, 나사부(101)와 헤드부(102)로 구성되어, 상기 나사부(101)가 상기 볼트결합부(21a, 21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부재(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를 갖고,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중공부(103)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누름부(111)와, 타측 끝단부에서 힌지 결합되어 일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탄성 지지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12)를 구비한 심부재(110)와,
상기 중공부(103)에 구비되어, 상기 심부재(110)를,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펼쳐진 날개부(112)가, 상기 볼트결합부(21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을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종의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112)와, 심부재(110)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112a)에는, 날개부(112)가 일측 방향, 즉 심부재(110)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날개부(112)가 심부재(110) 방향으로 접히도록 강제되므로,
누름부(111)를 이용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타측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가압하여 날개부(112)가 접혀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볼트결합부(21a, 21b)에 나사 결합한 후, 날개부(112)를 벌린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104)에 의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입되면서, 펼쳐진 날개부(112)가 볼트결합부(21b)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날개부(112)에 의해 심부재(110)의 인출입이 제한되므로, 진동 등에 의해 볼트부재(100)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 압력을 받더라도, 고정된 심부재(110)로 인해 볼트부재(100)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상기 날개부(112)가 너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볼트부재(100)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 누름부(111)를 눌러 심부재(110)를 중공부(103)의 일측 방향으로 인출시켜 날개부(112)가 다시 접히도록 한 후, 누름부(11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접혀진 날개부(112)가 나사부(101)의 타측 끝단부에 접촉되면서 심부재(110)가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풀게 되면, 볼트결합부(21a, 21b)에서 볼트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100)와, 심부재(110)가 동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중공부(103)와 심부재(110)의 외주면 사이에는, 단턱과 걸림홈 또는 다각 형상을 이용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심부재(110)가 중공부(103)에서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딩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A1 : 적재함
A2 : 외측벽
20 : 본체 21 : 지지부재
21a, 21b : 볼트결합공 211 : 적재부
213 : 윈도우 215 : 절곡부
23 : 덮개부재 25 : 안전프레임
27 : 측면프레임 28 : 스포일러
281 : 보조등 30 : 개폐유닛
31 : 개폐부재 311 : 회동부
313 : 스위치 315 : 발광부재
33 : 쇽업쇼바 331 : 충격흡수부재
35 : 패킹부재

Claims (4)

  1. 적재함(A1)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부재(23)와, 상기 덮개부재(23)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20)의 덮개부재(23)에 결합되는 회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A1)의 일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1)와, 상기 개폐부재(31)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부재(31)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쇽업쇼바(33)를 포함하는 개폐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20)의 지지부재(21)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적재함(A1)에 구비되는 외측벽과 밀착되는 절곡부(215)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5)와 외측벽에 각각 구비되는 볼트결합부(21a)(21b)와, 상기 각각의 볼트결합부(21a)(21b)를 체결하는 변형된 볼트부재(100), 상기 변형된 볼트부재(100)에 내삽 구비되는 심부재(110)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부재(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공부(103)가 구비되고,
    상기 심부재(110)는 상기 중공부(103)를 관통하여 인출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 끝단부에 누름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3)는
    상기 적재함(A1) 상부에 이격되어 적재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유닛(30)은 상기 본체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 및 적재부를 모두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3)는
    상기 적재함(A1) 상부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재 상부에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포일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110)에는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복수개의 날개부(11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103)에는 상기 날개부(112)가 볼트결합부(21b)에 걸림 지지되도록 강제하는 코일스프링(10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112)는 일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래치형 부재로써, 날개부와 심부재의 타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힌지부에는 날개부가 심부재의 외주면으로 접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2020160003422U 2016-06-17 2016-06-17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200482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22U KR200482458Y1 (ko) 2016-06-17 2016-06-17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422U KR200482458Y1 (ko) 2016-06-17 2016-06-17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458Y1 true KR200482458Y1 (ko) 2017-01-26

Family

ID=5796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422U KR200482458Y1 (ko) 2016-06-17 2016-06-17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55A (zh) * 2017-08-21 2019-03-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34B1 (ko) * 2015-02-13 2016-06-15 주식회사 신성에스아이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434B1 (ko) * 2015-02-13 2016-06-15 주식회사 신성에스아이 픽업차량용 적재함 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55A (zh) * 2017-08-21 2019-03-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6898B2 (en) Truck bed cover and method thereof
KR100789435B1 (ko) 픽업 트럭용 화물 보호 장치
US20160236724A1 (en) Tailgate with load area extender for utility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20020000732A1 (en) Pick-up box extension
KR100843563B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용 슬라이딩커버 조립체
US7354089B2 (en) Tonneau cover
US20090001770A1 (en) Motor vehicle roof
CN214355792U (zh) 车辆前方储存装置
US6874839B2 (en) Vehicle endgate with integral door
US9854885B2 (en) Roof box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case for a roof box system
US11414928B2 (en) Storage container
US10000245B2 (en) Inflatable panel housing for an aerodynamic fairing assembly
US20060001286A1 (en)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disposed in the rear trunk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roof
KR200482458Y1 (ko)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US6582006B1 (en) Truck bed trunk cover
KR200431629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CN102574489B (zh) 用于配备至设有开口顶板的车辆顶蓬的顶蓬箱
US8523259B2 (en) Tool mounting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200424537Y1 (ko) 픽업형 자동차의 적재함 커버
KR101506687B1 (ko) 캠핑 트레일러
KR200327332Y1 (ko) 윙 바디 트럭의 개폐장치
US20160257238A1 (en) Truck tail door assembly
KR200481413Y1 (ko) 물받이홈을 구비한 화물차량의 지붕 수납장치
KR200362677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덮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