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645A - 트럭결합형 캠핑카 - Google Patents

트럭결합형 캠핑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645A
KR20090054645A KR1020070121429A KR20070121429A KR20090054645A KR 20090054645 A KR20090054645 A KR 20090054645A KR 1020070121429 A KR1020070121429 A KR 1020070121429A KR 20070121429 A KR20070121429 A KR 20070121429A KR 20090054645 A KR20090054645 A KR 2009005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ck
camping
booth
camping booth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택
Original Assignee
티엘엠(주)
정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엘엠(주), 정광택 filed Critical 티엘엠(주)
Priority to KR102007012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645A/ko
Publication of KR2009005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을 갈때 별도의 숙소가 없는 장소에서 숙소로 사용할 수 있는 캠핑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트럭에 상기 캠핑 부스를 설치하여 운행함에 있어 별도로 상기 트럭을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트럭에 캠핑 부스를 결합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트럭,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올려질 수 있고 트럭 좌우 너비와 상응하여 트럭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트럭 좌우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구성되고 내부에 침실 및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춘 캠핑 부스, 상기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트럭 적재함 또는 캠핑 부스 바닥면에 설치되는 암 수 고정 결합구로 구성되거나, 클램프와 고정라인과 클램프와 고정라인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캠핑 부스에는 스스로 상하로 캠핑 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아웃 트리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럭, 캠핑 부스, 캠핑카, 아웃 트리커, 계단

Description

트럭결합형 캠핑카{CAMPING BUTH BASED ON NORMAL TRUCK}
본 발명은 캠핑을 갈때 별도의 숙소가 없는 장소에서 숙소로 사용할 수 있는 캠핑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트럭에 상기 캠핑 부스를 설치하여 운행함에 있어 별도로 상기 트럭을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트럭에 캠핑 부스를 결합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캠핑카는 기본적으로 상기 캠핑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별도의 캠핑 부스를 개발하고 상기 캠핑 부스에 바퀴를 달아서 별도의 차량에 의하여 견인되도록 하는 구조를 하고 있는게 일반적인 구성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차량 후미에 차량 크기와 유사하거나 더 큰 캠팽 부스가 설치되어 차량에 의하여 견인되어 끌려가므로 고도의 차량 운전 능력을 보유한 자만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국가별로 도로 교통법의 차이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별도의 차량에 의하여 견인되는 캠핑 부스는 생산이 금지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캠핑 부스를 구성함에 있어서 트럭에 결합되어 트럭 운행이 가능한 자는 상기 캠핑 부스가 결합되어 캠핑카 역할을 수행하는 캠핑 부스가 결합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형 캠핑카가 출시된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캠핑카는 트럭을 구조변경하여 캠핑 부스가 설치되므로 결과적으로 트럭을 보유한 자라고 하더라도 상기 캠핑 부스와 함께 캠핑 부스가 설치된 트럭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구입비용을 과다하게 지출하여야 하는 큰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여야 상기 트럭형 캠핑카를 보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캠핑 부스를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트럭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트럭을 개조하지 않아도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트럭을 캠핑 부스와 결합하여 캠핑 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캠핑 부스와 트럭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목적하는 바와 같이 트럭을 별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캠핑 부스에 실린더를 부착하여 상기 캠핑 부스를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킨 상태에서 트럭이 후진하여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 화물칸에 안착시킨 후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에 고정시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차량을 캠핑 카로 활용하고 목적지에 도착하여서는 상술한 내용의 역순으로 캠핑 부스를 트럭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종단에는 트럭을 일반 트럭과 같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트럭은 일반적으로 트럭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트럭 구조로 일반적으로 각종 장치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적재함 고리가 부착되어 있 는 트럭으로 차량 출시에서부터 고리가 부착되어 출시되는 게 일반적인 특징인바 상기 고리와 결합하여 캠핑 부스를 트럭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캠핑 부스에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통해 트럭을 개조하지 않아도 캠핑 부스를 트럭과 결합하여 캠핑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캠핑을 갈때 별도의 숙소가 없는 장소에서 숙소로 사용할 수 있는 캠핑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트럭에 상기 캠핑 부스를 설치하여 운행함에 있어 별도로 상기 트럭을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트럭에 캠핑 부스를 결합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부스를 트럭과 결합함에 있어, 트럭을 별도로 개조하지 않고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트럭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과 결합하여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트럭,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올려질 수 있고 트럭 좌우 너비와 상응하여 트럭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트럭 좌우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구성되고 내부에 침실 및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춘 캠핑 부스, 상기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트럭 적재함 또는 캠핑 부스 바닥면에 설치되는 암 수 고정 결합구로 구성되거나, 클램프와 고정라인과 클램프와 고정라인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캠핑 부스에는 스스로 상하로 캠핑 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아웃 트리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캠핑 부스를 트럭과 결합함에 있어, 트럭을 별도로 개조하지 않고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트럭의 용도로 사용하다가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과 결합하여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로서 기본적으로 이동을 위한 운송수단과 각종 편의 시설을 구비하여 캠핑을 편안히 수행할 수 있는 캠핑 부스가 분리되어 있고 상기 운송수단인 트럭(10)과 캠핑부스(20)가 필요에 따라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캡핑카로서 활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핵심적으로는 상기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하여 캥핑카로 활용함에 있어 별도로 트럭을 개조하지 않고 평상시에는 트럭의 기능으로 활용하다 필요에 따라 캠핑 부 스를 설치하여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기존의 발명에서는 상기 트럭과 캠핑부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 캠핑카가 있었으나 기존의 트럭결합형 캠핑카는 트럭을 개조한 후 캠핑 부스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상기 트럭을 일반적인 트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없고 항상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여 캠핑카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의 특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캠핑 부스를 필요에 따라 트럭에 결합하거나 트럭으로부터 분리하여 트럭은 트럭의 기능으로 활용하고 캠핑부스는 별도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캠핑부스를 필요에 따라 견인하여 트럭에 올리거나 트럭으로부터 내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 일차적으로 상기 트럭과 결합되는 캠핑부스에는 지게차 홈(21)을 설치하여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기 캠핑 부스를 들어서 트럭에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추가로 상기 지게차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아웃 트리커를 이용하여 상기 캠핑 부스를 견인하여 트럭에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캠핑 부스를 견인하기 위한 지게차 등은 일반적으로 구비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노천 즉 상기 캠핑 부스를 이용하여 캠핑을 하는 지역에서는 지게차를 구비하기 어려움 상황에 있으므로 상기 캠핑 부스 자체적으로 스스로 견인하여 상기 트럭에 캠핑 부스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캠핑 부스에는 아웃 트리커를 부착하여 캠핑 부스 스스로 상하로 이동하여 트럭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아웃 트리커로서 상기 아웃 트리커(30)는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 트리커의 경우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 부라켓(34)을 구비하여 상기 아웃 트리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캠핑 부스와 밀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아웃 트리커를 이용하여 캠핑 부스를 견인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회전 브라켓을 회전하여 상기 아웃 트리커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하면 일차적으로 상기 아웃 트리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캠핑 부스와 밀착하여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이차적으로는 상기 아웃 트리커를 회전하여 외부로 돌출 시켜 사용할 경우 상기 아웃 트리커와 결합되어 있는 아웃 실린더(31)가 캠핑 부스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외부로 돌출 되기 때문에 상기 아웃 트리커를 이용하여 캠핑 부스를 견인할 경우 트럭이 상기 캠핑 부스 하단으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아웃 실린더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되 그 전력은 트럭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웃 실린더와 연결되어 직접적인 지지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아웃 파이프(32)로서 항상 결합되어 있는 것 보다는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리에 있어서 효과적인데 그 결합은 아웃 고정핀(33)을 이용하는 것이 생산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므로 그 구조가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계단으로서 일차적으로 상기 캠핑 부스가 트럭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캠핑 부스의 출입구는 항상 트럭 적재함 높이에 있기 때문에 손쉽게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캠핑 부스 내부로 출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형태의 계단이 부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계단은 평상시에는 캠핑 부스 하단에 고정되어 안쪽으로 인입되어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으나 상기 계단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인위적으로 상기 계단을 외부로 돌출시켜 캠핑 부스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일차적으로 상기 계단을 외부로 인출 시키면 그 무게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하부로 쳐지게 되는데 이때 계단 경사고정 브라켓(41)에 의하여 계단 사이드 후레임(42)가 걸쳐지게 되므로 상기 경사고정 브라켓의 각도에 맞게 상기 계단이 경사가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계단을 펼치게 되면 계단 플레이트(43)가 돌출되게 되고 상기 계단 플레이트는 수평유지 브라켓(44)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결합구로서 상기 캠핑 부스를 트럭 적재함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대로 주행을 하면 상기 각종 진동 및 기타 충격에 의하여 상기 캠핑 부스가 트럭으로부터 분리되어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럭 적재함 뒤편에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를 제거하게 되면 볼트 형태의 고정부(52)가 남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의 역할을 트럭에서 트럭 적재함 후면의 게이트를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고정라인(51)을 걸어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장 바람직한 고정라인으로는 충분한 인장력을 갖추고 있는 쇠사슬을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 쇠사슬은 먼저 일정한 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보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고정라인을 캠핑 부스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캠핑 부스에 클램프(5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라인과 클램프에 설치된 고리를 결합하여 클램프 손잡이를 동작시키면 캠핑 부스와 트럭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되고 캠핑 부스의 전면에는 트럭의 운전석 뒷면이 위치하기 때문에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튼튼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암 고정 결합구 설치도로서 트럭에 설치되는 암 고정 결합구(60)는 트럭 적재함 바닥에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트럭 적재함 바닥에 상기 고정 결합구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선정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볼트 결합 방식은 그 위치 선정을 위한 볼트 자리가 정확하게 정해진 경우에는 손쉽게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트럭에 캠핑 부스를 설치하거나 캠핑 부스를 제거하고 트럭 본래의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트럭의 특성을 전환하는데 있어서 큰 무리없이 쉽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와 고정부를 사용하여 추가로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하여 고정할 경우에 더욱 안정적으로 트럭에 결합 되어 캠핑가 역할을 수행하는 트럭 결합형 캠핑 카를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고정 결합구 상세도로서 그 구성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고정 결합구는 암 고정 결합구와 수 고정 결합구로 구성되어 암수가 서로 한쌍이 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암 고정 결합구(60)를 트럭 적재함 바닥에 설치할 경우 수 고정 결합구(70)는 캠핑 부스 아래 바닥에 설치하여 캠핑 부스를 트럭 적재함에 올려놓을 때 암수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되고 때에 따라 암 고정 결합구를 캠핑 부스 아랫면에 설치하는 경우 수 고정 결합구를 트럭 적재함 바닥에 설치하는 것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설치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암 고정 결합구에 볼트홀(62) 뚫어두고 암 고정 결합구 볼트홀에 볼트를 이용하여 트럭 적재함 바닥면과 결합하게 되고, 수 고정 결합구의 경우 수 고정 결합구에 설치된 수 고정 결합구 볼트홀(71)에 볼트를 이용하여 캠핑부스 하면 바닥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암수 고정 결합구의 결합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암 고정 결합구를 트럭 적재 함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캠핑 부스를 트럭 적재함에 올려놓는 경우 트럭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수 고정 결합구와 동일한 위치에 암 고정결합구의 위치가 일치하여야 하고, 수 고정 결합구를 암 고정 결합구에 결합시키면 암 고정 결합구에 설치된 암 고정핀 홀(63)과 수 고정핀 홀(72)가 서로 일치 되므로 결국 암수 고정핀(61)을 이용하여 암 고정핀 홀에 찔러 넣게 될 경우 수 고정핀 홀을 관통하여 다시 반대쪽에 있는 암 고정핀 홀로 암수 고정핀이 돌출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암수 고정핀(61)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이 구멍에 핀(64)을 찔러 넣게 되면 핀의 구조상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암 및 수 고정 결합구는 강력한 체결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캠핑을 갈때 별도의 숙소가 없는 장소에서 숙소로 사용할 수 있는 캠핑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트럭에 상기 캠핑 부스를 설치하여 운행함에 있어 별도로 상기 트럭을 개조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트럭에 캠핑 부스를 결합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트럭,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올려질 수 있고 트럭 좌우 너비와 상응하여 트럭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트럭 좌우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구성되고 내부에 침실 및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춘 캠핑 부스, 상기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구는 트럭 적재함 또는 캠핑 부스 바닥면에 설치되는 암 수 고정 결합구로 구성되거나, 클램프와 고정라인과 클램프와 고정라인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캠핑 부스에는 스스로 상하로 캠핑 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아웃 트리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각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화하여 생산하게 될 경우 국 내외적으로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효과에 있어서 큰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아웃 트리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계단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결합구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암 고정 결합구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럭 결합형 캠핑카 고정 결합구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럭 20: 캠핑부스
21: 지게차 홈 30: 아웃 트리커
31: 아웃 실린더 32: 아웃 파이프
33: 아웃 고정핀 34: 회전 브라켓
40: 계단 41: 계단경사 고정 브라켓
42: 계단 사이드 후레임 43: 계단 플레이트
44: 수평유지 브라켓 50: 클램프
51: 고정라인 52: 고정부
60: 암 고정 결합구 61: 암수 고정핀
62: 암 고정 결합구 볼트 홀 63: 암 고정핀 홀
64: 핀 70: 수 고정 결합구
71: 수 고정 결합구 볼트 홀 72: 수 고정핀 홀

Claims (3)

  1. 이동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트럭;
    상기 트럭의 적재함에 올려질 수 있고 트럭 좌우 너비와 상응하여 트럭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거나 트럭 좌우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구성되고 내부에 침실 및 각종 편의 시설을 갖춘 캠핑 부스;
    상기 캠핑 부스와 결합되어 설치되고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트럭을 별도로 개조하지 않고 트럭과 캠핑 부스를 결합하여 캠핑카로 활용할 수 있는 트럭 결합형 캠핑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트럭 적재함 또는 캠핑 부스 바닥면에 설치되는 암 수 고정 결합구로 구성되거나, 클램프와 고정라인과 클램프와 고정라인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결합형 캠핑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 부스에는 스스로 상하로 캠핑 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아웃 트리커가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결합형 캠핑카.
KR1020070121429A 2007-11-27 2007-11-27 트럭결합형 캠핑카 KR20090054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429A KR20090054645A (ko) 2007-11-27 2007-11-27 트럭결합형 캠핑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429A KR20090054645A (ko) 2007-11-27 2007-11-27 트럭결합형 캠핑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645A true KR20090054645A (ko) 2009-06-01

Family

ID=40986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429A KR20090054645A (ko) 2007-11-27 2007-11-27 트럭결합형 캠핑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645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87B1 (ko) * 2010-11-01 2013-07-05 (주)새시대 트럭용 캠핑박스 지지대
KR101324789B1 (ko) * 2013-02-28 2013-10-31 이태호 이동식 캠핑 트레일러
KR101462840B1 (ko) * 2014-06-26 2014-11-17 안광빈 차량 적재함에 탈부착되는 캠핑장치
KR101506687B1 (ko) * 2013-05-15 2015-03-30 석주호 캠핑 트레일러
KR20190074003A (ko) * 2017-12-19 2019-06-27 코스텍유한회사 확장 가능한 트럭 캠퍼
KR20190113084A (ko) 2018-03-27 2019-10-08 안광빈 캠퍼
KR20200097605A (ko)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가자 주행 유동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캠핑부스 탑재유닛
CN114162033A (zh) * 2021-12-27 2022-03-11 湖南文辉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空间利用率高的拖挂式房车车厢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87B1 (ko) * 2010-11-01 2013-07-05 (주)새시대 트럭용 캠핑박스 지지대
KR101324789B1 (ko) * 2013-02-28 2013-10-31 이태호 이동식 캠핑 트레일러
KR101506687B1 (ko) * 2013-05-15 2015-03-30 석주호 캠핑 트레일러
KR101462840B1 (ko) * 2014-06-26 2014-11-17 안광빈 차량 적재함에 탈부착되는 캠핑장치
KR20190074003A (ko) * 2017-12-19 2019-06-27 코스텍유한회사 확장 가능한 트럭 캠퍼
KR20190113084A (ko) 2018-03-27 2019-10-08 안광빈 캠퍼
KR20200097605A (ko)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가자 주행 유동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캠핑부스 탑재유닛
CN114162033A (zh) * 2021-12-27 2022-03-11 湖南文辉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空间利用率高的拖挂式房车车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4645A (ko) 트럭결합형 캠핑카
US5489111A (en) Hidden trailer hitch
US5051046A (en) Semi trailer convertible for hauling automobiles
US20100104408A1 (en) Trailer for transporting freight containers and method of use
US9359029B2 (en) Weight transferring tow dolly
US9868380B2 (en) Transportable drop trailer
US4807894A (en) Trailerable structure and components for use therewith
US10358158B2 (en) Multi-function convertible trailer and towing structure
CA2999431A1 (en) Vertically collapsible semi-truck trailer
US6942443B2 (en) Wheel-lift device with tongue for towing vehicles
US4200305A (en) Trailer assembly for carrying overwidth loads
CN103182976A (zh) 自卸半挂车
US3460696A (en) Multipurpose trailer
WO2019148237A1 (en) Height adjustable trailer
US4923243A (en) Trailer transport device
US8186704B2 (en) Gooseneck trailer attachment assembly and center deck elevation system
US2667363A (en) Coupling for tractor and semitrailer units
US11708018B2 (en) Enclosed rollback tow truck bed and frame assembly
US6631917B1 (en) Trailer hitch support body
US20050158161A1 (en) Wheel-lift device with tongue for towing vehicles -(3)
JP6664802B1 (ja) トレーラーハウスのシャシー構造
US3752493A (en) Retractable and detachable wheel assembly
KR200166923Y1 (ko) 관성제동 시스템의 소형 트레일러
CN101362540B (zh) 运输方法
US3532362A (en) Articulated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