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709B1 -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709B1
KR101504709B1 KR1020120102740A KR20120102740A KR101504709B1 KR 101504709 B1 KR101504709 B1 KR 101504709B1 KR 1020120102740 A KR1020120102740 A KR 1020120102740A KR 20120102740 A KR20120102740 A KR 20120102740A KR 101504709 B1 KR101504709 B1 KR 10150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electrolyte
silicon particles
carbon composite
amorphous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535A (ko
Inventor
강용묵
이영민
송경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709B1/ko
Priority to PCT/KR2013/008392 priority patent/WO2014042485A1/ko
Priority to US14/418,434 priority patent/US10020497B2/en
Publication of KR2014003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spra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삽입 시 부피팽창이 적고 이온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높은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실리콘-카본 복합체가 적용된 음극 및 이의 전기화학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카본 복합체를 사용하여 실리콘과 탄소 섬유를 복합화하고 실리콘 입자의 표면을 비정질 실리카로 코팅함에 의해 리튬 이온 삽입 시 부피 팽창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이온전도도 및 전기전도도를 가져 높은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를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하여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쿨롱 효율, 용량의 향상, 율속 특성 등 전기화학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삽입 시 부피팽창이 적고 이온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높은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실리콘-카본 복합체가 적용된 음극 및 이의 전기화학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전지 시장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정보통신기기 사용량의 향상과 함께 인체삽입형 전지와 같은 초소형 전지,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 PHEV)나 전기자동차(EV)와 같은 중대형 전지, 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용과 같은 대형 전지 등 많음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를 위해 고성능 활물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 시스템은 이온과 전자가 동시에 이동하여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인 만큼 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액의 고성능화도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음극 활물질로서 상용화된 탄소계 활물질은 전지의 활물질로서 제반 특성이 우수하나 이론 용량이 372 mAh/g으로 한정되어 있어 고에너지밀도를 요구하는 미래 적용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탄소 음극 소재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이 중 실리콘(Si)은 4200 mAh/g으로 높은 방전용량을 나타냄은 물론 리튬 반응 전위가 0.4 V(Li/Li+)로 매우 낮기에 대체 음극 물질로 촉망받고 있다. 그러나 충전시 발생하는 부피팽창으로 인해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거나 새로운 표면의 창출을 통해 전해질 분해 반응이 커져 수명 특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한 해결방법은 Si계 음극소재 크기의 나노화, 부피팽창을 억제할 수 있는 불활성 매트릭스의 도입 등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전기화학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차전지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국내등록특허 제059596호 국내등록특허 제104200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실리콘과 카본의 독특한 구조에 의해 충방전 시 부피 팽창이 적고 우수한 이온전도도 및 전기전도도를 가져 높은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쿨롱 효율, 용량의 향상, 율속 특성 등 전기화학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카본 복합체가 사용된 것이고, 전해질은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가 첨가된 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상기 실리콘 입자는 상기 카본 나노파이버의 섬유 내부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 입자의 함량은 3 내지 60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입자 및 상기 비정질 실리카의 전체 중량 대비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가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예를 들어 고분자 물질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물을 열처리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는 36% 이하의 습도 및 34℃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방사는 17 gauge 내지 25 gauge의 분사구를 사용하여 0.5 kV/cm 내지 3.0 kV/cm 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는 230 내지 350℃의 온도로 1 내지 10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 후, 500 내지 900℃의 온도로 1 내지 7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열처리는 불활성 기체와 환원성 기체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는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 혼합한 후, 혼합 용액에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조된 전해질을 사용한다.
상기 리튬염으로는 LiPF6, LiBF6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 용매는 PC, EC, DMC, DEC 및 이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헬륨(He),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리튬이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자동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카본 복합체를 사용하여 실리콘과 탄소 섬유를 복합화하고 실리콘 입자의 표면을 비정질 실리카로 코팅함에 의해 리튬 이온 삽입 시 부피 팽창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이온전도도 및 전기전도도를 가져 높은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는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쿨롱 효율, 용량의 향상, 율속 특성 등 전기화학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서 실리콘-카본 복합체에 대해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과 본 발명의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수명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서 실리콘-카본 복합체 및 실리콘 금속에 대해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과 본 발명의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용량 유지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실리콘-카본 복합체에 대해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과 본 발명의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율속 특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리튬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에서의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은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카본 복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카본 나노파이버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SiO2)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비정질 실리카에 의해 코팅된 실리콘 입자는 카본 나노파이버의 섬유 내부에 분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일차원 구조를 갖는 섬유형의 혼합체로서 비정질 실리카가 코팅된 실리콘과 카본의 복합체이며, 탄소와의 복합화로 인해 실리콘 금속에 비해 리튬 이온의 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실리콘 금속 입자에 코팅된 비정질 실리카 및 카본에 의해 리튬 이온 삽입 시 부피 팽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상기 실리콘 입자의 함량은 3 내지 60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입자의 함량이 60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 카본 나노파이버가 적절히 실리콘을 감싸지 못해 부피팽창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3 부피%에 미달하는 경우 리튬과 합금하는 주요 활물질인 실리콘의 양이 적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지나치게 낮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실리콘 입자 및 상기 비정질 실리카의 전체 중량 대비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가 바람직하다. 비정질 실리카의 중량비가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주요 활물질인 실리콘의 부피팽창은 더욱 제어할 수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지나치게 낮게 되는 문제가 있고, 0.1 중량%에 미달하는 경우 비정질 실리카가 실리콘의 부피팽창을 제어하는데 무리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고분자 물질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물을 열처리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은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탄소를 제공하는 전구체로서, 탄화에 의해 탄소의 제공이 가능한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분자 물질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물질은 친수성, 소수성과 같은 고분자의 고유 특성에 따라 녹일 수 있는 용매가 한정되어 있어 적절한 용매와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용액 제조 시 고분자 물질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전기방사 시 낮은 점도에 의해 구조마다 비드(bead)라는 일종의 뭉친 부분이 생겨 일정한 두께의 균일한 섬유가 제작되지 못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분자의 양이 너무 많아 이후 실리콘 입자들의 서로 뭉쳐 탄소가 적절히 실리콘 입자의 부피 팽창을 제어할 수 없게 되고 부분적으로 고분자 물질들이 뭉쳐 비드가 생기고 두께가 불균일하게 제작된다.
혼합 용액 제조를 위한 용매로는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부탄올(putha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IPA),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톤(acetone), 데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톨루엔(toluene), 디메틸아세타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혹은 증류수(H2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는 최대 120도 내외에서 끓는점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고분자 물질의 친수성이나 소수성에 맞추어 사용하고 친수성을 가지는 고분자의 경우 유기용매뿐만 아니라 물(H2O, 증류수)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중 고분자 물질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사용 시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용액의 제조시 혼합 용액을 25 내지 80℃의 온도로 교반(stirring)함으로써 균질한 용액을 얻을 수 있다.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용해 시 고분자 물질의 특성에 따라 용해되는 온도가 다르고 적절한 온도에서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른 형태의 섬유 구조가 제작되지 않고 전기방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특히,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 용해 시 60℃ 정도에서 용해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리콘 입자는 고분자 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최종 제조된 실리콘-탄소 복합체에 함유된 실리콘의 양이 적어 전극으로서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표면에 비정질 실리카(SiO2)가 코팅된 실리콘-탄소 복합체의 제조 시 실리콘 입자들의 높은 표면 에너지로 인해 서로 뭉쳐 많은 부분에서 2차상을 이루어 고분자 물질이 탄화되어 생성되는 탄소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여 부피 팽창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게 된다.
제조된 혼합용액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로 제조한다. 전기방사법은 통상의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의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 공급기를 통해 공급된 용액을 방사하기 위한 방사노즐,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되는 섬유를 집적하는 수집기, 및 방사노즐과 수집기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용액을 전기방사장치의 공급기를 통해 공급하고, 상기 공급기를 통해 공급된 혼합용액이 이송되어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될 때, 전압발생기로부터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혼합용액이 방사되어 상대적으로 음(-) 전압을 띤 수집기에 의해 수집 된다.
전기방사는 양(+) 전압에 의해 용매는 휘발되고 동시에 고분자 물질이 용액에 포함된 실리콘을 감싼 상태로 고분자 체인(polymer chain)이 늘어지게 되어 1차원 구조로 길게 늘어나면서 섬유 구조로 제조된다. 전기방사된 섬유형의 물질은 전기장에 의해 상대적으로 음(-) 전하를 가진 수집기로 향하여 수집된다. 전기 방사시의 양, 음 전압은 고분자 물질과 용매에 의해 변하게 된다.
전기방사 시 거리 당 인가전압(kV/cm), 용액 주사량(ml/min, ml/h, l/h), 분사구(nozzle, needle)에 의해 두께 조절과 제조되는 섬유의 질 등이 결정된다. 전기방사 시 양(+)의 인가전압은 고분자 물질의 고유 특성과 더불어 수집기와 분사구 사이의 거리에 의해 조절된다. 용액 주사량의 경우 빠르게 주사할 경우 더 높은 양(+)의 인가전압을 필요로 하며 시간에 따른 제조량이 조절 가능하다. 또한 분사구의 종류에는 일반적으로 15 gauge(내부직경 약 1.4 mm)부터 32 gauge(내부 직경 약 0.1 mm)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에 따른 분사구의 종류가 있으나 전기방사용 분사구는 먼저 고분자 물질의 따라 결정되고, 분사구의 종류 중 17 gauge(내부 직경 약 1.05 mm)에서 25 gauge(내부 직경 약 0.25 mm)정도가 적당하며 분사구의 선택에 따라 제조되는 섬유의 균일성과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한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은 이후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실리콘 입자를 부분적으로 산화시키고 동시에 고분자 물질을 탄화시켜 복합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표면에 비정질 실리카(SiO2)가 코팅된 실리콘(SiOx, 0≤x≤2)-카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230 내지 300℃의 온도로 1 내지 10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 후, 불활성 기체와 환원성 기체의 혼합 분위기 하에서 500 내지 900℃의 온도로 1 내지 7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용액의 열처리는 230℃에서 7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 후, 700℃에서 1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열처리 시 온도가 230℃ 미만일 경우에는 고분자와 실리콘 입자가 용해되어 있는 용매와 수분 등이 충분히 증발하게 되지 못하여 열처리 후 분말형태로 수득 가능한 상태가 되지 못하는 문제 또는 2차 열처리 시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고, 3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매와 수분지 증발되지 못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먼저 탄화가 되어 구조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2차 열처리 시 온도가 500℃ 미만일 경우에는 고분자 물질이 충분히 탄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9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실리콘 입자가 너무 많이 산화되어 전기화학적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Si 양이 너무 적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여기서 불활성 기체로는 헬륨(He),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추가할 수 있는 환원성 기체로는 수소(H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분자 물질의 탄화로 인한 탄소가 모두 휘발되어 구조를 지지하지 못하고 탄소 없이 표면에 다량의 비정질 실리카(SiO2)만 존재하는 구조가 되어 전기화학적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를 하게 되면 1차 열처리에 의해 고분자 물질의 열분해 및 용매의 증발을 통해 일차원 섬유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실리콘 복합체를 얻게 되며, 이렇게 얻어진 복합체를 바로 2차 열처리함으로써 구조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영향 없이 실리콘 입자를 부분적으로 산화시키고 고분자 물질을 탄화시켜 표면에 일차원 섬유 구조의 비정질 실리카(SiO2)가 코팅된 실리콘-카본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미세다공질막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전해질이란 유기용매에 이온원인 용질을 용해시킨 것이지만,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은 리튬이온을 원활하고 폭넓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전지의 전해액과는 그 의미가 약간은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리튬염 및 유기 용매의 혼합 용액에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음극 활물질인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실리콘의 표면특성을 개선하여 충전 시 발생하는 PF6와 같은 부산물에 의한 공격을 방지하여 수명 특성뿐만 아니라 쿨롱 효율, 용량의 향상, 율속 특성 등 전반적인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해질에서 상기 리튬염으로는 LiPF6, LiBF6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용매는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ene carbonate), DEC(diethylene carbonate) 및 이의 혼합 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 혼합한 후, 혼합 용액에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t-펜틸벤젠 등의 첨가제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기체로는 헬륨(He),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크세논(X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해질에 첨가되는 상기 첨가제는 전해질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3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실리콘 산화물-카본 복합체의 제조 및 이에 적합한 전해질의 제조
(1) 비정질 실리카(SiO2)가 코팅된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제조
먼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디메탈폼아마이드를 질량비 11:89로 하여 60℃의 온도로 가열해 용해시킨 후, 실리콘 입자 분말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대비 2:8 비율로 넣고 교반하여 균질한 혼합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장치의 공급기를 통하여 공급하고, 이송된 혼합 용액을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할 때 0.7 kV/cm 이상의 양(+)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된 섬유를 집적되는 상대적으로 음(-) 전압을 띤 수집기를 통하여 수집하는 전기방사법에 의해 일차원 구조를 갖는 섬유형 혼합체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섬유형 혼합체를 공기 분위기 하에서 280℃에서 5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 다음, 곧이어 불활성 가스와 환원성 가스의 혼합 상태인 아르곤/수소 혼합 가스(Ar/H2 5%) 분위기 하에서 700℃에서 1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여 일차원 구조의 비정질 실리카(SiO2)가 코팅된 실리콘-카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2) 전해질의 제조
리튬염인 LiPF6을 Ar 분위기에서 1:1 부피비로 섞인 EC/DEC 유기용매에 혼합하여 일반적인 전해질을 얻었다. 그 후 상기 제조된 혼합 용액에 FEC 첨가물을 Ar분위기에서 일정량 넣고 혼합하여 LiPF6 이 혼합된 EC/DEC (1:1, v/v)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수명 특성 비교
실시예 1의 전해질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 대해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과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수명 특성 분석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에서 실리콘 산화물의 경우 20번째 방전 전후로 수명 특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50번째 방전 용량이 첫 번째 용량에 비해 50% 정도 밖에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실시예 1에서의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첫 번째 방전 용량에 비해 크게 감소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됨을 보였다. 또한 FEC를 첨가하지 않은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평균 98% 정도의 쿨롱 효율을 보이는 반면, FEC를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평균 99.8%의 매우 높은 쿨롱 효율을 보여 충전시 합금화된 리튬이 방전 시 거의 전부 탈리됨을 보였다.
실험예 2. 실리콘-카본 복합체 및 실리콘 금속을 사용한 경우의 용량 유지 특성 비교
실시예 1의 전해질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 및 실리콘 금속에 대해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과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용량 유지 특성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충방전이 50번 반복됨에 따라 FEC를 첨가하지 않은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50% 정도 방전 용량을 유지하는 반면, FEC를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한 경우 80% 정도 방전 용량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탄소에 의해 완벽히 감싸져있지 못한 실리콘 산화물까지 FEC가 표면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서 분해된 전해질 부산물과의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용량 유지 특성을 향상시킴을 보인다. 실리콘-카본 복합체뿐만 아니라 실리콘 금속을 FEC 첨가 전해질로 사용한 결과 FEC를 첨가하지 않은 전해질에 비하여 수명특성이 매우 높아지고 40번의 충방전이 지속됨에 따라 용량 유지 특성을 거의 보이지 않은 일반적인 전해질의 경우와 비교해 실시예 1의 FEC를 첨가한 전해질의 경우 50번의 충방전 이후로도 30% 정도의 용량 유지 특성을 보여 확실한 특성 변화를 보였다.
실험예 3.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의 율속 특성 비교
실시예 1의 전해질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FEC를 첨가하지 않은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과 FEC를 첨가한 LiPF6이 혼합된 EC/DEC(1:1, v/v) 전해질을 각각 사용하여 율속 특성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을 참조하면, FEC를 첨가하지 않은 전해질을 사용한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경우 율속 특성을 가지고는 있으나 5C에서 첫 번째 방전 용량과 비교해 10%정도의 용량을 보이고 있지만 실시예 1에서의 FEC를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한 실리콘-카본 복합체의 경우 5C에서도 60% 이상의 높은 용량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FEC를 첨가한 전해질의 경우 실리콘의 표면특성을 개선하여 충전 시 발생하는 PF6와 같은 부산물에 의한 공격을 방지하여 수명 특성뿐만 아니라 쿨롱 효율, 용량의 향상, 율속 특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되어 실리콘-카본 복합체와 같은 실리콘 음극용 전해질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로서,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카본 복합체가 사용된 것이고, 전해질은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및 t-펜틸벤젠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가 첨가된 전해질이며,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카본 나노파이버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에 의해 코팅된 것이고,
    상기 실리콘 입자는 상기 카본 나노파이버의 섬유들 사이에 분산된 것이며,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상기 실리콘 입자의 함량은 3 내지 60 부피%이고,
    상기 실리콘 입자 및 상기 비정질 실리카의 전체 중량 대비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이며,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고분자 물질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물을 열처리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36% 이하의 습도 및 34℃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17 gauge 내지 25 gauge의 분사구를 사용하여 0.5 kV/cm 내지 3.0 kV/cm 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230 내지 300℃의 온도로 1 내지 10시간 동안 1차 열처리한 후, 500 내지 900℃의 온도로 1 내지 7시간 동안 2차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열처리는 불활성 기체와 환원성 기체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염 및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및 t-펜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가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 또는 LiBF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PC(propylene 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ene carbonate), DEC(diethylene carbonate) 및 이의 혼합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15. 양극,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카본 복합체가 적용된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으로,
    리튬염 및 유기 용매를 불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 혼합한 후, 혼합 용액에 FEC, VEC, VC, EC, DFEC, t-부틸벤젠 및 t-펜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고 혼합하여 전해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카본 나노파이버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에 의해 코팅된 것이고,
    상기 실리콘 입자는 상기 카본 나노파이버의 섬유들 사이에 분산된 것이며,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에서 상기 실리콘 입자의 함량은 3 내지 60 부피%이고,
    상기 실리콘 입자 및 상기 비정질 실리카의 전체 중량 대비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은 0.1 내지 25 중량%이며,
    상기 실리콘-카본 복합체는 고분자 물질 및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일차원 구조의 복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물을 열처리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PVA),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는 헬륨(He),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또는 크세논(X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17. 제1항, 제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튬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20102740A 2012-09-17 2012-09-17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40A KR101504709B1 (ko) 2012-09-17 2012-09-17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3/008392 WO2014042485A1 (ko) 2012-09-17 2013-09-17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14/418,434 US10020497B2 (en) 2012-09-17 2013-09-17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40A KR101504709B1 (ko) 2012-09-17 2012-09-17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35A KR20140036535A (ko) 2014-03-26
KR101504709B1 true KR101504709B1 (ko) 2015-03-20

Family

ID=5027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40A KR101504709B1 (ko) 2012-09-17 2012-09-17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20497B2 (ko)
KR (1) KR101504709B1 (ko)
WO (1) WO20140424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049B2 (en) 2016-06-02 2023-11-07 Lg Energy Solution, Ltd. Carbon-based fiber sheet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716B1 (ko) * 2014-06-30 2016-10-07 주식회사 지엘비이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나노실리콘제이산화물과 카본이 복합화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그 음극활물질을 사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31300B1 (ko) * 2014-09-11 2016-06-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영동 증착법을 이용한 니켈/구리 촉매기반 SiO/계 탄소 나노섬유 합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314042B1 (ko) 2015-06-09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복합체, 상기 음극 활물질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EP3293801A1 (en) 2016-09-12 2018-03-14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Electrode with an improved security behavior and battery cell comprising the same
WO2018139808A1 (ko) * 2017-01-26 2018-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0165291B (zh) * 2018-02-11 2020-07-17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969483B2 (ja) * 2018-04-09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830506B2 (en) 2018-04-18 2020-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Variable speed magneto-caloric thermal diode assembly
CN110571409B (zh) * 2018-06-05 2023-08-08 微宏先进材料公司 一种负极材料的制备方法、负极材料及锂电池
KR20200032517A (ko) 2018-09-18 2020-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US10950846B2 (en) * 2019-01-03 2021-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in situ growth of axial geometry carbon structures in electrodes
JP7187696B2 (ja) 2019-03-08 2022-12-12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硫黄‐ドーピングシリコン負極材、その製造方法、前記負極材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及び前記負極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20210328214A1 (en) 2019-03-08 2021-10-21 Lg Chem, Ltd. Sulfur-doped silicon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ame,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negative electrod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negative electrode
US11916218B2 (en) * 2019-11-08 2024-02-27 Eneva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nitrogen as a stabilization gas of polyacrylonitrile (PAN)
KR20210057610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CN112226841B (zh) * 2020-10-23 2022-12-23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水溶性聚合物/无机纳米粉体复合纤维的制备方法及装置、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717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리튬 이차 전지
KR20100063747A (ko) * 2007-09-06 2010-06-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온 축적·방출 재료의 제조 방법, 리튬 이온 축적·방출 재료 및 상기 재료를 사용한 전극 구조체 및 축전 디바이스
KR20120100868A (ko) * 2009-09-03 2012-09-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3702B (en) 2004-12-31 2006-10-11 Ind Tech Res Inst Anode materials of secondary lithium-ion battery
KR101042009B1 (ko) 2008-09-30 2011-06-16 한국전기연구원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그 음극 활물질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JP5659696B2 (ja) * 2009-12-24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動工具、電気自動車および電力貯蔵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717A (ko) * 2005-12-07 2007-06-12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리튬 이차 전지
KR20100063747A (ko) * 2007-09-06 2010-06-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온 축적·방출 재료의 제조 방법, 리튬 이온 축적·방출 재료 및 상기 재료를 사용한 전극 구조체 및 축전 디바이스
KR20120100868A (ko) * 2009-09-03 2012-09-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1049B2 (en) 2016-06-02 2023-11-07 Lg Energy Solution, Ltd. Carbon-based fiber sheet and lithium-sulfur battery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485A1 (ko) 2014-03-20
US20150188126A1 (en) 2015-07-02
KR20140036535A (ko) 2014-03-26
US10020497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709B1 (ko) 개선된 전기화학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8986577B2 (en) Silicon-carbon composite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140129B1 (ko) 메쉬 형태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u et al. PVDF-HFP/PET/PVDF-HFP composite membrane for lithium-ion power batteries
KR20190065172A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17975A (ko) 황-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1936530B1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음극용 탄소질 재료의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음극용 탄소질 재료
KR101880603B1 (ko)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용 실리콘 산화물-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
US10224565B2 (en) High energy density secondary lithium batteries
KR101993539B1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음극용 탄소질 재료
KR101613518B1 (ko) 탄소-실리콘 복합 전극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78936A1 (en) Sulfur-carbon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2019012334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For A Lithium-Sulfur Battery Using Li2S As An Active Material
US9734928B2 (en) Method for preparing silicon oxide-carbon composite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20200049685A (ko)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211528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8066128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US20120028116A1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made with said composition,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KR102617872B1 (ko)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Sandhya et al.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ation of electrospun lithium titanate ultrafine fibres
KR101679367B1 (ko) 탄소-실리콘 복합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89831A (ko) 황-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1726187B1 (ko)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배터리 양극용 나노섬유의 제조 방법
JP2007207654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20190007639A (ko) 리튬 공기 전지용 양극의 제조 방법 및 리튬 공기 전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