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565B1 - 글라스 런 채널 - Google Patents

글라스 런 채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565B1
KR101503565B1 KR1020110027289A KR20110027289A KR101503565B1 KR 101503565 B1 KR101503565 B1 KR 101503565B1 KR 1020110027289 A KR1020110027289 A KR 1020110027289A KR 20110027289 A KR20110027289 A KR 20110027289A KR 101503565 B1 KR101503565 B1 KR 10150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 channel
polymer material
coating layer
seal lip
glass 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090A (ko
Inventor
요시노리 고토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 B60J10/26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the surface being primarily decor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2Reinforcement elements including foams or expand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런 채널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및 외측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고, 내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내측의 연결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1 표면을 덮는 내측의 피복층과, 외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외측의 연결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제2 표면을 덮는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글라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
관련된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0년 6월 21일자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40385호 및 2010년 12월 28일자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93104호의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그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 도어나 리어 도어에 이용되는 글라스 런 채널(glass run channel)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의 프론트 도어나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창틀의 런 장착부(run mounting portion)에 장착되어 창판(窓板, windowpane)을 승강 안내하는 글라스 런 채널에는, 고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나 다른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는, 글라스 런 채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는 기저부(基底部)와, 내측의 측벽부와 외측의 측벽부, 창판의 각 면에 각각 탄성 접촉 가능한 내측의 씰립(seal lip)과 외측의 씰립, 각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의 장식부와 외측의 장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 기술로는, 장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내측 및 외측의 양 장식부의 표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구조의 글라스 런 채널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공개 평11-180157호 및 일본특허출원공개 2002-002303호 참조).
관련 기술에 있어서는, 내측 및 외측의 양 장식부의 표면에 양 장식부와는 다른 재료로 되는 피복층이 형성되어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측 및 외측의 양 장식부와 각각의 피복층과의 사이에 수축 정도의 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피복층을 포함하는 내측 및 외측의 양 장식부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내측 및 외측의 양 장식부와 창틀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외관 품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층을 포함하는 내측의 장식부 및 외측의 장식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을 억제하는 글라스 런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차량용 도어의 창틀의 런 장착부에 장착되어 창판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기다란 형상으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글라스 런 채널로서, 상기 글라스 런 채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런 채널 본체는 상기 창판의 단면(端面)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내측의 측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다른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외측의 측벽부와,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서 돌출하고 상기 창판의 제1 표면에 탄성 접촉 가능한 내측의 씰립과,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서 돌출하고 상기 창판의 제2 표면에 탄성 접촉 가능한 외측의 씰립과,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외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외측의 장식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의 측벽부와 상기 외측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장식부와 상기 내측 씰립 사이가 내측의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외측 장식부와 상기 외측 씰립 사이가 외측의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상기 내측 장식부의 표면과 상기 내측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런 채널 본체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측의 피복층과, 외측 장식부의 표면과 내측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런 채널 본체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작은 발포 배율을 갖거나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의한 글라스 런 채널을 사용한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가 프론트 도어의 창틀과 리어 도어 창틀에 각각 장착된 상태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글라스 런 채널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의한 글라스 런 채널의 횡단면도.
도 5는 참고예의 글라스 런 채널의 횡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 1을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로서의 프론트 도어(10)를 형성하는 도어 패널(door panel)(12)에는, 창틀(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창틀(20)에는, 런 장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런 장착부(25)는 도어 패널(12)을 구성하는 외측 패널(13) 및 내측 패널(14)에 의해 개구측이 좁고 안쪽측이 넓은 단차(段差)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로서의 프론트 도어(10)의 창틀(20)에는, 창판(15)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30)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며 폴리머 재료(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30)는 압출성형에 의해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제4 글라스 런 채널(31, 32, 33, 34)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제3 접속체(41, 42, 43)를 갖고 있다.
프론트 도어(10)의 상변부(上邊部) 및 전방 사변부(斜邊部)를 따라 장착된다.
제1 글라스 런 채널(31)의 후단(後端)에는, 제1 접속체(코너(corner) 접속체)(41)에 의해 제2 글라스 런 채널(32)의 상단(上端)이 연결되어 있다. 제2 글라스 런 채널(32)은 프론트 도어(10)의 후방 종변부(縱邊部)를 따라 장착된다.
또한, 제1 글라스 런 채널(31)의 전단(前端)에는, 제2 접속체(코너 접속체)(42)에 의해 제3 글라스 런 채널(33)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3 글라스 런 채널(33)은 프론트 도어(10)의 전방 쿼터 윈도우(quarter window)의 후연(後緣)으로부터 도어의 안쪽까지 뻗는 전방 종프레임부(vertical frame portion)를 따라 장착된다.
또한, 제2 글라스 런 채널(32)의 하단(下端)은 도어 내에 배치되고, 이 하단에는, 제3 접속체(43)에 의해 제4 글라스 런 채널(34)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4 글라스 런 채널(34)은 도어 내의 후방 종프레임부를 따라 장착된다.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30)를 구성하는 제1∼제4 글라스 런 채널(31∼34) 중, 제1 글라스 런 채널(3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형상을 갖는 압출성형물에 의해 구성된다.
제1 글라스 런 채널(31)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50)는 창판(15)의 단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저부(51)와, 기저부(51)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외측의 측벽부(52)와, 기저부(51)의 다른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내측의 측벽부(53)를 갖는다. 외측의 측벽부(52)와 내측의 측벽부(53)는 창판(15)의 주변부가 승강될 수 있는 요홈(recess)을 구성한다. 또한, 런 채널 본체(50)는 외측의 씰립(seal lip)(62)과 내측의 씰립(65)를 포함한다. 외측의 씰립(62)은 외측의 측벽부(52)의 개구측 선단인 외측 연결부(56)로부터 기저부(51)를 향해 돌출하여 있다. 내측의 씰립(65)은 내측의 측벽부(52)의 개구측 선단인 내측 연결부(57)로부터 기저부(51)를 향해 돌출하여 있다. 외측의 씰립(62)과 내측의 씰립(65)은 각각 창판(15)의 각각의 표면에 탄성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런 채널 본체(50)는 외측 장식부(67), 내측 장식부(68) 또는 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하여도 좋다. 외측 장식부(67)는 외측 연결부(56)로부터 돌출하여 있고 내측 장식부(68)는 내측 연결부(57)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외측 장식부(67)는 외측 씰립(62)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외측 측벽부(52)를 따라 접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장식부(68)는 내측 씰립(65)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또한 내측 측벽부(53)를 따라 접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장식부(67)와 외측 씰립(62) 사이 및 내측 장식부(68)와 내측 씰립(65) 사이에 각각 외측 연결부(56) 및 내측 연결부(57)가 연결되어 있다.
각 장식부(67, 68) 및 각 씰립(62, 65)은 변형의 중심이 되는 굴곡점(전형적으로는, 근원부(根源部) 근방에서 가장 얇은 부분)을 갖는다. 외측 연결부(56)는 굴곡점을 경계로 하여 외측 장식부(67)와 내측 씰립(6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연결부(57)는 굴곡점을 경계로 하여 내측 장식부(68)와 내측 씰립(6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런 채널 본체(50)는 발포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발포부(foamed part)를 갖는다.
런 채널 본체(50)는 발포 배율(foaming ratio)이 1.20∼1.80인 것이 경량화나 충분한 강도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0.5∼2.0중량부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1.O중량부 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는 그 내부의 발포 셀이 외기(外氣)와 연통되지 않는 닫힌 셀(closed cell)인 것이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의 내부의 발포 셀끼리가 연통되지 않는 닫힌 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는 비중이 0.50∼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중이 0.55∼0.75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비중이 0.65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런 채널 본체(50)의 주성분이 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과 PP(폴리프로필렌)를 혼합하고, 이것에 가소제 또는 착색제 등의 첨가물을 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열팽창성 캡슐로서는, 예를 들면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세키스이 가카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SEKISUI CHEMICAL CO., LTD.)제, 상품명 ADVANCELL, 평균 입경 22㎛∼32㎛, 팽창 시작 온도 160℃∼180℃, 모두 카탈로그 값)이 사용된다.
런 채널 본체(50)에 있어서, 외측 장식부(67)의 단부로부터 외측 연결부(56)까지의 표면, 및 내측 장식부(68)의 단부로부터 내측 연결부(57)까지의 표면에는, 이들 양 표면을 각각 피복하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장식부(67)의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장식부(68)의 내측 피복층(68a)은 런 채널 본체(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폴리머 재료는 팽창성 캡슐을 포함하지 않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질과 같은 종류의 재질이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 피복층(67a)은 외측 장식부(67)의 선단부를 넘어서 이면(裏面)으로 접어지는 형상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피복층(68a)은 내측 장식부(68)의 선단부를 넘어서 이면으로 접어지는 형상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피복층(67a)은 외측 장식부(67)로부터 외측의 연결부(56)의 표면의 도중(途中)까지 피복되어 있어도 좋고 내측 피복층(68a)은 내측 장식부(68)로부터 외측의 연결부(57)의 표면의 도중까지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이들 피복층은 각 연결부(56, 57)의 전체 표면을 피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판(15)에 접촉하는 외측의 씰립(62)의 표면에는, 외측의 저(低)마찰층(63)이 형성되어 있고, 창판(15)에 접촉하는 내측의 씰립(65)의 표면에는, 내측의 저마찰층(66)이 형성되어 있다. 저마찰층(63, 66)은 런 채널 본체(50)와 같은 종류의 재질 또는 런 채널 본체(50의 재질과 상용성(相溶性)을 갖고 또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런 채널 본체(50))나 제2 폴리머 재료(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보다 창판(15)이나 도어 패널(12)에 대한 동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재료(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런 채널 본체(50)의 압출성형과 함께 공압출(共押出)(2색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측 및 내측의 양 저마찰층(63, 66)은 외측 및 내측의 양 씰립(62, 65)의 근원부 근방(굴곡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까지 뻗어 있다.
외측의 저마찰층(63)은 외측의 피복층(67a)과 연속하여 있고 내측의 저마찰층(66)은 내측의 피복층(68a)과 연속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외측 및 내측의 저마찰층(63, 66)과, 외측 및 내측의 피복층(67a, 68a)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각 층의 두께에 차이를 두고 강조하여 표시하고 있다.
발포 후의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50)와,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경도는 실질적으로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경도(JIS, K6253의 타입 A 듀로미터 경도(durometer hardness))는 A60∼A8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런 채널 본체(50)의 재료보다 동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저마찰층(52a, 53a, 51a)이 형성된다. 이 저마찰층(52a, 53a, 51a)은 런 채널 본체(50)의 외측의 측벽부(52) 및 내측의 측벽부(53)의 대향면 및 기저부(51)의 저면에도 형성된다. 이 저마찰층(52a, 53a, 51a)은 런 채널 본체(50)의 압출성형과 함께 공압출(2색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런 채널 본체(50)는 립 형상(lip shape)을 갖는 외측 지지립(exterior holding lip)(60), 립 형상을 갖는 내측 지지립(interior holding lip)(61) 및 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하여도 좋다. 외측 지지립(60)은 기저부(51)측에서 외측의 측벽부(52)의 단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내측 지지립(61)은 기저부(51)측에서 내측의 측벽부(53)의 단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외측 지지립(60)과 내측 지지립(61)은 외측의 측벽부(52) 및 내측의 측벽부(53)로부터 각각 경사져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측 지지립(60)은 창틀(20)의 외측 단차부(13a)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내측 지지립(61)은 창틀(20)의 내측 단차부(14a)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30)를 구성하는 제1∼제4 글라스 런 채널(31∼34) 중, 제2, 제3, 제4 글라스 런 채널(32, 33, 34)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런 채널 본체는 횡단면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제1 글라스 런 채널(31)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50)와 같이 구성된다.
즉, 제2, 제3, 제4 글라스 런 채널(32, 33, 34)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와 열팽창성 캡슐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열팽창성 캡슐의 팽창에 의해 형성된 무수의 발포 셀을 갖고 있다.
제1∼제4 글라스 런 채널(31∼34) 중, 2개 이상의 글라스 런 채널이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2 글라스 런 채널(32)과 제3 글라스 런 채널(33)이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130)가 차량용 도어로서의 리어 도어(110)의 창틀(120)에 장착되어 창판(115)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후방측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130)는 기다란 형상의 폴리머 재료(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후방측 글라스 런 채널 조립체(130)는 압출성형에 의해 기다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제5 글라스 런 채널(131, 132, 133, 134, 135)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제1∼제4 접속체(141, 142, 143, 144)를 포함한다.
제1 글라스 런 채널(131)은 리어 도어(110)의 상변부(上邊部)를 따라 장착된다. 제1 글라스 런 채널(131)의 후단에는, 제1 접속체(코너(corner) 접속체)(141)에 의해 제2 글라스 런 채널(132)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2 글라스 런 채널(132)은 리어 도어(110)의 후방 쿼터 윈도우(rear quarter window)의 후연(後緣)을 따라 장착된다.
또한, 제1 글라스 런 채널(131)의 전단(前端)에는, 제2 접속체(코너 접속체)(142)에 의해 제3 글라스 런 채널(133)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3 글라스 런 채널(133)은 리어 도어(110)의 전방 수직프레임부를 따라 장착된다.
또한, 제2 글라스 런 채널(132)의 하단에는, 제3 접속체(143)에 의해 제4 글라스 런 채널(134)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4 글라스 런 채널(134)은 도어 내의 후방 수직프레임부를 따라 장착된다. 또한, 제3 글라스 런 채널(133)의 하단에는, 제4 접속체(144)에 의해 제5 글라스 런 채널(135)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제5 글라스 런 채널(135)은 도어 내 전방 수직프레임부를 따라 장착된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130)를 구성하는 제1∼제5 글라스 런 채널(31∼35) 중, 제1 글라스 런 채널(131)은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30)의 제1 글라스 런 채널(31)과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130)를 구성하는 제2∼제5 글라스 런 채널(132∼135)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는 횡단면 형상이 다른 것 이외는 제1 글라스 런 채널(131)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와 같이 구성된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글라스 런 채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30)를 구성하는 제1∼제4 글라스 런 채널(31∼34) 및 후방측의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130)를 구성하는 제1∼제5 글라스 런 채널(131∼135)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50)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와 열팽창성 캡슐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런 채널 본체(50)는 고무제의 글라스 런 채널과 비교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표면에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은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포함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발포성 폴리머 재료가 발포되어 런 채널 본체(50)가 형성될 때, 발포성 폴리머 재료(런 채널 본체(50))는 압출방향으로의 늘어남에 더하여, 열팽창성 캡슐(발포 셀) 주변에서도 열팽창성 캡슐이 팽창함에 따라 늘어나게 된다. 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늘어난 상태로 냉각되어 고화된다. 이 때문에, 발포하지 않은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쪽이 런 채널 본체(50) 형성 후의 폴리머 재료 내부에서의 분자사슬의 연신(延伸) 정도가 높다. 또한, 폴리머 재료 내부에 잔존하는 잔존 응력은 발포하지 않은 폴리머 재료에서보다 발포한 폴리머 재료에서 더 크다.
제품화된 글라스 런 채널(글라스 런 채널조립체)이 차량 도어(프론트 도어나 리어 도어)의 창틀의 런 장착부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글라스 런 채널에 열이나 창판의 승강에 의한 응력 등이 반복하여 가해지면, 런 채널 본체(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연신된 분자사슬이 보다 안정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하여 수축된다. 또한 글라스 런 채널 전체도 수축된다.
따라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런 채널 본체(50)의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표면에,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분자사슬의 연신 정도가 낮아 수축하기 어려운 폴리머 재료의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피복하여 형성하면,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져 분자사슬의 연신 정도가 높은 부분에서 보다 크게 수축한다. 이 때문에, 각 피복층(67a, 68a)측(표면측)보다 각 장식부(67, 68)측(이면측)이 크게 수축하고,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각각 포함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도어 패널(12)(창틀(20))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외관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열림 방향」이란,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와 외측의 측벽부(52) 및 내측의 측벽부(53)가 여러 각도가 커지는 방향을 말한다. 즉,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창틀(20)의 플랜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말한다.
또한, 「닫힘 방향」이란,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와 외측의 측벽부(52) 및 내측의 측벽부(53)가 여러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을 말한다.즉,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창틀(20)의 플랜지부에 근접하는 방향을 말한다.
한편,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350)의 외측 장식부(367) 및 내측 장식부(368)의 표면에 피복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닫힘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축은 일어나지 않고, 외측 장식부(367) 및 내측 장식부(368)의 전체가 수축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런 채널 본체(350)의 외측 장식부(367) 및 내측 장식부(368)이 수축해서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고, 도어 패널(12)(창틀(20))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틈(S1, S2)이 발생하여, 외관 품질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런 채널 본체(350)의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발포성 폴리머 재료와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와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량의 차이를, 각 재료로 이루어지는 각 2개의 시험편(폭 50mm, 두께 약 2mm, 길이 약 100m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각 시험편의 시험 전의 길이(LO)를 각각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998.Omm 과 1001.Omm이며,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1001.Omm과 1004.Omm이었다.
그 후, 각 2개의 시험편을, 분위기 온도에서 -30℃∼90℃로 온도 변화시키는 것을 4사이클, 56시간 반복하여 시험하였다. 시험 후의 각 2개의 시험편의 길이(L1)를 각각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993.Omm, 995.5mm이며,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997.5mm, 1005.5mm이었다.
다음으로, 각 2개의 시험편의 개별의 수축률((1-L1/LO)×100)과, 수축률의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이 결과, 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그 수축률이 0.501%, 0.549%이고, 평균치가 0.53%이었다.
한편,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2개의 시험편은 그 수축률이 0.350%, 0349%이고, 평균치가 0.35%이었다.
즉, 발포성 폴리머 재료쪽이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량이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22225920-pat00001
또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갖고 횡단면으로 U자 형상을 이루는 제1 시험편(길이 100mm)과,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갖고 횡단면으로 U자 형상을 이루는 제2 시험편(길이 100mm)을 각각 제작하고, 이들 제1 시험편과 제2 시험편과의 열림 방향(여기서는 횡단면 U자 형상의 개구측이 열림 방향을 의미)으로의 변형 상태를 시험하였다.
이 시험에 있어서는, 먼저, 제1 시험편 및 제2 시험편의 중앙에서 개구폭(WO)을 측정하였다. 제1 시험편 및 제2 시험편을, 80℃의 분위기 온도하에서 90시간 가열한 후, 실온(예를 들면, 23℃)에서 자연냉각하고, 이어서, 제1 시험편 및 제2 시험편의 개구폭(W1)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이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 제1 시험편은 열림 방향의 변형(W1-WO)이 거의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내층이 비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형성된 제2 시험편에 있어서,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W1-WO)은 1mm이었다.
Figure 112011022225920-pat00002
또한,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런 채널 본체(50)는 발포 배율을 1.20∼1.80으로 함으로써,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각각 포함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0.5∼2.0중량부 배합된다. 이에 의해, 경량화를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즉, 열팽창성 캡슐이 0.5중량부보다 적으면, 경량화의 효과가 작아진다.
열팽창성 캡슐이 2.0중량부보다 많으면, 지나치게 발포한 상태로 되어, 강성, 인장강도 등이 저하된다.
또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1.0중량부 배합됨으로써, 더한층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이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표면 선단을 초과해서 이면까지 접어진 형상으로 뻗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장식면(창틀(20)에 장착된 상태로 시인(視認)가능한 표면)을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 씰립(62) 및 내측 씰립(65)의 창판(15)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내측 저마찰층(63) 및 외측 저마찰층(66)이 각각 형성된다. 이들 내측 저마찰층(63) 및 외측 저마찰층(66)은 런 채널 본체(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나,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형성하는 제2 폴리머 재료보다 창판(15)이나 도어 패널(12)(창틀(20))에 대한 동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진다. 내측 저마찰층(63) 및 외측 저마찰층(66)은 외측 씰립(62) 및 내측 씰립(65)의 선단부로부터 근원부 근방까지 뻗어 있다.
내측 저마찰층(63) 및 외측 저마찰층(66)에 의해 창판(15)의 승강시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창판(15) 승강시의 런 채널 본체(50)(글라스 런 채널)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각각 포함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더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측 저마찰층(63)은 외측 피복층(67a)과 연속하여 있고, 외측 저마찰층(66)은 내측 피복층(68a)과 연속하여 있음으로써, 발포성 폴리머 재료의 노출이 없이 외관 품질이 좋은 장식면을 구성할 수 있다.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50)와,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경도가 같은 정도이기 때문에, 글라스 런 채널 본체를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하여도 강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을 각각 포함하는 외측 장식부(67) 및 내측 장식부(68)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방지에 효과가 크다.
또한,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폴리머 재료로 되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경도는 A60∼A80이다. 따라서,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장식면이 백화(白化)(변형시킨 부분이 하얗게 변색되는 불량)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장식면을 확보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즉,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 피복층(67a) 및 내측 피복층(68a)의 JISA 경도가 A80보다 크면, 피복층의 표면이 백화되기 쉬워지며, A60보다 작으면, 피복층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기 쉬워진다.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창틀이 샤시 형식의 창틀 샤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것이며, 창틀을 구성하는 창틀 샤시(220)는 차량 개폐도어(프론트 도어, 리어 도어 등)의 도어 패널과는 별체로 형성되어 같은 도어 패널에 고착된다. 이 창틀 샤시(220)에는, 런 장착 오목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글라스 런 채널조립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글라스 런 채널의 하나인 글라스 런 채널(231)은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그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250)를 갖는다. 이 런 채널 본체(250)는 창판(도시하지 않음)의 단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저부(251)와, 외측의 측벽부(252)와, 내측의 측벽부(253)와, 외측 씰립(262)과, 내측 씰립(265)를 갖는다. 외측 씰립(262)은 외측의 측벽부(252)의 개구측 선단의 꼭대기부 연결부(256)로부터 기저부(251)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내측 씰립(265)은 내측의 측벽부(251)의 개구측 선단의 꼭대기부 연결부(257)로부터 기저부(251)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외측 씰립(262)과 내측 씰립(265)은 각각 창판의 각 면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런 채널 본체(250)에 있어서, 외측의 측벽부(252)의 개구측 선단인 꼭대기부 연결부(256)로부터 외측의 씰립(262)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하여 형성된 외측 장식부(267)를 구비하고 있고, 내측의 측벽부(253)의 개구측 선단인 꼭대기부 연결부(257)로부터 내측의 씰립(265)의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 장식부(268)를 구비하고 있다.
런 채널 본체(250)에 있어서,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외측 장식부(267)의 선단부로부터 외측의 연결부(256)까지의 표면, 및 내측 장식부(268)의 선단부로부터 내측의 연결부(257)까지의 표면에는, 이들 양 표면을 각각 덮는 외측 피복층(267a) 및 내측 피복층(268a)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장식부(267)의 외측 피복층(267a) 및 내측 장식부(268)의 내측 피복층(268a)은 런 채널 본체(250)를 형성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외측 피복층(267a)은 외측 장식부(267)의 선단부를 넘어서 이면으로 접어지는 형상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피복층(268a)은 외측 장식부(268)의 선단부를 넘어서 이면으로 접어지는 형상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외측의 씰립(262)의 창판에 접촉하는 면에는, 외측의 저마찰층(26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씰립(265)의 창판에 접촉하는 면에는, 내측의 저마찰층(266)이 형성되어 있다. 양 저마찰층(263, 266)은 런 채널 본체(250)와 같은 종류의 재질 또는 상용성을 갖고 또한 발포성 폴리머 재료(런 채널 본체(250))이나 제2 폴리머 재료(외측 피복층(267a) 및 내측 피복층(268a))보다 창판이나 도어 패널에 대한 동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저마찰층(263, 266)은 런 채널 본체(250)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외측의 저마찰층(263)은 외측의 피복층(267a)과 연속하여 있고 내측의 저마찰층(266)은 내측의 피복층(268a)과 연속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부(252, 253)의 대향면 및 기저부(251)의 저면에 대하여도 런 채널 본체(250)보다 동마찰계수가 작은 저마찰 재료를 갖는 저마찰층(252a, 253a, 251a)이 형성되어 있다. 저마찰층(252a, 253a, 251a)은 런 채널 본체(250)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부(251)의 바닥 외면에는, 런 장착 오목부(225)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런 채널 본체(250)보다 정마찰 계수가 큰 비발포(고체(solid))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마찰층(269)이 런 채널 본체(250)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공압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런 채널 본체(250)는 립 형상(lip shape)을 갖는 외측 지지립(260)과 또한 립 형상을 갖는 내측 지지립(261)을 포함한다. 외측 지지립(260)은 기저부(251)의 선단부 외측의 외측 측벽부(252)에 구비된다. 내측 지지립(261)은 기저부의 다른 선단부 외측의 내측 측벽부(253)에 구비되어 있다. 외측 지지립(260)과 내측 지지립(261)은 각각 외측 측벽부(252)와 내측 측벽부(253)로부터 경사져 돌출되어 있다. 또한, 외측 지지립(260)과 내측 지지립(261)은 창틀(220)의 외측 단차부(213a)와 내측 단차부(214a)에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런 채널 본체(25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와 열팽창성 캡슐을 포함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열팽창성 캡슐의 팽창에 의해 형성된 무수한 발포 셀을 갖고 있다.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그 밖의 구성은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피복층(67a, 267a)과 내측 피복층(68a, 268a)의 양쪽이 글라스 런 채널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외측 피복층(67a, 267a) 및 내측 피복층(68a, 268a) 중 어느 한쪽의 피복층이 글라스 런 채널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피복층(67a, 267a)이 외측 장식부(67, 267)의 단부로부터 외측 연결부(56, 256)까지인 표면에 형성되어 그 표면을 덮는다. 그러나, 외측 피복층(67a, 267a)이 외측 장식부(67, 267)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피복층(68a, 268a)이 내측 장식부(68, 268)의 단부로부터 내측 장식부(57, 257)까지인 표면에 형성되어 그 표면을 덮는다. 그러나, 내측 피복층(68a, 268a)이 내측 장식부(68, 268)의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예시적이고 한정되지 않는 형태를 제공한다.
(1) 제1 형태에 의하면, 차량용 도어의 창틀의 런 장착부에 장착되어 창판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기다란 형상으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글라스 런 채널로서, 상기 글라스 런 채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런 채널 본체는, 상기 창판의 단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내측의 측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다른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외측의 측벽부와,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의 씰립과,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외측의 씰립과,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외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외측의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의 측벽부와 외측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된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내측의 씰립이 내측의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의 장식부와 상기 외측의 씰립이 외측의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상기 내측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런 채널 본체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측의 피복층과, 상기 외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상기 외측의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런 채널 본체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측 및 외측의 장식부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복층이 형성되는 장식부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형태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는, 발포 배율이 1.20∼1.80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런 채널 본체의 발포 배율이 1.20∼1.80이므로, 피복층들을 포함하는 장식부들이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3)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또는 제2 형태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0.5∼2.0중량부 배합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경량화를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다. 즉, 열팽창성 캡슐이 0.5중량부보다 적으면, 경량화의 효과가 작아진다. 한편, 열팽창성 캡슐이 2.0중량부보다 많으면, 지나치게 발포한 상태로 되어, 강성, 인장강도 등이 저하된다.
(4) 제4 형태에 의하면, 제3 형태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1.0중량부 배합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경량화 효과가 크다.
(5) 제5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대응하는 장식부의 단부를 넘어서 이면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이 대응하는 장식부의 선단부를 넘어서 이면까지 뻗어 있으므로, 양 장식부의 장식면(창틀이 닫힐 때 차량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시인(視認)가능한 표면)을 양 피복층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외관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6) 제6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씰립의 창판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저마찰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측의 저마찰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의 씰립의 창판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저마찰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의 저마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저마찰재료는 창판이나 도어 패널(door panel)에 대하여 발포성 폴리머 재료나 제2 폴리머 재료보다 동마찰계수가 작고, 상기 내측의 저마찰층은 상기 내측의 씰립의 근원부까지 뻗고, 상기 외측의 저마찰층은 상기 외측의 씰립의 근원부까지 뻗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창판과 접촉하는 내측 및 외측의 씰립의 부위에 형성되는 저마찰층에 의해 창판의 승강시의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창판 승강시의 글라스 런 채널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피복층을 각각 포함하는 내측 장식부와 외측 장식부의 변형을 더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7) 제7 형태에 의하면, 제6 형태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저마찰층과 상기 외측의 저마찰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의 피복층과 상기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에 연속하여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내측 저마찰층 및 외측 저마찰층 중 적어도 하나가 내측 피복층 및 외측 피복층(68a) 중 적어도 하나와 연속함으로써, 외관 품질이 좋은 장식면을 구성할 수 있다.
(8) 제8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발포 후의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의 경도와,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경도는 실질적으로 같은 정도인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런 채널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경도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글라스 런 채널 본체를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하여도 강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의 열림 방향으로의 변형 방지에 효과가 크다.
(9) 제9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8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경도가 JISA 경도의 60∼80인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JIS 경도(JIS, K6253의 타입 A 듀로미터 경도)가 A60∼A80이므로, 적어도 하나의 피복이 백화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주름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장식면을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즉, 피복층의 경도가 JIS A80보다 크면, 피복층의 표면이 백화되기 쉬워지며, JIS A60보다 작으면, 피복층의 표면에 주름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러나, 상기한 결점은 제9 형태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서 생기지 않는다.
(10) 제10 형태에 의하면, 제1 내지 제9 형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글라스 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을 덮는 상기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제2 표면을 덮는 상기 내측의 피복층 양쪽이 형성되어 있는 글라스 런 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는 양 피복층이 내측 장식부의 표면과 내측 연결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외측 장식부의 표면과 외측 연결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복층을 각각 포함하는 내측 장식부와 외측 장식부가 열림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용 도어의 창틀의 런 장착부(run mounting portion)에 장착되어 창판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기다란 형상으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글라스 런 채널로서,
    상기 글라스 런 채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런 채널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런 채널 본체는,
    상기 창판의 단면(端面)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저부(基底部)와,
    상기 기저부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내측의 측벽부와,
    상기 기저부의 다른 폭방향 단부로부터 뻗는 외측의 측벽부와,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先端)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창판의 제1 표면에 탄성 접촉하는 내측의 씰립(interior seal lip)과,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창판의 제2 표면에 탄성 접촉하는 외측의 씰립(exterior seal lip)과,
    상기 내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내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외측의 측벽부의 개구측 선단으로부터 상기 외측의 씰립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외측의 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의 측벽부와 외측의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의 장식부와 상기 내측의 씰립이 내측의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의 장식부와 상기 외측의 씰립이 외측의 연결부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상기 내측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런 채널 본체의 제1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내측의 피복층과, 상기 외측의 장식부의 표면과 상기 외측의 연결부의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런 채널 본체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가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부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보다 발포 배율이 작거나 또는 발포하지 않은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는, 발포 배율이 1.2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0.5∼2.0중량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폴리머 재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팽창성 캡슐이 1.0중량부 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은 대응하는 장식부의 단부를 넘어서 이면(裏面)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씰립의 창판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저(低)마찰재료로 이루어지는 내측의 저마찰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의 씰립의 창판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저마찰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측의 저마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저마찰재료는 창판이나 도어 패널(door panel)에 대하여 발포성 폴리머 재료나 제2 폴리머 재료보다 동(動)마찰계수가 작고,
    상기 내측의 저마찰층은 상기 내측의 씰립의 근원부까지 뻗고, 상기 외측의 저마찰층은 상기 외측의 씰립의 근원부까지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저마찰층과 상기 외측의 저마찰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의 피복층과 상기 외측의 피복층 중 적어도 하나에 연속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 후의 발포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런 채널 본체의 경도와,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경도는 같은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피복층의 경도는 JISA 경도의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런 채널은 상기 제1 표면을 덮는 상기 내측의 피복층과 상기 제2 표면을 덮는 상기 외측의 피복층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런 채널.
KR1020110027289A 2010-06-21 2011-03-28 글라스 런 채널 KR101503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0385 2010-06-21
JPJP-P-2010-140385 2010-06-21
JPJP-P-2010-293104 2010-12-28
JP2010293104A JP5875764B2 (ja) 2010-06-21 2010-12-28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090A KR20110139090A (ko) 2011-12-28
KR101503565B1 true KR101503565B1 (ko) 2015-03-17

Family

ID=4532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289A KR101503565B1 (ko) 2010-06-21 2011-03-28 글라스 런 채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27584B2 (ko)
JP (1) JP5875764B2 (ko)
KR (1) KR101503565B1 (ko)
CN (1) CN1022871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5156B2 (ja) * 2011-12-22 2016-03-15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のグラスラン用リテーナー及び自動車のドア構造
JP5945589B2 (ja) * 2012-04-02 2016-07-05 東海興業株式会社 射出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EP2920835B1 (en) 2012-11-13 2018-08-22 Research Foundation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A magnetic device for producing electrolyte flow in battery systems
CN103057386B (zh) * 2012-12-29 2015-03-18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汽车水切与门框上饰条的端部连接结构
JP6311553B2 (ja) * 2014-09-26 2018-04-18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6614934B2 (ja) * 2015-11-12 2019-12-04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DE102016101312A1 (de) * 2016-01-26 2017-07-27 Cooper Standard GmbH Profil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Profilstrang-Herstellungsverfahren
WO2018035357A1 (en) * 2016-08-17 2018-02-22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Integrated glassrun and bright strip assembly for in-laid vehicle door construction
JP6833480B2 (ja) * 2016-11-30 2021-02-24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の取付構造
WO2019112724A1 (en) 2017-12-06 2019-06-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Low density foamed thermoplastic vulcanizate compositions
JP6901387B2 (ja) * 2017-12-12 2021-07-14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グラスラン
JP6885349B2 (ja) * 2018-01-30 2021-06-16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US20190241055A1 (en) * 2018-02-07 2019-08-08 Magna Closures Inc. Single shot extrusion of glass run channel
JP7086356B2 (ja) * 2019-01-25 2022-06-20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のトリム材
JP2023179315A (ja) * 2022-06-07 2023-12-19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305A (ja) * 1992-12-18 1994-07-05 Toyoda Gosei Co Ltd 微発泡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2002002303A (ja) 2000-06-20 2002-01-09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ドアグラスラン
US20060064936A1 (en) 2004-09-28 2006-03-30 Tokai Kogyo Co., Ltd. Glass run channel for vehicle and glass run channel assembly for vehicle
JP2009120048A (ja)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6323U (ko) * 1973-10-19 1975-06-14
JP2515220B2 (ja) * 1993-01-26 1996-07-10 トキワケミカ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エザストリツプの成形法
US5398451A (en) * 1994-01-21 1995-03-21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Vehicle glass run channel with corner insert
US5493814A (en) * 1994-04-18 1996-02-27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Weatherstrip assembly including a glass run channel and belt weatherstrip with decorative cover
US5628150A (en) * 1996-03-26 1997-05-13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Glass run channel with a composite reinforcement
US6260254B1 (en) * 1996-07-09 2001-07-17 Decoma International Inc. Integrally formed B-pillar and belt-line window molding
US20010013203A1 (en) * 1996-08-19 2001-08-16 I.V. Weib Device for recognition of obstruction of closure
US6023888A (en) * 1996-09-25 2000-02-15 Schlegel Corporation Door and window channel seal
JPH11180157A (ja) 1997-12-22 1999-07-06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ドアガラスラン
JP3355454B2 (ja) * 1998-12-22 2002-12-09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JP3812310B2 (ja) * 1999-11-30 2006-08-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JP2001233060A (ja) * 2000-02-21 2001-08-28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ドアにおけるトリム及び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3713547B2 (ja) * 2000-08-30 2005-11-09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3770120B2 (ja) * 2000-10-27 2006-04-26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及び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GB2372529B (en) * 2001-02-27 2004-08-25 Gencorp Property Inc Sealing and guiding strips
JP4213890B2 (ja) * 2001-12-27 2009-01-21 三井化学株式会社 加硫ゴムの製品、加硫可能な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JP2003268148A (ja) * 2002-03-20 2003-09-25 Nishikawa Rubber Co Ltd ウェザストリップ
JP2005008140A (ja) * 2003-05-26 2005-01-13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4168860B2 (ja) * 2003-07-11 2008-10-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US7294386B2 (en) * 2003-08-29 2007-11-13 Toyoda Gosei Co., Ltd. Glass run
US20050120633A1 (en) * 2003-11-26 2005-06-09 Tomohiro Takase Glass run for vehicle
JP4385287B2 (ja) * 2004-03-05 2009-12-16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US7172239B2 (en) * 2004-03-19 2007-02-06 Toyoda Gosei Co., Ltd. Sealing structure for vehicle door
JP2006182210A (ja) * 2004-12-28 2006-07-13 Toyoda Gosei Co Ltd ガラスラン
JP4866560B2 (ja) * 2005-03-18 2012-02-01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高分子成形体および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475529B2 (ja) * 2005-03-31 2010-06-09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5100029B2 (ja) * 2006-04-28 2012-12-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US7762614B2 (en) * 2006-09-28 2010-07-27 Toyoda Gosei Co., Ltd. Glass run
JP4993470B2 (ja) * 2007-02-27 2012-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ゴム発泡体
JP2009056941A (ja) * 2007-08-31 2009-03-19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5030233B2 (ja) * 2008-05-09 2012-09-19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組立体
US8166708B2 (en) * 2008-07-30 2012-05-01 Ellis Peter J Integrated glass run and upper reveal with film
JP5348017B2 (ja) * 2010-02-26 2013-11-20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ラ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305A (ja) * 1992-12-18 1994-07-05 Toyoda Gosei Co Ltd 微発泡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2002002303A (ja) 2000-06-20 2002-01-09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ドアグラスラン
US20060064936A1 (en) 2004-09-28 2006-03-30 Tokai Kogyo Co., Ltd. Glass run channel for vehicle and glass run channel assembly for vehicle
JP2009120048A (ja) 2007-11-15 2009-06-04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ガラスラ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75764B2 (ja) 2016-03-02
CN102287120B (zh) 2015-08-19
CN102287120A (zh) 2011-12-21
US20110308170A1 (en) 2011-12-22
JP2012025375A (ja) 2012-02-09
KR20110139090A (ko) 2011-12-28
US8327584B2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565B1 (ko) 글라스 런 채널
KR101706835B1 (ko) 글라스 런 채널
JP4640144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CA2586318C (en) Glass run
CN107433842B (zh) 汽车车门用玻璃导槽
US20090064592A1 (en) Automotive glass run
CN108430817B (zh) 密封部件及其装接结构
JP2018001828A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684815B2 (ja) 自動車用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US7581354B2 (en) Glass run and structure of fixing the same
US20160272056A1 (en) Opening trim weatherstrip
JP2007076441A (ja) ガラスラン
CN111051102B (zh) 玻璃滑槽
JP2005271677A (ja) ガラスラン
JP2009120048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2007160978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US10611224B2 (en) Automotive glass run
JP5790613B2 (ja) ガラスラン
JP2007320428A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構造
JP5510674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5513788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2014177163A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
US20180086189A1 (en) Roof side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JP2006150993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08081001A (ja) ガラス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