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601B1 -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601B1
KR101496601B1 KR1020137013872A KR20137013872A KR101496601B1 KR 101496601 B1 KR101496601 B1 KR 101496601B1 KR 1020137013872 A KR1020137013872 A KR 1020137013872A KR 20137013872 A KR20137013872 A KR 20137013872A KR 101496601 B1 KR101496601 B1 KR 1014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astic force
main body
roll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891A (ko
Inventor
히로시 히우라
후미히코 하야유미
신스케 우바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4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5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for copy sheets in r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83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76Simultaneous toner image transfer and fixing
    • G03G2215/1695Simultaneous toner image transfer and fixing at the second or higher order transfer poi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장치 본체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아암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이 롤러는 롤러 샤프트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텐션 스프링에 연결된다. 롤러를 가이드하는 롤러 가이드부가 급지 카세트에 제공된다. 롤러는 장치 본체에 급지 카세트가 삽입됨에 따라 롤러 가이드부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가이드된다. 롤러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가이드될 때, 텐션 스프링의 탄성력이 축적된다. 급지 카세트는 롤러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가이드될 때 장착 위치로 인입된다. 급지 카세트는 또한 롤러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서 가이드될 때 압출된다.

Description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UNIT 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디바이스 및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이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닛을 구비한다. 이들 유닛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이하, 장치 본체로 지칭됨)에 대해 슬라이딩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으로는 예를 들어, 시트를 수납하는 급지 유닛, 급지 카세트로부터 시트를 급송하는 시트 급송 디바이스, 및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전사 유닛, 정착 유닛 등)가 포함된다.
이러한 유닛이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후, 사용자는 유닛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도록 수동으로 유닛을 장치 본체 내에 되밀어 넣는다. 그러나, 유닛이 장치 본체에 완전히 장착될 때 도달하는 위치까지 유닛이 충분히 압입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유닛이 장치 본체에 완전히 장착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유닛이 급지 카세트일 때는, 시트가 정확히 위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에 화상이 부정확하게 형성되거나 시트의 급송이 불량한(시트가 기울어진 자세로 급송되거나 시트 잼)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유닛이 화상을 시트에 전사하는 전사 유닛 등일 때는, 이송되는 시트 상의 부정확한 위치에 화상이 전사되기 때문에 화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사용자에 의한 유닛 착탈의 조작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닛의 인입 동작을 보조하는 기구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유닛이 급지 카세트인 경우에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는 그 정규 장착 위치의 전방 위치로부터 모터와 같은 구동 유닛에 의해 강제로 장치 본체 내의 급지 카세트의 정규 장착 위치로 자동적으로 인입된다.
특허문헌 2는 다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이 문헌에 따르면, 급지 카세트에 돌기부가 제공되며, 장치 본체 측에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회전체가 제공된다. 돌기부가 회전체를 넘어가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가 돌기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 유닛 이동 디바이스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를 사용하여 시트 급송 디바이스를 가압함으로써, 급지 카세트가 장착 위치의 전방 위치로부터 강제로 장착 위치까지 인입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유닛 이동 디바이스에는 문제가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급지 카세트를 강제로 장치 본체 내의 정규 장착 위치로 인입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모터 등의 구동 유닛을 사용한다. 이것은 구성을 복잡하게 만들고, 따라서 장치의 크기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다른 종래의 유닛 이동 디바이스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회전체를 사용하여 급지 카세트를 인입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를 사용하는 장치의 경우에 증가하는 장치의 크기 및 비용이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 급지 카세트에 시트를 보급하는 횟수를 줄여서 사용자의 작업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급지 카세트에 적재되는 시트 적재량(매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시트의 최대 양이 적재된 급지 카세트의 전체 중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를 장치 본체 내의 정규 장착 위치로 확실하게 인입하기 위해서는, 큰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의 사용이 매우 요망된다.
큰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사용될 때, 장치 본체로부터 급지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큰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큰 조작력이 요구되므로 조작성이 악화된다.
이상에서는 급지 카세트의 조작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전사하는 전사부, 또는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정착하는 그 정착 디바이스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전사 유닛이나 정착 유닛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에는, 복수의 감광체 드럼과 열용량이 큰 정착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이 또한 화상 형성부의 크기와 중량을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이들 유닛을 인입하는 구성에서도 급지 카세트를 인입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작업 효율 저하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7395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2606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유닛이 조작자에 의해 인출될 때 큰 조작력이 요구되지 않고, 유닛이 장치 본체에 확실하게 인입될 수 있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유닛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유닛을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에 삽입하는 동작으로 상기 탄성 부재에 탄성력을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포함한다. 상기 유닛 이동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유닛이 장치 본체에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탄성 부재에 남아있는 탄성력을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유닛이 장치에 인입될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유닛이 장치에 인입될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시도이다.
도 3은 유닛이 장치에 인입될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유닛이 장치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유닛이 장치에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a는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c는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d는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e는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인출되고 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인출되고 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인출되고 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인출되고 있을 때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a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유닛이 장치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c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d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e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9f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위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급송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우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구비한 급지 카세트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도 13은 시트 급송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풀-컬러(full-color)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팩시밀리 디바이스 및 복사기와 같은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풀-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이하, 간단히 프린터로 지칭)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1A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장치 본체)로서 제공되는 프린터 본체를 지칭하며, 도면부호 1B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20은 정착부를 지칭한다. 도면부호 2는 프린터 본체(1A) 위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 화상 판독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화상 판독 디바이스(2)와 프린터 본체(1A) 사이에는 시트가 배출되는 시트 출력 공간(S)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15는 토너 카트리지를 지칭한다.
4-드럼 풀-컬러(four-drum full-color) 화상 형성부인 상기 화상 형성부(1B)는 레이저 스캐너(10), 및 네 가지 색상 즉,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중의 하나에 대응해서 토너 화상을 각각 형성하는 네 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는 감광체 드럼(12), 대전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대전기(13), 및 현상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현상기(developer)(14)를 구비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1) 위에는 중간 전사 유닛(1C)이 제공된다.
상기 중간 전사 유닛(1C)은 중간 전사 벨트(16)와 1차 전사 롤러(19)를 구비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6)는 구동 롤러(16a)와 텐션 롤러(16b) 주위에 감긴다. 1차 전사 롤러(19)는 중간 전사 벨트(16)의 내측에 배치되며, 각각의 감광체 드럼(12)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16)와 접촉한다. 상기 중간 전사 벨트(16)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16a)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1차 전사 롤러(19)를 사용하여 중간 전사 벨트(16)에 양극성(positive polarity)의 전사 바이어스(transfer bias)를 인가함으로써, 대응 감광체 드럼(12) 상의 음극성(negative polarity)을 갖는 각 색상의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 서로 중첩되도록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유닛(1C)의 구동 롤러(16a)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롤러(17)가 제공된다. 상기 2차 전사 롤러(17)는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 형성된 컬러 화상을 시트(P)에 전사하는 2차 전사부의 일부이다. 상기 2차 전사 롤러(17) 위에는 정착부(20)가 제공된다. 상기 정착부(20) 위에는, 제1 배출 롤러 쌍(25a), 제2 배출 롤러 쌍(25b), 및 시트 반전부(1D)가 배치된다. 상기 시트 반전부(1D)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반전 롤러 쌍(22)을 구비한다. 프린터의 본체(1A)는 시트 재반송 통로(1E)를 갖는다. 그 일면(one side)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는 상기 반전 롤러 쌍(22)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부(1B)로 다시 이송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프린터(1)에서의 화상 형성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먼저 원본의 화상 정보가 화상 판독 디바이스(2)에 의해 판독되어 화상 처리된다. 그 후, 상기 화상 정보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화상 형성부(1B)의 레이저 스캐너(10)에 전송된다. 대안적으로, 화상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화상 형성부(1B)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형성부(1B)에서는,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1)의 감광체 드럼(12)의 표면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성분 컬러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스캐너(10)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에 의해 스캔된다. 이로 인해, 대전기(1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12)의 표면이 순차적으로 빛에 노출된다. 그 결과,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정전 잠상이 각각의 감광체 드럼(12)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정전 잠상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됨으로써 가시화된다.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12) 상의 각 색상의 토너 화상은, 1차 전사 롤러(19)에 인가된 1차 전사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중간 전사 벨트(16)에 서로 중첩되도록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이렇게 해서, 중간 전사 벨트(16)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토너 화상 형성 동작에 병행해서, 도 13에 도시된 시트 급송 디바이스(30)로부터 시트(P)가 픽업된다. 상기 시트 급송 디바이스(30)는 급지 카세트(34), 픽업 롤러(31) 및 분리 롤러 쌍을 구비한다. 상기 급지 카세트(34)는 시트(P)가 적재되는 시트 적재판(35)을 구비한다. 상기 픽업 롤러(31)는 장치 본체에 제공되며 최상위 시트(P)를 픽업한다. 상기 분리 롤러 쌍은 이송 롤러(32)와 분리 롤러(33)를 구비한다. 시트(P)가 급송될 수록 시트(P)의 스택(stack)은 감소한다. 상기 시트 적재판(35)은 리프터(lifter)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요동되는 리프터판(43)을 사용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에서, 시트 적재판(35)은 시트(P) 스택의 최상위 표면을 시트(P)가 급송될 수 있는 높이로 올리기 위해 상승된다. 시트(P)가 급송되어 시트 급송 디바이스(30)에 시트(P)가 남아 있지 않으면, 이 상태가 시트 유/무 감지 센서(36)에 의해 감지된다. 이로 인해 급지 동작이 정지되고 시트 보급 요청 메시지가 패널 등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급지 카세트(34)를 인출하고, 급지 카세트(34)에 시트(P) 스택을 보급한 후,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에 되밀어넣는다.
시트(P) 스택이 적재된 급지 카세트(34)로부터 픽업된 시트(P)는 정합(registration) 롤러 쌍(40)으로 이송된다. 상기 정합 롤러 쌍(40)은 시트(P)의 기울어진 자세를 보정한다. 이후, 시트(P)는 2차 전사부에 공급된다. 이후, 2차 전사부는 2차 전사 롤러(17)에 인가된 2차 전사 바이어스를 사용하여 토너 화상들을 시트(P) 상에 일괄적으로(collectively) 전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P)는 이후 정착부(20)로 이송된다. 정착부(20)에서, 컬러 토너는 열과 압력에 노출됨으로써 용융 혼합된다. 그 결과, 토너 화상은 컬러 화상으로서 시트(P) 상에 정착된다. 이후, 화상이 정착된 시트(P)는 정착부(20)의 하류에 배치된 제1 배출 롤러 쌍(25a)에 의해 시트 적층부(23)로 배출된다. 시트(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그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P)는 정착부(20)를 통과한다. 이후, 상기 시트(P)는 반전 롤러 쌍(22)에 의해 반전되어 시트 재반송 통로(1E)로 이송된다. 시트(P)는 시트 재반송 통로(1E)를 통과하고 다시 정합 롤러 쌍(40)으로 이송된다. 화상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시트(P) 면(side)과 대향하는 시트(P) 면에 화상이 형성되고, 이 대향면 상의 화상이 정착된다. 이후, 상기 시트(P)는 제1 배출 롤러 쌍(25a)에 의해 시트 적층부(23)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유닛화된 부품으로서 급지 카세트(34)의 예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급지 카세트(34)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a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작에서부터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장착 위치에 유지되는 동작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6a, 도 7a 및 도 8a는 사시도이며 도 6b, 도 7b 및 도 8b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장착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 내의 정규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60은 장치 본체의 후측판(rear side plate)(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카세트 이동 기구를 지칭한다. 상기 카세트 이동 기구(60)는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될 때 급지 카세트(34)를 장착 위치로 인입하거나 급지 카세트(34)를 장착 위치로부터 압출한다. 도면부호 70은 카세트 본체(34a)와 일체로 형성되는 롤러 가이드부를 지칭하며, 이 롤러 가이드부는 급지 카세트(34)를 인입 또는 압출하는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카세트 이동 기구(60)에 제공되고 슬라이딩 부재로서 제공되는 롤러(61)를 가이드한다. 급지 카세트(34)의 이동 디바이스(유닛 이동 디바이스)는 카세트 이동 기구(60) 및 가이드 기구로서 제공되는 롤러 가이드부(70)를 구비한다. 도 1a에서의 도면부호 37은 후술되는 유지 기구를 사용하여 장치 본체 내의 정규 장착 위치에 유지된 급지 카세트(34)의 유지를 해제하는 해제 버튼을 지칭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여 급지 카세트(34)의 이동 디바이스(유닛 이동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먼저, 장치 본체의 후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카세트 이동 기구(60)를 설명할 것이다. 장치의 후측판에는 프레임(F)이 고정된다. 프레임(F)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62)은 샤프트(63)를 중심으로 프레임(F)에 대해 도 1b의 B1 또는 B2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아암(62)의 단부에서, 샤프트(67)가 아암(62)에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67) 상에는 롤러(6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샤프트(67)에는 와이어(64)의 일 단부(64a)가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64)의 다른 단부는 후크(64b)를 사용하여 텐션 스프링(65)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신축하는 텐션 스프링(65)은 탄성 부재로서 제공되며 초기 길이 La로 설정되어 있다. 텐션 스프링(65)의 다른 단부는 후측판(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금속 스프링 후크(66)에 고정된다. 와이어(64)는 프레임(F)에 제공된 복수의 풀리(64c)를 통과한다.
탄성 부재로서의 텐션 스프링(65)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수축하는 탄성력을 사용하여 와이어(64)를 인장하는 인장 스프링이다. 따라서, 와이어(64)는 풀리(64c)와 샤프트(67)를 사용하여 아암(62)을 화살표 B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요한다. 즉, 아암(62)의 단부에 배치된 롤러(61)는 B1 방향[샤프트(63)를 중심으로 하향 방향]으로 가압된다.
다음으로, 가이드 기구로서 제공되고 급지 카세트(34)에 고정되는 롤러 가이드부(70)의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전환 기구로서 제공되는 플래퍼(flapper)(71)는 이 플래퍼(71)가 샤프트(78)를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78)에 의해 지지된다. 플래퍼(71)는 샤프트(78) 측에 대향하는 자유단 측이 플래퍼(71) 아래에 배치된 롤러 가이드(77)와 접촉하도록 그 자중에 의해 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된다. 플래퍼(71)는 롤러 가이드(77)에 의해 가이드되는 롤러(61)가 롤러 가이드부(70)의 내측으로부터 플래퍼(71)를 누를 때 플래퍼(71)가 롤러(61)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샤프트(78)를 중심으로 D3 방향으로 피봇한다. 상기 롤러 가이드(77)의 세부 사항은 후술될 것이다.
경사면을 가지며 제1 가이드 부재로서 제공되는 경사면 가이드(72)는 그 자유단이 내려가 있는 플래퍼(71)의 상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 가이드(72)의 단부에는 수평면을 갖는 평면(flat) 가이드(73)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평면 가이드(73)의 다른 단부에는 제2 가이드 부재로서 제공되는 다른 경사면 가이드(74)가 연결된다. 상기 경사면 가이드(74)는 경사면 가이드(72)가 경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면 가이드(74)의 단부는 V-형상을 갖도록 되접어꺽이며, 이는 대향 면과 함께 U턴부(75)를 형성한다. 상기 U턴부(75)는 롤러(61)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3 가이드 부재로서 제공되는 경사면 가이드(76)는 U턴부(75) 아래에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롤러 가이드(77)는 경사면 가이드(76)에 연결된다. 여러 가이드를 위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롤러(61)는 하기 순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즉, 플래퍼(71)의 상면으로부터, 경사면 가이드(72)(제1 가이드 부재), 평면 가이드(73), 경사면 가이드(74)(제2 가이드 부재), U턴부(75), 경사면 가이드(76)(제3 가이드 부재), 및 롤러 가이드(77)의 순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슬라이딩 부재로서 제공되는 롤러(61)는 롤러 가이드부(70)의 경사면 가이드를 사용하여, 급지 카세트(34)가 장착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롤러(61)를 홀딩하는 아암(62)이 요동한다. 아암(62)의 이러한 요동은 와이어(64)가 텐션 스프링(65)을 인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R)를 도시한다. 유지 기구(R)에 대해 후술할 것이다.
장치 본체에는 위치결정 핀(90)이 고정된다. 급지 카세트(34)는 이 급지 카세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샤프트(38)를 갖는다. L형 후크(80)에 형성된 구멍(81)에 샤프트(38)를 삽입함으로써, 후크(80)는 도 5a에 도시된 D1-D2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후크(80)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D1 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L형 후크(80)의 레그(leg)중 하나에는 상기 위치결정 핀(90)과 결합 가능한 스토퍼부(8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80)의 다른 레그에는 구멍(83)이 형성된다. 구멍(83)에는 해제 버튼(37) 상에 형성된 샤프트(37a)가 삽입된다. 해제 버튼(37)이 화살표 방향으로 압입되면, 후크(80)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D2 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크(80)의 스토퍼부(82)가 위치결정 핀(90)과 결합될 때, 급지 카세트(3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듯이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4)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롤러 가이드부(70)를 사용하여 내측으로 인입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 기구(R)에 의해 급지 카세트(34)가 유지되며, 급지 카세트(34)는 정규 장착 위치에 위치된다. 이 정규 위치에 장착된 급지 카세트(34)로부터 시트(P)를 급송함으로써, 시트는 기울어진 자세로의 급송과 같은 급송 불량의 발생없이 적절한 위치에서 급송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하듯이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인입 위치에 있을 때, 롤러(61)의 위치는 롤러(61)가 롤러 가이드(77)에 의해 가이드되는 위치[점선으로 표시된 롤러(61)의 위치]보다 높다. 이로 인해 텐션 스프링(65)은 이들 높이의 차이만큼 신장된다. 즉, 텐션 스프링(65)에는 롤러(61)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상기 텐션 스프링(65)의 신장만큼 축적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급지 카세트(34)의 이동 디바이스(유닛 이동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세트 이동 기구(60) 및 롤러 가이드부(70)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도 2b에 도시하듯이, 조작자가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에 화살표 Cin 방향(삽입 방향)으로 압입하면, 상기 카세트 이동 기구(60)의 롤러(61)는 롤러 가이드부(70)의 플래퍼(71)의 상면을 따라 올라가도록 가이드된다. 급지 카세트(34)가 화살표 Cin 방향으로 더 삽입되면, 롤러(61)는 플래퍼(71)의 상면과 경사면 가이드(72)를 따라 올라가 평면 가이드(73)에 도달한다. 롤러(61)가 플래퍼(71)의 상면과 경사면 가이드(72)를 따라 올라가는 동안, 아암(62)은 롤러(61)를 사용하여 샤프트(63)를 중심으로 화살표 B2 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롤러(61)의 샤프트(67)에 고정된 와이어(64)를 인장한다. 이로 인해 텐션 스프링(65)이 서서히 신장되어 탄성력이 증가된다.
롤러(61)가 평면 가이드(73)에 도달하면, 도 2b에 도시하듯이 텐션 스프링(65)의 길이가 길이(Lb)로 증가하며, 따라서 초기 길이(La)와 신장된 길이(Lb) 사이의 텐션 스프링(65) 길이의 차이인 Lb - La만큼의 텐션 스프링(65)의 신장으로 인해 초래되는 탄성력에 의해 롤러(61)를 풀리(64c)쪽(하향)으로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롤러(61)를 화살표 B1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은 텐션 스프링(65)에 축적된다. 이 때, 롤러(6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이 구성에서의 최대 탄성력이다.
급지 카세트(34)가 화살표 Cin 방향으로 더 삽입되고, 도 3에 도시하듯이 삽입 중에 평면 가이드(73)를 통과한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4)를 따라서 가이드되면, 텐션 스프링(65)에 축적된 최대 탄성력의 해제가 시작된다. 이 상태에서, 텐션 스프링(65)의 수축으로 인한 탄성력은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4)를 화살표 B1 방향으로 가압하게 만든다. B1 방향으로의 가압력의 수평 방향(화살표 Cin 방향) 성분으로 인해, 급지 카세트(34)는 화살표 Cin 방향으로 푸시되어 자동적으로 내측으로 인입된다. 급지 카세트(34)는 장치 본체 내의 후술될 정규 위치로 인입된다.
급지 카세트(34)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동안, 유지 기구(R)의 후크(80)의 스토퍼부(82)는 도 5b에 도시하듯이 장치 본체에 고정된 위치결정 핀(90)을 향해서 이동한다.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위치에 올 때 상기 후크(80)의 스토퍼부(82)는 위치결정 핀(90)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롤러(61)가 여전히 경사면 가이드(74)를 따라서 내려가고 있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34)는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가압된다. 상기 후크(80)의 스토퍼부(82)가 위치결정 핀(90)과 결합되기 때문에, 급지 카세트(34)는 정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자동적으로 압출되는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급지 카세트(34)를 인출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된 해제 버튼(37)을 먼저 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 상기 해제 버튼(37)이 눌리면, 샤프트(37a)는 후크(80)를 푸시한다. 상기 후크(80)는 샤프트(38)를 중심으로 화살표 D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후크(80)의 스토퍼부(82)는 위치결정 핀(90)으로부터 결합해제된다(도 5c의 상태에서 도 5d 및 도 5e 상태로 변화).
이 상태에서, 후크(80)의 스토퍼부(82)가 위치결정 핀(90)으로부터 결합해제되면, 롤러(61)는 텐션 스프링(65)에 축적된 남아있는 탄성력으로 인해 급지 카세트(34)가 거리 L1만큼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인입되게 한다. 즉,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위치에 유지되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듯이 롤러(61)는 경사면 가이드(74)의 하단부에 아직 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유지 기구(R)를 이용한 급지 카세트(34)의 유지가 해제되면, 롤러(61)는 경사면 가이드(74)의 하단부를 향해 이동하여 급지 카세트(34)를 삽입 방향으로 푸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b에 도시하듯이, 61(b) 위치에서 61(a)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롤러(61)는 급지 카세트(34)를 가압하여 급지 카세트(34)를 삽입 방향(Cin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듯이, 이어서 롤러(61)는 U턴부(75)를 통과하여 경사면 가이드(76)로 이동한다. 텐션 스프링(65)이 경사면 가이드(76)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롤러(61)의 높이의 차이만큼 초기 길이(La)로부터 신장되기 때문에, 롤러(61)는 화살표 B1 방향으로 가압되어 경사면 가이드(76)를 누른다. 화살표 B1 방향으로의 가압력의 수평 성분은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으로 압출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34)는 자동적으로 압출된다.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자동적으로 압출되고 롤러(61)가 롤러 가이드(77)에 도달하면, 텐션 스프링(65)이 그 초기 길이(La)로 수축하고 롤러(61)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없어진다. 그 후, 조작자가 급지 카세트(34)를 인출한다. 급지 카세트(34)가 인출될 때, 롤러(61)는 플래퍼(71)가 샤프트(78)를 중심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듯이 화살표 D3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플래퍼(71)를 밀어올린다. 이 후, 롤러(61)는 롤러 가이드부(70)로부터 배출된다. 롤러(61)가 통과한 후, 플래퍼(71)는 그 자중에 의해 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사용에 의해 화살표 D4 방향으로 피봇되며, 플래퍼(71)는 플래퍼(71)의 자유단(71a)이 롤러 가이드(77)와 접촉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전술했듯이, 본 실시예에서, 롤러(61)는 롤러 가이드부(70)의 경사면 가이드(72)를 따라서 상승하여 텐션 스프링(65)에 가압력을 축적한다. 축적된 힘의 일부는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인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급지 카세트(34)는 유지 기구(R)를 사용하여 정규 위치에 유지된다. 유지 기구(R)를 이용한 급지 카세트(34)의 유지가 해제된 후, 급지 카세트(34)는 텐션 스프링(65)에 남아있는 가압력을 사용하여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압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등의 구동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는 큰 조작력을 사용하지 않고,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소정 위치로 자동적으로 인입되어 유지된다. 또한, 급지 카세트(34)의 유지가 해제된 후, 급지 카세트(34)의 인출이 시작될 때, 급지 카세트(34)는 자동적으로 압출된다.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유지 기구의 변형 실시예를 후술할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34)는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압출되는 방향으로 정규 위치에 유지되거나 정규 위치로부터 해제된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유지 기구(R)의 부품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부품은 유사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유지 기구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고 경사면 가이드(74)가 롤러(61)에 의해 화살표 B1 방향으로 푸시될 때, 급지 카세트(34)는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인입된다. 이 동작도 유지 기구(R)를 사용하는 동작과 유사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유지 기구(R1)와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유지 기구(R) 사이의 차이점은 후크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위치결정 핀(90)이 서로 결합되는 방향이 반대라는 것이다.
텐션 스프링(65)의 탄성력은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4)를 화살표 B1 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초래한다. 이것은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인입된 후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내측(화살표 Cin 방향)을 향해서 더 이동시킨다. 이후, 롤러(61)는 U턴부(75)를 통과하여 경사면 가이드(76)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유지 기구(R1)에 의하면, 급지 카세트(34)는 롤러(61)가 U턴부(75)를 통과하여 경사면 가이드(76)에 도달할 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급지 카세트(34)에 배치된 후크(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상기 후크(100)는 카세트 본체(34a)와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38)가 삽입되는 구멍(81)을 중심으로 화살표 D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된다. 도 9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후크(100)의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 후크(100) 및 상기 위치결정 핀(90)에 관하여, 급지 카세트(34)는 일시적으로 정규 위치를 넘어서 내측으로 인입되고, 후크(100)의 경사면(103)은 위치결정 핀(90)을 넘어간다. 이후, 후크(100)는 L2 거리만큼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되밀려 정규 위치로 복귀된다. 이 거리(L2)는 도 6b에 도시된 L2와 동일하다.
유지 기구(R1)는,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6)의 상단부에 도달할 때 후크(100)의 스토퍼부(102)가 위치결정 핀(9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누르는 가압력이 급지 카세트(34)에 인가되는 동안 급지 카세트(34)는 정규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텐션 스프링(65)에는 롤러(61)를 화살표 B1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이 남아 있다.
다음으로,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압출되는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해제 버튼(37)이 눌리면, 링크 기구(도시되지 않음)의 사용에 의해 후크(100)는 샤프트(38)가 삽입된 구멍(81)을 중심으로 화살표 D2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스토퍼부(102)를 위치결정 핀(90)으로부터 해제시킨다(도 9e). 스토퍼부(102)가 위치결정 핀(90)으로부터 해제되면, 화살표 B1 방향으로의 가압력은 다시 롤러(61)가 경사면 가이드(76)를 푸시하게 하여,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압출시킨다(도 9f).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지 카세트(34)의 이동 기구(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설명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롤러 가이드부(7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로서 제공되는 텐션 스프링(65)의 축적 동작은 급지 카세트(34) 장착시의 제1 실시예에서의 텐션 스프링(65)의 축적 동작과 다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 텐션 스프링(65)에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는 급지 카세트(34)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인입력으로서 사용되며, 정규 위치에서의 급지 카세트(34)의 유지가 해제된 후, 남아있는 탄성력은 급지 카세트(34)를 장치 본체의 외측을 향해서 압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듯이 롤러(61)에 대한 가이드 경로(E1, E2, E3)가 형성된다. 플래퍼(171, 271)는 제1 실시예의 플래퍼(71)에 대응하고, 경사면 가이드(172, 272)는 제1 실시예의 경사면 가이드(72)에 대응한다. 상기 플래퍼(171, 271)는 각각 샤프트(178, 278)를 중심으로 도 10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피봇된다. 롤러(61)가 가이드 경로(E1 또는 E2)로부터 평면 가이드(73)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롤러(61)를 가이드 경로(E2 또는 E3)로부터 평면 가이드(73)로 가이드하기 위해, 샤프트(279, 179)를 중심으로 각각 피봇되는 플래퍼(273, 173)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2 실시예에서는 텐션 스프링(65)에 탄성력을 축적하는 동작이 급지 카세트(34)의 장착 방향으로 위치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서 시작된다는 점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급지 카세트(34)의 상이한 인출 위치에 대응하는 개시 위치의 상이함을 도시한다. 상기 개시 위치는 롤러(61)가 플래퍼(71, 171 또는 271)의 경사면을 올라가기 시작하고 텐션 스프링(65)에 탄성력이 축적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지칭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F4 위치는 장착된 급지 카세트(34)가 유지되는 위치이다. 급지 카세트(34)가 유지 기구(R)로부터 해제되고 장치의 외측(화살표 Cout 방향)을 향해서 인출되면, 롤러(61)에 대한 롤러 가이드부(70)의 위치는 도 11의 (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d)에 도시된 위치로 순차적으로 변화한다.
급지 카세트(34)가 F3 위치와 F2 위치 사이의 위치로 인출될 때는, 급지 카세트(34)를 장착하는 조작을 다시 실행함으로써, 롤러(61)의 개시 위치가 F3 위치로 설정되며 롤러(61)는 플래퍼(71)와 경사면 가이드(72)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 경로(E3)를 따라서 이동한다. 급지 카세트(34)가 F2 위치와 F1 위치 사이의 위치로 인출될 때는, 롤러(61)의 개시 위치가 F2 위치로 설정되며 롤러(61)는 플래퍼(171)와 경사면 가이드(172)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 경로(E2)를 따라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급지 카세트(34)가 F1 위치를 지나 인출될 때는, 롤러(61)의 개시 위치가 F1 위치로 설정되며 롤러(61)는 가이드 경로(E1)를 따라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 스프링(65)의 탄성력을 축적하기 위하여 복수의 개시 위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급지 카세트(34)가 인출되는 거리가 크거나 작거나에 관계없이, 급지 카세트(34)는 유사한 조작감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서, 롤러 가이드부(70)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의 롤러 가이드부의 구성과 다르다. 도 12b에 도시하듯이, 제3 실시예의 부품은 제2 실시예의 부품과 구성이 동일하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롤러(61)의 가이드 경로(E1, E2, E3)는 급지 카세트(34)가 인출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3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경로(E1, E2, E3)의 경사면의 거리가 서로 다른 바, 즉 플래퍼(71, 171, 271)와 경사면 가이드(72, 172, 272)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표면의 기울기가 서로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경로(E1)의 가이드 표면의 기울기가 감소되며, 따라서 텐션 스프링(65)에 탄성력을 축적하는데 필요한 거리가 증가된다. 가이드 경로(E1)는 복수의 급지 카세트(34)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급지 카세트(34)가 큰 거리만큼 인출될 때 사용된다. 축적을 위해 요구되는 작업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텐션 스프링(65)에 탄성력을 축적하는데 필요한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조작자에게 요구되는 조작력의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급지 카세트(34)가 자주 사용되지는 않아도 종종 조작되어 작은 거리만큼 인출될 때는, 가이드 경로(E2 또는 E3)를 사용하여 인입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지 카세트(34)가 정규 장착 위치로 확실하게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션 스프링(65)에의 탄성력 축적이 개시되는 개시 위치에서부터 텐션 스프링(65)에의 탄성력 축적이 완료되는 위치까지의 급지 카세트(34)의 삽입 거리가 증가할수록, 축적되는 탄성력의 증가 비율은 감소한다. 이로 인해, 가장 빈번하게 실시되는 경우의 조작력이 감소되며, 작은 거리만큼 인출된 급지 카세트(34)는 제한이 작은 상태에서 장치에 다시 인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롤러를 갖는 카세트 이동 기구는 장치 본체에 배치되고 롤러 가이드부는 급지 카세트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롤러를 갖는 카세트 이동 기구는 급지 카세트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롤러 가이드부는 장치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급지 카세트 이동 유닛과 롤러 가이드부의 쌍을 사용하는 대신에, 복수의 급지 카세트 이동 유닛과 복수의 롤러 가이드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트 급송 디바이스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전사하는 전사부, 또는 토너 화상을 시트에 정착시키는 그 정착 디바이스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전사 유닛 또는 정착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하기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수정예 및 등가 구성과 기능을 망라하도록 가장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10년 11월 9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51160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Claims (18)

  1.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이며,
    상기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에 삽입하는 동작으로 상기 탄성 부재에 탄성력을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탄성 부재에 남아있는 탄성력을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이 상기 탄성 부재에 남아있는 동안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는 탄성력의 양은 상기 유닛이 삽입됨에 따라 최대값에 도달하고, 최대 탄성력이 축적된 후,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는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닛이 더 이동될 때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어 있는 나머지 탄성력은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압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요동 가능한 아암과,
    상기 아암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아암의 요동에 의해 인장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롤러는 상기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은 상기 아암을 요동시켜, 상기 인장 스프링을 인장하여 탄성력을 축적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5.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이며,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유닛 중 하나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유닛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에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도중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유닛의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의 시점까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축시켜 탄성력이 감소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유닛의 이동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를 수축시켜 탄성력이 감소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3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축적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될 때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 위치로 압입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3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될 때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압출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한 아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상기 롤러가 상기 가이드 부재들을 따라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아암이 요동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전환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이 삽입될 때,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표면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상기 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롤러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이동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개시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개시 위치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의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개시되는 위치이며,
    상이한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완료되는 위치까지의 상기 유닛의 삽입 거리는 서로 상이한, 유닛 이동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개시되는 상기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완료되는 위치까지의 상기 유닛의 삽입 거리가 증가될 수록, 축적되는 탄성력의 증가 비율은 감소하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
  10.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에 삽입하는 동작으로 상기 탄성 부재에 탄성력을 축적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로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를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탄성 부재에 남아있는 탄성력을 사용하여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된 탄성력이 상기 탄성 부재에 남아있는 동안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에 유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는 탄성력의 양은 상기 유닛이 삽입됨에 따라 최대값에 도달하고, 최대 탄성력이 축적된 후, 축적된 탄성력의 일부는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닛이 더 이동될 때 상기 유닛을 상기 장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축적되어 있는 나머지 탄성력은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압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요동 가능한 아암과,
    상기 아암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아암의 요동에 의해 인장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롤러는 상기 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은 상기 아암을 요동시켜, 상기 인장 스프링을 인장하여 탄성력을 축적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을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는 유닛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유닛 중 하나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유닛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가이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기구는,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에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에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도중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유닛이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유닛의 장착 위치에 도달할 때의 시점까지 상기 탄성 부재를 수축시켜 탄성력이 감소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2 가이드 부재와,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유닛의 이동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를 수축시켜 탄성력이 감소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이드하는 경사진 제3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증가시키고 축적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될 때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장착 위치로 압입되고,
    상기 유닛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3 가이드 부재에 의해 가이드될 때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압출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요동 가능한 아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연결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상기 롤러가 상기 가이드 부재들을 따라서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아암이 요동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는 전환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이 삽입될 때,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표면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상기 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롤러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이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개시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개시 위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개시되는 위치이며,
    상이한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완료되는 위치까지의 상기 유닛의 삽입 거리는 서로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개시되는 상기 개시 위치에서부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축적이 완료되는 위치까지의 상기 유닛의 삽입 거리가 증가될 수록, 축적되는 탄성력의 증가 비율은 감소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7013872A 2010-11-09 2011-10-19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96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1160 2010-11-09
JP2010251160A JP5818421B2 (ja) 2010-11-09 2010-11-09 ユニット移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CT/JP2011/005849 WO2012063412A1 (en) 2010-11-09 2011-10-19 Unit mo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891A KR20130118891A (ko) 2013-10-30
KR101496601B1 true KR101496601B1 (ko) 2015-02-26

Family

ID=4503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872A KR101496601B1 (ko) 2010-11-09 2011-10-19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0752B2 (ko)
EP (1) EP2638433B1 (ko)
JP (1) JP5818421B2 (ko)
KR (1) KR101496601B1 (ko)
CN (1) CN103201685B (ko)
WO (1) WO2012063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357B2 (ja) * 2012-07-31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47011B2 (ja) * 2013-01-31 2017-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連結機構、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59249B2 (ja) 2013-01-31 2015-01-28 株式会社東芝 シート処理装置
KR20150085358A (ko) 2014-01-15 2015-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532238B2 (ja) 2015-01-30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移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08417A (ko) 2015-07-14 2017-01-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자동장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0569979B2 (en) 2017-12-26 2020-02-25 Canon Finetech Nisca Inc. Sheet feeding apparatus
US11185161B2 (en) * 2020-02-27 2021-11-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oft close print paper drawer
US11400738B2 (en) * 2020-03-24 2022-08-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22163913A (ja) 2021-04-15 2022-10-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カセット引き込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738A (ja) 2008-12-22 2010-07-01 Ricoh Co Ltd 給紙トレイの固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207B2 (ja) * 2001-02-02 2006-10-18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
JP2004117395A (ja) 2002-09-20 2004-04-1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12883B2 (ja) * 2004-10-28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91464B2 (en) * 2005-04-26 2009-09-2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2131B2 (ja) * 2009-03-24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ライドユニット移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51160A (ja) 2009-04-16 2010-11-04 Toshiba Corp 開閉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5515916B2 (ja) * 2009-07-16 2014-06-11 株式会社リコー 引き込み装置、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3738A (ja) 2008-12-22 2010-07-01 Ricoh Co Ltd 給紙トレイの固定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18421B2 (ja) 2015-11-18
KR20130118891A (ko) 2013-10-30
US20130230335A1 (en) 2013-09-05
WO2012063412A1 (en) 2012-05-18
EP2638433A1 (en) 2013-09-18
CN103201685A (zh) 2013-07-10
CN103201685B (zh) 2015-11-25
US9310752B2 (en) 2016-04-12
EP2638433B1 (en) 2019-07-17
JP2012101888A (ja)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01B1 (ko) 유닛 이동 디바이스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58626B1 (ko) 화상형성장치
JP6541415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320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supporting a recording medium
US9714146B2 (en) Sheet storag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2516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54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40698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5048B2 (ja) 画像形成装置
JP6784135B2 (ja) 開閉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6062011B2 (ja) ユニット移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04947B2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684467B2 (ja) シート収納装置、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9412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030995A (ja) 被記録媒体給送トレイ、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48708A (ja)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365073B2 (en) Manual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8148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99686B2 (ja) 給紙カ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68567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7189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075365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1066555A (ja) アタッチメン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8787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12596A (ja) 給紙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