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284B1 - 벽붙이 수전 - Google Patents

벽붙이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284B1
KR101496284B1 KR20130136054A KR20130136054A KR101496284B1 KR 101496284 B1 KR101496284 B1 KR 101496284B1 KR 20130136054 A KR20130136054 A KR 20130136054A KR 20130136054 A KR20130136054 A KR 20130136054A KR 101496284 B1 KR101496284 B1 KR 10149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rtridge
wall
cold
hot water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구
Original Assignee
김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구 filed Critical 김종구
Priority to KR2013013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붙이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하우징 정면에서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 및 니플을 통해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엘보우와 직접 연결시켜 벽면에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냉/온수엘보우와 수전하우징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벽면에 매입된 냉/온수공급배관의 높이 또는/및 간격이 상이한 경우에도 정확한 수평상태로 설치가 가능한 벽붙이 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간격을 두고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어, 레버 조작에 의해 냉수와 온수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밸브카트리지(1)를 수용하는 벽붙이 수전(1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 단과 연통된 중간 부분은 각각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1); 벽면 밀착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카트리지(1)와 연결수단(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13)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가압되면서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수전하우징(12);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붙이 수전{WATER SUPPLY VALVE}
본 발명은 벽붙이 수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하우징 정면에서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 및 니플을 통해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엘보우와 직접 연결시켜 벽면에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냉/온수엘보우와 수전하우징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벽면에 매입된 냉/온수공급배관의 높이 또는/및 간격이 상이한 경우에도 정확한 수평상태로 설치가 가능한 벽붙이 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Water Supply Valve) 즉, 수도꼭지는 냉/온수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온수를 혼합 또는 하나만 선택하여 필요한 온도의 물을 필요한 양만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즉,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보일러를 통한 온수 포함)의 양을 조절하는 한편, 냉/온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수온을 조절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폐장치이다.
상기, 수전은 주방의 싱크대 상방 벽면에 설치되거나, 욕실(목욕탕 포함) 벽면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에 레버를 조작하여 적정한 또는 원하는 온도와 유량의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전(a)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하우징(b)의 내부에 밸브카트리지(vc)를 구비하고, 수전하우징(b)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d)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카트리지(vc)를 개폐 동작시켜, 상기 배출구(e)로 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 (적용처 또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설계 변경하여 샤워기 호스를 배출구(e) 또는 수전하우징(b)의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더 연결할 수도 있음.)
이때, 상기 수전(a)과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공급관 선단부에 마련된 냉/온수엘보우(C,H)의 연결을 살펴보면, 상기 수전하우징(b)의 양측 단에 마련되는 암수 나사(일측 단에 결합된 너트와 타측 단 외주면의 나사탭) 부분에 내부가 연통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S"자 타입의 연결암(f) 일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의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는 니플(i)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암(f)의 타측 단과 니플(i)의 타측 단을 연결시켜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암(f)과 냉/온수배관엘보우(C,H)의 연결 부위는 마감부재(g,h)를 통해 차단되어, 천공된 벽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전(a)은 연결구조가 상기와 같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수전(a)의 후방에서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수전(a)의 연결 및 고정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전(a) 본체와 연결암(f), 연결암(f)과 냉/온수엘보우(C,H)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의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감부재(g,h)를 니플(i)의 외주면에 결합시켜 벽면의 천공부위를 커버하나, 이 역시 외관상 미려함을 저해하며, 시공 작업이 늘어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면에 매설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의 높이 차이 내지는 간격의 차이에 따라,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a)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된 상태가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연결암(f)의 각도를 조정하여 수전하우징(b)의 수평 상태를 조정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좌우의 연결암(f)이 상호 일정한 각도(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여야 미감을 훼손하지 않음)를 유지하지 못하여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본원인은 국내특허등록 제1011451090000(벽면설치용 수전 ; 출원일 : 2010.02.25.자)와 국내특허등록 제1011958950000호(벽면설치용수전 ; 출원일 : 2011.04.15.자)를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등록된 기술들은 냉온수공급배관과 수도밸브카트리지를 연결시키는 호스 단부를 니플과 같은 연결구를 통해 결합시키고, 해당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전하우징 또는 비품대와 같은 커버를 씌워서 차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원인의 종래 기술들은 수전하우징 또는 비품대와 같은 커버가 단순히 연결부위 내지 배관들에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벽면과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못하는 개선 요구사항을 가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 정면에서 볼트 또는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 및 니플을 통해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엘보우와 직접 연결시켜 벽면에 밀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냉/온수엘보우와 수전하우징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벽면에 매입된 냉/온수공급배관의 높이 또는/및 간격이 상이한 경우에도 정확한 수평상태로 설치가 가능한 벽붙이 수전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간격을 두고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어, 레버 조작에 의해 냉수와 온수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밸브카트리지(1)를 수용하는 벽붙이 수전(1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 단과 연통된 중간 부분은 각각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1); 벽면 밀착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카트리지(1)와 연결수단(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13)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가압되면서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수전하우징(12);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의 정면 부분을 고정수단(13)이 관통하여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연결된 연결수단(11)의 타측 단과 결합되면서 가압하여 수전하우징(12)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전하우징의 후방에서 "S"자형의 연결암을 통해 냉/온수배관엘보우(니플 포함)와 밸브카트리지를 연결시키는 종래 기술에 비해, 연결구조 내지 고정구조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의 정면 부분을 고정수단(13)이 관통하여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연결된 연결수단(11)의 타측 단과 결합되면서 가압하여 수전하우징(12)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전하우징의 후방에서 연결 및 고정작업이 이루어져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난해한 종래 기술에 비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이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밸브카트리지(1)와의 연결구조(연결수단(11)과 호스(14) 및 벽면의 천공된 부분 포함)를 차단함으로써, 이들의 노출에 의한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관통공(12b)은 수평 방향의 장공, 타측 관통공(12b)은 수직 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의 간격 내지 높이에 편차가 있더라도 수전하우징(12)의 폭 조절과 비뚤어짐을 보정할 수 있어, 수전하우징(12)이 기울어져 설치됨으로 인한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전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 수전의 구성 및 비뚤어져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2.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내부 연결구조는 생략함)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간격을 두고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어, 레버 조작에 의해 냉수와 온수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밸브카트리지(1)를 수용하는 벽붙이 수전(1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 단과 연통된 중간 부분은 각각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1); 벽면 밀착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카트리지(1)와 연결수단(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13)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가압되면서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수전하우징(12);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수단(11)의 일측 단은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도록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상기 고정수단(13)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단에서부터 중간 부분의 측면은 연통되어지되, 중간 부분의 연통된 부분에는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와 연결되는 호스(14)의 일측 단이 연결되도록 내경 또는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자형 또는 "T"자형 니플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상기 밸브카트리지(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정면 중앙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 상기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의 양측 방향 정면 중 일측 방향에는 가로방향의 장공, 타측 방향에는 세로방향의 장공이 마련되어,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관통공(12b);을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상부면 중간 부분과 하부면 중간 부분에는 각각 토수구(15)와 샤워호스(16)가 끼워져 고정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정면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되고 돌출된 테두리의 내면부분에 상기 고정수단(13)의 고정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정면커버(17)가 스냅결합을 통해 덮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상부면은 확장되거나 테두리 부분에 돌턱이 마련되어 비품을 안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전하우징(12)의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의 후방 부분 내경에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하우징(12) 전방에서 인서트되는 밸브카트리지(1)의 인서트 깊이를 제한하는 환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연결수단(11)을 연결시키고, 상기 수도하우징(12)의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밸브카트리지(1)를 인서트시킨 후,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와 연결수단(11)의 중간 부분을 호스(14)를 통해 연결시키고, 상기 관통공(12b) 부분에 맞추어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을 위치시킨 후, 고정수단(13)을 수도하우징(12)의 관통공(12b)을 관통시켜 연결수단(11)과 결합하여 수전하우징(12)을 벽면에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시공이 완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적으로,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조작레버 단부에 결합되는 수온/수량조절노브(2,3)가 수전하우징(12)의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밸브카트리지(1)를 수전하우징(12)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는 밸브카트리지(1) 자체에 마련된 냉/온수공급공일 수도 있고, 밸브카트리지(1)에 결합되는 별도의 메니폴드(Manifold)에 형성되어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공과 연통되는 냉/온수공급공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메니폴드가 밸브카트리지(1)에 결합될 경우, 토수구(15)와 샤워호스(16)가 결합되는 통공 역시 메니폴드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일측 단은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 단과 연통된 중간 부분은 각각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1)과, 벽면 밀착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카트리지(1)와 연결수단(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13)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가압되면서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수전하우징(12)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연결수단(11)의 일측 단은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도록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상기 고정수단(13)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단에서부터 중간 부분의 측면은 연통되어지되, 중간 부분의 연통된 부분에는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와 연결되는 호스(14)의 일측 단이 연결되도록 내경 또는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자형 또는 "T"자형 니플이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상기 밸브카트리지(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정면 중앙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체 형상으로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의 양측 방향 정면 중 일측 방향에 폭 맞춤용 가로방향의 장공과 타측 방향에 각도 맞춤용 세로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관통공(12b)이 마련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상부면 중간 부분과 하부면 중간 부분에는 각각 토수구(15)와 샤워호스(16)가 끼워져 고정되는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정면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되어, 고정수단(13)의 고정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정면커버(17)가 스냅결합을 통해 덮여진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의 정면 부분을 고정수단(13)이 관통하여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연결된 연결수단(11)의 타측 단과 결합되면서 수전하우징(12) 정면을 가압 고정시킴과 동시에, 수전하우징(12)의 벽면 밀착면을 벽면 방향으로 밀어서 면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의 후방에서 "S"자형의 연결암을 통해 냉/온수배관엘보우(니플 포함)와 밸브카트리지를 연결시키는 종래 기술에 비해, 연결구조 내지 고정구조를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의 정면 부분을 고정수단(13)이 관통하여 벽면에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연결된 연결수단(11)의 타측 단과 결합되면서 수전하우징(12) 정면을 가압 고정시킴과 동시에, 수전하우징(12)의 벽면 밀착면을 벽면 방향으로 밀어서 면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의 후방에서 연결 및 고정작업이 이루어져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난해한 종래 기술에 비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이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밸브카트리지(1)와의 연결구조(연결수단(11)과 호스(14) 및 벽면의 천공된 부분 포함)를 차단함으로써, 이들의 노출에 의한 미관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관통공(12b)은 수평 방향의 장공, 타측 관통공(12b)은 수직 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의 간격 내지 높이에 편차가 있더라도 수전하우징(12)의 폭 조절과 비뚤어짐을 보정할 수 있어, 수전하우징(12)이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수전하우징(12)이 기울어져 설치됨으로 인해 미관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정면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밸브카트리지(1)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일측 방향 정면에는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의 장공 세로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관통공(12b)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전하우징(12)의 관통공(12b)이 마련되는 정면부분은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이 홈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수단(13)의 고정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정면커버(17)가 스냅결합을 통해 덮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면커버(17)의 하단은 전방으로 절곡 돌출되어, 비품을 안치시키거나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은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 형태이고, 상기 고정수단(13)은 너트로 이루어져 상호 조임 결합에 의해 수전하우징(12) 정면을 가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수전(10)을 벽면에 시공 시 수전하우징(12)의 관통공(12b)으로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형성된 수나사 부분이 돌출되어, 고정수단(13)인 너트를 통해 조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관통공(12b) 중 일측의 관통공은 가로방향의 장공, 타측의 관통공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경사면을 갖는 장공이 마련되어,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을 갖는 장공은 "<" 또는 ">" 또는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관통공(12b)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보다 고정수단(13)에 대해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수온/수량조절노브(2,3)가 수전하우징(12)의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밸브카트리지(1)를 수전하우징(12)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서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냉/온수조절노브(2,3)가 수전하우징(12)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밸브카트리지(1)를 수전하우징(12)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서 고정시키고, 토수구(15)을 정면에 위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수전 11 : 연결수단
12 : 수전하우징 12a : 밸브카트리지고정부
12b : 관통공 13 : 고정수단
14 : 호스 15 : 토수구
16 : 샤워호스 17 : 정면커버
1 : 밸브카트리지 C,H : 냉/온수배관엘보우

Claims (10)

  1. 벽면에 간격을 두고 매립된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어, 레버 조작에 의해 냉수와 온수를 각각 또는 혼합하여 배출시키는 밸브카트리지(1)를 수용하는 벽붙이 수전(10)에 있어서,
    일측 단은 상기 냉/온수배관엘보우(C,H)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 단과 연통된 중간 부분은 각각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에 연결되는 연결수단(11);
    벽면 밀착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상기 밸브카트리지(1)와 연결수단(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정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수단(13)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에 가압되면서 벽면에 밀착고정되는 수전하우징(12);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1)은,
    일측 단은 냉/온수배관엘보우(C,H)와 연결되도록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단은 상기 고정수단(13)이 끼워져 연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 단에서부터 중간 부분의 측면은 연통되어지되, 중간 부분의 연통된 부분에는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냉/온수공급경로와 연결되는 호스(14)의 일측 단이 연결되도록 내경 또는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자형 또는 "T"자형 니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상기 밸브카트리지(1)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정면 중앙에서 내측 방향으로 관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
    상기 밸브카트리지고정부(12a)의 양측 방향 정면 중 일측 방향에는 가로방향의 장공, 타측 방향에는 세로방향의 장공이 마련되어,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관통공(12b);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하우징(12)의 정면은,
    상기 고정수단(13)의 고정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정면커버(17)가 스냅결합을 통해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정면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밸브카트리지(1)가 마련되고,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일측 방향 정면에는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의 장공 세로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관통공(12b)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하우징(12)의 관통공(12b)이 마련되는 정면부분은,
    테두리를 제외한 부분이 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에 고정수단(13)의 고정부위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정면커버(17)가 스냅결합을 통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커버(17)의 하단은,
    전방으로 절곡 돌출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1)의 타측 단은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 형태이고, 상기 고정수단(13)은 너트로 이루어져 상호 조임 결합에 의해 수전하우징(12) 정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하우징(12)은,
    상기 밸브카트리지(1)의 정면 방향 양측에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의 관통공(12b)이 마련되어지되, 일측의 관통공은 가로방향의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의 관통공은 마찰력을 제공하는 경사면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설치 폭 맞춤 및 각도 맞춤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을 갖는 장공은 "<" 또는 ">" 또는 "/"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붙이 수전.
KR20130136054A 2013-11-11 2013-11-11 벽붙이 수전 KR10149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054A KR101496284B1 (ko) 2013-11-11 2013-11-11 벽붙이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054A KR101496284B1 (ko) 2013-11-11 2013-11-11 벽붙이 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284B1 true KR101496284B1 (ko) 2015-03-02

Family

ID=5302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054A KR101496284B1 (ko) 2013-11-11 2013-11-11 벽붙이 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2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770B2 (ja) * 1990-06-29 1999-02-0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壁付水栓
JP2002115287A (ja) * 2000-10-10 2002-04-19 Inax Corp 壁付混合水栓の施工構造
JP2006328674A (ja) * 2005-05-24 2006-12-07 Kvk Corp 水栓の接続構造
KR101145109B1 (ko) * 2010-01-27 2012-05-14 김종구 벽면설치용 수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3770B2 (ja) * 1990-06-29 1999-02-03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壁付水栓
JP2002115287A (ja) * 2000-10-10 2002-04-19 Inax Corp 壁付混合水栓の施工構造
JP2006328674A (ja) * 2005-05-24 2006-12-07 Kvk Corp 水栓の接続構造
KR101145109B1 (ko) * 2010-01-27 2012-05-14 김종구 벽면설치용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7711C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KR101496284B1 (ko) 벽붙이 수전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101937484B1 (ko) 벽붙이 수전
US20220186473A1 (en) Fluid distribution unit for sanitary changeover fittings
EP2186952A2 (en) Connection device for a tap and a method of connecting parts of a tap together
JP6441758B2 (ja) 湯水混合栓への給水および給湯ホース組付け機構
JP5456932B1 (ja) 水栓蛇口及び水栓の壁取付構造
KR20070001162U (ko) 조절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단속부재를 갖는 냉, 온수혼합수도전
JP6840628B2 (ja) 継手収容ボックス、継手収容ボックスと配管保護カバーとの組付装置、及び混合水栓の設置構造
WO2017103566A1 (en) Plumbing fixtures
JP7237599B2 (ja) 水栓の接続構造
JP2012046956A (ja) 水栓
US20110272041A1 (en) System of connecting thermostatic mixing valve with the sink and mini shower
CN220268557U (zh) 一种置物架龙头
JP5740711B2 (ja) 壁付き混合水栓
JPH1030261A (ja) 水栓接続金具及び水栓設備
CN211667227U (zh) 一种面盆龙头
JPH09328790A (ja) 水栓設置構造
KR20120095077A (ko) 벽면설치용 수전
CN109415889A (zh) 具有调节分隔件的混合阀
JP2004019254A (ja) 混合水栓の配管接続構造
JP3710978B2 (ja) 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