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96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965B1
KR101494965B1 KR20130082284A KR20130082284A KR101494965B1 KR 101494965 B1 KR101494965 B1 KR 101494965B1 KR 20130082284 A KR20130082284 A KR 20130082284A KR 20130082284 A KR20130082284 A KR 20130082284A KR 101494965 B1 KR101494965 B1 KR 10149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icting portions
tabs
entry
entry restricting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310A (ko
Inventor
요시히로 미즈타니
신지 히라노
게이시 기타무라
다카오 하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후드부(10) 내에는, 적어도 복수의 탭(20, 21)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3개 이상 나란하게 배치된 진입 규제부(30, 31, 32)가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탭(20, 21)을 사이에 두고서, 인접 배치된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의 내측에는 오목 공간(3A ~ 3E)이 폭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후드부(10) 내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구면체(201)의 구면이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의 전단에 접촉하여, 구면체(201)의 중심축 상의 정점(202)이 오목 공간(3A ~ 3E) 내에 진출하는 경우에, 복수의 오목 공간(3A ~ 3E) 중 어디에서나, 탭(20, 21)이 평면도로 보아 정점(202)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상대 커넥터와 감합 가능한 통형의 후드부를 갖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후드부는 안쪽벽과 그 주연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둘레벽으로 이루어진다. 안쪽벽에는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탭이 장착되어 있다. 각 탭은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드부 내에는 복수의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각 리브를 받치는 복수의 리브 받침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 받침 홈 내에 각 리브가 감합함으로써,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한편, 양 하우징이 정규와 다른 부정한 감합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는, 각 리브의 선단이 상대 커넥터의 벽면에 간섭하여,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이 규제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11-40327호 공보
전술한 각 리브는 커넥터가 잘못 감합되는 것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각 리브의 배열에 특별히 규칙성은 없고, 각 리브의 개수가 적은데다가, 각 리브와 각 탭 간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특별히 배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부터 우발적으로 이물이 삽입되면, 이물이 각 리브 사이를 통과하여 탭과 간섭하여, 탭이 변형될 우려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손가락 같은 선단이 반구면형을 이루는 구면체가 삽입되면, 구면체의 정점 부분이 후드부 내의 안쪽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리브의 선단이 구면체의 정점 부분과 간섭하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탭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안쪽벽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둘레벽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후드부와, 상기 안쪽벽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병렬로 장착되며, 상기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탭과, 상기 후드부 내에, 적어도 상기 복수의 탭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3개 이상 나란하게 배치되어, 전단이 상기 탭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진입 규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후드부 내에 있어서, 상기 탭을 사이에 두고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내측에, 오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공간이 폭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부터 구면체가 삽입되어, 상기 구면체의 구면이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전단에 접촉하고, 상기 구면체의 중심축 상의 정점이 상기 오목 공간 안으로 진출하도록 상기 구면체가 들어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오목 공간 중 어디에서나, 상기 탭이 평면도로 보아 상기 정점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게 하려는 데에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부터 구면체가 삽입되면, 구면체의 구면이 인접하는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전단에 접촉하여, 구면체의 중심축 상의 정점이 오목 공간 안으로 진출하게 되는데, 이 때, 탭이 평면도로 보아 정점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점에 탭이 간섭하는 일은 없어, 구면체와 같은 이물에 의해서 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후드부 내에 구면체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도 1의 D-D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도 1의 E-E 단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도 1의 F-F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정규 감합 상태에 있는 양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후드부 내에 구면체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도 12의 G-G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3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4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5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6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H-H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7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I-I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8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J-J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 거의 동일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렬 영역을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탭이 각각 폭 방향으로 거의 동일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렬 영역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정렬 영역에서는 각 오목 공간의 개구 폭도 거의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개구 폭이 넓은 오목 공간이 생기는 일은 없어, 개구 폭이 넓은 오목 공간 내에 구면체의 정점이 깊게 진출하여, 탭이 구면체에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과,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이, 폭 방향으로 랩핑하도록 배치된 랩 영역을 갖는다. 이렇게 하면, 오목 공간 내에 구면체의 정점이 진출한 경우에, 탭이 정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탭이 구면체와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상기 랩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과,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이 폭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된 동위상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동위상 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면, 탭과 진입 규제부 간의 위치 관계가 명확하게 되어, 탭과 진입 규제부의 배열 규칙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랩 영역에서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과 같거나 혹은 이 탭보다 큰 폭 치수를 갖는다. 이렇게 하면, 탭이 진입 규제부에 의해서 보호되어 이물과 간섭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탭이 변형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입 규제부의 전단이, 상기 오목 공간측을 향해서 전방으로 근접하는 역테이퍼형을 이룬다. 이렇게 하면, 후드부 내에 삽입된 이물이 오목 공간 외측으로 유도되어 탭과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가,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과 대향하는 반대쪽의 위치에, 복수의 박육부가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박육부에 의해, 성형시에 후드부의 둘레벽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진입 규제부의 기단부(후드부의 둘레벽에 연결되는 부분)의 폭 치수를 크게 잡을 수 있다.
상기 둘레벽의 외면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나와 상기 복수의 박육부에 연통되고, 또한 뻗어나오는 방향 양단이 개방된 물빠짐부가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의 외면에 우묵하게 형성된 박육부 내에는 물이 고이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지만, 이 구성에 따르면, 박육부 내에 침입한 물을 물빠짐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수할 수 있으므로, 박육부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가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진입 규제부가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기단부와, 상기 오목 공간을 향하며, 상기 기단부보다 폭이 넓은 선단부를 갖는다. 진입 규제부의 기단부가 폭이 좁은 형태로 됨으로써, 성형시에 후드부의 둘레벽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진입 규제부의 선단부가 폭이 넓은 형태로 됨으로써 이물과 접촉 가능한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탭이 이물과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둘레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성형시에 둘레벽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둘레벽이 쓰러지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서로의 감합면측을 전방으로 한다.
커넥터는 합성수지제의 후드부(10)를 구비한다. 후드부(10)는 도 1,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안쪽벽(11)과, 안쪽벽(11)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뻗는 형태의 둘레벽(12)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0) 내에는, 전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가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12) 외면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캠 팔로워(1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캠 팔로워(13)는 원기둥형을 이루며, 상대 커넥터의 레버(80)에 형성된 캠 홈(81)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쪽벽(11)에는, 도 1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탭(20, 21)이 장착되어 있다. 탭(20, 21)은 도전 금속제이며 안쪽벽(11)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안쪽벽(11)의 앞면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탭(20, 21) 중, 도면 우측에 위치하는 것은, 폭 방향을 따라서 편평한 판형을 이루는 판형 탭(21)이며, 후드부(10)의 높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쌍을 이루어 가로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탭(20, 21) 중, 도면 좌측에 위치하는 것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각진 핀 형상을 이루는 핀형 탭(20)이며, 상하 2단으로 또한 폭 방향으로 다수개(3개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핀형 탭(20)은 후드부(10)의 높이 방향 중앙보다 조금 위쪽의 높이 위치를 사이에 둔 상하 대칭 위치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관해서 각각 동일 피치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핀형 탭(20)이 배치되는 영역을 정렬 영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후드부(10) 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탭(20, 2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진입 규제부(30, 31, 32)는 안쪽벽(11)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되고, 이 중, 후술하는 제3 진입 규제부(32)를 제외하면, 전후 방향을 따라서 둘레벽(12)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각 탭(20, 21)을 사이에 둔 높이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다수개(3개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진입 규제부(30, 31, 32)의 전단(前端)은 각 탭(20, 21)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각각 거의 같은 전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진입 규제부(30, 31, 32) 중, 도면 우측단에 위치하는 것은,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기단부(33)와 후드부(10) 안을 향하는 폭이 넓은 선단부(34)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대략 T자형인 제2 진입 규제부(31)이며, 도면 우측단의 판형 탭(21)을 사이에 둔 높이 양측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진입 규제부(30, 31, 32) 중, 도면 좌측에 위치하는 것은,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뻗는 대략 각진 리브형의 형태이며 또한 높이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동폭으로 뻗는 제1 진입 규제부(30)이며, 각 핀형 탭(20)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거의 동일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도면 좌측단의 것을 제외하면 서로 같은 형태 같은 크기이고, 각 핀형 탭(20)의 각각과 상하로 대향하여 랩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진입 규제부(30, 31, 32)는 각 핀형 탭(20)보다 큰 폭 치수를 가지며, 도면 좌측단의 것을 제외하면, 각 핀형 탭(20)의 폭 방향 중심과 폭 방향에 대해 같은 위치에 폭 방향 중심을 갖고 있다.
한편, 제1 진입 규제부(30)는 각 핀형 탭(20) 중 도면 우측단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제1 진입 규제부(30)가 배치되는 영역을 정렬 영역이라고 부르고, 각 제1 진입 규제부(30)와 각 핀형 탭(20)이 폭 방향에 대해서 서로 랩핑하는 영역을 랩 영역이라 부르고, 또한, 각 제1 진입 규제부(30)(도면 좌측단의 것을 제외함)와 각 핀형 탭(20) 쌍방의 폭 방향 중심이 폭 방향에 대해 같은 위치에 가지런하게 되는 영역을 동위상 영역이라고 부른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의 각각의 전단은 내측[후드부(10)의 높이 방향 중앙측이며, 후술하는 오목 공간(3A ~ 3E)측]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로 전방으로 근접하는 역테이퍼부(35)로 되어 있다.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의 각각의 내단은 역테이퍼부(35)에 의해서 거의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역테이퍼부(35)의 경사각은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의 각각에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진입 규제부(30, 31, 32) 중, 폭 방향에 대해서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안쪽벽(11)의 둘레벽(12)으로부터 이격되는 제3 진입 규제부(32)이며, 2개의 판형 탭(21) 중 도면 좌측의 판형 탭(21)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진입 규제부(32)는 판형 탭(21)과 핀형 탭(20) 사이를 막는 판 두께가 큰 후육 세로벽(36)과, 한 쌍의 판형 탭(21) 사이를 막는 후육 세로벽(36)보다 판 두께가 작은 박육 세로벽(37)과, 후육 세로벽(36) 및 박육 세로벽(37)의 양 상측단에 연결되는 가로벽(38)을 갖는다.
상대 커넥터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 리테이너(60), 프론트 마스크(70) 및 레버(80)를 구비한다.
하우징(50)은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51)와, 하우징 본체(51)의 둘레를 둘러싸는 통형의 감합 통부(52)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51)와 감합 통부(52) 사이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드부(10)의 둘레벽(12)이 삽입된다. 하우징 본체(51)의 외면에는 시일링(55)이 감착되어 있어, 감합시에는 시일링(55)이 둘레벽(12)과 하우징 본체(51) 사이에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양 커넥터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51)에는, 각 탭(20, 21)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캐비티(5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53)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암형 단자 금구(90)가 삽입되고, 또한 암형 단자 금구(90)에 압착된 고무 마개(95)가 밀착하여 삽입된다. 또한, 각 암형 단자 금구(90)는 전선(100)의 단말부에 접속되고, 각 전선(100)은 하우징 본체(5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된다.
하우징 본체(51)의 하면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캐비티(53)와 연통하는 리테이너 장착부(54)가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60)는 리테이너 장착부(54) 내에 삽입되어 각 암형 단자 금구(90)를 빠짐 방지 상태로 계지하는 역할을 한다. 감합 통부(52)의 하벽에는 리테이너(60)가 통과하는 릴리프 오목부(56)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합 통부(52)의 양 측벽에는 레버(8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80)에는 한 쌍의 캠 홈(81)(도 11에서 일부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양 커넥터가 얕게 감합될 때에, 양 캠 홈(81)에 양 캠 팔로워(13)가 진입하고, 레버(80)의 회동 조작에 따라, 양 캠 홈(81)의 홈면을 양 캠 팔로워(13)가 미끄럼 이동하여 캠 작용이 발휘되고, 이에 따라 양 커넥터가 낮은 조작력으로 감합되게 되어 있다.
프론트 마스크(70)는 하우징 본체(51)의 앞면을 덮는 앞판(71)과, 앞판(71)의 주연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둘레판(72)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판(71)에는, 각 캐비티(53)와 대응하는 위치에, 핀형 탭(20)을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탭 삽입 구멍(73)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마스크(70)에는, 감합시에 각 진입 규제부(30, 31, 32)가 삽입되는 복수의 진입 규제 받침 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가 관통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판(71)으로부터 둘레판(72)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뻗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진입 규제 받침 홈(74)은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둘레판(72)의 하면에는 리테이너(60)의 하벽이 삽입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리테이너(60)의 하벽에도 복수의 진입 규제 받침 홈(74)이 둘레벽(12)측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둘레벽(12)에 각 진입 규제 받침 홈(7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둘레벽(12)의 판 두께를 확보하도록 프론트 마스크(70)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그만큼, 프론트 마스크(70)가 감합하는 후드부(10)의 개구 치수도 커진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그 결과, 후드부(10) 내에 전방으로부터 손가락 등의 이물이 들어가기 쉬워, 그 이물에 의해서 각 탭(20, 21)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내용에 감안해,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는, 이러한 이물이 각 탭(20, 21)에 접촉하지 않도록, 각 탭(20, 21)과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그 배열이 정해져 있다. 자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물의 모델로서 원기둥 부재(200)가 준비되고, 원기둥 부재(200)의 선단부가 각 탭(20, 21)에 접촉하지 않도록 각 진입 규제부(30, 31, 32)의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이 경우, 원기둥 부재(200)의 선단부는 반구면형의 구면을 갖는 구면체(201)이며, 예컨대 손끝이나 지그를 본뜬 것이다. 구면체(201)의 높이 방향 도중의 평단면 형상은 원형을 이루고, 구면체(201)의 구면의 중심축 상에는 정점(202)이 위치해 있다. 구면체(201)가 후드부(10)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정점(202)이 후드부(10)의 안쪽[후술하는 오목 공간(3A ~ 3E)]에 가장 깊게 진출하게 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탭(20, 21)을 사이에 두고서 인접 배치된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 사이에는, 후드부(10) 내에 전방으로부터 원기둥 부재(200)가 삽입되었을 때에, 구면체(201)가 들어가는 오목 공간(3A ~ 3E)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공간(3A ~ 3E)은 후드부(10) 내에 폭 방향으로 연속해서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후드부(10) 내의 폭 방향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각 오목 공간(3A ~ 3E) 안으로 순차 들어가서, 전후 이동하면서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드부(10)의 도면 좌측단에서는, 좌측단의 핀형 탭(20)을 사이에 두고서 높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좌측단의 제1 진입 규제부(30)(다른 제1 진입 규제부(30)에 비해서 폭이 넓은 것)와, 둘레벽(12)의 내면의 좌측단의 사이에 오목 공간(3A)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상기 한 쌍의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각 전단[각 역테이퍼부(35)의 내단]에 구면이 지지되고 또한 둘레벽(12)의 내면의 좌측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오목 공간(3A)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랩 영역에서는, 핀형 탭(20)을 사이에 두고서 높이 방향 양측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4개의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에, 복수의 오목 공간(3B)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상기 4개의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각 전단에 구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오목 공간(3B)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후드부(10)의 도면 우측의 중앙 부근에서는, 우측단의 핀형 탭(20)을 사이에 두고서 높이 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한 쌍의 우측단의 제1 진입 규제부(30)와, 제3 진입 규제부(32)의 후육 세로벽(36)의 사이에 오목 공간(3C)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상기 한 쌍의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각 전단과 후육 세로벽(36)의 전단에 구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오목 공간(3C)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후드부(10)의 도면 우측에서는, 좌측의 판형 탭(21)을 사이에 둔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후육 세로벽(36) 및 박육 세로벽(37)과, 둘레벽(12) 내면의 하단의 사이에, 오목 공간(3D)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상기 후육 세로벽(36) 및 박육 세로벽(37)의 각 전단에 구면이 지지되고 또한 둘레벽(12) 내면의 하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오목 공간(3D)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후드부(10)의 도면 좌측단에서는, 우측의 판형 탭(21)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진입 규제부(31)와, 둘레벽(12) 내면의 우단의 사이에 오목 공간(3E)이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는 상기 한 쌍의 제2 진입 규제부(31)의 각 전단에 구면이 지지되고 또한 둘레벽(12) 내면의 우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오목 공간(3E)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 공간(3A ~ 3E) 내에는 구면체(201) 중의 정점(202)이 가장 깊게 진출하도록 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어느 오목 공간(3A ~ 3E) 내에 구면체(201)가 들어가게 되더라도, 구면체(201)의 정점(202)이 탭(20, 21)의 선단과 접촉하지 않도록 담보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오목 공간(3A ~ 3E) 내에 구면체(201)가 들어간 경우에, 구면체(201)의 정점(202)과 각 탭(20, 21)의 전단이 평면도로 보아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목 공간(3A ~ 3E) 내에 구면체(201)가 들어간 경우에, 각 탭(20, 21)이 정점(202)을 포함하여 구면체(201)의 구면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도록 담보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공간(3A) 등에서는, 구면체(201)의 정점(202)보다 상위에 핀형 탭(20)이 위치해 있고, 즉, 구면체(201)와 핀형 탭(20)이 높이 방향에서 랩핑하는 부분을 갖는 경우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부(10) 내에 전방으로부터 구면체(201)가 삽입되면, 구면체(201)의 구면이 인접하는 복수의 진입 규제부(30, 31, 32)의 전단에 접촉하여, 구면체(201)의 중심축 상의 정점(202)이 오목 공간(3A ~ 3E) 내에 진출하게 되는데, 이 때, 복수의 오목 공간(3A ~ 3E) 중 어디에서나, 탭(20, 21)이 평면도로 보아 정점(202)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점(202)에 탭(20, 21)이 간섭하는 일이 없어, 구면체(201)와 같은 이물에 의해서 탭(20, 2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드부(10) 내에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가 정렬 배치되는 정렬 영역과, 각 핀형 탭(20)이 정렬 배치되는 정렬 영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정렬 영역 내의 각 오목 공간(3B)이 거의 동일한 개구 폭으로 가지런하게 된다. 그 결과, 구면체(201)가 부분적으로 개구 폭이 넓은 오목 공간(3B)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어, 각 핀형 탭(20)이 구면체(201)와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 진입 규제부(30)와 각 핀형 탭(20)은 폭 방향으로 랩핑하는 랩 영역을 갖기 때문에, 오목 공간(3B) 내에 구면체(201)의 정점(202)이 진출한 경우에, 탭(20, 21)이 정점(20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탭(20, 21)이 구면체(201)와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더구나, 랩 영역에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과, 각 핀형 탭(20)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이 폭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동위상 영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핀형 탭(20)과 제1 진입 규제부(30) 간의 위치 관계가 명확하게 되어, 배열의 규칙성이 담보된다.
또한, 랩 영역에서는, 제1 진입 규제부(30)가 핀형 탭(20)보다 큰 폭 치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핀형 탭(20)이 제1 진입 규제부(30)에 의해서 보호된 상태가 되어, 이물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각 제1, 제2 진입 규제부(30, 31)의 각각의 전단이 오목 공간(3A ~ 3E)측을 향해 전방으로 근접하는 역테이퍼부(35)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드부(10) 내에 삽입된 구면체(201) 등의 이물이 오목 공간(3A ~ 3E)의 외측으로 유도되어 탭(20, 21)과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역테이퍼부(35)의 내단이 거의 끝이 예리한 형상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역테이퍼부(35)의 내단에 손끝이 간섭하여 통각을 느낌으로써, 손가락의 그 이상의 삽입 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진입 규제부(31)에서는,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기단부(33)와, 오목 공간(3E)을 향하며, 기단부(33)보다 폭이 넓은 선단부(34)를 갖고 있고, 기단부(33)가 폭이 좁은 형태이므로, 성형시에 후드부(10)의 둘레벽(12)에 싱크 마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선단부(34)가 폭이 넓은 형태이므로, 이물과 간섭할 수 있는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판형 탭(21)이 이물과 간섭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한다. 실시예 2에서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 및 배열은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후드부의 부호를 10A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벽(12) 내면의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다수개(3개 이상) 배치되며, 폭 방향에 대해 각각 일정 피치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의 거의 2배가 되고,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에 대하여 거의 반감되었다.
또한,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핀형 탭(20) 사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높이 방향 양측의 각각에서 폭 방향으로 반 피치씩 위치가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공간(3B)은 핀형 탭(20)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3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가 둘러싸는 내측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구면체(201)는, 상기 인접하는 3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전단에 구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오목 공간(3B) 내에 들어가게 된다. 그렇게 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체(201)의 정점(202)이 오목 공간(3B) 안으로 깊게 진출하지만, 정점(202)을 포함하는 구면체(201)의 구면이 각 핀형 탭(20)과 접촉하는 일은 없다. 한편, 핀형 탭(2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면도로 볼 때에 정점(202)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이익을 향수하는데다가,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실시예 3에서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 및 배열은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후드부의 부호를 10B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벽(12) 내면의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다수개(3개 이상) 배치되어, 폭 방향에 대해서 각각 일정 피치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의 거의 2배가 되고,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에 대하여 거의 반감되었다.
또한,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각 핀형 탭(20) 중, 하나 걸러 배치된 각 핀형 탭(20)과 폭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높이 방향 양측의 각각에서 폭 방향으로 반 피치씩 위치가 어긋나서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3의 경우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오목 공간(3B) 내에 구면체(201)가 들어가게 되면, 구면체(201)의 구면이 인접하는 3개의 제1 진입 규제부(30)의 전단에 지지되어 각 핀형 탭(20)과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한다. 실시예 4에서는,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 및 배열은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후드부의 부호를 10C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둘레벽(12) 내면의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다수개(3개 이상) 배치되고, 폭 방향에 대해서 각각 일정 피치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 사이의 피치의 거의 2배가 되고,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개수에 대하여 거의 반감되었다.
또한, 각 제1 진입 규제부(30)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핀형 탭(20)의 사이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높이 방향 양측의 각각에서 폭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 공간(3B)은 핀형 탭(20)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4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가 둘러싸는 내측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구면체(201)는 상기 인접하는 4개의 각 제1 진입 규제부(30)의 전단에 구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오목 공간(3B)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구면체(201)가 오목 공간(3B) 내에 들어갔을 때에, 각 핀형 탭(20)과 정점(202)은 평면도로 보아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정점(202)을 포함하는 구면 전체가 각 핀형 탭(20)과 접촉하는 일은 없다.
<실시예 5>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한다. 실시예 5에서는, 제1 진입 규제부(30D)의 형태는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제1 진입 규제부의 부호를 30D로 하고, 후드부의 부호를 10D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1 진입 규제부(30D)는 제2 진입 규제부(31)와 마찬가지로,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기단부(33D)와, 오목 공간(3B)측을 향하며, 기단부(33D)보다 폭이 넓은 선단부(34D)를 갖는다. 그렇지만, 제1 진입 규제부(30D)는 제2 진입 규제부(31)와 달리, 선단부(34D)로부터 기단부(33D)에 걸쳐서 서서히 폭 치수가 작아지는 단면이 도브테일(dovetail)형인 형태로 되어 있다. 실시예 5에 따르면, 제2 진입 규제부(31)와 마찬가지로, 각 제1 진입 규제부(30D)에 의해, 성형시에 후드부(10)의 둘레벽(12)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핀형 탭(20)이 이물과 간섭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7 ~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를 도시한다. 실시예 6에서는, 제1 진입 규제부(30E)의 형태 및 둘레벽(12E)의 외면측의 형태는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면에 있어서, 후드부의 부호를 10E로 하고,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1 진입 규제부(30E)는 상기 실시예 5와는 반대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는 기단측으로부터 오목 공간(3B)측을 향하는 선단측에 걸쳐서 서서히 폭 치수가 작아지는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 자세하게는 등각 사다리꼴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12)의 외면에는, 각 제1 진입 규제부(30E)와 대향하는 반대측의 위치가 되는 등맞댄 위치에 복수의 두께 변경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박육부(39)는 둘레벽(12)의 대략 후반부에 있어서 각 제1 진입 규제부(30E)를 따르도록 전후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박육부(39)는 단면이 대략 V자형을 이루고, 각 제1 진입 규제부(30E)의 내부로 침입하는 깊이를 가지고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각 박육부(39) 및 각 제1 진입 규제부(30E)의 형성 영역에서는, 둘레벽(12)의 두께 치수가 폭 방향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고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6에 따르면, 각 박육부(39)에 의해, 성형시에 후드부(10)의 둘레벽(12)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입 규제부(30E)의 기단부의 폭 치수를 크게 잡을 수 있다.
<실시예 7>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도시한다. 실시예 7에서는, 둘레벽(12)의 외면측의 일부를 제외하면 실시예 6과 거의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후드부의 부호를 10F로 하고, 실시예 6과 상이한 부분 이외에는 실시예 6과 같은 부호를 붙인다.
둘레벽(12)의 후단부의 외면에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뻗어나와 폭 방향 양단에 개구되는 1 라인의 물빠짐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물빠짐부(40)는 그 뻗어나오는 도중에 각 박육부(39)의 후부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여 연통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빠짐부(40)는 각 두께 변경부(39)와 거의 같은 깊이를 갖고, 폭 방향을 거의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 6의 경우, 둘레벽(12)의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두께 변경부(39)에 물이 고일 우려가 있다. 그 점에 있어서, 실시예 7에 따르면, 둘레벽(12)의 외면에 복수의 물빠짐부(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박육부(39) 내에 침입한 물을 물빠짐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따라서, 박육부(39) 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을 도시한다. 실시예 8에서는, 제1 진입 규제부(30G)의 형태는 실시예 1과 상이하지만, 그 밖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에, 도면에 있어서, 제1 진입 규제부의 부호를 30G로 하고, 후드부의 부호를 10G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1 진입 규제부(30G)는 안쪽벽(11)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막대 형상, 상세하게는 대략 각기둥형이며, 둘레벽(12)의 내면에는 연결되지 않고서 이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진입 규제부(30G)의 배열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며, 역테이퍼부(35)를 갖는 점도 제1 진입 규제부(30)과 마찬가지다.
실시예 8에 따르면, 실시예 1 ~ 7과 달리, 제1 진입 규제부(30G)가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형시에 둘레벽(12)에 싱크 마크가 생기거나 둘레벽(12)이 쓰러지거나 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진입 규제부(32)도 둘레벽(12)의 내면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진입 규제부(30G)와 마찬가지로, 둘레벽(12)에 싱크 마크를 생기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재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각 제1 진입 규제부 사이의 피치는 동일하지 않더라도 좋다.
(2) 각 핀형 탭 사이의 피치는 동일하지 않더라도 좋다.
(3) 각 제1 진입 규제부의 폭 방향 중심과, 각 핀형 탭의 폭 방향 중심이 동일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4) 각 제1 진입 규제부가 각 핀형 탭과 동일한 폭 치수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5) 제1, 제2 진입 규제부의 전단은 높이 방향을 따른 수직면 형상의 형태라도 좋다.
(6) 기단부가 폭이 좁고 또한 선단부가 폭이 넓은 형태를 이루는 진입 규제부(실시예 5의 제1 진입 규제부 및 제2 진입 규제부)는 하나만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3A ~ 3C: 오목 공간 10: 후드부
11: 안쪽벽 12: 둘레벽
20: 핀형 탭(탭) 21: 판형 탭(탭)
30: 제1 진입 규제부(진입 규제부) 31: 제2 진입 규제부(진입 규제부)
32: 제3 진입 규제부(진입 규제부) 33: 기단부
34: 선단부 35: 역테이퍼부
39: 박육부 40: 물빠짐부
201: 구면체 202: 정점

Claims (10)

  1. 안쪽벽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둘레벽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후드부와,
    상기 안쪽벽에 대하여 폭 방향으로 병렬로 장착되며, 상기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탭과,
    상기 후드부 내에, 적어도 상기 복수의 탭을 사이에 둔 높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3개 이상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단(前端)이 상기 탭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진입 규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후드부 내에 있어서, 상기 탭을 사이에 두고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내측에 오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공간이 폭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후드부 내에 전방으로부터 구면체가 삽입되고, 상기 구면체의 구면이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전단에 접촉하여, 상기 구면체의 중심축 상의 정점이 상기 오목 공간 내에 진출하도록 상기 구면체가 들어간 경우에, 상기 복수의 오목 공간 중 어디에서나, 상기 탭이 평면도로 보아 상기 정점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는 각각 폭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렬 영역을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탭은 각각 폭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렬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과,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은 폭 방향으로 랩핑하도록 배치된 랩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랩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과,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의 폭 방향 중심이 폭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배치된 동위상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랩 영역에서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탭의 각각과 같거나 혹은 이 탭보다 큰 폭 치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 규제부의 전단은, 상기 오목 공간측을 향해서 전방으로 근접하는 역테이퍼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는,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둘레벽의 외면에는,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각각과 대향하는 반대측의 위치에, 복수의 박육부가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외면에는, 전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나와 상기 복수의 박육부에 연통하고, 또한 뻗어나오는 방향 양단이 개방된 물빠짐부가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는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진입 규제부는 상기 둘레벽의 내면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기단부와, 상기 오목 공간을 향하며, 상기 기단부보다 폭이 넓은 선단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입 규제부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둘레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130082284A 2012-09-06 2013-07-12 커넥터 KR101494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6313 2012-09-06
JP2012196313A JP5850337B2 (ja) 2012-09-06 2012-09-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310A KR20140032310A (ko) 2014-03-14
KR101494965B1 true KR101494965B1 (ko) 2015-02-23

Family

ID=4894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284A KR101494965B1 (ko) 2012-09-06 2013-07-1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5199B2 (ko)
EP (1) EP2706618B1 (ko)
JP (1) JP5850337B2 (ko)
KR (1) KR101494965B1 (ko)
CN (1) CN103682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4204B2 (ja) * 2014-10-29 2020-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86804B2 (ja) * 2016-09-05 2020-04-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68875B2 (ja) * 2016-09-23 2021-11-17 ストーブリ エレクトリカル コネクターズ アーゲー 保護付きプラグ
DE102019205050A1 (de) * 2019-04-09 2020-10-15 Audi Ag Buchsenvorrichtung zum berührsicheren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korrespondierenden Steckervorrichtung, Steckervorrichtung und Batteriemodul für eine Hochvoltbatterie
CN112271490B (zh) * 2020-11-09 2022-12-09 开封大学 一种计算机快速转换接口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3200A (ja) * 1996-04-11 1997-10-31 Yazaki Corp 接続端子および同軸コネクタ
JP2002056919A (ja) * 2000-08-08 2002-02-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1048983A (ja) 2009-08-26 2011-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11159590A (ja) 2010-02-03 2011-08-18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0868A (en) * 1984-03-05 1986-04-08 Amp Incorporated Key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919957B2 (ja) * 1990-11-30 1999-07-19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雌型コネクタ
US6830485B2 (en) * 2003-02-21 2004-12-1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in stabilizing plate
JP4290600B2 (ja) * 2004-04-27 2009-07-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
CN101091117A (zh) 2004-12-27 2007-12-19 国立大学法人冈山大学 妊娠中毒症的检查方法
JP4475182B2 (ja) * 2005-06-27 2010-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2072B2 (ja) * 2007-02-14 2012-08-29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211639B2 (ja) * 2007-10-29 2013-06-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50823B2 (ja) * 2007-12-10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16306B2 (ja) 2009-08-17 2013-10-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1076950A1 (en) * 2009-12-24 2011-06-30 Fci Automotive Holding Modular connector system
JP5312370B2 (ja) * 2010-02-23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ンレット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3200A (ja) * 1996-04-11 1997-10-31 Yazaki Corp 接続端子および同軸コネクタ
JP2002056919A (ja) * 2000-08-08 2002-02-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1048983A (ja) 2009-08-26 2011-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2011159590A (ja) 2010-02-03 2011-08-18 Hitachi Cable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6618A3 (en) 2014-12-24
CN103682829B (zh) 2017-03-01
US9065199B2 (en) 2015-06-23
JP2014053146A (ja) 2014-03-20
EP2706618A2 (en) 2014-03-12
JP5850337B2 (ja) 2016-02-03
EP2706618B1 (en) 2017-03-15
CN103682829A (zh) 2014-03-26
KR20140032310A (ko) 2014-03-14
US20140065861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965B1 (ko) 커넥터
US8038486B1 (en) Connector
KR100708569B1 (ko) 커넥터
JP5012086B2 (ja) コネクタ
US8545264B2 (en) Connector
CN105720405B (zh) 连接器
EP1592090A1 (en) A waterproof connector sealing member and a waterproof connector
CN103650249A (zh) 具有端子位置保证的电连接器
EP2284957B1 (en)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nector
EP2434585A3 (en) Electrical Contact Assemblies And Connectors Including Retention Clips
US20140051276A1 (en) Waterproof connector
JP2009110733A (ja) コネクタ
US9793645B2 (en) Seal member and connector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CN105281075A (zh) 连接器
KR101723298B1 (ko) 커넥터 하우징
JP2014053148A (ja) コネクタ
JP2007214058A (ja) 防水コネクタ
JP2012243739A (ja) ゴム栓
JP5266004B2 (ja) コネクタ
US9624971B2 (en) Motion guide device
US9385460B2 (en) Connector
JP4826520B2 (ja) コネクタ
JP6206658B2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US9673555B2 (en)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