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920B1 -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920B1
KR101493920B1 KR20130038852A KR20130038852A KR101493920B1 KR 101493920 B1 KR101493920 B1 KR 101493920B1 KR 20130038852 A KR20130038852 A KR 20130038852A KR 20130038852 A KR20130038852 A KR 20130038852A KR 101493920 B1 KR101493920 B1 KR 10149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bracket
backrest frame
bracket
coupl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2136A (ko
Inventor
로랑 자이엘
올리비에 구트벨
윤상녕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오토모티브시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오토모티브시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포레시아오토모티브시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13003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920B1/ko
Priority to PCT/KR2014/002622 priority patent/WO2014168359A1/ko
Publication of KR2014012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하부에 오버몰드브래킷이 인서트사출된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과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과,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CONNECTING MECHANISM OF THE MOBILE BRACKET OF A BACKRES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하부에 오버몰드브래킷이 인서트사출된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모바일브래킷의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과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을 위한 백레스트프레임과 모바일브래킷 등과 같은 구성부재는 주로 철재로 제조되어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경량화를 위해 백레스트프레임이 합성수지재로 사출되어 제조됨에 따라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을 위한 백레스트프레임과 모바일브래킷 등과 같은 구성부재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한다.
종래의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59709호(2007.06.12. 공개)에는 모바일브래킷이 설치되는 시트백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결합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바디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에 각각 마운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 하측에 각각 전면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부 상에 결합 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된 고정 브래킷부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는 바디부의 상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고정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마운팅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시트백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모바일브래킷과 고정 브래킷부가 대면접촉된 후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차량용 시트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가 외부충격을 버티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체결구로 사용되는 볼트의 직경을 과도하게 크게 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측 하부에 오버몰드브래킷이 인서트사출된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모바일브래킷의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과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과,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가 포함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오버몰드브래킷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바일브래킷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와 서로 용접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2개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중 2개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1개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중 1개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절곡돌출판의 양측에 연접되는 지지단턱이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벽부 일측에는 지지단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부위에는 상기 지지단턱에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타측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일측에는 돌출단턱이 돌출되고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1개에는 상기 돌출단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나머지 1개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는, 합성수지재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금속재 오버몰드브래킷이 인서트사출됨과 동시에 오버몰드브래킷에 의해 보강된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모바일브래킷의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과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배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배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배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저면분해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저면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가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가 도시되며,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가 도시되고, 도 1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가 도시되며, 도 13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는, 양측 하부에 오버몰드브래킷(20)이 인서트사출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에 구비된 결합부재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11)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10)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백레스트프레임(10)의 사출성형시에 백레스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결합벽부(11)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20)과,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30)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의 구성부재 및 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백레스트프레임(10)은 실제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내부에 각종 보강구조체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특히 양측 하부에는 차후에 설명될 모바일브래킷(30)의 결합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벽부(11)가 형성된다.
또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13)는 차후에 설명될 오버몰드브래킷(20)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체결구(40)에 의한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에는 오버몰드브래킷(20)이 백레스트프레임(10)과 함께 인서트사출되는데, 이 오버몰드브래킷(20)은 모바일브래킷(30)과의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가장자리가 결합벽부(11) 내로 절곡연장되어 결합벽부(1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바일브래킷(30)이 결합될 백레스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의 강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모바일브래킷(30)은 금속재로 제조되어 하부에 장착되는 부품과 용접이 가능하다.
전술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양측 하부에는 모바일브래킷(30)이 결합되는데, 이 모바일브래킷(30)은 차량용 시트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힌지기능이 포함된 리클라이너(도시되지 않음)와 용접결합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모바일브래킷(30)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버몰드브래킷(20)에 의해 보강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에 결합되는 절곡돌출판(31)이 형성된다.
전술한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는 체결구(40)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 체결구(40)는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볼트 및 너트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와셔 등과 같은 기타 부속품이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특히 볼트머리에는 타인이 무단으로 체결해제할 수 없도록 육각형 또는 삼각형 등과 같은 특정형상의 렌치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 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체결구(40)에 의한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의 체결 이외에, 양측 하부에 오버몰드브래킷(20)이 인서트사출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에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특정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결합 구조에 의해 충격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에는 결합돌기(31a)가 돌출형성되고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에는 결합돌기(31a)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1a)이 함몰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될 수 있다.
결합돌기(31a)와 결합홈(11a)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돌기(31a)와 결합홈(11a)에 의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중 2개에는 결합돌기(31a)가 돌출형성되고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 중 2개에는 결합돌기(31a)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1a)이 함몰형성되며,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중 1개에는 모바일브래킷(30)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31b)이 절곡형성되고 백레스트프레임(11)의 결합벽부(11) 중 1개에는 결합판(31b)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관통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될 있다.
결합돌기(31a)와 결합홈(11a),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돌기(31a)와 결합홈(11a),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에 의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에는 절곡돌출판(31)의 양측에 연접되는 지지단턱(11c)이 돌출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될 수 있다.
절곡돌출판(31)과 그 양측에 연접되어 절곡돌출판(31)을 파지하는 지지단턱(11c)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절곡돌출판(31)과 지지단턱(11c)에 의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결합벽부(11) 일측부위에는 지지단턱(11c)이 돌출형성되고, 절곡돌출판(31) 중 1개에 인접하는 모바일브래킷(30)의 부위에는 지지단턱(11c)에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홀(31c)이 관통형성되고, 모바일브래킷(30) 타측에는 모바일브래킷(30)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31b)이 절곡형성되고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에는 결합판(31b)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관통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될 수 있다.
관통홀(31c)과 지지단턱(11c),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관통홀(31c)과 지지단턱(11c),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에 의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 일측에는 돌출단턱(11d)이 돌출되고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중 1개에는 돌출단턱(11d)이 끼워져 결합되는 절취홈(31d)이 형성되며,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중 나머지 1개에는 모바일브래킷(30)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31b)이 절곡형성되고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에는 결합판(31b)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11b)이 관통형성되는 구성이 제안될 수 있다.
돌출단턱(11d)과 절취홈(31d),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돌출단턱(11d)과 절취홈(31d), 그리고 결합판(31b)과 결합공(11b)에 의한 백레스트프레임(10)의 결합벽부(11)와 모바일브래킷(30)의 절곡돌출판(31) 사이의 결합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됨에 따라 오버몰드브래킷(20)과 모바일브래킷(30)을 체결하는 체결구(40)에 실제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됨으로써 강성 및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백레스트프레임 11 : 결합벽부
11a : 결합홈 11b : 결합공
11c : 지지단턱 11d : 돌출단턱
13 : 개구부 20 : 오버몰드브래킷
30 : 모바일브래킷 31 : 절곡돌출판
31a : 결합돌기 31b : 결합판
31c : 관통홀 31d : 절취홈
40 : 체결구

Claims (8)

  1.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 및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2.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 및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하단을 제외한 3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2개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중 2개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이 함몰형성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1개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중 1개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3.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 및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절곡돌출판의 양측에 연접되는 지지단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4.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 및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벽부 일측에는 지지단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절곡돌출판 중 1개에 인접하는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부위에는 상기 지지단턱에 끼워져 결합되는 관통홀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타측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5.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양측 하부에 결합벽부가 형성되는 백레스트프레임,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사출성형시에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인서트사출되어 상기 결합벽부를 보강하는 오버몰드브래킷, 금속재로 제조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벽부와 교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브래킷, 및 상기 오버몰드브래킷과 상기 모바일브래킷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와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은 상,하단을 제외한 2면에 각각 대응되게 결합되며,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 일측에는 돌출단턱이 돌출되고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1개에는 상기 돌출단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절취홈이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브래킷의 절곡돌출판 중 나머지 1개에는 상기 모바일브래킷과 동일평면으로 연장되는 결합판이 절곡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결합벽부에는 상기 결합판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프레임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오버몰드브래킷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브래킷은 철판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와 서로 용접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8. 삭제
KR20130038852A 2013-04-09 2013-04-09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KR10149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852A KR101493920B1 (ko) 2013-04-09 2013-04-09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PCT/KR2014/002622 WO2014168359A1 (ko) 2013-04-09 2014-03-27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852A KR101493920B1 (ko) 2013-04-09 2013-04-09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36A KR20140122136A (ko) 2014-10-17
KR101493920B1 true KR101493920B1 (ko) 2015-02-17

Family

ID=5168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852A KR101493920B1 (ko) 2013-04-09 2013-04-09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3920B1 (ko)
WO (1) WO201416835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304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시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196A (ja) * 1997-04-17 1998-10-27 Araco Corp エアバッグ装置を装備した車両用シート
JP2004016708A (ja) * 2002-06-20 2004-01-22 Shigeru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5629516B2 (ja) * 2010-07-21 2014-11-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304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시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136A (ko) 2014-10-17
WO2014168359A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6059B2 (ja) ホイールアーチ構造の組立方法
US7488032B2 (en) Attachment joint for plastic over-fender to plastic fascia
US20070257497A1 (en) Vehicle bumper beam constructed of metal and plastic
JP5924345B2 (ja) 車両の樹脂フロア構造
US8899669B2 (en) Resin roof panel structure
US9126641B1 (en) Spoiler
KR101693846B1 (ko) 차량용 범퍼 백빔
KR101493920B1 (ko) 차량용 백레스트의 모바일브래킷 결합구조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JP2010173412A (ja) 車両用内装材の取付構造
CN210284383U (zh) 翼子板连接结构与车辆
JP6337302B2 (ja) 車両のフロントバンパ
JP2009227090A (ja) ルーフラック取付構造及びルーフラック取付方法
JP4900658B2 (ja) 組立式家具
JP5855031B2 (ja) 板状体の結合装置
EP2962905A1 (en) Automotive vehicle floor assembly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floor assembly
JPWO2004074078A1 (ja) ハンドル部品取付具およびハンドル部品取付構造
JP6743616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パネル構造
JP6010448B2 (ja) カウルサイドトリムとスカッフプレートとの合わせ部の構造
JP4040744B2 (ja) 椅子の座板の取付構造
JP4036136B2 (ja) 自動車のフューエルタンク取付構造
JP4055447B2 (ja) バンパーの取付構造
JP6754323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0000137A (ja) 椅子の背杆カバ―装置
JP2005162046A (ja) 車載用電子制御部品の取付け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