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889B1 -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89B1
KR101493889B1 KR1020130020892A KR20130020892A KR101493889B1 KR 101493889 B1 KR101493889 B1 KR 101493889B1 KR 1020130020892 A KR1020130020892 A KR 1020130020892A KR 20130020892 A KR20130020892 A KR 20130020892A KR 101493889 B1 KR101493889 B1 KR 10149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zer
pheophorbide
dendron
photodynamic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6814A (ko
Inventor
최명석
이은지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76PDT with expanded (metallo)porphyrins, i.e. having more than 20 ring atoms, e.g. texaphyrins, sapphyrins, hexaphyrins, pentaphyrins, porphocyan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four such rings, e.g. porphine derivatives, bilirubin, biliver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heophorbide a와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이용한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pheophorbide a보다 물에 대한 분산도가 향상되고, 암세포 또는 암조직에 축적되어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단일항 산소 또는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세포 또는 암조직에 축적되어 형광이나 인광을 나타냄으로써 종양의 조기진단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PHOTOSENSITIZER FOR PHOTODYNAMIC DIAGNOSIS OR THERAP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heophorbide a와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이용한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역학 치료법(photodynamic therapy; PDT)은 빛, 광감작제, 체내 활성산소를 이용한 요법으로, 광감작제를 체내에 주사하고 특별한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빛을 질병부위에 조사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암의 진단과 치료, 자가골수이식, 항생제, AIDS 치료, 피부이식 수술이나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그 응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암 치료에 사용되는 광역학 치료법은 광감작제 물질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체내 풍부한 산소와 외부 빛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단일항 산소(singlet oxygen) 또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생성되고 이러한 단일항 산소 또는 자유 라디칼이 정상세포는 그대로 보존시키면서 각종 병변부위나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파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광역학 치료법은 암세포에만 선별적으로 축적되어 기존의 암치료법인 외과적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 약물 요법의 부작용 및 암치료 이후의 후유증 문제점을 보완해 주고, 국소 마취만으로도 시술이 가능하며, 암이 발병한 기관이라 하더라도 그 기능과 형태를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 손상이나 흉터 등도 남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광감작제 물질로 포르피린류(porphyrins), 클로린류(chlorins), 박테리오클로린류(bacteriochlorins), 프탈로시아닌류(phthalocyanine), 5-아미노레불린 산류(5-aminolevulinic acid), 포르피센류(porphycenes) 등이 있고,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5725(광역동 치료법에 이용되는 광감작제로서의 신규한 화합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38995(새로운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인 9-하이드록시피오포바이드 에이 유도체) 등이 있다.
그러나, 광역학 치료법을 임상에 적용하는데 있어 소수성 광감작제로 인해 비경구투여가 가능한 제형으로 만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 광역학 암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광감작제들은 생체내 투여되었을 때 낮은 용해도, 생체분자들과의 부적절한 상호작용 및 광감작제들 간의 상호엉김 현상으로 암조직으로의 선택적 전달에 한계가 있고 낮은 광반응성을 보여 치료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난용성 광감작제보다 물에 대한 분산도가 향상되고 종래 광감작제보다 긴 장파장에서도 암세포에만 선별적으로 축적되어 우수한 세포 독성 효과를 지닌 고효율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1
상기 광감작제는 650 내지 700 nm의 광선에 대하여 광감작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감작제는 고형암을 광역학적으로 진단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pheophorbide a와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각각 용매에 녹인 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감압 여과하는 단계; (3)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2
상기 (1)단계에서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은 1,3-DCC(1,3-dicyclohexyl carbodiimide) 및 4-DMAP(4-dimethyaminopyridine)와 함께 용매에 녹여 pheophorbide a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에서 교반하는 시간은 40 내지 5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pheophorbide a에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pheophorbide a보다 물에 대한 분산도가 향상되고, 암세포 또는 암조직에 축적되어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조사하면 단일항 산소 또는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광역학 치료용 광감작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세포 또는 암조직에 축적되어 형광이나 인광을 나타냄으로써 종양의 조기진단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광역학 진단용 광감작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 유도체의 합성을 나타낸 도식.
도 2는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MALDI-TOF에 의한 질량분석스펙트럼.
도 3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1H NMR(CDCl3) 스펙트럼.
도 4는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UV-Vis 흡수스펙트럼.
도 5는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형광스펙트럼.
도 6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MTT 분석 결과.
도 7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ANNEXIN Ⅴ-FITC 염색 결과.
도 8은 TEG 덴드론의 합성을 나타낸 도식.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3
상기 광감작제는 650 내지 700 nm의 광선에 대하여 광감작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광감작제는 고형암을 광역학적으로 진단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pheophorbide a와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각각 용매에 녹인 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감압 여과하는 단계; (3)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4
상기 (1)단계에서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은 1,3-DCC(1,3-dicyclohexyl carbodiimide) 및 4-DMAP(4-dimethyaminopyridine)와 함께 용매에 녹여 pheophorbide a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에서 교반하는 시간은 40 내지 5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하는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교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수율이 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광감작제의 합성이 어렵다.
상기 (3)단계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되, 3 내지 5회 반복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는 종래 photofrin 또는 benzoporphyrin 등과 같이 630 nm의 흡수 파장대를 크게 벗어나지 못해 종양 크기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을 보완하고, 세포 내에 존재하는 산소분자의 활성화에만 의존하여 세포 내의 산소분자가 부족한 말기암 환자의 종양을 치료하지 못했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종래 광감작제보다 긴 장파장에서 효과적으로 산소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산소분자가 없는 곳에서는 산소 라디칼을 활용해 종양 세포를 괴사시키는 수용성 덴드론이 도입된 고수용성 광감작제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먼저, 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에 Tosyl chloride를 이용해 Tosylation을 한 다음, Williamson ester 합성을 시행하였다. 세대수를 늘리기 위해 DEAD(Diethyl azodicarboxylate)와 pph3(Triphenylphosphine), 3,5-dihydroxybenzoate를 사용한 Mitsunobu방법과 LiAlH4를 이용한 환원반응으로 TEG 덴드론을 합성하여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합성과정에 이용하였다.
250mL 2-neck 플라스크에 pheophorbide a(200mg, 0.34mmol)를 넣고 진공을 잡고 질소치환을 세번 반복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플라스크에 용매 THF(tetrahydrofuran) 100mL를 넣고, 여기에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 392.4mg, 0.405mmol), 1,3-DCC(1,3-dicyclohexyl carbodiimide 105mg, 0.51mmol) 및 4-DMAP(4-dimethyaminopyridine, 62.3mg, 0.51mmol)를 녹인 THF 50mL를 질소치환 하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40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이 종결된 용액을 감압여과하고, 생성물을 더 추출하기 위하여 감압여과 후 남아있는 여과물을 THF로 3회 추출한 다음 용매를 제거하였다.
미량으로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무수 황산 나트륨(Na2SO4)으로 건조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Ethyl acetate/Methanol=10:1)로부터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를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second fraction을 분리하여 MALDI-TOF에 의한 분자량 측정 및 1H NMR에 의한 분자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도 2 및 3 참조).
1H NMR(300 MHz; TMS) 측정은 용매 CDCl3를 사용하였다.
Pheophorbide a의 특성 피크는 1.24-2.19ppm에서 관측되었고, TEG 덴드론은 3.38ppm에서 O-CH3 말단부분의 12개의 H, 3.54-4.14ppm에서 C2H4O 메톡시부분의 48개의 H, 4.95ppm에서 G(0) 벤젠고리에 붙은 CH2에서 4개의 H, 6.46ppm에서 G(1) 벤젠고리에 존재하는 C-H에서 2개의 H 및 4.58ppm에서 G(1) 벤젠고리에 붙은 CH2에서 2개의 H를 측정하였다.
상기 G는 generation의 약자로 TEG 덴드론의 세대수를 의미하며 G(0), G(1)은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5
실험예 2.
THF(Tetrahydrofuran)와 Water 두 용매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를 각각 같은 농도로 녹여 UV-Vis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도 4 참조).
용매 THF의 경우 411nm, 668nm에서, 용매 Water의 경우 400nm, 670nm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내었다.
용매 THF의 경우 급격한 변화 형태를 띤 sharp한 피크들이 관찰되었고, 용매 Water의 경우 비교적 완만한 형태의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이것은 물속에서 소수성인 pheophorbide a간의 응집에 의한 소광(quenching) 현상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670nm 부근에서는 어느 정도 sharp한 피크도 관측할 수 있었고, 이것은 합성된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가 비교적 물과의 친화력이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3.
UV-vis 흡수스펙트럼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를 THF와 Water 용매에 각각 같은 농도로 녹인 다음, 같은 파장 659nm에서 여기시켜 형광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도 5 참조).
그 결과, THF와 Water 용매 각각 최대 670nm, 681nm에서 형광이 관측되었다. 용매가 Water일 경우 THF에 비해 형광의 크기는 작지만, 형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UV-vis 흡수스펙트럼과 마찬가지로 합성된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는 물과의 친화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는 생체 적합한 광역학 진단 및 치료용 광감작제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 MTT 분석을 이용하여 세포사멸율을 측정하였다(도 6 참조).
ce6(Chlorin e6)은 pheophorbide a와 거의 동일한 구조와 물성을 가지는 클로린 유도체로서, TEG 덴드론이 붙은 pheophorbide a의 비교물질로 사용되었다.
유방암 세포 MCF-7을 1×104cells/well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하였다. 이후, 농도(0.3, 0.5, 1, 3, 5ug/ml)에 따라 약물을 투여하고 2시간 후 DPBS로 2번 세척한 다음 레이저(670nm, 50mW/cm2, 3분)를 조사하고 24시간 후 MTT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경우 ce6와 비교해서 약 80%이상 유방암 세포가 사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독성 실험을 위해 ANNEXIN V-FITC 염색을 하였다(도 7 참조).
유방암 세포 MCF-7을 1×104cells/well로 8well chamber slide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하였다. 이후, 농도 1ug/ml의 약물을 투여하고 2시간 후 DPBS로 2번 세척한 다음 레이저(670nm, 50mW/cm2, 3분)를 조사하고 ANNEXIN V-FITC 염색을 통해 형광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y)으로 분석하였다(BD Pharmingen).
암세포의 자가사멸(apoptosis)이 발생하면 인지질의 비대칭성이 손실되어 phosphatidylserine(PS)이 노출되고, PS에 친화성을 가진 ANNEXIN V-FITC는 PS과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ANNEXIN V-FITC 염색은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에 의한 apoptosis(세포자살)를 관찰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Pheophorbide a-TEG 덴드론 컨쥬게이트의 경우 ce6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형광강도가 증대한 것으로 나타났고, 고효율 광민감성 치료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650 내지 700 nm의 광선에 대하여 광감작 활성을 나타내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화학식 1]
    Figure 112014072406716-pat00006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작제는 고형암을 광역학적으로 진단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4. (1) pheophorbide a와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을 각각 용매에 녹인 후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2) 감압 여과하는 단계;
    (3)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및
    (4)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017452625-pat00007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TEG 덴드론(triethylene glycol dendron)은 1,3-DCC(1,3-dicyclohexyl carbodiimide) 및 4-DMAP(4-dimethyaminopyridine)와 함께 용매에 녹여 pheophorbide a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교반하는 시간은 40 내지 50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의 제조방법.














KR1020130020892A 2013-02-27 2013-02-27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892A KR101493889B1 (ko) 2013-02-27 2013-02-27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892A KR101493889B1 (ko) 2013-02-27 2013-02-27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14A KR20140106814A (ko) 2014-09-04
KR101493889B1 true KR101493889B1 (ko) 2015-03-09

Family

ID=5175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892A KR101493889B1 (ko) 2013-02-27 2013-02-27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82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295B1 (ko) * 2014-10-30 2016-07-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코어로 하는 수용성 포르피린집합체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43297B1 (ko) * 2014-10-30 2016-07-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활성을 가지는 수용성 클로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197A (ko) * 2004-08-19 2005-03-18 (주)피디티바이오 신규한 포르피린 화합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197A (ko) * 2004-08-19 2005-03-18 (주)피디티바이오 신규한 포르피린 화합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onjugate Chem. 2007. Vol.18, pp.663-670. *
Bioconjugate Chem. 2007. Vol.18, pp.663-670.*
Bull. Korean Chem. Soc. 2010. Vol.31, No.7, pp.1835-1836. *
Bull. Korean Chem. Soc. 2010. Vol.31, No.7, pp.1835-1836.*
Laser Physics. 2003. Vol.13, No.1, pp.22-29. *
Laser Physics. 2003. Vol.13, No.1, pp.22-2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882A (ko) * 2019-10-17 2021-04-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KR102294477B1 (ko) 2019-10-17 2021-08-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신규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814A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7024B2 (ja) クロリンの製造方法、及びその医薬としての使用
US8747811B2 (en) Perylenequin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Li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peptide-conjugated phthalocyanine photosensitizers with highly hydrophilic modifications
CN108070275B (zh) 方酸染料类化合物、制备方法及用途
EP3215586B1 (en) Selective cancer tracking eradicator and the uses thereof
JP2019533635A (ja) 新規なジヒドロポルフィンe6誘導体及び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塩、その調製方法並びに使用
RU2353624C2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анионсодержащие производные бактериохлорофилл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WO2000033833A1 (en) Palladium-substituted bacteriochlorophyll derivatives and use thereof
CN103864833B (zh) 一种轴向端羟基取代硅酞菁及其自组装体
AU2005275220B2 (en) Adduct of fluorescent dye and tumor avid tetrapyrrole
AU2018282411A1 (en) Chlorin derivative useful in photodynamic therapy and diagnosis
KR101493889B1 (ko) 광역학 진단 또는 치료용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Liu et al. A near-infrared and lysosome-targeted BODIPY photosensitizer for photodynamic and photothermal synergistic therapy
Umar et al. Synthesis and relaxivity measurement of porphyrin-bas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agents
CN105582541B (zh) 聚乙二醇化的氧化石墨烯-卟啉二聚体盐复合物及其用途
JP2006503096A (ja) I型光線療法用のアゾ化合物
CN102134244A (zh) 一种医用光敏剂及其制备方法
KR101847486B1 (ko) 친수성 기 및 소수성 기를 갖는 포르피린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3297B1 (ko) 광활성을 가지는 수용성 클로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RU2548675C2 (ru) Аминоамиды в ряду бактериохлорофилла альфа, обладающие фотодинам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Yan EVALUATION OF PORPHYRIN DERIVATIVE FOR PHOTODYNAMIC THERAPY
Choi et al. Supramolecular micelle from amphiphilic Mn (III)-porphyrin derivatives as a potential MRI contrast agent
KR20160053084A (ko) 수용성 포르피린-플러렌 복합체 광감작제 및 그 제조방법
Le An Development of porphyrinoid-based photosensitisers as potentially dual acting agents for photodynamic therapy and crosslinkable polymeric contrast agent for high-resolution x-ray imaging of the vascular system
CN100439372C (zh) 卟啉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