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186B1 -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186B1
KR101486186B1 KR1020137034965A KR20137034965A KR101486186B1 KR 101486186 B1 KR101486186 B1 KR 101486186B1 KR 1020137034965 A KR1020137034965 A KR 1020137034965A KR 20137034965 A KR20137034965 A KR 20137034965A KR 101486186 B1 KR101486186 B1 KR 10148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aring
elastic member
rollers
horizont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343A (ko
Inventor
히데키 아라이
다카미 고야마
츠요시 세키네
히데키 나카노
고타 오지마
Original Assignee
니폰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니폰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3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카(1)는,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안내되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를 구비한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는, 베이스 부재(6)에 고정된 수평 고정축(8)과, 수평 고정축(8)에 각각 지지된 롤러(5a, 5b, 5c)를 구비한다. 롤러(5a, 5b, 5c)는, 롤러 외주부(10)와, 롤링 베어링(9)과, 원환 형상의 러버(11)와, 내통(12)을 갖는다. 러버(11)가 탄성 변형되므로, 종래의 스프링이나 댐퍼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ELEVATOR DEVICE AND ROLLER GUIDE ASSEMBL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카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이드 레일 위를 전동하는 롤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를 따라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과, 카가 평면 내에서 위치 어긋나거나 기울거나 하지 않도록 안정되게 카를 승강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예를 들어 승강로 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여, 카의 상하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는, 각 가이드 레일의 복수의 가이드면 위를 구르는 복수의 롤러를 갖는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에는 연직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고, 카에는, 각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상하 2군데에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는, 카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고, 카는, 합계 4개의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에 걸어 결합하는 3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롤러는 수평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베이스에 회전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레버 아암의 기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 레버 아암의 선단부에, 아암 엔드 및 롤러축을 개재하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의 롤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서브 어셈블리에 의해 가이드 레일로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의 타단부에는 댐퍼로서 프릭션 덤핑 서브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가이드 레일을 향해서 가압되는 롤러의 가동 치수가 얼마 안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서스펜션 서브 어셈블리(가압 기구)와 프릭션 덤핑 서브 어셈블리(댐퍼)를 설치하는 전제로서, 롤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요동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요동 기구는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많은 스페이스를 점유한다. 또한, 롤러를 직접 지지하는 롤러축과, 롤러를 수평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회전 샤프트의 2개의 축 및 부수되는 베어링이 필요하여, 요동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의 비용이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동 기구나 가압 기구 및 댐퍼를 불필요하게 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제4050466호
본 발명의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는, 가이드 레일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수평 고정축과, 각각의 수평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구르는 롤러를 갖는다.
각각의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하는 롤러 외주부와, 상기 롤러 외주부의 내주측에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상기 수평 고정축 사이에 개재하는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가 베어링의 내부에 위치하고, 수평 고정축과 베어링 사이에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다. 각 롤러는, 적당한 예압을 갖고 가이드 레일에 압접된 상태로 부착된다. 가이드 레일로부터 롤러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수평 고정축에 대하여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탄성 부재의 가이드 레일측 부분이 압축되고, 가이드 레일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압축된 탄성 부재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고 한다. 즉 수평 고정축에 대하여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이 수평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이음 부분에 발생한 단차를 타고 넘을 때에는, 탄성 부재의 예압에 의해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이 가이드 레일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카의 진동이 억제된다. 카의 내부의 적재물이 치우쳐서 카가 편하중을 받은 때에는, 탄성 부재가 압축된 상태에서 카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카의 기울기가 억제되고, 그 후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탄성 부재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을 가이드 레일에 가압하는 가압 기능과, 가압된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이 가압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반복하는 것을 억제하는 댐퍼 기능과, 롤러 외주부 및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기능을 완수하게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측에, 상기 수평 고정축이 삽입 관통되는 내통을 구비하고 있다. 내통은, 경질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의 내측에 내통을 끼워넣고 고착하여 중간 부품을 만들고, 다음에 상기 중간 부품을 베어링의 내측에 압입하여 롤러를 조립할 수 있다. 혹은, 베어링과 내통 사이에, 직접 탄성 부재를 압입하여 롤러를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베어링과 내통 사이에서 탄성 부재를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내통은, 예를 들어 너트 등을 개재하여 수평 고정축에 고정된다. 수평 고정축에 대하여 내통이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탄성 부재의 내주부를 내통을 개재하여 수평 고정축에 지지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지지가 안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외통이 개재되어 있다. 외통은, 경질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통과 외통 사이에 탄성 부재를 성형(가황 접착)하여 중간 부품을 만들고, 상기 중간 부품을 베어링의 내측에 압입하여 롤러를 조립할 수 있다. 혹은 별도로 성형한 탄성 부재를 내통과 외통 사이에 압입하도록 해도 된다. 외통은, 예를 들어 베어링의 내륜의 내주에 압입된다. 중간 부품은 내측도 외측도 경질 재료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덮혀짐으로써, 그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스토퍼에 의해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의 변형이 소정량으로 규제된다. 즉, 탄성 부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롤러 외주부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의 부재(예를 들어, 베어링의 내륜이나 외통, 혹은 별도로 부가한 부재 등)에, 축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는 상기 수평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와의 대향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가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를 상기 롤러에 대하여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로부터 롤러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수평 고정축에 대하여 베어링과 롤러 외주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반경 방향의 변위가 소정량에 달하면, 상기 돌기부가 스토퍼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탄성 부재의 변형이 규제된다. 그리고, 또한 가이드 레일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힘이 커지면, 탄성 부재보다도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러버나 합성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러 외주부에만 하중이 작용하여, 이 롤러 외주부가 반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의 단차 등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어, 양호한 승차감이 유지된다. 그리고,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시 등은 탄성 부재에 의한 과대한 변위가 규제되므로, 카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소정의 예압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접하도록, 상기 수평 고정축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고정 위치가, 상기 롤러의 반경 방향에 위치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한 위치 조정 기구는, 얼마 안된 양의 위치 조정으로 충분하고, 위치 조정한 상태에서 수평 고정축은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이나 댐퍼를 구비한 종래의 구성에 비교하여 훨씬 단순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요동 기구나 스프링, 댐퍼 등을 설치하지 않고, 수평 고정축과 베어링 사이에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롤러를 가이드 레일에 가압한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종래에 비하여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가 작아도 된다. 또한, 수평 고정축과 베어링 사이에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도 된다. 또한, 탄성 부재의 경도를 변경하여 스프링 상수를 바꿈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구조나 엘리베이터의 속도의 차이에 의한 다양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외주부나 탄성 부재가 마모되거나 경년 열화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롤러를 교환하면 되고, 그 밖의 주변 부분의 분해, 조립, 조정이 불필요하여, 유지 보수에 소비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3은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4는 롤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롤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롤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롤러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하중을 받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롤러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힘과 압축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예압 부여를 위한 위치 조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위치 조정 기구에 사용되는 편심형 수평 고정축의 평면도.
도 11은 위치 조정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2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13은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일부의 정면도.
도 14는 위치 조정용 볼트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내에 연직 방향을 따라 도시하지 않은 승강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카(1)가 설치되어 있다. 카(1)는 로프(2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현수되어 있고, 상기 로프(20)의 타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 웨이트가 현수되어, 양자의 중량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승강하는 카(1)를 안내하기 위해서, 카(1)의 측방의 위치에는, 승강로를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레일(2, 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카(1)의 상하의 측면 근방의 위치에는, 가이드 레일(2, 2)을 따라 카(1)를 안내하기 위해서, 각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상하 한 쌍의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은, 승강로 내에 돌출된 레일 본체(2a)와 승강로 벽면에 고정되는 기초부(2b)에 의해, 단면 대략 T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2, 2)은, 레일 본체(2a)의 부분을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승강로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카(1)를 카(1)의 측방과 상하 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고, 카(1)에는 카 프레임(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 프레임(4)은,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4a)과 2개의 상부 프레임(4b)과 2개의 하부 프레임(4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좌우의 세로 프레임(4a)과 하측 프레임(4b)은 카(1)의 측면 및 하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측 프레임(4b)은 카(1)의 상면으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4a), 상부 프레임(4b), 하부 프레임(4b)은, 각각 채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2개의 상부 프레임(4b)과 2개의 하측 프레임(4b)이, 좌우의 세로 프레임(4a)을 각각 끼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는, 상기 2개의 상측 프레임(4b) 및 2개의 하측 프레임(4b)의 양단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의 레일 본체(2a)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레일 본체(2a)의 측면 상을 전동하는 한 쌍의 롤러(5a, 5b)와, 레일 본체(2a)의 정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정상면의 위를 전동하는 롤러(5c)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5c)가 대응하는 레일 본체(2a)의 정상면은, 좌우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2)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러한 3개의 롤러(5a, 5b, 5c)의 조를 카(1)의 4군데에 설치함으로써, 카(1)의 평면 내에서의 위치 어긋남이나 카(1)의 전후 좌우 방향의 기울기가 규제된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카 프레임(4)을 구성하는 상측 프레임(4b) 혹은 하측 프레임(4b)의 단부에 판상의 베이스 부재(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6)에는, 가이드 레일(2)의 레일 본체(2a)가 인입하는 절결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6a)는, 상기 카 프레임(4)을 구성하는 세로 프레임(4a)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6)의 상에는, 상기 롤러(5a, 5b, 5c)의 각각에 대응하여 축지지 부재(7)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축지지 부재(7)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에 인접하여 수평 고정축(8)이 축지지 부재(7)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각 수평 고정축(8)은, 각 롤러(5a, 5b, 5c)가 접하는 레일 본체(2a)의 측면 및 정상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들의 수평 고정축(8)에, 상기 롤러(5a, 5b, 5c)가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롤러(5a, 5b, 5c)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 1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롤러(5a, 5b, 5c)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롤러(5a)에 대해서 설명한다.
롤러(5a)는, 레일 본체(2a)에 접하는 원환상을 이루는 롤러 외주부(10)와, 상기 롤러 외주부(10)의 내주측에 설치된 베어링(9)과, 상기 베어링(9)의 내주측에 설치된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 예를 들어 러버(11)와, 상기 러버(11)의 내주측에 설치된 금속제의 내통(12)을 갖는다. 상기 내통(12)에 상기 수평 고정축(8)이 삽입 관통된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나사가 수평 고정축(8)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내통(12)이 수평 고정축(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롤러 외주부(10)는, 러버 또는 합성 수지(예를 들어 우레탄 등)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러 외주부(10)의 경도는, 러버(11)의 경도에 비교하여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롤러 외주부(10)는, 러버(11)보다도 단단하다.
상기 베어링(9)은 일반적인 롤링 베어링이며, 금속제의 내륜(9a)과 외륜(9b) 사이에, 복수의 강구(鋼球)(9c)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볼 베어링 대신에, 롤러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내륜(9a)의 내주에 러버(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9)을 개재하여, 상기 롤러 외주부(10)는, 내통(12) 및 러버(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수평 고정축(8)과 베어링(9) 사이에 내통(12)과 원환 형상의 러버(11)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2개의 방법이 있다. 하나는, 내통(12)의 외주에 러버(11)를 시징 접착하여 중간 부품(14)을 구성하고, 상기 중간 부품(14)을 베어링(9)[즉 내륜(9a)]의 내주측에 압입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의 방법은, 베어링(9)과 내통(12) 사이에, 원환 형상으로 성형한 러버(11)를 직접 압입하는 방법이다. 혹은, 베어링(9)과 내통(12) 사이에서, 러버(11)를 성형하여, 가황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롤러(5a, 5b, 5c)가 수평 고정축(8)에 지지되고, 또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로서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각 롤러(5a, 5b, 5c)의 러버(11)에는, 소정의 예압이 부여되어 있다. 즉, 조립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2)측이 되는 러버(11)의 일부가 비교적 작은 소정량(예를 들어 1mm 정도) 압축 변형된 상태로 되어 있고, 롤러 외주부(10)가 소정의 하중으로 가이드 레일(2)에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내통(12)과 베어링(9) 사이에 러버(11)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2)로부터 롤러(5a, 5b, 5c)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롤러(5a, 5b, 5c)를 구성하는 내통(12)에 대하여 롤러 외주부(10) 및 베어링(9)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러버(11)의 가이드 레일(2)측이 압축되어 변형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2)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러버(11)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즉, 카(1)가 가이드 레일(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하면, 수평 고정축(8)에 대하여 롤러 외주부(10) 및 베어링(9)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롤러(5a, 5b, 5c)가 가이드 레일(2)의 이음 부분에 발생한 단차를 타고 넘을 때에는, 러버(11)의 예압에 의해 롤러 외주부(10)가 가이드 레일(2)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으므로, 카(1)의 진동이 억제된다. 카(1)의 내부의 적재물이 치우쳐서 카(1)가 편하중을 받을 때에는, 러버(11)가 압축된 상태에서 카(1)가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카(1)의 기울기가 억제되고, 그 후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러버(11)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러버(11)는, 롤러 외주부(10) 및 베어링(9)을 가이드 레일(2)에 가압하는 가압 기능과, 가압된 롤러 외주부(10) 및 베어링(9)이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댐퍼 기능과, 롤러 외주부(10) 및 베어링(9)을 지지하는 베어링 기능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요동 기구와 가압 수단과 댐퍼를 설치하지 않고, 수평 고정축(8)과 베어링(9) 사이에 내통(12)과 러버(11)를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롤러(5a, 5b, 5c)를 가이드 레일(2)에 가압한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가 작아도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요동 기구와 가압 수단과 댐퍼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수평 고정축(8)과 베어링(9) 사이에 내통(12)과 원환 형상의 러버(11)를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도 된다. 또한, 러버(11)의 경도를 변경하여 스프링 상수를 바꿈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구조나 엘리베이터의 속도의 차이에 의한 다양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다시, 롤러 외주부(10)나 러버(11)가 마모되거나 경년 열화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롤러(5a, 5b, 5c)를 교환하면 되고, 그 밖의 주변 부분의 분해, 조립, 조정이 불필요하여, 유지 보수에 소비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러버(11)와 수평 고정축(8) 사이에 내통(12)이 개재되므로, 러버(11)의 내주부는 내통(12)을 개재하여 수평 고정축(8)에 지지됨으로써, 러버(11)의 지지가 안정된다.
롤러 외주부(10)는, 러버 또는 우레탄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만들어져 있지만, 그 경도는 러버(11)의 경도보다도 크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하중에 대하여는 주로 러버(11)가 탄성 변형된다. 롤러 외주부(10)와 러버(11)의 경도(스프링 상수)의 조합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통상 운전 시는 러버(1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카의 진동이 억제되고, 한편, 비상 정지 장치가 작용하여 카(1)가 정지할 때에는, 큰 하중에 의해 롤러 외주부(10)가 휨으로써 롤러(5a, 5b, 5c)에 작용하는 충격이 완화된다.
이어서, 롤러(5a, 5b, 5c)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롤러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러버(11)의 외주부에 외통(13)을 구비하고 있다. 즉, 수평 고정축(8)이 삽입 관통되는 금속제의 내통(12)과, 베어링(9)의 내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금속제의 외통(13)을 갖고, 이들의 내통(12)과 외통(13) 사이에 러버(11)가 개재되어 있다. 하나의 예로서는, 내통(12)과 외통(13) 사이에 러버(11)를 성형(가황 접착)함으로써 중간 부품(15)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 부품(15)이, 베어링(9) 즉 내륜(9a)의 내주측에 압입되어 있다. 러버(11)를 원환상으로 성형하고, 이를 내통(12)과 외통(13) 사이에 압입하여 중간 부품(15)으로 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중간 부품(15)은 내주측 및 외주측의 양쪽이 금속에 의해 덮인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롤러의 제조 공정이 간략화된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롤러(5a, 5b, 5c)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는, 러버(11)의 반경 방향의 최대 변위를 기계적으로 제한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9)의 내륜(9a)이 축방향의 양측에 연장되어 있고, 외륜(9b)에 비교하여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부(9d)가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롤러(5a)의 축방향 양측에는, 베어링(9) 부분의 측면을 덮도록 원반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스토퍼(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16)는, 중앙의 구멍에 상기 수평 고정축(8)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롤러(5a)와 함께 수평 고정축(8)에 지지된다. 스토퍼(16)에 있어서의 롤러(5a)[베어링(9)]와의 대향면의 외주부에는, 돌기부(9d)와 걸어 결합하는 스토퍼부(16a)가 축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16a)는, 러버(11)가 소정량 변위했을 때에 돌기부(9d)와 걸어 결합하고, 상기 돌기부(9d)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리고, 한 쌍의 스토퍼(16)를 롤러(5a)에 대하여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내통(12)이 축방향의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러버(11) 측면으로부터 소정량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스토퍼(16)가 돌기부(9d)에 축방향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2)로부터 롤러(5a, 5b, 5c)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수평 고정축(8)에 대하여 베어링(9)과 롤러 외주부(1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러버(11)의 가이드 레일(2)측이 압축되어 변형된다. 여기서, 러버(11)의 변형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5a, 5b, 5c)에 형성한 돌기부(9d)의 외주면이 스토퍼부(16a)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러버(11)의 변형이 규제된다. 가이드 레일(2)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힘이 더욱 커지면, 경도가 큰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러 외주부(10)에만 하중이 작용하여, 상기 롤러 외주부(10)가 압축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9)의 내륜(9a)의 외주면과 스토퍼부(16a)의 내주면의 간격은, 초기 상태에서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간격 「A」이다.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큰 하중을 받아 러버(11)가 압축되어 거리 「A」만큼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면, 내륜(9a)의 돌기부(9d)가 스토퍼부(16a)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위가 규제된다. 즉 러버(11)가 반경 방향으로 압축량 「A」만큼 압축되면, 러버(11)는 더 이상 압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하중이 더욱 커지면, 롤러 외주부(10)가 압축되어 롤러 외주부(10)의 변형만이 증가한다.
이러한 압축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 도 8이다. 카(1)의 통상 승강시나 카(1)에 편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압축량이 「0」 내지 「A」까지의 범위에서는 경도가 작은 러버(11)가 압축된다. 따라서, 양호한 승차감이 얻어진다. 그리고, 비상 정지 장치가 작동하여 롤러(5a, 5b, 5c)에 큰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는, 러버(11)가 압축량 「A」이상으로 압축되는 일은 없으며, 상대적으로 경도가 큰 롤러 외주부(10)가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롤러 외주부(10)의 탄성에 의해, 카(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한편,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이 안정되게 행해진다. 즉, 비상 정지 장치의 작동 시에, 안정된 상태에서 카(1)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러버(11)가 금속제의 내통(12)이나 외통(13)을 구비하고 있지만, 베어링(9)의 내륜(9a)의 내주측에 러버(11)만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제3 실시예에서는, 내륜(9a)의 양단부에 돌기부(9d)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를 대신에, 외륜(9b)을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양단부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외통(13)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내륜(9a)을 대신해서 외통(13)을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양단부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시, 내통(12)을 설치하지 않고, 베어링(9)과 수평 고정축(8) 사이에 러버(11)만을 개재시켜 롤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수평 고정축(8)과 러버(11) 사이에,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도 6의 내통(12)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별체의 슬리브를 배치하면 된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은, 롤러(5a, 5b, 5c)의 예압 설정을 위해서 수평 고정축(8)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수평 고정축(8)으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이 사용된다. 이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은, 롤러(5a, 5b, 5c)의 중심 구멍[예를 들어 내통(12)]이 삽입 관통되는 롤러 지지 축부(21)과, 그 선단의 나사 축부(22)와, 이 나사 축부(22)는 반대측이 되는 설치 축부(23)와, 이 설치 축부(23)와 롤러 지지 축부(21) 사이에 위치하는 육각부(24)를 갖는다. 설치 축부(23)의 단부면에는, 육각 렌치용의 육각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 축부(23)는, 그 외주면에 나사부(23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설치 축부(23) 및 육각부(24)의 중심축(C1)은, 롤러 지지 축부(21) 및 나사 축부(22)의 중심축(C2)에 대하여, 소정량(예를 들어 1㎜ 정도) 편심되어 있다.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3)의 베이스 부재(6)에 세워 설치된 축지지 부재(7)에는, 상기 설치 축부(23)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의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23a)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26)와 상기 육각부(24)에 의해,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이 축지지 부재(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롤러(5a, 5b, 5c)는, 롤러 지지 축부(21) 상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나사 축부(22)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27)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 지지축부(21)와 설치 축부(23)는, 서로 편심되어 있으므로, 설치 축부(23)의 각도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이드 레일(2)에 대한 롤러(5a, 5b, 5c)의 회전 중심의 위치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너트(26)에 의해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을 축지지 부재(7)에 고정할 때에, 육각 구멍(25)에 걸어 결합된 육각 렌치(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을 돌림으로써,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예압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최적인 회전 위치로 된 바, 너트(26)에 의해 편심형 수평 고정축(8A)을 고정한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에 기초하여, 수평 고정축(8)의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롤러(5a, 5b, 5c)는, 베이스 부재(6)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브래킷(3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베이스 부재(6)에 대한 브래킷(31)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평 고정축(8)은, 각브래킷(31)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31)은, 금속판을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한 구성이며, 일단부의 제1 플랜지(32)가, 한 쌍의 볼트(33) 및 위치 조정용 볼트(34)에 의해 베이스 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의 제2 플랜지(35)는, 타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가이드 구멍(36)을 갖고, 베이스 부재(6)에 고정된 가이드 핀(37)이 상기 가이드 구멍(36)에 걸어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2)의 양측면에 대응한 한 쌍의 롤러(5a, 5b)용의 브래킷(31)에서는, 제2 플랜지(35)는, 베이스 부재(6)의 단부면을 따르도록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베이스 부재(6)의 단부면에 설치된 가이드 핀(37)에 걸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플랜지(32)에는, 볼트(33)용의 한 쌍의 구멍(도시 생략) 및 위치 조정용 볼트(34)용의 구멍(39)이 개구되어 있지만, 이들의 구멍은, 롤러(5a, 5b, 5c)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위치 조정용 볼트(34)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39)의 개구 테두리에 접하는 테이퍼부(34a)를 갖는다. 따라서, 볼트(3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 위치 조정용 볼트(34)를 체결해 감으로써, 브래킷(31) 전체가 롤러(5a, 5b, 5c)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브래킷(31)은, 롤러(5a, 5b, 5c)에 적당한 예압을 부여한 상태에서 한 쌍의 볼트(33)에 의해 고정된다.

Claims (10)

  1. 연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이며,
    상기 카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인접해서 배치된 복수의 수평 고정축과, 각각의 수평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구르는 롤러를 갖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러 외주부와, 상기 롤러 외주부의 내주측에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상기 수평 고정축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탄성 재료보다도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를 갖고,
    또, 상기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의 최대 변위을 소정량으로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측에, 상기 수평 고정축이 삽입 관통되는 내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외통이 개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탄성 부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롤러 외주부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의 부재에, 축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는 상기 수평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와의 대향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를 상기 롤러에 대하여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 장치.
  5. 연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승강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카를 승강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이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수평 고정축과, 각각의 수평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구르는 롤러를 갖고,
    각각의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접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롤러 외주부와, 상기 롤러 외주부의 내주측에 설치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상기 수평 고정축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탄성 재료보다도 상대적으로 경도가 작은 원환 형상의 탄성 부재를 갖고,
    또, 상기 탄성 부재의 반경 방향의 최대 변위를 소정량으로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갖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측에, 상기 수평 고정축이 삽입 관통되는 내통을 구비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베어링 사이에 외통이 개재되어 있는,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탄성 부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이며 상기 롤러 외주부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의 부재에, 축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는 상기 수평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설치하고,
    상기 스토퍼에 있어서의 상기 롤러와의 대향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를 상기 롤러에 대하여 축방향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소정의 예압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접하도록, 상기 수평 고정축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고정 위치가, 상기 롤러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소정의 예압을 갖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접하도록, 상기 수평 고정축의 베이스 부재에 대한 고정 위치가, 상기 롤러의 반경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KR1020137034965A 2011-07-06 2012-06-26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KR101486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9628 2011-07-06
JPJP-P-2011-149628 2011-07-06
PCT/JP2012/066227 WO2013005605A1 (ja) 2011-07-06 2012-06-26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ローラガイドアッセンブリ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343A KR20140031343A (ko) 2014-03-12
KR101486186B1 true KR101486186B1 (ko) 2015-01-23

Family

ID=4743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965A KR101486186B1 (ko) 2011-07-06 2012-06-26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82098B2 (ko)
JP (1) JP5655143B2 (ko)
KR (1) KR101486186B1 (ko)
CN (1) CN103635409B (ko)
WO (1) WO20130056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404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꼬레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KR20180067292A (ko) * 2016-12-12 2018-06-20 고병기 승강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825B2 (ja) * 2011-08-24 2016-01-2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ローラガイド
CN104684835B (zh) * 2012-09-25 2016-11-02 三菱电机株式会社 滚轮导向件及其制造方法
CN104033536A (zh) * 2014-04-29 2014-09-10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减振装置
EP3233706A1 (de) * 2014-12-17 2017-10-25 Inventio AG Dämpfereinheit für einen aufzug
EP3233707A1 (de) 2014-12-17 2017-10-25 Inventio AG Dämpfereinheit für einen aufzug
CN105775955A (zh) * 2016-04-06 2016-07-20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可调节升降机导轮机构
EP3231757B1 (en) 2016-04-15 2020-04-08 Otis Elevator Company Guide rail support
US9957134B2 (en) 2016-06-16 2018-05-01 Colin Hodge Roller guide for elevators
CN105923507A (zh) * 2016-06-24 2016-09-07 山东兰剑物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提升机
DE102017202129A1 (de) * 2017-02-10 2018-08-16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Drehsegmenten
CN106882680A (zh) * 2017-03-21 2017-06-23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导向轮安装结构和提升机
CN110282519B (zh) 2018-03-19 2022-05-17 奥的斯电梯公司 限速系统、释放装置、电梯限速系统和电梯
US11214464B2 (en) * 2018-05-16 2022-01-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ismic performance apparatus
CN108910657B (zh) * 2018-08-03 2020-04-24 南通中力科技有限公司 滚轮导靴
CN109292584B (zh) * 2018-11-20 2021-03-02 南通中力科技有限公司 带有滚轮导靴的电梯
CN109867073B (zh) * 2019-03-11 2024-05-24 扬州金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地下垃圾中转处理系统
KR102352620B1 (ko) * 2019-11-07 2022-01-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102316491B1 (ko) * 2019-11-07 2021-10-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CN111056403B (zh) * 2019-12-27 2021-01-26 无锡市誉捷电梯部件有限公司 滑动导靴
KR102433955B1 (ko) * 2020-08-19 2022-08-2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CN112027867A (zh) * 2020-09-08 2020-12-04 广东万合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用抗震隔音降噪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276U (ko) * 1984-12-21 1986-07-09
JPH0275587A (ja) * 1988-09-08 1990-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
JPH08245119A (ja) * 1995-03-08 1996-09-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2007263350A (ja) 2006-03-30 2007-10-11 Jtekt Corp 軸受装置と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169A (en) * 1935-09-10 1937-11-23 Otis Elevator Co Elevator roller guide shoe
US2260922A (en) * 1940-07-06 1941-10-28 Elevator Safety Corp Fluid controlled guide for elevator cars
US3043401A (en) * 1959-11-03 1962-07-10 Montgomery Elevator Shackle spring mounting for hydraulic elevators
US3099334A (en) * 1962-05-15 1963-07-30 Otis Elevator Co Elevator roller guides
US3415500A (en) * 1966-09-21 1968-12-10 Fafnir Bearing Co Combined seal and shock mount for a bearing
US3961829A (en) * 1972-09-20 1976-06-08 Dunlop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silient mountings
US3856117A (en) * 1973-09-25 1974-1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S56132280A (en) * 1980-03-18 1981-10-16 Tokyo Shibaura Electric Co Roller of roller guide for elevator
JPH0627458Y2 (ja) * 1985-09-21 1994-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ャフトのセンターベアリング支持装置
JPH0616822Y2 (ja) * 1987-04-08 1994-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中間軸支持構造
US5107963A (en) * 1990-01-29 1992-04-28 Norcast Corporation Spring loaded guide rollers
EP0544986B1 (de) * 1991-12-04 1996-03-13 Firma Carl Freudenberg Lager
US6032764A (en) 1997-12-11 2000-03-07 Otis Elevator Company Roller guide assembly with sound isolation
US5950771A (en) 1997-12-11 1999-09-14 Otis Elevator Company Roller guide friction damper
US6062347A (en) * 1998-11-12 2000-05-16 Otis Elevator Resin stop assembly for roller guides
DE10112453C2 (de) * 2001-03-14 2003-03-06 Freudenberg Carl Kg Kardanwellenlager
DE10113442C2 (de) * 2001-03-19 2003-02-27 Freudenberg Carl Kg Lageranordnung für ein Wellenlager
KR100988398B1 (ko) * 2003-04-07 2010-10-1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롤러 가이드
JP2005020451A (ja) * 2003-06-26 2005-01-20 Sony Corp 平面アンテナ
JP2005024051A (ja) 2003-07-01 2005-01-27 Nok Corp 防振支持装置
US7562749B2 (en) * 2004-05-04 2009-07-21 Elevator Safety Company Roller guide
DE102008014666B4 (de) * 2008-03-18 2020-07-30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KG Stützanordnung zur axial und radial nachgiebigen Abstützung eines Wellenlagers
US8251186B2 (en) * 2010-07-23 2012-08-28 Inventio Ag Mounting components within an elevator
JP5867685B2 (ja) * 2011-09-16 2016-02-24 Nok株式会社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8276U (ko) * 1984-12-21 1986-07-09
JPH0275587A (ja) * 1988-09-08 1990-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ローラ
JPH08245119A (ja) * 1995-03-08 1996-09-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2007263350A (ja) 2006-03-30 2007-10-11 Jtekt Corp 軸受装置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404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꼬레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KR101951310B1 (ko) * 2016-05-17 2019-02-22 주식회사 꼬레본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 장치
KR20180067292A (ko) * 2016-12-12 2018-06-20 고병기 승강작업대
KR101967220B1 (ko) * 2016-12-12 2019-04-09 고병기 승강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05605A1 (ja) 2015-02-23
CN103635409B (zh) 2016-01-13
CN103635409A (zh) 2014-03-12
WO2013005605A1 (ja) 2013-01-10
JP5655143B2 (ja) 2015-01-14
US9382098B2 (en) 2016-07-05
US20140158473A1 (en) 2014-06-12
KR20140031343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18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롤러 가이드 어셈블리
JP59024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985563B2 (en) Seat damper
EP2662591B1 (en) Anti-vibration device
JP6176872B1 (ja) マンコンベア装置
CN102112386A (zh) 用于电梯系统的隔振组件
CN107879221B (zh) 辊引导组件和电梯系统
CN101092231A (zh) 用于千斤顶的减震轮安装结构
JP2006131385A (ja) エレベーター
CN106799946B (zh) 悬架升降调整装置
JP5396060B2 (ja) 回転体ユニットの予圧設定装置および回転体ユニットの予圧設定方法
KR102352620B1 (ko)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CN109533054A (zh) 磁吸附行走装置及磁吸附爬壁机器人
WO2000011395A1 (en) Horizontal glide damper
KR20200042617A (ko) 엘리베이터용 롤러가이드장치
WO2021227398A1 (zh) 直线转旋转运动的传动机构,脚踏装置及轨道列车
JP42042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装置
JP2005138912A (ja) エレベータの振動抑制装置
CN1953929A (zh) 用于乘客运输机的振动吸收装置
JPH05201651A (ja) 自己整列エレベータ取付け組立体、エレベータ組立体
KR200295807Y1 (ko)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완충구조
KR102316491B1 (ko)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102433955B1 (ko)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KR20060098506A (ko) 도어레귤레이터 장착구조
WO2018150078A1 (en) Elevator roller guid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