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622B1 - 측부 채널 콤프레샤 - Google Patents

측부 채널 콤프레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622B1
KR101485622B1 KR1020107010043A KR20107010043A KR101485622B1 KR 101485622 B1 KR101485622 B1 KR 101485622B1 KR 1020107010043 A KR1020107010043 A KR 1020107010043A KR 20107010043 A KR20107010043 A KR 20107010043A KR 101485622 B1 KR101485622 B1 KR 10148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ropeller blades
flow
side channe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961A (ko
Inventor
루디 디트마르
토마스 그로흐만
마리오 켐프
Original Assignee
가드너 덴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드너 덴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가드너 덴버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3/00Other rotary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3/008Regenerativ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4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7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tip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10Two-dimensional
    • F05D2250/18Two-dimensional patterned
    • F05D2250/182Two-dimensional patterned crenellated, no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측부 채널 콤프레샤(side channel compressor)에 관한 것이고,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하우징(3),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하우징(3) 내 위치된 측부 채널(30), 하우징 내에서 형성되고 압축되고록 가스가 도입되기 위한 측부 채널(30)과 흐름 연결되는 가스 유입 개구부(gas inlet opening), 상기 측부 채널(30)로부터 압축되는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하우징(3) 내에서 형성된 가스 유출 개구부(32)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출 개구부(32)는 측부 채널(30)에 의해 가스 유입 개구부(31)와 흐름 연결되며,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하우징(3) 내 회전 구동을 위해 장착된 추진기(2)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기(2)는 측부 채널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블레이드(1)를 가지고, 이에 하나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이의 자유 변부 영역(47) 내 흐름 오목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측부 채널 콤프레샤{SIDE CHANNEL COMPRESSOR}
본 발명은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측부 채널 콤프레샤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공기 또는 특수한 가스와 같은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작동은 광대역 사운드 스펙트럼(broadband sound spectrum)의 결과가 된다. 종래 측부 채널 콤프레샤에 있어, 토널 사운드 구성요소(tonal sound component)는 주파수가 7 dB이상에서 광대역 사운드 스펙트럼과 서로 다를 경우 극단적으로 무시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어느 특정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US 2005/0207883 A1은 공진 링9resonator ring)을 가지는 송풍기(blower)가 공개된다.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공진 링으로부터 전개된다. 복수의 공진 공동(resonator cavity)는 상기 공진 링으로 둘러싸인다. 각각의 공진 공동은 2개의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 간극으로 개방되는 넥(neck)과 포켓(pocket)을 가진다. 작동 중에, 상기 송풍기는 매우 소음이 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조용한 작동을 보장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측부 채널 콤프레샤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하우징(housing),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하우징 내에 위치된 측부 채널, 가스가 압축되도록 도입하기 위한 측부 채널을 사용하여 흐름 유통되는 하우징 내에 형성된 가스 유입 개구부(gas inlet opening), 상기 측부 채널로부터 압축되도록 상기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하우징 내에서 형성된 가스 유출 개구부(gas outlet 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출 개구부는 측부 채널을 경유하여 상기 가스 유입 개구부와 흐름 연결되며,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하우징 내 회전 구동(rotary drive)을 위해 장착되고 측부 채널에서 배치된 2개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impeller blade)를 가지는 추진기(impeller)를 포함하며, 이에 하나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이의 자유 변부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flow recess)를 가지며, 이에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흐름 요홈이고, 이에 모든 추진기 블레이드 중 30% 내지 70%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요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본질은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가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하나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자유 변부 영역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자유 변부 영역은 측부 채널에서 배치되고 압축되는 가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영역이다.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 또는 상기 흐름 오목부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의 양은 추진기 블레이드의 트레일 측부(trailing side)에서 발생되는 가스 소용돌이 구조(gas turbulence structure) 및/또는 주기적인 가스 흐름 구조 현상을 감소시킨다. 이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특히 조용한 작동을 보장한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측부 채널 콤프레샤로 플랜지 장착된 구동기 및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측부도를 도시하고, 도면은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종 방향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하우징 커버(cover)가 이탈되고 도 2에서 도시된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 추진기(non-inventive impeller)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기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비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된 추진기의 추진 블레이드를 실질적으로 후방에서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 8 실시예에 따르는 본 발명의 추진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가스를 압축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측부 채널 콤프레샤(side channel compressor)는 추진기 블레이드(impeller blade, 1)가 제공되고 수평 중심의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하우징(housing, 3) 내에 장착되는 추진기(2)를 포함한다. 종래 구동기(drive, 6)는 화살표(5) 방향으로 추진기(2)의 회전 구동을 위해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가스는 화상표(5) 방향으로 하우징(3)을 통해 이동된다.
하우징(3)은 하우징 몸체(7)와 도 1 및 도 2에 따라 함께 결합하는 분리가능한 하우징 커버(demountable housing cover, 8)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추진기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추진기(2)를 둘러싸며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는 회전을 위해 구동 가능하고 블레이드 사이에서 함께 회전하기 위한 구동 샤프트(drive shaft, 9) 상에 배치된다.
상기 추진기(2)는 단일 블레이드 링이 제공되고 디스크(disk)와 같이 디자인된다. 추진기(2)는 중심 원형 허브 보어(central circular hub bore, 11)와 함께 내부 추진기 허브(10)를 포함한다. 추진기 허브(impeller hub, 10)는 허브 보어(11)를 외부 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내부 허브 푸트(hub foot, 1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허브 푸트(12)와 인접하는 방사상의 원형 허브 와셔(hub washer, 13)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이, 추진기(2)는 중심 종 방향 회전축(4)의 방향으로 상기 허브 와셔(13)의 양 측부와 중첩되고 상기 허브 와셔(13)의 외측부와 인접하는 방사상의 외부 캐리어 링(carrier ring, 14)을 포함한다. 캐리어 링(14)은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추진기 블레이드(1)를 운반하고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체 52의 개별 추진 블레이드(1)가 제공되고 이는 대략 7°로,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하여,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각이 형성된 거리를 가지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등거리로(equidistantly)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6 내지 7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모두 45°로 배치된다. 상기 허브 푸트(hub foot, 12), 허브 와셔(13) 및 캐리어 링(14)은 일체로 통합된 캐스트 부분(integral cast part)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축방향의" 및 "방사상의"이란 용어는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다. 또한, "내부의" 및 "외부의"의 용어는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상대적인 것이다. "내부의" 용어는 내부 영역이 외부 영역보다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보다 근접한 의미이다.
중심 허브 보어(11)는 구동 샤프트(9)를 수용할 수 있다. 종래 평행 키 연결이 구동 샤프트(9)와 허브 푸트(hub foot, 12) 사이에서 제공되고 이에 따라 추진기(2)를 회전시키기 위한 추진기 허브(10)로 구동 샤프트(9)에 의해 발생된 토크를 전달한다.
하우징 몸체(7)는 부분적인 허브 수용 공간(16)을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중심 허브 부분(15)을 포함한다. 중심 샤프트 보어(central shaft bore, 17)는 상기 허브 부분(15)을 지나고 부분적인 허브 수용 공간(16)으로 개방된다. 환형 측부 벽(18)은 상기 허브 부분(15)과 인접하고, 상기 환형 측부 벽(18)은 허브 부분(15)으로부터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원주 방향의 채널 부분(19)은 측부 벽(18)의 외측면과 인접한다. 허브 부분(15), 측부 벽(18) 및 채널 부분(19)은 상기 하우징 몸체(7)를 형성하는, 일체로 통합된 캐스트 부분을 형성한다. 스포크 방식(spoke-like manner)으로 전개되는 립 웹(rib web, 20)이 하우징 몸체(7)의 안정성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하우징 몸체(7)의 외측부 상에 제공된다. 더욱이, 나사산 보스(screw boss, 21)는 측부 벽(18)으로부터 방사상 및 외부 장향으로 돌출한다.
하우징 커버(8)는 여러 연결 나사못(22)에 의해 하우징 몸체(7)에 고정되고 부분적인 허브 수용 공간(24)을 방사상 및 축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중심 허브 부분(23)을 포함한다.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전개되는 환형 측부 벽(25)은 허브 부분(23)에 인접한다. 원주 방향의 채널 부분(26)은 측부 벽(25)의 외측부로 부착된다. 구동 샤프트(9)에 대한 롤링 요소 베어링(rolling-element bearing, 27)은 허브 부분(23)에서 배치된다. 허브 부분(23), 측부 벽(25) 및 채널 부분(26)은 하우징 커버(8)를 형성하는, 일체로 합체되는 캐스트 부분을 형성한다. 게다가, 스포크 방식으로 전개되는 립 웹(rib web, 28)은 상기 하우징 커버(8)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측부 벽(25)의 외측부로부터 돌출한다.
하우징 몸체(7)와 하우징 커버(8)가 함께 접합하여 이에 2개의 부분적인 허브 수용 공간(16, 24)은 이들 사이에서 허브 수용 공간(29)을 형성하고, 2개의 채널 부분(19, 26)은 가스를 압축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서 측부 벽(30)을 형성한다. 2개의 측부 벽(18, 25)은 서로로부터 공간이 형성되지만 평행하다. 중심의 종방향 회전축(4)으로부터 공간이 형성되는 측부 채널(30)은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하여 환형으로 전개되고 채널 부분(19, 26)에 의해 경계가 한정된다.
측부 채널(30)로 돌출하는 축방향 가스 유입 개구부(31)는 하우징 커버(8)의 기저부에서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축방향의 가스 유출 개구부(32)가 하우징 커버(8)의 기저부에서 제공되고, 상기 축방향 가스 유출 개구부는 측부 채널(30)로 유체 연통 되고 가스 유입 개구부(31)로 인접한다. 돌출하는 가스 유입 커넥터(gas inlet connector, 33)는 가스 유입 개구부(31)로 연결되고 반면, 동일한 방식으로 돌출하는 가스 유출 커넥터(34)는 가스 유출 개구부(32)로 연결된다. 인터셉터(interceptor, 35)는 상기 가스 유입 개구부(31)와 가스 유출 개구부(32) 사이에서 측부 채널(30)에서 배치된다.
추진기(2)의 허브 푸트(hub foot, 12)는 허브 보어(17)를 관통하는 구동 샤프트(9)와 함께, 상기 허브 부분(15, 23)에 의해 경계가 한정된 허브 수용 공간(29) 내에서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9)는 이의 단부에서 자유 베어링 저널(bearing journal, 36)이 제공되고 이는 하우징 커버(8) 내 롤링 요소 베어링(27)에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상기 롤링 요소 베어링(27)은 베어링 저널(36)로 연결된 내부 링(37)과 하우징 커버(8)에 연결된 외부 링(38)이 제공되고, 베어링 볼(39)의 형태로 이들 사이에 위치된 롤링 요소에 의해 링은 분리된다. 상기 내부 링(37)은 공통 회전을 위한 베어링 저널(36) 상으로 수축되고 상기 외부 링(38)은 비회전방식으로 하우징 커버(8)에 부착된다. 추진기(2)의 허브 와셔(hub washer, 13)는 하우징(3)의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측부 벽(18, 25) 사이에서 허브 푸트(12)로부터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캐리어 링(14)과 추진기 블레이드(1)는 원주 방향의 측부 채널(30) 내에서 위치된다. 캐리어 링(14) 중 푸트(foot)의 어느 한 부분은 외부 방향으로 개방 오목부(40) 내에서 위치되고 상기 개방 오목부는 측부 벽(18, 25)과 이웃하여 채널 부분(19, 26) 내에서 형성된다.
측부 채널(30)은 화살표(5)에 대략 수직이고 가스를 이송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자유 횡단면을 가진다. 상기 횡단 영역은 AA < AE 가 되도록 가스 유입 개구부(31)의 횡단 영역 AE으로부터 가스 유출 개구부(32)의 횡단 영역 AA까지 테이퍼 가공된다. 그러나, 측부 채널(30)은 일정한 횡단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측부 채널(30)은 방사상의 높이(S)를 가진다. 상기 구동부(6)는 하우징 몸체(7)의 외측부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모터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여러개의 고정 나사못이 제공되고 하우징 몸체(7)에서 나사못 보스(21) 내에서 나사못 형성된다.
측부 채널 콤프레샤에 의해 형성된 유닛과 구동부(6)가 안정하게 설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지 푸트(41)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기저부에서 형성되고 반면 지지 푸트(43)는 캐리어 몸체(42)의 기저부에서 형성되고, 이에 캐리어 몸체(42)는 나사못에 의해 하우징 몸체(7)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6)를 형성한다.
수직 평면(E)은 중심 종방향 회전축(4)을 통하여 연결되고 수직 대칭 방식으로 또는 길이를 따라 각각 중심으로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를 교차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추진기 블레이드(1)는 도 4 및 도 5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플레이트(plate)와 같이 실질적으로 디자인되고 대응하는 윤곽을 가진 장방형 형태를 가진다. 추진기 블레이드(1)는 허브 와셔(13)의 중심을 통하여 연결되고 수직 평면(E)에 대하여 수직하게 방향이 설정되는 대칭 평면(X)에 대해 상대적으로, 동일하고 대칭적으로 디자인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방사상으로 외부 변부 영역(45), 이에 마주하는 방사상의 내부 변부 영역(46) 및, 외부와 내부 변부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변부 영역(47)으로 구성되는 변부를 가진다. 내부 변부 영역(46)은 캐리어 링(14)과 직접 연결되고 추진기 블레이드(1)의 푸트 영역으로써 여겨질 수 있으며 반면, 추진기 블레이드(1)의 헤드 영역으로써 고려될 수 있는 전체 변부 영역(45)은 측부 채널(30) 내에서 전체적으로 위치되고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방향된다. 횡방향 변부 영역(47)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내부 변부 영역(4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전개된다. 변부 영역(45 및 47)은 자유롭고, 다른 말로 인접한 요소가 없다. 한편으로, 내부 변부 영역(46)은 캐리어 링(14)에 의해 인접함에 따라 자유롭지 못하다. 변부 영역(45, 46, 47)은 화살표(5) 방향으로 접해 있는 전방 표면(48)과 이에 마주하는 후방 표면(49)을 한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방 표면은 화살표(5)의 마주하는 방향으로 인접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외부 변부 영역(45)과 인접하는 외부 변부 부분(51)과 내부 변부 영역(46)과 인접하는 내부 변부 부분(50)을 포함한다. 내부 변부 부분(50)은 내부 변부 영역(46)으로부터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전개되고, 반면 외부 변부 부분(51)은 흐름의 이유로 상기 내부 변부 부분(50)에 대해 상대적으로 화살표(5) 방향으로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진다. 또한 외부 변부 부분(51)은 주변 원주 방향으로 도시될 때 상기 외부 변부 영역(45)을 향해 두께에 있어 감소된다.
외부 변부 영역(45)과 내부 변부 영역(46) 사이 거리는 추진기 블레이드(1)의 방사상 높이(H)를 형성하고, 이에 상기 내부 변부 부분(50)의 방사상 높이(H)는 방사상 높이(H)의 55% 와 75%의 사이 정도로 형성된다. 방사상의 높이(H)는 횡방향 변부 영역(47) 근방에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는 마주하는 변부 영역(47) 사이 거리에 의해 범위가 한정되는 축방향 폭(B)을 가진다.
추진기 블레이드(1)의 방사상 높이(H)는 측부 채널(30)의 방사상 깊이(S)보다 크기가 작다. 상기 방사상 높이(H)는 측부 채널(30)의 방사상 깊이(S)의 대략 50% 와 75%의 깊이 중 바람직하게 대략 60%의 깊이를 가진다. 더욱이, 추진기 블레이드(1)의 축방향 폭(B)은 측부 채널(30)의 대응되는 축방향 폭보다 언제나 바람직하게 크기가 작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진기 블레이드(1)의 횡방향 변부 영역(47)은 실질적으로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는 감소 요홈(reduction groove, 52)이 각각의 경우에 추가적으로 장착되고, 이에 상기 감소 요홈(52)은 축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외부 변부 영역(45)에 대해 평행하다. 이러한 감소 요홈(52)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각각의 감소 요홈(52)은 추진기 블레이드(1)의 후방 표면(49)과 전방 표면(48)으로 개방되며, 이에 따라 추진기 블레이드(1)의 전체 횡방향 측부를 관통한다. 마주보는 감소 요홈(52)은 내부 변부 부분(50)에서 공통 레벨을 가진다. 이들은 추진기 블레이드의 대략 5%와 20%의 높이인, 바람직하게 추진기 블레이드(1)의 10%와 15%의 방사상 높이(H)를 가지는 각각의 감소 요홈과 함께, 내부 변부 영역(46)으로부터의 거리에서 내부 변부 부분(50)의 하부 절반에서 위치된다. 감소 요홈(52)의 축방향 깊이(T)는 추진기 블레이드(1)의 축방향 폭(B)의 대략 2%와 12%의 깊이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 5%와 9%의 깊이를 가진다.
다음은 비발명(non-inventive)의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설명이다. 상기 구동 샤프트(9)는 구동부(6)에 의해 화살표(5) 방향으로 중심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회전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는 공동 회전을 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9)로 커플 결합되고, 상기 추진기(2)는 추진기 블레이드(1)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화살표(5)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가스 유입 개구부(31)에 근접하게 지나가며,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1)는 가스 유입 커넥터(33)와 가스 유입 개구부(31)를 통하여 측부 채널(30)로 압축되도록 가스를 끌어당긴다. 측부 채널(30)에서 위치된 가스가 화살표를 이송 화살표에 따라 언급될 수 있는 화살표(5) 방향으로, 추진기 블레이드(1)에 의해 가속된다. 추진기 블레이드(1)의 전방 표면(48)은 화살표(5)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접촉하고 측부 채널(30)에 위치된 가스 이송을 위해 제공된다. 이송 중에, 상기 가스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추진기 블레이드(1)와 캐리어 링(14)에 의해 내부 방향으로 경계가 한정되는 셀(cell, 44)에서 트랩이 형성된다. 셀(44)은 추진기 블레이드(1)의 전방 표면(48)과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추진기 블레이드의 후방 표면(49)에 의해 특히 범위가 한정된다. 변부 영역(45, 47)은 자유롭고, 이에 따라 상기 가스를 각각 횡단하거나 가로지르게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감소 요홈(reduction grooves, 52)으로 인하여, 추진기 블레이드(1)의 전방 표면(48) 및 후방 표면(49) 중 각각의 표면 영역은 종래 요홈이 형성되지 않은 추진기 블레이드의 표면 영역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감소 요홈(52)은 화살표(5)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다운스트림의 셀(downstream cell, 44)인 흐름 채널을 형성하고, 이는 어느 한 셀로부터 또 다른 셀로 일부 가스를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이에 따라 감소 요홈(52)은 횡방향 흐름 요홈에 따라 작동하고 이러한 흐름 요홈을 통하여 일부 가스가 흐를 수 있다. 상기 감소 요홈(52)을 통하여 흐르는 가스의 양 또는 상기 감소 요홈(52)은 추진기 블레이드(1)의 트레일 측부(trailing side)에서 가스 소용돌이 구조(gas turbulence structure)의 감소를 야기한다. 특히 이는 측부 채널(300 내에서 가스 소용돌이 구조의 크기와 밀도를 감소시키고 연속적으로 압력 변화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작동 소음은 또한 감소된다. 순환 영역의 단부에서, 압축된 가스는 추진기 블레이드(1)에 의해 가스 유출 개구부(32)와 가스 유출 커넥터(34)를 통해 상기 측부 채널(30)로부터 방출된다. 측부 채널 콤프레샹 내 가스에 의해 덮인 각이 형성된 경로(angular path)는 대략 300°의 정도이다. 인터셉터(interceptor)는 상기 추진기(2)에 의해 이송된 가스가 측부 채널(30) 내 가스 유출 개구부(32)로부터 가스 유입 개구부(31)에 걸쳐 운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에 의해 비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동일한 부분은 설명되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연속되는 a(subsequent a)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도 6에서 도시된 추진기(2a)는 대칭 평면(X)에 대해 재차 대칭적인 추진기 블레이드에 대하여 도 4에서 도시된 추진기(1)와 서로 다르다. 도 4와 도 5에 따르는 추진기 블레이드(1)와 달리,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1a)는 각각의 변부 영역(47a) 내 공간이 이격된, 동일 감소 요홈(52)이 제공되고, 상기 감소 요홈(52)은 외부 변부 영역(45) 및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감소 요홈(52)은 내부 변부 부분(50) 내에서 각각의 경우에 위치되고, 어느 하나가 또 하나 위로 배치된다. 이는 전체 추진기 블레이드(1)를 재차 지나고 이에 따라 흐름 채널(flow channel)을 형성한다. 하부 감소 요홈(52)은 하부 변부 영역(46)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배치되고 반면 상부 감소 요홈(52)은 변부 부분(51)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배치된다. 감소 요홈(52)의 디자인, 치수 및 기능에 관하여, 참조가 전술된 실시예로 형성된다. 전술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즉,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추진기 블레이드(1)와 비교하여, 추진기 블레이드(1a)의 표면(48a, 49a)은 보다 크기가 작으며, 감소 요홈(52)의 이중성(doubling)으로 인하여 대략 셀(44)로부터 셀(44)까지 가스의 2배의 양이 흐를 수 있다. 트레일 측부(trailing side)에서 가스 소용돌이 구조물은 더욱 감소된다.
다음은 도 8 및 도 9에 의해 비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설명이다. 동일한 부분은 참조 부호의 설명을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제 2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이어지는 b(subsequent b)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전술된 실시예와 달리,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외부 변부 부분(51b) 내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각각의 변부 영역(47b)은 서로로부터 각각의 경우에 공간이 형성되는 모두 3개의 동일한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이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외부 변부 영역(45)에 대해 평행하다. 변부 부분(51b) 내 상부 감소 요홈(52)은 외부 변부 영역(45)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감소 요홈(52)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동일한 거리에서 어느 하나가 또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된다. 추진기 블레이드(1b)는 대칭 평면(X)에 대해 상대적으로 재차 대칭적이다. 상기 감소 요홈(52)의 디자인, 치수 및 기능에 관하여, 참조가 전술된 실시예에 대해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감소 요홈(52)이 상기 표면(48b, 49b)을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함에 따라 트레일 측부에서 소용돌이 구조가 보다 더 감소하고 이에 따라 감소 요홈(52)을 통하여 보다 많은 가스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도 10 및 도 11에 의해 비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설명이다. 동일한 부분은 참조 부호의 설명을 위해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제 3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이어지는 c(subsequent c)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는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감소 요홈(52c)이 장방형의 것 대신에 반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이는 재차 축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전체 추진기 블레이드(1c)를 통과한다. 이는 어느 하나가 또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되고 깊이(T)가 대략 동일한 최대 깊이를 가진다. 이의 최대 외측부 높이는 높이(A)와 대략 동일한다. 감소 요홈(52c)의 위치와 기능에 관하여, 참조 부호가 제 3 실시예에 대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추진기 블레이드(1c)는 특히 낮은 노치 효과(notch effect)에 대해 영향을 받는다. 반원형 감소 요홈(52c)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적합하다.
다음은 도 12 및 도 13에 의해 비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설명이다. 동일한 부분은 참조 부호의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이어지는 d(subsequent d)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달리, 횡방향 변부 영역(47d)은 감소 요홈이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외부 변부 영역(45d)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전체 추진기 블레이드(1d)를 통과하는, 공간이 이격된 동일한 4개의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흐름 채널을 형성하는 감소 요홈(52)은 외부 변부 부분(51)에서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깊이(T)와 동일한 방사상의 깊이를 가진다. 이의 폭은 높이(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감소 요홈(52)의 횡단면 영역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감소 요홈(52)의 횡단면 영역과 동일하도록 한다. 감소 요홈(52)은 장방형 횡단면을 가지고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는 서로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진다.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1d)는 평면(X)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디자인은 트레일 측부에서 가스 소용돌이 구조를 감소시킨다. 감소 요홈(52)의 치수와 형태에 관하여, 참조가 제 1 실시예에 대해 형성된다. 4개의 감소 요홈(52) 대신에, 중심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그러나,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d)는 2개 이상의 감소 요홈(5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 대칭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장방형 대신에, 그 외 다른 형태가 반원형 형태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4 및 도 15에 의해 비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설명이다. 동일한 부분은 참조로 설명되는 도 12와 도 13과 같이 도 8 및 도 9에서 각각 도시된 제 3 또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이어지는 e(subsequent e)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상기 추진기(2e)는 도 8, 도 9 및 도 12, 도 13에서 도시된 추진기 블레이드(1b 및 1d)의 복합물인 추진기 블레이드(1e)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1e)는 각각의 횡방향 변부 영역(47b)에서 어느 하나가 또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감소 요홈(52)을 가지고,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의 방사상의 외부 변부 영역(45d)에서 연속하여 배치된,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 4개의 감소 요홈(52)을 가진다. 감소 요홈(52)의 치수, 위치 및 형태에 관하여, 참조가 제 1, 제 3 및 제 5 실시예에 대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유 변부 영역(45d, 47d)은 요홈이 제공되고, 이는 특히 다량의 감소 요홈(52)이 제공되고 표면(48e, 49e)이 작기 때문에 트레일 측부(trailing side)에서 특히 작은 소용돌이 구조(turbulence structure)를 가진다. 추진기 블레이드(1e)는 대칭 평면(X)에 대해 상대적으로 대칭적이다. 대안적으로, 반원형 감소 요홈(52c)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하다. 더욱이, 각각의 변부 영역(45d 및/또는 47b)은 서로 다른 수많은 감소 요홈(52)이 제공될 수 있다.
추진기 블레이드의 축방향으로 횡방향 및/또는 방사상으로 외부 요홈은 흐름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이의 전방 및 후방 표면을 감소하여, 이에 따라 트레일 측부에서 소용돌이 구조를 감소시킨다. 감소 요홈은 의도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하나 이상의 감소 요홈이 제공된다. 각각의 횡방향 변부 영역 및/또는 방사상으로 외부 변부 영역은 의도된 개수의 요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추진기 블레이드 및 동일한 추진기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형태의 감소 요홈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횡방향 변부 영역 및/또는 각각의 외부 변부 영역은 하나 이상의 감소 요홈이 제공되고, 이에 각각의 변부 영역에서 상기 실제 개수는 무작위로 선택될 수 있고 어느 한 변부로부터 또 다른 변부까지 서로 다를 수 있다. 추진기 블레이드의 대칭 디자인 또는 감소 요홈의 대칭 배열이 제각각 바람직하다.
기술된 요홈에 대한 비발명적인 대안물로써, 횡방향 변부 영역은 챔퍼 가공될 수 있으며(chamfer), 또 다른 말로 이는 셋백 블레이드 변부(set-back blade edge)를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방사상으로 외부 변부 영역은 또한 챔퍼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챔퍼(chamfer)는 추진기 블레이드의 전방 및/또는 후방 표면을 감소시키는 흐름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트레일 측부 상에서 소용돌이 구조가 최소로 감소된다. 상기 횡방향 흐름 오목부가 방향이 설정되어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는 이의 후방 표면을 향하여 전방 표면으로부터 보다 크거나 또는 보다 작게 크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제각각으로,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 또는 횡방향 변부 영역은 제각각 상부 또는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집중되어, 외부 변부 부분이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경우에, 흐름 오목부가 방사상 및 횡방향으로 제공된다.
다음은 도 16 및 도 17에 의해 비발명의 제 7 실시예의 설명이다. 동일한 부분은 참조로 설명되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언급된다.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부분은 이어지는 f 부호(subsequent f)를 가지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도시된다. 전술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추진기(2)는 단일 블레이드 링을 가진다. 또 한편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2f)는 추진기 블레이드(1f)의 외부 변부 영역(45f)을 접합하고 방사상 및 외부 방향으로 셀(44)을 한정하는 또 다른 외부 캐리어 링(53)을 갖는 이중 블레이드로써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주요 차이점이 없다. 개별 추진기 블레이드(2f)는 대칭 평면(X)에 대해 대칭적이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각각의 변부 영역(47f)은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상기 감소 요홈(52)은 대응되는 변부 영역(46f)과 인접한다. 형태에 대하여, 감소 요홈(52)의 형태, 치수 및 위치에 관하여, 제 1 실시예의 참조 부호가 응용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횡방향 변부 영역(47f)은 하나 이상의 감소 요홈(52)이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감소 요홈(52)은 예를 들어 반원형인,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지기 위해 디자인된다. 재차, 변부 영역(47f) 내에서, 챔퍼와 같은, 그 외 다른 오목부를 생각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8에 의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설명한다. 동일한 부분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참조 설명을 위해 언급된다. 제 1 실시예와 달리, 이러한 실시예의 모든 추진기 블레이드(1)가 횡방향 변부 영역(47) 내에서 요홈이 형성되지 않고, 모든 추진기 블레이드의 30% 내지 70%, 바람직하게 40% 내지 60%로 요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감소 요홈(52)을 가지는 추진기 블레이드(1)는 감소 요홈없이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다. 요홈이 형성된 추진기 블레이드(1)는 확률적으로 무작위로 배치된다. 도 18의 상부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3개의 규칙적인 즉, 요홈이 형성되지 않은 추진기 블레이드가 2개의 요홈이 형성된 추진기 블레이드(1) 사이에서 제공된다. 또 한편으로 상부 횡방향 측부에서, 단 2개의 규칙적인 추진기 블레이드가 2개의 요홈이 형성된 추진기 블레이드(1) 사이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서로 후방에 직접 요홈이 형성된 2개의 추진기 블레이드(1)를 배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소 요홈(52)은 주기적인 흐름 구조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소 요홈으로써 작동한다. 이는 규칙적이고 조화 흐름 구조(harmonic flow structure)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측부 채널 콤프레샤의 조용한 작동을 보장한다. 재차, 트레일 측부에서 가스 소용돌이 구조가 감소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추진기 블레이드(1) 대신에, 전술된 또 다른 추진기 블레이드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다소의 서로 다른 추진기 블레이드가 어느 하나 및 동일한 추진기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연속적인 반복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동일하게 요홈이 형성된 추진기 블레이드가 일렬로 여러 번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성은 완전히 무작위이다. 본질적인 것은 상기 추진기 블레이드가 형태 및/또는 크기의 견지에서 서로 다르게 디자인된다. 또한, 추진기 블레이드는 높이 및/또는 폭에 있어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은 등거리로(equidistantly) 배치된다.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과 결합하기 위한 고정인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동 가능한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움직일 수 없다(immobile).
추진기(2, 2a, 2b, 2c, 2e, 2f)를 위한 인터셉터(35)는 추진기(2, 2a, 2b, 2c, 2e, 2f)를 향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추진기 블레이드(1, 1a, 1b, 1c, 1e, 1f)의 횡방향 변부(47, 47a, 47b, 47c, 47f) 내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인터셉터(35)의 어느 한 돌출부는 각각의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을 위해 제공된다. 추진기(2)를 위한 인터셉터(35)는 하나의 돌출부를 가진다. 추진기(2a)용 인터셉터(35)는 2개의 분리 돌출부를 가진다. 추진기(2b, 2c 및 2e)용 인터셉터(35)는 3개의 분리 돌출부를 가진다. 추진기(2f)용 인터셉터는 하나의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돌출부의 크기 및 디자인은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의 크기 및 디자인에 적합하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 사이에서 작은 유극(play)이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압력 착탈(pressure release)과 대항된다(counteract).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3)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존재하며 이는 추진기(2, 2a, 2b, 2c, 2d, 2e, 2f)를 향하여 돌출하고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과 결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헤드 변부(45, 45d) 및 횡방향 변부(47, 47a, 47b, 47c, 47f) 내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과 결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크기 및 디자인은 흐름 오목부 또는 감소 요홈(52, 52c)의 크기 및 디자인에 적합하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신장되어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형태는 종방향 회전축(4)에 대해 동심으로 형성된다.

Claims (15)

  1.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측부 채널 콤프레샤에 있어서,
    상기 측부 채널 콤프레샤는:
    a) 하우징(3)을 포함하고,
    b) 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하우징(3) 내에 위치된 측부 채널(30)을 포함하며,
    c) 압축되어야 하는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해 측부 채널(30)과 흐름 연결되는 하우징(3) 내에서 형성된 가스 유입 개구부(31)를 포함하고,
    d) 압축되어야 하는 가스를 상기 측부 채널(3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하우징(3) 내에 형성된 가스 유출 개구부(32)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유출 개구부(32)는 측부 채널(30)에 의해 가스 유입 개구부(31)와 흐름 연결되며,
    e) 하우징(3) 내에서 회전 구동을 위해 장착되고 측부 채널(30) 내에 배치된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1; 1a; 1b...,; 1f)를 가지는 추진기(2; 2a; 2b...; 2g)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추진기 허브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상기 추진기 허브 주위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에 고정된 내부 변부 영역, 맞은편에 있는 외부 변부 영역, 및 횡방향 변부 영역들을 가지며, 상기 횡방향 변부 영역들은 내부 변부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고, 각각의 블레이드의 외부 변부 영역과 횡방향 변부 영역들은 각각의 블레이드의 자유 영역을 형성하며,
    f)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각각 자유 영역(45d; 47; 47a; 47b; 47c; 47f)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52, 52c)를 가지고,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두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에는 각각 자유 영역을 통과하는 흐름 오목부가 없으며,
    g) 각각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52; 52c)는 흐름 요홈이고, 상기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중 하나 이상의 추진기 상의 하나 이상의 흐름 요홈은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모든 추진기 블레이드(1) 중 오직 30% 내지 70%의 추진기 블레이드만이 흐름 요홈을 가지고,
    h) 흐름 오목부가 있는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제 2 추진기 블레이드와 제 1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에 흐름 오목부가 없는 두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제 1 양(amount)이 있으며, 상기 제 1 양은 제 1 및 제 2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의 오직 블레이드이고, 흐름 오목부가 있는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제 3 추진기 블레이드와 제 2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에 흐름 오목부가 없는 두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의 제 2 양이 있으며, 상기 제 2 양은 제 2 및 제 3 추진기 블레이드 사이의 오직 블레이드이고, 상기 제 1 양은 제 2 양과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각각의 제 1, 제 2, 및 제 3 추진기 블레이드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는 상기 횡방향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를 가지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각각의 제 1, 제 2, 및 제 3 추진기 블레이드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는 상기 외부 변부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흐름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추진기 블레이드 중 2개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외부 변부 영역(45; 45d)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7. 제 6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외부 변부 영역(45; 45d)은 흐름 오목부에 대하여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추진기 블레이드 중 2개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횡방향 변부(47; 47a; 47b; 47c; 47d; 47f)에 대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9.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횡방향 변부(47; 47a; 47b; 47c; 47d; 47f)는 흐름 오목부에 대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몇몇 이상의 추진기 블레이드는 크기에 대해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11.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 흐름 오목부를 가진 상기 첫 번째 복수의 추진기 블레이드 중 제 1, 제 2 및 제 3 추진기 블레이드는 무작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부 채널 콤프레샤.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07010043A 2007-11-05 2008-10-29 측부 채널 콤프레샤 KR101485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3017.1 2007-11-05
DE102007053017A DE102007053017A1 (de) 2007-11-05 2007-11-05 Seitenkanalverdichter
PCT/EP2008/009119 WO2009059718A1 (en) 2007-11-05 2008-10-29 Side channel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961A KR20100091961A (ko) 2010-08-19
KR101485622B1 true KR101485622B1 (ko) 2015-01-22

Family

ID=4045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043A KR101485622B1 (ko) 2007-11-05 2008-10-29 측부 채널 콤프레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21097A1 (ko)
EP (1) EP2207967B1 (ko)
KR (1) KR101485622B1 (ko)
CN (1) CN101849110B (ko)
AT (1) ATE509203T1 (ko)
DE (1) DE102007053017A1 (ko)
DK (1) DK2207967T3 (ko)
ES (1) ES2365479T3 (ko)
TW (1) TW200936887A (ko)
WO (1) WO2009059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4512A1 (de) * 2011-02-22 2012-08-23 Gardner Denver Deutschland Gmbh Seitenkanal-Maschinen-Anordnung
CN102538431A (zh) * 2012-02-23 2012-07-04 谭锐 安全型智能高效干燥风机
JP2013245574A (ja) * 2012-05-24 2013-12-09 Calsonic Kansei Corp ベーンロータリー型気体圧縮機
DE102012023347B3 (de) 2012-11-29 2014-01-30 Tni Medical Ag Kleiner, geräuscharmer Seitenkanalverdichter, insbesondere für Geräte in der Beatmungstherapie
DE102013220668A1 (de) * 2013-10-14 2015-04-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aufrad für eine insbesondere als Seitenkanalgebläse ausgebildete Seitenkanal-Strömungsmaschine
DE102014106440A1 (de) * 2014-05-08 2015-11-12 Gebr. Becker Gmbh Laufrad, insbesondere für eine Seitenkanalmaschine
DE102015202943A1 (de) * 2015-02-18 2016-08-18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Blow-by-Gas
DE102015202946A1 (de) 2015-02-18 2016-08-18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Blow-by-Gas
DE102015202947A1 (de) * 2015-02-18 2016-08-18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Blow-by-Gas
DE102015202948A1 (de) * 2015-02-18 2016-08-18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Blow-by-Gas
DE102015209561A1 (de) * 2015-05-26 2016-12-01 Mahle International Gmbh Pumpvorrichtung und Kurbelgehäuseentlüftungseinrichtung
CN105114186B (zh) * 2015-08-04 2017-03-29 西北工业大学 一种用于预旋冷却系统的叶孔式预旋喷嘴
EP3199818A1 (en) * 2016-01-29 2017-08-02 ESAM S.p.A. Side-channel blower/aspirator with an improved impeller
DE102017215731A1 (de) * 2017-09-07 2019-03-07 Robert Bosch Gmbh Seitenkanalverdicht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zur Förderung und/oder Verdichtung von einem gasförmigen Medium
DE102017215739A1 (de) 2017-09-07 2019-03-07 Robert Bosch Gmbh Seitenkanalverdicht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zur Förderung und/oder Verdichtung von einem gasförmigen Medium
TWI663339B (zh) * 2017-10-26 2019-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散熱風扇
DE102017220623A1 (de) * 2017-11-17 2019-05-23 Robert Bosch Gmbh Seitenkanalverdicht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zur Förderung und/oder Ver-dichtung von einem gasförmigen Medium
DE102018204713A1 (de) * 2018-03-28 2019-10-02 Robert Bosch Gmbh Seitenkanalverdichter für ein Brennstoffzellensystem zur Förderung und/oder Verdichtung von einem gasförmigen Medium
DE102019120410A1 (de) * 2019-07-29 2021-02-04 Schwäbische Hüttenwerke Automotive GmbH Fördervorrichtung mit einem Seitenkanal- oder Peripheralgebläse
CN110454433B (zh) * 2019-08-27 2024-04-05 陕西科技大学 一种潜水泵用叶轮结构
TWI726684B (zh) * 2020-04-15 2021-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風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15A (ko) * 1996-12-11 1997-03-27 조봉현 비편형형 베인 펌프
KR20010042687A (ko) * 1999-02-13 2001-05-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사이드 채널 펌프
KR200345962Y1 (ko) 1997-12-29 2004-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터어보엔진의공기냉각장치
US7033137B2 (en) * 2004-03-19 2006-04-25 Ametek, Inc. Vortex blower having helmholtz resonators and a baff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520A (en) * 1966-07-12 1967-10-17 Jerzy A Oweczarek Turbomachine blading
US3951567A (en) * 1971-12-18 1976-04-20 Ulrich Rohs Side channel compressor
DE2738208B1 (de) * 1977-08-24 1978-05-11 Siemens Ag Seitenkanalverdichter
DE3939957A1 (de) * 1989-12-02 1991-06-06 Webasto Ag Fahrzeugtechnik Seitenkanalgeblaese
DE4244458A1 (en) * 1991-12-27 1993-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pump supplying by=pass air to vehicle catalytic converters - circulates air inside motor case for cooling of motor, and has noise absorbers in air suction port
US5584653A (en) * 1992-09-08 1996-12-17 J. Eberspacher Device for reducing the generation of noise in fans
DE19955955A1 (de) * 1999-11-19 2001-06-13 Siemens Ag Seitenkanalmaschine
JP2004353496A (ja) * 2003-05-28 2004-12-16 Sony Corp 薄型ファンモータ
DE10334812A1 (de) * 2003-07-30 2005-03-03 J. Eberspächer GmbH & Co. KG Gebläse, insbesondere Verbrennungsluftgebläs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Gebläses
DE10344719A1 (de) * 2003-09-26 2005-05-04 Elektror M Mueller Gmbh Seitenkanalverdichter mit einem ringförmigen Laufradgehäuse
DE102005062585B3 (de) * 2005-12-27 2007-07-05 J. Eberspächer GmbH & Co. KG Fluidfördereinrichtung, insbesondere Seitenkanalgebläse
US7722311B2 (en) * 2006-01-11 2010-05-25 Borgwarner Inc. Pressure and current reducing impe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15A (ko) * 1996-12-11 1997-03-27 조봉현 비편형형 베인 펌프
KR200345962Y1 (ko) 1997-12-29 2004-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터어보엔진의공기냉각장치
KR20010042687A (ko) * 1999-02-13 2001-05-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사이드 채널 펌프
US7033137B2 (en) * 2004-03-19 2006-04-25 Ametek, Inc. Vortex blower having helmholtz resonators and a baff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9718A1 (en) 2009-05-14
CN101849110B (zh) 2012-11-07
ES2365479T3 (es) 2011-10-06
EP2207967B1 (en) 2011-05-11
ATE509203T1 (de) 2011-05-15
EP2207967A1 (en) 2010-07-21
TW200936887A (en) 2009-09-01
KR20100091961A (ko) 2010-08-19
CN101849110A (zh) 2010-09-29
DK2207967T3 (da) 2011-08-15
DE102007053017A1 (de) 2009-05-07
US20100221097A1 (en)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622B1 (ko) 측부 채널 콤프레샤
USRE41326E1 (en) Reinforced hub for the rotor of a wind energy turbine
KR100400153B1 (ko) 원심 멀티블레이드 송풍기
EP2948641B1 (en) Seal assembly in a gas turbine engine including grooves in a radially outwardly facing side of a platform and in a inwardly facing side of an inner shroud
KR101540999B1 (ko) 사이드 채널형 컴프레셔
US20040223845A1 (en) Automotive engine-cooling fan assembly
US20110142611A1 (en) Counter-rotating axial flow fan
CN107110169B (zh) 用于具有宽断流间隙的内燃机的侧通道鼓风机
WO2014054440A1 (ja) 遠心圧縮機
US10619490B2 (en) Turbine rotor blade arrangement for a gas turbine and method for the provision of sealing air in a turbine rotor blade arrangement
CA2669101C (en) Blade row of axial flow type compressor
CN101825113A (zh) 径流式或斜流式风扇叶轮
EP3052761A1 (en) Seal assembly including grooves in an aft facing side of a platform in a gas turbine engine
US7192254B2 (en) Radial fan having axial fan blade configuration
JP2005290987A (ja) 流体機械のための、特に圧縮機及び通風機のための羽根車及び案内車
GB2351324A (en) Regenerative pump impeller
JP3777498B2 (ja) ターボ分子ポンプ
US7138735B2 (en) Internal ventillating system for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such as a motor vehicle alternator
US20110129346A1 (en) Fan Stall Inhibitor
US20210254634A1 (en) Fan with cover plate on the rotor bell
US7217083B2 (en) Regenerative pump having blades received in fluid passage
WO2000053895A1 (en) Turbine rotor disk
JPH11236894A (ja) 遠心ポンプおよび水車
JP7342817B2 (ja) 遠心圧縮機
JP2004027927A (ja) 内周抽気導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