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46B1 -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4946B1 KR101484946B1 KR20130026436A KR20130026436A KR101484946B1 KR 101484946 B1 KR101484946 B1 KR 101484946B1 KR 20130026436 A KR20130026436 A KR 20130026436A KR 20130026436 A KR20130026436 A KR 20130026436A KR 101484946 B1 KR101484946 B1 KR 101484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taste
- herbal medicine
- herbal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8—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약재의 생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한약재의 생가루에 물을 반죽하는 단계; 물과 한약재 생가루의 반죽을 체(sieve)에 내려주는 단계; 체 내림 단계에서 내려진 수분이 함유된 가루를 찌는 단계; 쪄진 가루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가루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한약재의 특유의 맛(쓴맛, 떫은맛, 신맛 등)과 특유의 냄새(메케하고 메쓰꺼운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약재에서 나는 특유의 맛(쓴맛, 떫은맛, 신맛 등)과 특유의 냄새(메케하고 메스꺼운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한약재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의 다년생 덩굴성 초본식물로서, 맛이 쓰고 달며 떫다.
복령은 소나무뿌리에 기생하며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속이 흰 것은 백복령, 분홍인 것은 적복령이며, 백복령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솥 뿌리에 기생한다. 맛은 달고 심심한 맛이 난다.
산약(마)은 마과에 속하는 참마의 괴근(뿌리)으로서 달고 약간 신맛이 난다.
연자육은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 연꽃의 잘익은 열매와 종자로서, 달고 쌉쌀한 맛이난다.
백편두는 콩과 편두(까치콩)의 종자로서, 콩비린내가 있고 맛은 조금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검인은 수련과의 한해살이 수생식물 가시연꽃의 성숙한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냄새가 없고 달며 떫은맛이 난다.
원지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방에서는 뿌리를 원지라 하며, 쓰고 신맛이 난다.
석창포는 천남성과의 식물 석창포의 뿌리줄기로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맵다.
삽주뿌리는 쌍떡잎 식물로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로서, 뿌리를 캐보면 묵은뿌리 밑에 햇뿌리가 달려 있는데 묵은뿌리를 창출이라 하며 햇뿌리를 백출이라 한다.
돼지감자는 생약명을 "국우"라고 하며 "뚱딴지 "라고도 불리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특이한 냄새를 풍기고 맛은 없고 단맛이 나며 성질은 차다.
울금은 생강과에 속하는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맛이 맵고 쓰다.
느릅나무는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로서, 느릅나무의 줄기껍질은 유백피라 하고 느릅나무뿌리는 유근피라고 한다.
가시오가피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 식물로 잔가지에 가시가 거의 없고, 한방에서 뿌리껍질과 나무껍질을 사용하며, 맵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
헛개나무는 헛개나무뿌리를 지구근이라하며 맛은 떫고 성질은 따뜻하다.
도라지는 한약재명을 "길경"으로 불리우는데 초롱이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도라지의 근을 건조한 것을 말하며, 맛은 매우면서 쓰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약으로는 주로 뿌리를 사용하며 특유의 향이 있으며 달고 약간 따스하며 독이 없다.
칡은 한약재명으로 "갈근"이라고 하며, 콩과의 낙엽 여러해살이 덩굴진 나무인 칡의 뿌리로서 달고 맵다.
엄나무(음나무)는 험상 궂은 가시가 줄기에 빈틈없이 나있는 나무로 해동목,자추목 이라고도 하며 쓰고 약간 맵다.
천문동은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문동의 덩이뿌리로서, 맛은 달고 쓰며 차고 무독하다.
당귀는 미나리과의 약용식물로서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면서 달다.
우슬뿌리는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쇠무릎의 뿌리로서 맛은 시고 쓰다.
맥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는 맥문동의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달고 약간 쓰다.
오가피는 낙엽관목으로 때때로 덩굴을 이루기도 하고 가지와 줄기에는 길게 굽은 가시가 있으며, 맛은 달고 맵다.
더덕은 한약재명이 "산해라" 라고 하는데 초롱이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맛은 맵고 약간 단맛을 지니고 있으며 성질은 평하다.
홍삼은 인삼을 증기로 쪄서 말린 것으로서 맛은 달고 약간 쓰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맛은 달고 약간 쓰다.
천궁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맛은 맵다
두충은 갈잎큰키 나무이고 달고 약간 매운맛이 난다.
뽕나무는 뽕나무과의 갈잎큰키 나무로서 뽕나무의 뿌리는 "상근백피" 가지는"상지" 라고 하며, 맛은 달면서 싱겁고 약간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민들레뿌리는 한약재명은 "포공영"이라 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고, 맛은 매우 쓰고 달며 독이 없다.
엉겅퀴뿌리는 한약명은 "대계" 또는 "소계" 라고 하고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서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갈대뿌리는 한약명은 "노위"라고 하고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갈대의 뿌리줄기이며, 약간 싸한 맛이 있으며 단맛이 있다.
황칠나무는 학명이 "나무인삼"이란 뜻으로서 두릅나무과의 황칠나무속이다.
천마는 뽕나무 버섯균과 공생하는 기생식물인 난초과 천마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사람들마다 천마는 맛을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쓰고 맵고 신맛 외에 담담하고 구수하고 아리고 노리고 비리고 지리고 요용한 맛 등 갖가지 맛을 지니고 있다.
초석잠은 꿀풀과 식물 초석잠의 덩이줄기 또는 전초로서, 맛은 달고 약간 맵다.
위 한약재들은 대체적으로 쓰고 매운맛이 나며, 맛이 달다고 표현하는 것들도 약재 특유의 냄새와 떫은맛과 밍밍한 맛과 신맛이 나며 메케한 냄새와 먹은 후에는 속이 메스꺼운 경향이 강하며, 전체적으로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사람들이 먹기에는 부담스러워서 한약재가 몸에 좋은 줄은 알지만 잘 먹질 않는다.
한약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10-0731991(공고일: 2007년 06월 25일)에 의한 "자스민을 이용한 한약냄새가 제거된 김치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소스에 들어가는 한약재의 냄새를 제거한 것인데, 과정이 복잡하고 다양한 요리 및 식품에 활용할 수 없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한약재에서 나는 특유의 한약 냄새와 먹기에 불편한 맛(예컨대 쓴맛, 떫은맛, 신맛, 밍밍한 맛 등)을 제거하여서 복용이 수월하도록 하여서 누구라도 부담없이 맛있게 한약재를 먹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한약재의 생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한약재의 생가루에 물을 반죽하는 단계; 물과 한약재 생가루의 반죽을 체(sieve)에 내려주는 단계; 체 내림 단계에서 내려진 수분이 함유된 가루를 찌는 단계; 쪄진 가루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가루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반죽 단계에서 투입되는 물은 상기 한약재 생가루 중량 대비 50 % ~ 7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쇄 단계 수행 후에, 한약재 가루를 밀폐용기에 담아서 -20 ~ 5 ℃의 온도에서 보관하여 숙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맵쌀 가루를 준비하고, 준비한 맵쌀 가루를 물과 반죽하며, 반죽한 맵쌀 가루와 상기 반죽한 한약재 가루를 각각 체에 내려주고, 상기 각각 체에 내린 맵쌀 가루와 한약재 가루를 혼합한 후에 찌며, 쪄진 맵쌀 가루와 한약재 가루를 혼합 가루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저온 숙성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반죽 단계, 체 내림 단계, 건조 단계 및 분쇄 단계를 한 번 더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상기 한약재는, 백하수오, 적하수오, 백복령, 산약, 연자육, 백편두, 검인, 원지, 백복신, 석창포, 삽주뿌리(백출, 상출), 돼지감자, 울금, 느릅나무,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도라지, 황기, 칡, 엄나무, 천문동, 당귀, 우슬뿌리, 맥문동, 오가피, 더덕, 홍삼, 인삼, 천궁, 두충, 뽕나무뿌리(상근백피), 뽕나무가지(상지), 민들레뿌리, 엉겅퀴뿌리, 갈대뿌리, 황칠나무, 천마, 초석잠, 구선왕도고, 팔진고, 복령조화고, "원지와 백복신과 석창포의 혼합물", 팔선고, 산약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한약재에서 나는 특유의 한약 냄새와 먹기에 불편한 맛(예컨대 쓴맛, 떫은맛, 신맛, 밍밍한 맛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리하여 누구라도 부담없이 맛있게 한약재를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은, 한약재의 생가루를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한약재의 생가루에 물을 반죽하는 단계와, 물과 한약재 생가루의 반죽을 체(sieve)에 내려주는 단계와, 체 내림 단계에서 내려진 수분이 함유된 가루를 찌는 단계와, 쪄진 가루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한 가루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 단계 수행 후에는, 한약재 가루를 밀폐용기에 담아서 -20 ~ 5 ℃의 저온 온도에서 보관하여 숙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온 숙성 단계 수행 후에는, 상기 반죽 단계, 체 내림 단계, 건조 단계 및 분쇄 단계를 한 번 더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한약재의 생가루와 반죽하기 위한 물의 중량비가 중요한데, 만약 반죽에 투입되는 물의 양이 너무 적으면 가루가 날리기만 하고 잘 쪄지지 않고, 반대로 반죽에 투입되는 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찌는 과정에서 유동성이 너무 커서 죽처럼 되므로 역시 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는 상기 한약재 생가루 전체 중량 대비 50 % ~ 75 %의 물을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50 % ~ 75 %의 중량 범위에서는 후술하는 찌는 과정에서 반죽이 잘 쪄지는 효과가 있었고, 한약재 생가루의 전체 중량 대비 50 % 미만의 경우에는 반죽이 잘 붙지 않고 가루가 날려서 잘 쪄지지 않았고, 생가루의 전체 중량 대비 75 % 초과의 경우에는 물의 중량비가 너무 커서 죽처럼 되어서 잘 쪄 지지 않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백하수오, 적하수오, 백복령, 산약, 연자육, 백편두, 검인, 원지, 백복신, 석창포, 삽주뿌리(백출, 상출), 돼지감자, 울금, 느릅나무,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도라지, 황기, 칡, 엄나무, 천문동, 당귀, 우슬뿌리, 맥문동, 오가피, 더덕, 홍삼, 인삼, 천궁, 두충, 뽕나무뿌리(상근백피), 뽕나무가지(상지), 민들레뿌리, 엉겅퀴뿌리, 갈대뿌리, 황칠나무, 천마, 초석잠 중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복수의 약재의 혼합물로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구선왕도고[백복령, 산약(마), 연자육, 백편두, 맥아, 율무, 검인의 혼합물], 팔진고[백복령, 산약(마), 율무, 백편두, 연자육, 검인, 연근의 혼합물], 복령조화고[백복령, 산약(마), 검인, 연자육의 혼합물], "원지와 백복신과 석창포의 혼합물"(소위 총명탕의 재료), 팔선고[백출, 백복령, 산약(마), 연실, 검실, 진피, 감초의 혼합물], 산약떡[산약(마), 백출, 석창포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혼합물의 구성성분들 간의 중량 혼합비율은 의미가 없으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약재 생가루 준비 단계]
백하수오, 적하수오, 백복령, 산약, 연자육, 백편두, 검인, 원지, 백복신, 석창포, 삽주뿌리(백출, 상출), 돼지감자, 울금, 느릅나무,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도라지, 황기, 칡, 엄나무, 천문동, 당귀, 우슬뿌리, 맥문동, 오가피, 더덕, 홍삼, 인삼, 천궁, 두충, 뽕나무뿌리(상근백피), 뽕나무가지(상지), 민들레뿌리, 엉겅퀴뿌리, 갈대뿌리, 황칠나무, 천마, 초석잠 중에서 선택된 하나(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한약재"로 총칭한다.)의 가루(이하에서는 쪄서 익힌 가루와 구분하기 위해서 찌기 전의 가루를 생가루라고 한다.)를 준비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한 가지 종류의 한약재 외에도 각 한약재를 섞어서 혼합한 한약재 예컨대, 구선왕도고[백복령, 산약(마), 연자육, 백편두, 맥아, 율무, 검인의 혼합물], 팔진고[백복령, 산약(마), 율무, 백편두, 연자육, 검인, 연근의 혼합물], 복령조화고[백복령, 산약(마), 검인, 연자육의 혼합물], "원지와 백복신과 석창포의 혼합물"(소위 총명탕의 재료), 팔선고[백출, 백복령, 산약(마), 연실, 검실, 진피, 감초의 혼합물] 또는 산약떡[산약(마), 백출, 석창포의 혼합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생가루를 준비하여도 된다.
상기 구선왕도고, 팔진고, 복령조화고, "원지와 백복신과 석창포의 혼합물", 팔선고 및 산약떡의 경우, 그 각각의 구성 약재들 간의 중량혼합비율은 의미가 없는 바, 어떠한 중량혼합비로서 혼합되어 있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한약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위 한약재들은 쓴맛, 신맛, 매운맛, 떫은맛 등이 나고, 맛이 약간 단 경우에도 약재 특유의 냄새인 메케하고 역겨운 냄새가 나고 후에는 속이 메스꺼운 경향이 강하며, 전체적으로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위 한약재는 가루로 준비하는데 가루는 통상적으로 시중에서 가루 형태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여 그대로 사용하면 충분하다.
만약, 가루 형태가 준비되지 않는다면 원재료를 분쇄기로 갈아서 생가루로 만들면 된다.
다만, 산약(마), 백편두, 원지, 맥아는 독성을 없애기 위해서 볶은 후에 가루를 만들 수도 있지만, 볶지 않고 생가루를 사용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산약, 백편두, 원지, 맥아는 독성을 없애기 위해서 볶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볶지 않더라도 후술하는 찌는 과정에서 법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굳이 볶지 않은 생가루를 사용해도 되기 때문이다.
[반죽 단계]
위에서 준비한 한약재 가루를 물과 반죽하는 반죽 단계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의 한약재 가루 중에서 백하수오 가루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데, 나머지 한약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동일한 효과가 생기게 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백하수오의 생가루 중량이 500 g인 경우에 있어서 330 g의 물을 반죽을 위해서 투입하였다.
백하수오 가루 500 g을 반죽용 용기에 담고 물(330 g)을 반죽용 용기에 점차적으로 조금씩 넣어가며 백하수오 가루에 물이 조금씩 스며들도록 손으로 천천히 비벼가며 버무려주는데, 이는 물과 백하수오 생가루를 잘 혼합하기 위함이다.
[체 내림 단계]
상기 물과 백하수오 생가루의 반죽을 체(sieve)에 내려주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생가루와 물의 반죽을 체에 내려주면, 체를 통과하면서 반죽이 수분이 함유된 가루로 되는데, 이 수분이 함유된 가루들 간에는 공기층인 공극이 형성되고 그리하여 후술하는 찌는 과정에서 떡처럼 뭉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떡 제조용 체에는 가는 체, 중간 체, 굵은 체가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굵은 체(sieve)(소위 고물체)를 사용하였는데, 굵은 체를 통해서 체 내림을 하면 공기층의 공극 형성이 용이하여 후술하는 찌는 과정에서 떡처럼 뭉치지 않으면서 가루가 고슬고슬하게 잘 쪄지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죽을 내리는 체는 대나무 고물체를 사용하였으며, 체의 구멍 한 개의 크기는 0.4 cm이다.
[찌는 단계]
체 내림 단계에 의해서 수분이 함유된 백하수오 가루를 찌는 단계인데, 이 찌는 단계가 완료되면 백하수오 가루의 쓴맛과 메스꺼운 냄새가 어느 정도 제거되거나 완화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백하수오 가루를 쪄내는 도구는 물을 끓이는 찜기물솥 1 개와 찜을 찌는 찜기솥 3 개를 사용한다. 찜기물솥은 스테인레스를 사용하였으며 가로, 세로 길이가 34 cm이고 높이는 33 cm이다. 백하수오 가루를 쪄내는 찜기솥은 3 개를 사용하며 가로, 세로 길이가 34 cm 높이 12 cm이다.
찜기물솥에 물을 10 kg 담고 가스렌지의 가장 센불을 사용하는 넓이가 가장 큰 가스렌지의 센불(약불, 중불, 센불 중에서 센불)을 켜두고 10 분 정도 물을 팔팔 끓여서 충분한 양의 증기를 만들어서 준비를 한다.
찜기솥 3 개 중에서 1 개의 찜기솥에만 먼저 찜기솥 바닥에 물에 적셔서 물기를 꼭 짜낸 젖은 면보를 펼쳐서 깔아놓는다.
체에서 내렸던 백하수오 가루를 깔아둔 면보 위에 천천히 부어 가며 편평하게 펴준다. 그 위로 젖은 면보를 두른 뚜껑을 덮어놓는다.
가스렌지에서 끓고 있는 찜기물솥 위에 우선 먼저 비어있는 찜기솥 2 개를 물솥 위에 2 단으로 올려놓은 다음에 백하수오 가루를 담아놓은 찜기솥을 맨 위에 올려놓고서 가스렌지의 가장 센불로 2 시간 20 분 ~ 2 시간 40 분(시험예 1에서는 2 시간 30 분)을 계속 끓여주면 된다.
여기서, 찜기물솥 위에 비어있는 찜기를 2 단으로 먼저 올려놓는 이유는 찜기물솥 안의 김이 올라오면서 백하수오 가루에 직접적으로 갑자기 많이 들어가지 않고 뜨거운 김이 고루 퍼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가스렌지는 린나이코리아(제조회사)의 가스오븐레인지 RSF - BM24(제품 모델명)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찌는 과정으로 다 쪄진 상태가 되면 먹지 않은 상태에서 냄새를 맡아도 종래와 같은 특유의 한약 냄새(메케하고 메스꺼운 냄새)와 쓴맛이나 떫은맛이 나지 않고 구수한 냄새가 나며, 이 쪄진 상태의 백하수오 가루를 먹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은 역한 한약 냄새가 나지 않고 목을 넘어가면서 구수한 맛이 난다.
[건조 단계]
백하수오 가루가 다 쪄지면 꺼내어준 뒤에 오븐용 철판에 고루 펴서 펼쳐준 다음 식히면서 증기를 날린다.
그리고, 전기오븐(제조사: 삼정기업, 모델명: PHANTOM - 101)에서 아랫불과 윗불 모두 50 ~ 140 ℃(실제 시험예 1에서는 80 ℃)에 맞춰 놓은 다음 백하수오 가루를 넣어서 2 시간 ~ 6 시간 건조(실제 시험예 1에서는 4 시간)하면 수분이 없이 완전히 건조된 백하수오 가루가 된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건조하는 이유는 자연건조를 하면 건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완전건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 단계에서 쪄진 가루를 완전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이유는 분쇄기에서 분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건조된 백하수오 가루는 전기오븐에서 꺼내어 열기를 식혀준다.
[분쇄 단계]
건조한 백하수오 가루를 분쇄기에 넣고 갈면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한약 냄새 나지 않고 쓴맛과 떫은맛이 나지 않는 백하수오 가루가 완성된다.
분쇄기로 가루를 내는 이유는 후술하는 2차 반죽단계에서 뭉쳐지지 않고 물과 반죽이 잘 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까지의 과정을 마치면 한약재(백하수오) 가루의 특유의 한약 냄새와 역한 풍미 및 좋지 않은 맛을 제거할 수 있으나, 아래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더욱더 완전하게 냄새 및 맛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백하수오 가루를 분쇄하는 분쇄기는 코리아메디 주식회사(제조회사)의 다기능분쇄기 KFY- 1000(모델명)을 사용하였으며, 분쇄시간은 재료의 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저온 숙성 단계]
갈아놓은 백하수오 가루는 밀폐용기에 담아서 하루 이상 냉장고(온도: -20 ~ 5 ℃)에 보관하여 저온에서 숙성한다.
이와 같이 저온에서 숙성하면 풍미 즉, 맛이 부드러워지고 향기 좋아지게 된다.
낮은 온도(-15 ℃ 이하)에서 숙성하는 경우에는 보름 이상 더 오랫동안 보관하여야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4 ~ 5 ℃)에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하루에서 3일 정도 보관하면 된다.
실제 <시험예 1>에서는 4 ℃에서 하루 보관하여서 저온 숙성하였다.
[반복 단계]
위에서 수행한 반죽 단계, 체 내림 단계, 건조 단계 및 분쇄 단계를 한 번 더 반복하여 수행하는데, 첫 번째 단계와 구별하기 위해서 두 번째로 반복하여 수행되는 단계를 각각 2차 반죽 단계, 2차 체 내림 단계, 2차 건조 단계, 2차 분쇄 단계라고 칭한다.
조금이라도 남아 있는 한약 특유의 냄새와 좋지 않은 맛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2차 반죽 단계, 2차 체 내림 단계, 2차 건조 단계, 2차 분쇄 단계의 수행 조건은 이전의 1차 단계에서의 반죽, 체 내림, 건조 및 분쇄 시의 조건과 동일하다.
다만, 건조 단계에서는 전기오븐으로 1차 건조 단계에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금더 오랫동안 천천히 건조시킨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은은하게 열을 가하여 제품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완전건조하기 위함이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백하수오 가루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원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백하수오 가루와 종래의 백하수오 가루를 시료로 하여 관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관능시험은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에 거주하거나 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 20명에 대해서 실시하였으며, 공정한 평가를 위해 동일한 양만큼 시험자에게 분배하였고, 시험자 20명을 각각 분리시킨 공간에서 실시하였다.
20명의 시험자로 하여금 냄새를 맡게 하고 맛을 보게 한 후 시험자로 하여금 백하수오 가루에서 역겨운 냄새와 같은 한약 냄새가 나지 않는다면 어떤 냄새가 나는지, 맛은 어떠했는지 등을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하기한 표 1에 나타내었다.
1.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장명식품(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 895-11)에서 판매하는 백하수오 가루 500 g을 준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반죽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은 330 g으로 하였으며, 상기 백하수오 가루 제조 방법에 의하여 백하수오 가루를 제조하였다.
2.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장명식품(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 895-11)에서 판매하는 하수오 가루를 준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하수오 가루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 | 비교예 1 | |
쓴맛 |
모든 시험자가 쓴맛 없다고 응답 |
모든 시험자가 쓴맛 있다고 응답 |
맛 총평 |
8.6 |
4.2 |
냄새1 |
모든 시험자 한약 냄새 없다고 응답 |
모든 시험자 한약 냄새 있다고 응답 |
냄새2 |
모든 시험자 한약 냄새 없다고 응답 |
모든 시험자 한약 냄새 있다고 응답 |
※주1) 냄새 1은 실시예 1에 의해서 제조된 백하수오 가루와 비교예 1에 의한 백하수오 가루를 먹지 않고 코를 가까이하여 맡은 냄새이고,
냄새 2는 실시예 1에 의해서 제조된 백하수오 가루와 비교예 1에 의한 백하수오 가루를 먹어서 삼키는 과정에서 나는 냄새를 의미한다.
※주2) 상기 관능검사 중에서 맛 총평은 9점을 만점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한약 냄새가 강하고 쓴맛이 있음에 비하여 본원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한약 냄새가 전혀 없었고 쓴맛이 없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맵쌀 가루가 첨가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한약재 가루의 냄새와 좋지 않은 맛을 없애는 방법은 위의 방법과 같이 한약재 가루만에 대해서 찌고, 체 내리고, 건조하고 분쇄하고 저온 숙성하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멥쌀 가루를 첨가한 한약재 가루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시중에서 판매되는 멥쌀 가루와 위 한약재 중에서 하나를 준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도 한약재를 백하수오로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1차 반죽]
멥쌀 가루와 백하수오 가루를 따로따로 반죽한다. 맵쌀 가루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으로 준비하면 족하다.
반죽조건은 상기 백하수오 가루 단독으로 가루를 만드는 경우와 동일하며, 따라따로 하는 이유는 반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1차 체 내림]
맵쌀 가루와 백하수오 가루의 각 반죽을 굵은 고물체에 체를 쳐서 내려준다.
이때, 맵쌀 가루와 백하수오 가루의 반죽을 각각 따로따로 체 내림하는데, 이에 의하면 가루들 간에 공기층인 공극이 더 잘되어서 찌는 과정에서 떡처럼 뭉치지 않으면서 가루가 고슬고슬하게 더 잘 쪄지는 이점이 있다.
[혼합 단계]
각각 고물체에서 따로 체를 내려준 멥쌀 가루와 백하수오 가루를 같이 섞는다.
멥쌀 가루와 백하수오 가루의 혼합 중량 비율은 중요하지 않고, 기호에 따라서 예컨대, 5:5, 6:4, 7:3, 8:2, 9:1 등에서 있어서, 어느 중량비율로 하더라도 무관하다.
[혼합 가루 체 내림]
백하수오 가루와 맵쌀 가루의 혼합가루를 굵은 고물체에 다시 한번 체를 쳐서 내려준다.
[찌고 건조하고 분쇄하고 저온 숙성하는 단계]
이후, 백하수오 가루와 맵쌀 가루의 혼합가루를 쪄내고, 건조하고, 쪄낸 혼합가루를 분쇄하여 가루를 만들고, 분쇄된 가루를 저온 숙성시키고, 다시 2차로 반죽하고, 2차로 체 내리고, 2차로 건조하고, 2차로 분쇄하는 과정은 전술한 백하수오 가루를 만드는 과정과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약재로서 백하수오를 선택하고 백하수오를 가루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위에서 한약재의 예로 들고 있는 어떠한 한약재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동일한 결과가 발생하게 되어서 한약 냄새와 한약 맛이 제거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채택된 한약재들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재로만 구성되어있고 여기에 속하지않은 한약사의 처방을 받아야하는 그외의 다른 약재들의 나무가지부분이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약재들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 놓으면 한약재 특유의 쓴맛을 없앨 수 있다. 위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약재는 모든 요리에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5)
- 한약재의 생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한약재의 생가루에 물을 반죽하는 단계;
물과 한약재 생가루의 반죽을 체(sieve)에 내려주는 단계;
체 내림 단계에서 내려진 수분이 함유된 가루를 찌는 단계;
쪄진 가루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가루를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죽 단계에서 투입되는 물은 상기 한약재 생가루 중량 대비 50 % ~ 75 %이며,
상기 한약재는,
백하수오, 적하수오, 백복령, 산약, 연자육, 백편두, 검인, 원지, 백복신, 석창포, 삽주뿌리(백출, 상출), 돼지감자, 울금, 느릅나무, 가시오가피, 헛개나무, 도라지, 황기, 칡, 엄나무, 천문동, 당귀, 우슬뿌리, 맥문동, 오가피, 더덕, 홍삼, 인삼, 천궁, 두충, 뽕나무뿌리(상근백피), 뽕나무가지(상지), 민들레뿌리, 엉겅퀴뿌리, 갈대뿌리, 황칠나무, 천마, 초석잠, 구선왕도고, 팔진고, 복령조화고, "원지와 백복신과 석창포의 혼합물", 팔선고, 산약떡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맵쌀 가루를 준비하고, 준비한 맵쌀 가루를 물과 반죽하며, 반죽한 맵쌀 가루와 상기 반죽한 한약재 가루를 각각 체에 내려주고, 상기 각각 체에 내린 맵쌀 가루와 한약재 가루를 혼합한 후에 찌며, 쪄진 맵쌀 가루와 한약재 가루의 혼합 가루를 건조하고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 수행 후에, 한약재 가루를 밀폐용기에 담아서 -20 ~ 5 ℃의 온도에서 보관하여 숙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온 숙성 단계 수행 후에,
상기 반죽 단계, 체 내림 단계, 건조 단계 및 분쇄 단계를 한 번 더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6436A KR101484946B1 (ko) | 2013-03-13 | 2013-03-13 |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6436A KR101484946B1 (ko) | 2013-03-13 | 2013-03-13 |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2151A KR20140112151A (ko) | 2014-09-23 |
KR101484946B1 true KR101484946B1 (ko) | 2015-01-22 |
Family
ID=5175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6436A KR101484946B1 (ko) | 2013-03-13 | 2013-03-13 |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49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938B1 (ko) | 2020-08-06 | 2021-04-15 | 김미경 |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86864B (zh) * | 2014-11-07 | 2016-08-24 | 杨高林 | 一种提高免疫力的沙苑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4206A (ko) * | 2008-01-31 | 2009-08-05 | 심중섭 | 도라지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
-
2013
- 2013-03-13 KR KR20130026436A patent/KR1014849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4206A (ko) * | 2008-01-31 | 2009-08-05 | 심중섭 | 도라지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한약재 규격화에 필요한 포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 경희대학교. (1999) * |
한약재 규격화에 필요한 포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 경희대학교. (1999)*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0938B1 (ko) | 2020-08-06 | 2021-04-15 | 김미경 |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2151A (ko) | 2014-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309928B (zh) | 无亚硝酸盐残留的低盐腊肉生产工艺 | |
KR101331352B1 (ko) | 한방녹두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
CN103355564A (zh) | 一种蟹黄豆腐干包子及其制作方法 | |
KR101280455B1 (ko) |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101673573B1 (ko) | 표고버섯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표고버섯차 | |
KR20200141149A (ko) |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0956205B1 (ko) | 기능성 장류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84946B1 (ko) | 한약 냄새와 맛을 제거한 한약재 가루의 제조 방법 | |
KR101914440B1 (ko) | 추어짬뽕의 제조방법 | |
KR102170950B1 (ko) | 추어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추어탕 | |
KR20160062873A (ko) |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 |
KR102096179B1 (ko) | 산삼 소스, 산삼 소스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갈비탕, 삼계탕 및 백숙 | |
KR102114952B1 (ko) | 비린내를 제거한 홍합분말의 제조방법 | |
CN107897856A (zh) | 一种龙虾酱及其制作方法 | |
KR102598690B1 (ko) |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지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7890076A (zh) | 一种鱼肉酱及其制作方法 | |
KR100830399B1 (ko) | 연잎을 이용한 오리찜 제조방법 | |
KR20150068643A (ko) |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 |
KR102372075B1 (ko) |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 |
CN105995925B (zh) | 青花椒芽叶复合麻辣酱菜及制备的方法 | |
KR101173156B1 (ko) | 도토리 국수 제조 방법 및 도토리 국수 | |
KR20180063607A (ko) | 갈대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대 맛간장 | |
CN105919041B (zh) | 青花椒芽叶麻辣酱及制备的方法 | |
KR100493967B1 (ko) | 백련국수재료와 백련국수의 제조방법 및 백련국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