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338B1 -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338B1
KR101484338B1 KR20097018407A KR20097018407A KR101484338B1 KR 101484338 B1 KR101484338 B1 KR 101484338B1 KR 20097018407 A KR20097018407 A KR 20097018407A KR 20097018407 A KR20097018407 A KR 20097018407A KR 101484338 B1 KR101484338 B1 KR 10148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henyl
absorber
ox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046A (ko
Inventor
클라우스 뤼디거
미하엘 바그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11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UV 흡수제,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시트, 광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Description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POLYCARBONATE COMPOSITION CONTAINING UV ABSORBER}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성형 조성물을 위한 다양한 안정화제 및 그러한 안정화제가 제공된 성형 조성물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안정화제는 중합체의 특성 프로파일에 불리하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영향하에서도 계속해서 높은 수준으로 중합체 성형 조성물 본래의 우수한 특성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중합체가 옥외 부분에 사용될 경우에, 광에 의한 손상에 대한 안정화는 상응하는 성형체의 장기 유용성을 위한 중요한 측면이다. 이러한 성형체는, 예를 들면, 특히 고형 시트, 다중벽 시트, 이중벽 시트, 골판형 시트, 프로파일, 상응하는 다층 시스템의 형태 또는 추가의 형태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시트일 수 있다. 그러나, 성형체가 풍화작용 후에도 계속해서 좋은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야 할 뿐만 아니라, 성형체의 기계적 특성도 동시에 그의 구조적 완전성 또는 안정성이 불리한 환경 조건의 경우에도 장기간 동안 보장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US 6,218,450호 및 US 6,352,783호에 이와 관련하여 특히 우수한 표면 특성 및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열성형된 물품을 위한 보호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UV 흡수제와의 특별한 코폴리에스테르 블렌드가 개시되어 있다.
US 2002/0083641호에는 광, 산소, 열 및 공격적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박층을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을 사용하여 안정화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US 6,632,864호에는 벤조트리아졸류의 UV 흡수제가 제공된 열가소성 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우수한 표면 품질 및 우수한 UV 보호능을 갖는 시트의 압출을 위한 이러한 중합체의 사용 또한 개시되어 있다.
WO 02/34826호에는 벤조트리아졸 및 트리아진 류의 UV 흡수제가 제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압출시에, 특히 장기의 연속적인 가공의 경우에, 플라스틱은 우수한 표면 품질 및 UV 복사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능을 나타낸다.
DE 19739797호에는 광, 열 및 산소에 의한 손상에 대한, 유기 물질, 특히 표면 코팅의 안정화제로서의 사용에 대하여 상이한 트리아진 화합물의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EP-A-1 308 084호에는 광, 열 및 산소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유기 물질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추가로 선택된 UV 흡수제와 2,4-비스-(4-페닐페닐)-6-(2-히드록시 페닐)-1,3,5-트리아진 부류의 화합물의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EP 13080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UV 흡수제로서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사용하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개선된 충격 강도 (특히 저온에서)를 나타내는, UV-안정화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예상밖의 우수한 물리적 및 기계적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은 -20℃의 저온에서 UV선으로의 조사 후에 개선된 노치형(notched) 충격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은 고형 시트 또는 다중벽 시트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들은 또한 다층 시스템의 기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베이스층을 갖는 다층 시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베이스층은 조성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조성물은 물질들, 재료들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적어도 3종의 출발 물질로 이루어진, 즉 적어도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과 조합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제3 출발 물질로서의 UV 흡수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이 2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50,000, 특히는 5000 내지 100,00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80,000, 특히는 12,000 내지 70,000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된 GPC로 측정된 것).
본원에서 이들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 산란에 의해 보정된 25℃ 디클로로메탄 중에서의 또는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의 혼합물 중에서의 상대적인 용액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의 의해 결정된, 평균 분자량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1
가 18,000 내지 40,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36,000 g/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8,000 내지 35,000 g/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위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문헌 [D.C. PREVORSEK, B.T. DEBONA and Y. KESTEN, 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문헌 [D. Freitag, U. Grigo, P.R. Mueller, N.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마지막으로 문헌 [Dres. U. Grigo, K. Kircher and P.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을 참조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면 공정 또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먼저 계면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출발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화합물은 화학식 HO-Z-OH의 비스페놀이며, 여기서 Z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6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유기 라디칼이다. 상기 화합물의 예는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인단 비스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의 군에 속하는 비스페놀이다.
상기 언급한 화합물 군에 속하는 특히 바람직한 비스페놀은 비스페놀 A, 테트라알킬 비스페놀 A, 4,4-(메타-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비스페놀 M), 4,4-(파라-페닐렌디이소프로필)-디페놀, N-페닐-이사틴비스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BP-TMC), 2-히드로카르빌-3,3-비스(4-히드록시아릴)-프탈이미딘류의 비스페놀, 특히 2-페닐-3,3-비스(4-히드록시페닐)프탈이미딘, 및 임의로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비스페놀 A 기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단량체 비스페놀 A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기재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비스페놀 화합물을 탄산 화합물, 특히 포스젠과, 또는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의 경우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킨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앞서 언급한 비스페놀,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임의로는 탄산 당량을 반응시켜 얻는다. 적합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3,3'- 또는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벤조페논디카르복실산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카르보네이트기 중 일부, 8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로 대체될 수 있다.
계면 공정에서 사용되는 비활성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다양한 디클로로에탄 및 클로로프로판 화합물, 테트라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 및 클로로톨루엔이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벤젠 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클로로벤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계면 반응은 촉매, 예를 들어 3급 아민, 특히 N-알킬피페리딘 또는 오늄 염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N-에틸피페리딘이 사용된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의 경우에는, DE-A 42 38 123호에서 언급된 촉매가 사용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소량의 분지화제를 사용하여 계획적이고 제어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몇몇 적합한 분지화제는 이사틴비스크레졸, 플로로글루신올,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텐-2;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산 에스테르;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3,5-트리이소프로필벤젠;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르산 클로라이드;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및 특히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0.05 내지 2 몰%의, 임의로 부수적으로 사용될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을 디페놀과 함께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합성의 후반부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사슬 종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슬 종결제로서 페놀, 예를 들어 페놀, 알킬페놀, 예를 들어 크레졸 및 4-tert-부틸페놀, 클로로페놀, 브로모페놀, 쿠밀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비스페놀 1 몰당 1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페놀, 4-tert-부틸페놀 및 쿠밀페놀이 바람직하다.
사슬 종결제 및 분지화제는 별도로 또는 비스페놀과 함께 합성에 첨가될 수 있다.
비스페놀 A의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별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은, 예를 들어 문헌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Vol. 10 (1969),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H. Schnell, Vol. 9, John Wiley and Sons, Inc. (1964)] 및 DE-C 10 31 512호에 개시되어 있다.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서, 이미 계면 공정과 관련하여 기재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적합한 촉매 및 임의로는 추가의 첨가제의 보조하에 탄산 디에스테르로 용융 상태에서 트랜스에스테르화시킨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탄산 디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 예를 들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이소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이소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tert-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tert-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n-펜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n-펜틸페닐) 카르보네이트, n-헥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n-헥실페닐) 카르보네이트, 시클로헥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페닐 카르보네이트, 페닐페놀-페닐 카르보네이트, 디-페닐페놀 카르보네이트, 이소옥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이소옥틸페닐 카르보네이트, n-노닐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n-노닐페닐) 카르보네이트, 쿠밀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쿠밀페닐 카르보네이트, 나프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나프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tert-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디-tert-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쿠밀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디쿠밀페닐) 카르보네이트, 4-페녹시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페녹시페닐) 카르보네이트, 3-펜타데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3-펜타데실페닐) 카르보네이트, 트리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트리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tert-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tert-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페닐페놀-페닐 카르보네이트, 디-페닐페놀 카르보네이트, 쿠밀페닐-페놀 카르보네이트, 디-쿠밀페닐 카르보네이트,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이다.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2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3
식 중,
R, R' 및 R"는 서로 독립적으로 H, 임의로 분지화된 C1-C34-알킬/시클로알킬, C7-C34-알카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낼 수 있다.
언급한 탄산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탄산 에스테르의 양은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기준으로 100 내지 130 몰%,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20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9 몰%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서의 촉매로서 언급한 문헌에 개시된 염기성 촉매, 예컨대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및 옥시드 뿐만 아니라, 이하 오늄 염이라고 하는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염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늄 염이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늄 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포스포늄 염은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4
식 중,
R1 -4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C1-C10-알킬, C6-C10-아릴, C7-C10-아랄킬 또는 C5-C6-시클로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C6-C14-아릴,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페닐일 수 있고,
X-는 음이온, 예컨대 히드록시드, 술페이트, 수소 황산염, 탄산수소염, 카르보네이트,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클로라이드, 또는 화학식 OR의 알콜레이트일 수 있으며, 여기서 R은 C6-C14-아릴 또는 C7-C12-아랄킬, 바람직하게는 페닐일 수 있다.
바람직한 촉매는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히드록시드,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페놀레이트이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1몰을 기준으로 10-8 내지 10- 3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0- 4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중합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의 촉매가 단독으로 또는 임의로는 오늄 염에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촉매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염, 예컨대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의 히드록시드, 알콕시드 및 아릴옥시드,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의 히드록시드, 알콕시드 또는 아릴옥시드 염을 포함한다. 수산화나트륨 및 나트륨 페놀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공촉매의 양은 나트륨으로서 계산한 각각의 경우에 1 내지 200 ppb,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ppb,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5 ppb의 범위일 수 있다.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의 용융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2 단계로 수행된다. 제1 단계에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의 용융이 0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3시간 동안, 8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90℃의 온도에서, 정상압하에서 일어난다. 촉매의 첨가 후에, 올리고카르보네이트가 진공 (2 mmHg 이하)을 적용하고 온도를 상승 (260℃ 이하까지)시킴으로써 증류시켜 모노페놀을 제거함으로써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및 탄산 디에스테르로부터 제조된다. 공정으로부터의 증기의 대부분의 양이 이렇게 얻어진다. 이렇게 게조된 올리고카르보네이트는 평균 중량-평균 몰 질량 Mw (광 산란에 의해 보정된 디클로로메탄 또는 동일한 중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의 혼합물 중에서의 상대적인 용액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 것)이 2000 g/몰 내지 18,000 g/몰, 바람직하게는 4000 g/몰 내지 15,000 g/몰의 범위이다.
제2 단계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2 mmHg 미만의 압력에서, 온도를 추가로 250 내지 320℃, 바람직하게는 270 내지 295℃로 상승시킴으로써 중축합으로 제조된다. 이로써 잔류 증기가 공정으로부터 제거된다.
촉매를 서로 조합하여 (2종 이상) 사용할 수도 있다.
알칼리/알칼리 토금속 촉매가 사용되는 경우에, 알칼리/알칼리 토금속 촉매를 후반부 (예를 들면, 올리고카르보네이트의 합성 후에 제2 단계에서 중축합 동안)에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의 범주 내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과 탄산 디에스테르의 반응은 불연속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예를 들어 교반형 용기, 박층 증발기, 강하 막식 증발기, 교반형 용기 캐스케이드, 압출기, 혼련기(kneader), 단순 평판형 반응기 및 고-점도 평판형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계면 공정과 유사하게,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에, 다른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여타 다른 플라스틱, 예컨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특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할로겐-함유 중합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실록산, 폴리벤즈이미다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의 디엔 또는 아크릴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기재의 그래프트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 고무 기재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면 EP-A 640 655호에 개시된 그래프트 중합체 참조) 또는 실리콘 고무를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배합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또한 그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의 플라스틱에, 그러한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추가의 UV 안정화제, 열안정화제, 대전방지제 및 안료를 통상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고; 이형 거동, 유동 거동 및/또는 내연성 또한 외부 이형제, 유동제(flow agent) 및/또는 방염제 (예를 들면 알킬 및 아릴 포스파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판, 저분자량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할로겐 화합물, 염, 백악, 석영 분말, 유리 섬유 및 탄소 섬유, 안료 및 이들의 조합물)를 첨가함으로써 임의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면 WO 99/55772호의 15-25면, EP 1 308 804호 및 문헌 ["Plastics Additives Handbook", ed. Hans Zweifel, 5th Edition 2000, Hanser Publishers, Munich]의 해당 챕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UV 흡수제는 UV선을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시스템의 목적하는 또는 요구되는 특성이 수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편차의 경우에도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려되는 표적 값의 80%, 90% 또는 95%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알킬아릴은 아릴 라디칼을 보유하는 알킬 라디칼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UV 흡수제는 하기 화학식 4 또는 화학식 5 또는 화학식 6을 갖는다.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5
식 중, R1 및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알킬아릴일 수 있다.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6
식 중, R8, R9, R10, R11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H 또는 아릴 또는 알킬 또는 CN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고, Y는 알킬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54235192-pct00007
식 중, R12는 아릴 또는 알킬을 나타낸다.
하기 UV 흡수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A.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Ciba Spezialitaetenchemie)에서 상품명 티누빈(Tinuvin) 350®로 시판 중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디메틸에틸)-6-(1-메틸프로필)-페놀 (CAS No. 36437-37-3),
B.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에서 상품명 티누빈® 329로, 또는 바스프 아게(BASF AG)에서 상품명 유비눌(Uvinul)® 3029로, 또는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Cytec Industries Inc.)에서 상품명 시아소르브(Cyasorb)® UV-5411로 시판 중인,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CAS No. 3147-75-9),
C.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에서 상품명 티누빈 234®로 시판 중인,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CAS No. 70321-86-7),
D.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에서 상품명 티누빈 326®로, 또는 바스프 아게에서 상품명 유비눌® 3026으로 시판 중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1,1-디메틸에틸)-4-메틸)-페놀 (CAS No. 3896-11-5),
E.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에서 상품명 티누빈 360®로, 또는 아데카-팔마롤(Adeka-Palmarole)에서 상품명 ADK 스타브(Stab) LA31®로 시판 중인,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CAS No. 103597-45-1),
F. 시바 스페쟐리테텐케미에서 상품명 티누빈 1577®로 시판 중인,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CAS No. 147315-50-2),
G.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에서 상품명 시아소르브® UV-1164로 시판 중인,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CAS No. 2725-22-6),
H. 바스프 아게에서 상품명 유비눌® 3035로 시판 중인, 에틸 2-시아노- 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AS No. 5232-99-5),
I. 바스프 아게에서 상품명 유비눌® 3039로 시판 중인,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CAS No. 6197-30-4),
J. 바스프 아게에서 상품명 유비눌® 3030으로 시판 중인, 1,3-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판 (CAS No. 178671-58-4),
K. 클라리안트 게엠베하(Clariant GmbH)에서 상품명 호스타빈(Hostavin)® B-CAP™ XP3030으로 시판 중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CAS No. 6337-43-5).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UV 흡수제 및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이 5000:1 내지 30:1, 바람직하게는 500:1 내지 30:1,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1 내지 70: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으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조성물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05 중량% 내지 0.4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0.005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고, 상기 중량%는 각각의 경우에 총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조성물의 제조: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의 혼입 공정에 의해 수행되고, 예를 들면 UV 흡수제의 용액 및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의 용액을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액과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할로알칸, 할로방향족 화합물, 클로로벤젠 및 크실렌 중에서 혼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물질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방식으로 압출에 의해 균질화한다. 용액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방식으로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압출을 수행함으로써 후처리, 예를 들면 배합한다.
또한, 조성물을 통상의 혼합 장치, 예컨대 스크류 압출기 (예를 들면 2축 스 크류 압출기, ZSK), 혼련기, 브라벤더(Brabender) 또는 밴버리 밀(Banbury mill)에서 혼합한 후에 압출시킬 수 있다. 압출 후에, 압출물을 냉각시키고 분쇄할 수 있다. 미리 개개의 성분을 혼합한 후에 나머지 출발 물질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첨가할 수도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의 제조:
공압출된 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예를 들면 하기 기기 및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 환기되는, 길이 33 D 및 직경 70 mm의 스크류를 갖는 주 압출기,
- 커버링층을 적용하기 위한, 길이 25 D 및 직경 35 mm의 스크류를 갖는 공압출기,
- 폭 450 mm의 특수 공압출 시트 다이,
- 평활화 캘린더,
- 롤러 컨베이어,
- 인취 장치,
-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 (톱),
- 운반 테이블.
공압출된 다중벽 폴리카르보네이트 시트는, 예를 들면 하기 기기 및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 환기되는, 길이 33 D 및 직경 70 mm의 스크류를 갖는 주 압출기,
- 공압출 어댑터 (피드블록(feedblock) 시스템),
- 커버링층을 적용하기 위한, 길이 25 D 및 직경 30 mm의 스크류를 갖는 공압출기,
- 폭 350 mm의 특수 시트 다이,
- 보정기,
- 롤러 컨베이어,
- 인취 장치,
-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 (톱),
- 운반 테이블.
상기 두 시트 타입에서, 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과립은 주 압출기의 충전 통로에 공급되고 공압출을 위한 재료는 공압출기의 충전 통로에 공급된다. 재료의 용융 및 공급은 각각의 실린더/스크류 가소화 시스템에서 일어난다. 두가지 재료의 용융물이 공압출 어댑터에서 배합되고, 다이에서 배출되고 냉각된 후에, 복합재가 형성된다. 추가의 장치가 압출된 시트를 수송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침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압출 층을 갖지 않는 시트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공압출기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또는 주 압출기와 동일한 중합체 조성물을 충전함으로써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압출하고 캘린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화합물 2-[2-히드록시-4-(2-에틸헥실) 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임의로는 용매 중에서 배합하고 혼합하며, 여기서 임의로 균질화를 수행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 특성: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시험은 하기 표준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충격 강도는 DIN EN ISO 180, EN ISO 20180, ASTM D256, DIN EN ISO 179, DIN EN 20179, DIN 53453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아이조드(IZOD) 노치형 충격 강도는, 예를 들면 ISO 180/1A, ISO 180/1AR에 따라, 또는 80 x 10 x 4 ㎣ 크기의 시험편에 대하여 ISO 180/1B에 따라, 또는 63.5 x 12.7 x 3.2 ㎣ 크기의 시험편에 대하여 ISO 180/4A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샤르피(Charpy) 노치형 충격 강도의 측정은, 예를 들면 80 x 10 x 4 ㎣ 또는 63.5 x 12.7 x 3.2 ㎣ 크기의 시험편에 대하여 ISO 179/1eA, ISO 179/1eB 또는 ISO 179/1eC 또는 ISO 179/1fA, ISO 179/1fB 또는 ISO 179/1fC에 따라 수행한다.
노치형 및 비-노치형 시험편의 인장-충격 강도는 DIN EN ISO 8256, DIN EN 28256, DIN 53448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추가의 기계적 특성 값, 예컨대 인장 탄성률, 항복점에서의 인장 응력, 항복점에서의 연신율, 파괴 응력, 파괴 연신율 또는 공칭 파괴 연신율은 DIN EN ISO 527, DIN EN 20527, DIN 53455/53457, DIN EN 61, ASTM D638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른 인장 시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DIN EN ISO 178, DIN EN 20178, DIN 53452/53457, DIN EN 63, ASTM D790 또 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른 굽힘 시험으로 특징적인 응력 및 연신율 값, 예컨대 굽힘 탄성 계수, 통상적인 변형(deflection)시의 굽힘 응력 (3.5% 굽힘 응력), 굴곡 강도, 굴곡 강도에서의 굽힘 연신율, 파단 굽힘 응력 또는 파단 굽힘 연신율이 제공된다.
비캣 연화 온도 (VST)는 DIN ISO 306, ASTM D1525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특징적인 힘 및 변형 값이 DIN EN ISO 6603-2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에 따른 충격 관통 시험으로부터 얻어진다.
내후성:
샘플의 내후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여기에는 특히 ASTM G6, ASTM G151, ASTM G155, DIN EN ISO 4892-2, SAE J 1885 또는 VDA 75202에 따른 크세논-WOM 방법, DIN EN ISO 4892-3에 따른 LSL-WOM 방법, DIN EN ISO 4892-2 또는 DIN EN 50014에 따른 크세노테스트(Xenotest)® 고에너지법, ASTM B117, DIN 50021, DIN EN ISO 7253, DIN EN 9227 또는 ISO 11503에 따른 포그(fog) 시험, 및 ISO 4892-3 또는 ASTM G154 및 ASTM G53에 따른 QUV 시험이 포함된다.
레올로지 특성:
용융 지수 (MFR, MVR)는 ISO 1133에 따라 또는 ASTM D1238 MVR에 따라 측정한다.
용융 점도는 ISO 11443 또는 DIN 54811에 따라 측정한다.
용액 점도는, 예를 들어 표준법 ISO 1628-1/-4 또는 DIN 51562-3에 따라 측 정할 수 있다.
광학적 측정:
광택도는 60 x 40 x 2 ㎣ 크기의 시트 상에서 반사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두께는 2 mm 뿐만 아니라 3 mm, 3.2 mm 및 4 mm도 고려된다. DIN 67530, ISO 2813, ASTM D523 또는 상응하는 표준법이 이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탁도 및 투과도 측정은 DIN 5036, ASTM D1003, ASTM E179 또는 ISO 13468에 따라 수행한다.
황색도 지수 (YI)는 ASTM E313에 따라 계산한다.
반사도 측정은 DIN 5036 또는 ASTM E179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ISO 105-A02를 이용하여 그레이 스케일(grey scale)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의 제조:
배합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성분의 계량 장치
* 스크류 직경이 53 mm인 동방향-회전 2축 혼련기 (베르너 앤드 플라이데러(Werner & Pfleiderer) 제조의 ZSK 53)
* 용융된 압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 다이
* 압출물을 냉각 및 고형화하기 위한 수조
* 제립기.
실시예 1 내지 33의 하기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배합 장치에 의해 제조되었다.
마크롤론(Makrolon)® 3108 550115는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Science AG)에서 시판 중이다.
마크롤론® 3108 550115는 EU/FDA 등급을 가지며 UV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고 있다. ISO 1133에 따른 용융 부피 속도 (MVR)는 300℃ 및 1.2 kg의 하중에서 6.0 ㎤/(10분)이다.
배합물 제조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서 언급된 물질을 함유하는 마크롤론® 3108 550115 분말의 분말 혼합물 5 중량%를 마크롤론® 3108 550115 과립 95 중량%에 첨가하여, 실시예에서 언급된 혼합물 (배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50®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2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50® 0.202 중량%
실시예 3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50® 0.200 중량%
실시예 4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9®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5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9® 0.202 중량%
실시예 6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9® 0.200 중량%
실시예 7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234®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8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234® 0.202 중량%
실시예 9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234® 0.200 중량%
실시예 10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6®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11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6® 0.202 중량%
실시예 12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26® 0.200 중량%
실시예 13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60®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14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60® 0.202 중량%
실시예 15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360® 0.200 중량%
실시예 16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1577®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17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1577® 0.202 중량%
실시예 18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시바 제조의 티누빈 1577® 0.200 중량%
실시예 19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 제조의 시아소르브® UV-1164 0.200 중량 %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20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 제조의 시아소르브® UV-1164 0.202 중량%
실시예 21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사이텍 인더스트리즈 인크. 제조의 시아소르브® UV-1164 0.200 중량%
실시예 22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5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23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5 0.202 중량%
실시예 24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5 0.200 중량%
실시예 25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9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26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9 0.202 중량%
실시예 27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9 0.200 중량%
실시예 28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0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29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0 0.202 중량%
실시예 30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바스프 아게 제조의 유비눌® 3030 0.200 중량%
실시예 31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제조의 호스타빈® B-CAP 0.200 중량%
*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0.002 중량%
실시예 32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798 중량%
*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제조의 호스타빈® B-CAP 0.202 중량%
실시예 33 :
* 마크롤론® 3108 550115 99.800 중량%
* 클라리안트 게엠베하 제조의 호스타빈® B-CAP 0.200 중량%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33의 배합물을 가공하여 63.5 x 12.7 x 3.2 ㎣ 크기의 시험편을 형성하였다. 이는 스크류 직경이 18 mm인 아르부르크 올라운더(Arburg Allrounder) 270S-500-60에 의해 수행되었다.
공정 파라미터 실시예 1 내지 33으로부터의 배합물
압출기 가열 구역
압출기 Z1 290℃
압출기 Z2 295℃
압출기 Z3 300℃
압출기 Z4 300℃
기계 온도 95℃
사출 압력 (최대) 1600 bar
보압 압력(dwell pressure) (지지점 1) 1200 bar
보압 압력 (지지점 2) 1000 bar
보압 압력 (지지점 3) 800 bar
배압(back pressure) 100 bar
이어서 ASTM D1003에 따른 광 투과도 측정치를 실시예 1 내지 33의 시험편에 대하여 결정하고, 황색도 지수 (YI)를 ASTM E313에 따라 계산하였다.
이어서 시험편에 60℃의 블랙 패널 온도에서 연속 조사마다 313 nm로 방법 1과 유사하게 ISO 4892-3에 따라 Q-패널로부터 QUV 1800W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ASTM D1003에 따른 광 투과도 측정치를 조사(irradiated) 시험편에 대하여 결정하고, 황색도 지수 (YI)를 ASTM E313에 따라 계산하였다.
조사 전과 후의 시험편의 광학적 특성에 있어서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조사 및 비-조사 시험편의 아이조드 노치형 충격 강도를 -20℃에서 ISO 180/4A에 따라 측정하였다.

Claims (24)

  1.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을 함유하며, 여기서의 상기 UV 흡수제는 하기 화학식 4 또는 하기 화학식 6을 갖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4063355810-pc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4063355810-pct00012
    식 중,
    R1 및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알킬아릴일 수 있고,
    R12는 아릴 또는 알킬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1-메틸프로필을 나타내고 X가 tert-부틸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H를 나타내고 X가 옥틸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R1 및 X가 1-메틸-1-페닐-에틸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1,1-디메틸에틸)-4-메틸)-페놀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CAS No. 103597-45-1)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R12가 에틸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R12가 2-에틸헥실을 나타내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가 1,3-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판 (CAS No. 178671-58-4)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0.1 중량% 내지 0.35 중량%의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0.0001 중량% 내지 0.005 중량%의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함유하는 조성물.
  12.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UV 흡수제 및 0.0001 중량% 내지 0.03 중량%의 화합물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을 배합하고 혼합하는,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고형 시트 또는 다중벽 시트인 시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시트가 베이스층을 갖는 다층 시트이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인 시트.
  16.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압출 또는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3항에 따른 시트의 제조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 및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CAS No. 204583-39-1)이 500:1 내지 70:1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UV 흡수제가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14063355810-pct00013
    식 중, R1 및 X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 또는 알킬 또는 알킬아릴일 수 있다.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20097018407A 2007-03-07 2008-02-26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1484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1069.5 2007-03-07
DE102007011069A DE102007011069A1 (de) 2007-03-07 2007-03-07 Polycarbonatzusammensetzung enthaltend UV-Absorber
PCT/EP2008/001502 WO2008107095A1 (de) 2007-03-07 2008-02-26 Polycarbonatzusammensetzung enthaltend uv-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046A KR20090118046A (ko) 2009-11-17
KR101484338B1 true KR101484338B1 (ko) 2015-01-19

Family

ID=3928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8407A KR101484338B1 (ko) 2007-03-07 2008-02-26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44122B2 (ko)
EP (1) EP2134779B1 (ko)
JP (1) JP5671235B2 (ko)
KR (1) KR101484338B1 (ko)
CN (1) CN101627078A (ko)
DE (1) DE102007011069A1 (ko)
IL (1) IL200155A (ko)
MX (1) MX2009009421A (ko)
RU (1) RU2009136675A (ko)
TW (1) TWI488903B (ko)
WO (1) WO20081070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732B2 (en) 2016-06-01 2019-04-23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blocking adhesiv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19786A2 (pt) 2007-12-03 2015-05-05 Basf Se Forma crsitalina, processos para a preparação da forma cristalina e para estabilizar um material orgânico contra degradação induzida pela luz, mistura estabilizadora, composição, e, artigo feito de uma composição
DE102009042307A1 (de) 2009-09-19 2011-05-12 Bayer Materialscience Ag Kombination zweier Triazin UV Absorber für Lack auf PC
DE102009043511A1 (de) * 2009-09-30 2011-03-31 Bayer Materialscience Ag UV-stabile Polycarbonat-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EP2447236A1 (de) 2010-10-12 2012-05-02 Bayer MaterialScience AG Spezielle UV-Absorber für härtbare UV-Schutz Beschichtungen
DE102010042939A1 (de) 2010-10-26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Fugenlose Heckklappe
US20130265776A1 (en) 2010-11-24 2013-10-10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Method for producing moulded optical parts
IT1403380B1 (it) 2010-12-17 2013-10-17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sizione di polimeri con caratteristiche di assorbimento di calor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ITRM20100668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Substrato-led a colorazione stabile.
ITRM20100670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Colorante organico e composizioni polimeriche colorat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ITRM20100667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sizione di polimeri con caratteristiche di assorbimento di calor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KR101385035B1 (ko) * 2010-12-30 2014-04-29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2935437A1 (de) 2012-12-20 2015-10-28 Covestro Deutschland AG Organische farbmittel und eingefärbte polymer-zusammensetzungen mit gut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ITRM20120656A1 (it) 2012-12-20 2014-06-21 Bayer Materialscience Ag Articolo multistrato a base di policarbonato con forte resistenza agli agenti atmosferici.
US9713915B2 (en) 2013-01-18 2017-07-25 Covestro Deutschland Ag Bird protection glazing
JP6695272B2 (ja) 2013-10-08 2020-05-20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ポリシロキサン−ポリカーボネートブロック共縮合物を調製する方法
EP3055344A1 (en) 2013-10-08 2016-08-17 Covestro Deutschland AG Polysiloxane-polycarbonate block cocondensates
JP6621739B2 (ja) 2013-10-08 2019-12-18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弱酸の塩を用いてポリシロキサン−ポリカーボネートブロック共縮合物を調製する方法
JP6675978B2 (ja) 2013-10-08 2020-04-08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反応性押出しによるシロキサン含有ブロックコ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
WO2015113916A1 (en) 2014-01-30 2015-08-0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siloxane-polycarbonate block cocondensates with improved rheological properties
EP3191297B1 (de) 2014-09-11 2021-03-10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Blende für kraftfahrzeugverscheibungssysteme
JP2018502970A (ja) 2015-01-20 2018-02-01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シロキサン含有ポリカーボネートブロック共縮合物を含む難燃性成形化合物
EP3247743B1 (de) 2015-01-20 2020-10-07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Flammgeschützte, glasfaser-haltige formmassen enthaltend siloxan-haltiges polycarbonat-blockcokondensat
US10407541B2 (en) 2015-04-07 2019-09-10 Covestro Deutschland Ag Block co-condensates of polysiloxanes and dihydroxydiphenylcycloalkane-based n (CO)polycarbonates
KR20190014544A (ko) 2016-06-03 2019-02-12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특정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매트릭스 재료로서 함유하는 다층 복합 재료
WO2018060081A1 (de) 2016-09-27 2018-04-05 Covestro Deutschland Ag Frontscheibe für kraftfahrzeug
KR102454155B1 (ko) 2016-12-19 2022-10-14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상용화제를 사용한 실록산-함유 블록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WO2019228959A1 (de) 2018-05-29 2019-12-05 Covestro Deutschland Ag Opaker mehrschichtkörper aus polycarbonat mit hoher bewitterungsstabilität
JP7139768B2 (ja) * 2018-08-09 2022-09-21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2200870B1 (ko) * 2018-11-20 2021-01-1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투명성이 우수한 내화학 내광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EP4140729B1 (en) 2021-08-26 2024-05-01 Covestro Deutschland AG A multilayer composite sheet for antenna housing
WO2023025705A1 (en) 2018-12-05 2023-03-02 Covestro Deutschland Ag A multilayer composite sheet for antenna housing
EP3719077B1 (de) 2019-04-02 2022-09-21 Covestro Deutschland AG Siloxan-haltige blockcopolycarbonate mit geringer domänengrösse
EP4045842A1 (en) 2019-10-15 2022-08-24 Covestro LLC Three part headlamp assembly
CN115397668A (zh) 2020-04-15 2022-11-25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聚碳酸酯复合制品
CN115551945A (zh) 2020-05-22 2022-12-30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阻燃聚碳酸酯组合物
US20230167296A1 (en) 2020-05-22 2023-06-01 Covestro Deutschland Ag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EP4140728A1 (en) 2021-08-26 2023-03-01 Covestro Deutschland AG A multilayer composite sheet for antenna hou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329A (ko) * 2000-02-15 2002-10-26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안료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73469A (ko) * 2002-10-02 2005-07-13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상승적 uv 흡수제 배합물
KR20060090811A (ko) * 2003-09-29 2006-08-16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광변색 계의 안정화
KR20070026225A (ko) * 2005-09-03 2007-03-08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512B (de) 1955-12-21 1958-06-0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faser- und filmbildenden Polycarbonaten
DE4238123C2 (de) 1992-11-12 2000-03-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carbonaten
DE4328656A1 (de) 1993-08-26 1995-03-02 Bayer Ag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DE19519894A1 (de) * 1995-05-31 1996-12-0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Cyan-3,3-diarylacrylsäureestern
US6004678A (en) * 1996-08-16 1999-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plate out polycarbonate compositions
BE1012529A3 (fr) 1996-09-13 2000-12-05 Ciba Sc Holding Ag Melange de triaryltriazines et son utilisation pour la stabilisation de materiaux organiques.
MY119540A (en) 1998-04-24 2005-06-30 Ciba Spacialty Chemicals Holding Inc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polyesters
MXPA02002313A (es) * 1999-09-01 2002-07-30 Dow Chemical Co Composiciones de resina de policarbonato que comprenden compuestos estabilizadores de ester de acido cianacrilico.
US6218450B1 (en) 1999-12-13 2001-04-17 Eastman Chemical Company Copolyester containing isophthalic acid, 1,4-cyclohexanedimethanol, 4,4′-biphenyldicarboxylic acid and an ultraviolet light absorbing compound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352783B1 (en) 1999-12-13 2002-03-05 Eastman Kodak Company Copolyester containing 4,4'-biphenyldicarboxylic acid, 1,4-cyclohexanedimethanol and an ultraviolet light absorbing compound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297300B1 (en) * 2000-05-19 2001-10-02 The Dow Chemical Company Carbonate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low volatile UV absorbers
CO5231248A1 (es) 2000-07-26 2002-12-27 Ciba Sc Holding Ag Articulos transparentes de polimero de baja consistencia
DE10053151A1 (de) 2000-10-26 2002-05-08 Bayer Ag Zusammensetzung enthaltend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DE10053152A1 (de) * 2000-10-26 2002-05-08 Bayer Ag Zusammensetzung enthaltend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US6683124B2 (en) * 2001-09-27 2004-01-27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Fluorescent pigment compositions
JP2005054032A (ja) * 2003-08-01 2005-03-03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単層ポリカーボネート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329A (ko) * 2000-02-15 2002-10-26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안료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73469A (ko) * 2002-10-02 2005-07-13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상승적 uv 흡수제 배합물
KR20060090811A (ko) * 2003-09-29 2006-08-16 시바 스폐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광변색 계의 안정화
KR20070026225A (ko) * 2005-09-03 2007-03-08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732B2 (en) 2016-06-01 2019-04-23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blocking adhesiv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4779B1 (de) 2015-04-29
US20090258978A1 (en) 2009-10-15
DE102007011069A1 (de) 2008-09-11
JP5671235B2 (ja) 2015-02-18
RU2009136675A (ru) 2011-04-20
EP2134779A1 (de) 2009-12-23
JP2010520341A (ja) 2010-06-10
MX2009009421A (es) 2009-09-14
IL200155A0 (en) 2010-04-15
TWI488903B (zh) 2015-06-21
WO2008107095A1 (de) 2008-09-12
KR20090118046A (ko) 2009-11-17
TW200914514A (en) 2009-04-01
US8044122B2 (en) 2011-10-25
CN101627078A (zh) 2010-01-13
IL200155A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338B1 (ko)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18148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필름, 플레이트 및 사출 성형품
EP2740598B1 (en) Polycarbonate resin laminate
KR101794501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80092983A (ko) 열가소성 수지용 유동 개질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09102071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積層シート
KR20120115234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070026225A (ko)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신규 uv 흡수제 함유 조성물
US20110112226A1 (en) Product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KR20120117755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0797328B1 (ko)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11071163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120108980A (ko) 압출 용도에 사용되는 난연성이 개선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MXPA02004648A (es) Masas de moldeo de policarbonato.
KR101385035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4401608B2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US20120231278A1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lame resistance for extrusion applications
US9371437B2 (en) Polycarbonate plate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EP3878908A1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KR100792093B1 (ko) 열가소성 합성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