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623B1 -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623B1
KR101479623B1 KR20080071299A KR20080071299A KR101479623B1 KR 101479623 B1 KR101479623 B1 KR 101479623B1 KR 20080071299 A KR20080071299 A KR 20080071299A KR 20080071299 A KR20080071299 A KR 20080071299A KR 101479623 B1 KR101479623 B1 KR 10147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rrier layer
nitride semiconductor
typ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64A (ko
Inventor
강상원
박성주
권민기
이상준
조주영
김용천
한상헌
이동주
오정탁
김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7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623B1/ko
Priority to US12/338,496 priority patent/US9166098B2/en
Priority to JP2008328560A priority patent/JP5229566B2/ja
Publication of KR2010001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25Physical imperfections, e.g. particular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구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기판상에 버퍼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순차 적층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복수개의 장벽층과 복수개의 우물층이 교대로 배열된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중 적어도 1개 층은 p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과 상기 p형 GaN층의 적어도 일측에 언도프된 장벽층을 갖는 제1 장벽층을 구비한다.
MQW, 질화물, Mg 도핑, Si 도핑

Description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구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인접 장벽층에 Mg 도핑하여 p형 도핑 장벽층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전자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방지하고, 정공 주입 효율을 개선하여 외부 양자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구비한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휴대폰 키패드, 사이드뷰(Side View)용 광원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조명용 및 자동차의 전조등으로까지 그 응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휴대폰용으로 사용되는 LED의 경우, 20 mA의 동작 전류를 사용하게 되지만, 조명용 및 자동차의 전조 등에 사용되는 LED는 일반적으로 수백 mA의 동작 전류가 주입된다. 수백 mA의 전류를 주입함에 따라 기존의 저전류에서는 관찰할 수 없던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피션시 드룹(Efficiency Droop)"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LED의 효율은 외부 양자 효율로 나타내며, 이는 내부 양자 효율에 광자 추출 효율의 곱이다. 이러한 외부 양자 효율이 동작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이피션시 드룹(Efficiency Droop)" 이라고 한다.
기존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LED의 경우, "이피션시 드룹(Efficiency Droop)"이 약 10 A/㎠의 전류밀도에서 나타나게 된다. 즉, 10 A/㎠ 의 전류밀도보다 큰 동작 전류에서는 외부 양자 효율이 점점 감소하게 된다. LED 칩의 면적에 따라 전류밀도는 달라지겠지만 10 A/㎠ 정도의 전류밀도를 동작 전류로 환산하면 20 mA 근처가 된다.
즉, 휴대폰용으로 사용하는 LED의 경우, 20 mA 이상의 전류에서는 동작 전류가 올라갈수록 LED의 효율 측면에서는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피션시 드룹(Efficiency Droop)" 현상은 고전류 밀도를 필요로 하는 조명용 및 자동차의 전조 등에 LED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구체적으로, 기존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가지는 LED의 경우, 활성층은 발광이 일어나는 우물층인 InGaN층과 장벽층인 GaN층으로 구성된다. 우물층의 경우, 일반적으로 언도프층(undoped layer)을 사용하게 되며, 장벽층의 경우 언도프층 내지는 Si 도핑을 통해 n-GaN층으로 사용한다.
장벽층에 Si 도핑을 하는 이유는 Si도핑을 통하여 우물층과 장벽층간의 계면 특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저항을 낮춤으로써 순방향 전압에서의 동작 전압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Si 도핑을 통하여 전자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우물층인 InGaN층과 장벽층인 GaN층 사이의 격자 상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stress)로 인한 압전 필드(piezoelectric field)를 차단(screening)해 주는 효과를 얻는다.
이를 통하여 동작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청색 천이(blue-shift) 현상 또한 감소되며, 차단(screening) 효과를 통하여 압전 필드에 의한 밴드 휨(band bending) 현상을 감소시켜 전자와 홀간의 파동 함수의 중첩을 증가시켜 내부 양자 효율이 증가 된다.
이러한 방법은 주로 저전류 밀도에서의 LED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명용 및 자동차의 전조 등과 같은 고전류 밀도를 요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피션시 드룹(Efficiency Droop)" 현상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공이 전자에 비하여 이동도가 낮기 때문에 LED의 활성층으로 주입되는 효율이 낮게 된다. 반대로 전자는 유효질량이 가벼워서 이동도가 커서 활성층으로 잘 주입되게 된다.
따라서 정공은 주입이 잘되지 않는 반면 주입이 잘 되는 전자는 활성층을 지나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영역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고전류 밀도, 즉, 전기적으로 주입되는 캐리어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심해지게 되고,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고전류 밀도로 갈수록 외부 양자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밴드갭이 큰 AlGaN으로 된 전자 장벽층(Electron Blocking Layer)을 활성층 상에 적층하는 경우도 있다. 이 역시 격자상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압전 필드에 의하여 장벽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어서 전자의 오버플로우(overflow) 현상을 막기가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을 갖는 LED는 저전류 밀도에서 고전류 밀도로 갈수록 정공의 낮은 주입 효율과, 고전류 밀도에서의 높은 캐리어(carrier) 농도에 따른 비발광 오제(Auger) 결합에 의하여 외부 양자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벽층에 Mg 도핑 하여 장벽층의 전자 구속 효과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발광이 일어나는 우물층에 정공을 효과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Mg 도핑된 장벽층의 전후에 언도프된 장벽층을 형성함으로써 장벽층에 도핑된 Mg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상에 적어도 버퍼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순차 적층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복수개의 장벽층과 복수개의 우물층이 교대로 배열된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구조이며,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중 적어도 1개 층은 p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과 언도프된 장벽층을 갖는 제1 장벽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벽층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전체가 상기 제1 장벽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벽층은 p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p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거나,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 및 p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p형 도핑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장벽층의 단일층은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 p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p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형 도펀트는 Mg, Zn, Be, Ca, Sr 및 Ba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p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1015/㎤ ~1020/㎤ 이고, 상기 p형 도핑 장벽층의 도핑농도를 경사지게 하거나 계단식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활성층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인접한 영역에 n형 도펀트가 도핑된 복수개의 제2 장벽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벽층의 단일층은 n형 도펀트가 도핑된 n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장벽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벽층의 단일층은 n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n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거나, 상기 제2 장벽층의 단일층은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 도프된 장벽층 및 n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n형 도핑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장벽층의 단일층은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 n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n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형 도펀트는 Si, Ge, Se, Te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p형 도펀트는 Mg, Zn, Be, Ca, Sr 및 B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n형 또는 p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1015/㎤ ~10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벽층에 p형 도펀트의 도핑에 의해 밴드갭이 변화되어 우물층의 전자 구속력 및 우물층으로의 정공 주입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고전류 밀도에서의 LED의 외부 양자 효율의 감소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벽층에 도핑되는 p형 도펀트의 농도를 조절하여 장벽층에서의 캐리어(carrier) 농도를 감소시켜 비발광 오제 결합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전류 밀도에서의 LED의 외부 양자 효율의 감소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1)상에 버퍼층(2), n 형 질화물 반도체층(3),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활성층(4),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을 적층하고,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5) 상에 각각 전극(6, 7)을 형성하여 반도체층(3, 5)으로부터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활성층(4)에서 광을 발생시킨다. 이때, 활성층(4)에서 발생된 광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을 향하여 방출된다.
도 1에 도시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1)은, 그 위에 성장되는 질화물 반도체 물질과의 격자정합을 고려하여 사파이어 기판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사파이어 기판은 비교적 질화물 반도체 물질의 성장이 용이하며, 고온에서 안정하여 주로 사용된다.
기판(1)의 상면에 형성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3)은 n형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질화물 반도체 물질로는 GaN, AlGaN, InGaN가 있다.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의 도핑에 사용되는 도펀트로는 Si, Ge, Se, Te 또는 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i를 사용한다.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은, 상기 반도체 물질을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 MBE)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ybrid Vapor Phase Epitaxy : HVPE)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기판(1) 상에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기판(1)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3) 사이에는 격자부정합을 완화하기 위한 버퍼층(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버퍼층(2)으로는 통상 수십 ㎚의 두께를 갖는 GaN 또는 AlN 등의 저온핵성장층이 사용된다.
활성층(4)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층으로서, 통상 InGaN층을 우물층로 하고, GaN층을 장벽층(barrier layer)으로 성장시켜 다중 양자 우물 구조(MQW)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다이오드에서는 InGaN/GaN 등의 다중 양자 우물 구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서는 GaN/AlGaN, InAlGaN/InAlGaN 및 InGaN/AlGaN 등의 다중 양자 우물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상세한 설명은 도 2의 (b)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활성층(4)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LED 소자 등의 원하는 파장 등을 고려하여 우물층 및 장벽층의 적층 수 또는 적층순서를 조정하여 활성층의 총 막두께를 조정한다. 즉, In 또는 Al의 조성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빛의 파장을 조절하거나, 활성층 내의 양자 우물층의 깊이, 활성층의 수, 두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내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활성층(4)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과 같이 유기금속 기상증착법, 분자빔 성장법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3)과 마찬가지로, p형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표적인 질화물 반도체 물질로는 GaN, AlGaN, InGaN가 있다.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의 도핑에 사용되는 도펀트로는 Mg, Zn 또는 Be 등이 있으며, 이중 Mg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은, 상기 반도체 물질을 유기금속 기상증착법, 분자빔 성장법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활성층(4) 상에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전극(6, 7)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의 상면에 형성되는 p측 본딩전극(6)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3)의 상면에 형성되는 n측 본딩전극(7)을 포함한다.
또한, p형 질화물 반도체층(5)과 p측 본딩전극(6) 사이에, p형 질화물 반도체층(5)의 상면의 전 영역에 형성되는 투명전극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투명전극층은 비교적 높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5)과의 접촉저항을 낮추는데 적절하면서, 동시에 활성층(4)에서 생성되는 광이 상부로 방출되기 위해 양호한 투광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투명전극층은 투광성을 확보하기 위해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카드뮴주석(CTO) 또는 질화티탄텅스 텐(TiWN)으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전극층은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 및 전자빔 증발법(E-beam evaporator)과 같은 공지의 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오믹콘택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약 4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p측 본딩전극(6)은 p형 질화물 반도체층(5) 상에 형성된다. 상기 p측 본딩전극(6)은 와이어 본딩을 통해 리드 상에 탑재될 최외곽 전극층으로서, 일반적으로 Au 또는 Au를 함유한 합금을 재료로 하여 화학기상증착법 및 전자빔 증발법과 같은 공지의 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n측 본딩전극(7)은 n형 질화물 반도체층(3) 상에 Ti, Cr, Al, Cu 및 Au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n측 본딩전극(7)은 화학기상증착법 및 전자빔 증발법과 같은 공지의 증착방법 또는 스퍼터링 등의 공정에 의해 n형 질화물 반도체층(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에 있어서, 장벽층(24)에 Mg 도핑을 할 경우에 따른 밴드(band) 구조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20)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21)의 장벽층(24)에 Mg를 도핑하지 않았을 때의 밴드갭 모식도이며, 도 2의 (b)는 장벽층(29)에 Mg를 도핑한 경우의 밴드갭 모식도이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26)의 다중 양자 우물 구조는 p형 도펀트인 Mg가 도프된 장벽층(29)과 언도프된 우물층(28)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장벽층(29)의 Mg 도핑은 장벽층 전체에 수행되거나 일부 장벽층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적어도 p형 질화물 반도체층(27)과 가장 인접한 장벽층에는 Mg 도핑을 수행한다.
즉, 일부 장벽층에만 Mg 도핑을 하는 경우에도 해당 우물층으로의 정공 주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p형 도펀트는 Mg, Zn, Be, Ca, Sr 및 Ba 중 하나일 수 있으며, Mg가 바람직하다. p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1015/㎤ ~10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5)과 p형 질화물 반도체층(27) 사이에 형성된 활성층(26)의 장벽층(29)에 Mg 도핑을 실시하게 되면, 전도대에 대한 우물층(28)의 깊이가 깊어져 이동도가 높은 전자를 우물층에 구속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정공에 대하여는 가전자대의 우물층(28) 깊이가 낮아져서 주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활성층의 장벽층(29)에 도핑된 Mg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벽층의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 전후로 언도프된 장벽층을 성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벽층에 p형 도펀트가 도핑될 때,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 또는 언도프된 장벽층 및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 또는 언도프된 장벽층,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장벽층이 순차 적층된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활성층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의 양자 우물 밴드(band)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를 가지는 활성층(31)에서 장벽층(34)을 Mg 도핑을 통하여 p형 도핑 장벽층(36)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정공의 낮은 이동도에 의해 p형 질화물 반도체층(32)에서 효과적으로 활성층(31)으로 주입되지 못하는 정공을 장벽층(34)에서 우물층(33)으로 바로 주입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질화물 반도체 발공소자의 발광효율을 현저하게 개선 시키고, 또한 전자가 p형 질화물 반도체층(32)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LED에서는 전자의 빠른 이동도로 인하여 p형 질화물 반도체층(32)에 가장 가까운 영역의 우물층에서만 발광이 일어나게 되는데, 장벽층(34)을 p형 도핑 장벽층(36)으로 만들게 되면 발광되는 우물층의 숫자 또한 늘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장벽층(34)에 도핑된 Mg의 경우, 활성층 이후에 성장되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성장 온도가 높아서 우물층 내부로의 확산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Mg가 결함(defect)으로 작용하여 발광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활성층(31)에 있어서, 장벽층(34)의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36) 전후로 언도프된 장벽층(35, 37)을 성장시켜 우물층(33)으로의 Mg 확산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Mg 확산에 따른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활성층의 양자 우물 밴드(band)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활성층(41)에 있어서, 장벽층(44)에 도핑된 Mg의 우물층(44)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장벽층(44)의 Mg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45)의 일측에 언도프된 장벽층(44)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도, 도 3의 경우와 같이, Mg 확산에 따른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형태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의 장벽층에 Si 및 Mg를 도핑할 경우에 따른 밴드(band) 구조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비발광 결합의 원인은 캐리어 농도에 의하여 생기는 비발광 오제(Auger) 결합과, 결함(defect)에 의하여 생기는 밴드갭 내의 딥 레벨(deep level)에 의한 비발광 결합인 쇼클리-리드-홀(shockley-read-hall) 결합이 있으며, 쇼클리-리드-홀(shockley-read-hall) 결합의 결합률은 캐리어 농도에 비례하지만, 비발광 오제(Auger) 결합의 경우 결합률이 캐리어 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고전류 밀도에 따른 활성층 내부에서 캐리어 농도가 높아질수록 캐리어 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하는 비발광 오제(Auger) 결합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고전류 밀도에서 외부 양자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Si 도핑에 의해 장벽층에서의 캐리어 농도가 높아질수록 우물층에서의 캐리어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장벽층의 전자가 비발광 오제(Auger) 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도핑을 하지 않은 장벽층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언도프된 GaN의 경우 막질이 아주 우수할 때, 1016/㎤ 정도의 전자 농도를 가진다. 이는 질소 공간(Nitrogen vacancy)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GaN의 물질 특성이다.
위와 같은 1016/㎤ 정도의 전자 농도는 버퍼층 위에 성장되는 언도프된 GaN층의 성장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성장 조건이 다른 활성층 내의 장벽층 성장시에는 1016/㎤ 와 비슷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전자 농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경우 역시 장벽층의 전자가 비발광 오제(Auger) 결합에 참여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층(51)에서 주로 빛이 발광하게 되는 p형 질화물 반도체층(52)에 인접한 장벽층, 즉 마지막 우물층 또는 일부 장벽층에 Mg 도핑을 하고, n형 질화물 반도체층(50)에 인접한 장벽층(54) 또 는 일부 장벽층에 Si 도핑을 수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벽층(54)이 인슐레이터(insulator)가 됨으로써 생길 수 있는 발광소자의 동작 전압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n형 도펀트은 Si뿐만 아니라, Ge, Se, Te 및 C 중 하나일 수 있으며, p형 도펀트는 Mg뿐만 아니라, Zn, Be, Ca, Sr 및 Ba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n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1015/㎤ ~1020/㎤ 이며, p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는 1015/㎤ ~10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장벽층(54)의 Si 또는 Mg 도핑된 도핑 장벽층(56)의 전후로 언도프된 장벽층(55, 57)을 성장시키거나 장벽층(54)의 Si 또는 Mg 도핑된 도핑 장벽층(56)의 일측에만 언도프된 장벽층(55 또는 57)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벽층에 Mg 도핑을 통하여 인슐레이터(insulator)에 가까운 특성을 얻게 되면, 장벽층에서 캐리어의 농도가 1015/㎤ 이하로 매우 낮아지게 되므로 장벽층의 캐리어가 비발광 오제 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이렇게 하여 고전류에서도 비발광 오제 결합을 감소시켜 높은 양자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2 내지 도 4의 경우보다 작은 농도의 Mg 도핑을 행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형태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의 장벽층에 Mg 도핑을 할 경우에 따른 밴드(band) 구조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의 (a)는 장벽층에 Mg를 도핑하지 않았을 경우, 도 2의 (b)는 장벽층에 Mg를 도핑한 경우의 밴드갭 모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의 양자 우물 밴드(band)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활성층의 양자 우물 밴드(band)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형태의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활성층에 있어서, 장벽층에 Si 및 Mg를 도핑할 경우에 따른 밴드(band) 구조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기판 2. 버퍼층
3. n형 질화물 반도체층 4. 활성층
5. p형 질화물 반도체층 6. p측본딩전극
7. n측본딩전극

Claims (18)

  1. 기판상에 적어도 버퍼층,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및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을 순차 적층된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복수개의 장벽층과 복수개의 우물층이 교대로 배열된 다중 양자 우물(Multi Quantum Well) 구조이며,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중 적어도 1개 층은 p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도핑 장벽층과 언도프된 장벽층을 갖는 제1 장벽층이고,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은 상기 복수개의 우물층 중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접하는 우물층과 접하는 언도프된 영역 및 상기 언도프된 영역과 접하는 p형 도핑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은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벽층 전체가 상기 제1 장벽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은 p형 도펀트가 도핑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p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질화물 반도체로 된 언도프된 장벽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벽층은 복수의 상기 언도프된 장벽층 사이에 상기 p형 도핑 장벽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핑 장벽층의 도핑농도를 경사지게 하거나 계단식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에 인접한 영역에 n형 도펀트가 도핑된 복수개의 제2 장벽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은 n형 도펀트가 도핑된 n형 도핑 장벽층 및 언도프된 장벽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은 상기 n형 도핑 장벽층 및 상기 언도프된 장벽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은 복수의 상기 언도프된 장벽층 사이에 상기 n형 도핑 장벽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20080071299A 2008-07-22 2008-07-22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KR101479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1299A KR101479623B1 (ko) 2008-07-22 2008-07-22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12/338,496 US9166098B2 (en) 2008-07-22 2008-12-18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2008328560A JP5229566B2 (ja) 2008-07-22 2008-12-24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1299A KR101479623B1 (ko) 2008-07-22 2008-07-22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64A KR20100010364A (ko) 2010-02-01
KR101479623B1 true KR101479623B1 (ko) 2015-01-08

Family

ID=4156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1299A KR101479623B1 (ko) 2008-07-22 2008-07-22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6098B2 (ko)
JP (1) JP5229566B2 (ko)
KR (1) KR101479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1402B (zh) 2010-04-30 2020-08-18 波士顿大学理事会 具有能带结构电位波动的高效紫外发光二极管
KR101238672B1 (ko) * 2011-04-05 2013-03-04 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 밴드가 제어된 양자우물 구조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JP5744615B2 (ja) * 2011-04-28 2015-07-08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ダイオード素子
WO2012165852A1 (en) * 2011-06-02 2012-12-06 Seoul Opto Device Co., Ltd. Light emitting diode having strain-enhanced well layer
KR101277653B1 (ko) 2011-08-10 2013-07-0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터널링 배리어층을 갖는 고효율 반도체 광소자 구조 및 제조 방법
KR101855064B1 (ko) * 2011-09-15 2018-06-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US8723189B1 (en) * 2012-01-06 2014-05-13 Trustees Of Boston University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76576B1 (ko) * 2012-02-16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46648B1 (ko) * 2014-07-29 2021-04-3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CN103545406A (zh) * 2012-07-16 2014-01-29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多量子阱结构及发光二极管
US9099593B2 (en) * 2012-09-14 2015-08-04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III-V group compound devices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droop rate
JP2014082396A (ja) * 2012-10-18 2014-05-08 Sharp Corp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6271934B2 (ja) * 2012-11-02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面発光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3777B1 (ko) * 2012-12-20 2019-05-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KR102015908B1 (ko) * 2013-02-21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JPWO2015146069A1 (ja) * 2014-03-28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素子
KR102244220B1 (ko) * 2014-10-15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
DE102015100029A1 (de) * 2015-01-05 2016-07-07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R102354251B1 (ko) * 2015-07-08 2022-01-21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소자 및 조명장치
DE102015114478A1 (de) * 2015-08-31 2017-03-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chip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TW201713575A (zh) 2015-09-30 2017-04-16 陶氏全球科技有限責任公司 具有乙烯/α-烯烴多嵌段共聚物的配件
JP6955172B2 (ja) * 2018-08-31 2021-10-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
CN109166950B (zh) * 2018-09-14 2024-04-19 厦门乾照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半导体芯片及其量子阱层和制造方法
US10840408B1 (en) * 2019-05-28 2020-11-17 Vuereal Inc. Enhanced efficiency of LED structure with n-doped quantum barriers
CN111223764B (zh) * 2020-03-18 2023-06-30 湘能华磊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辐射复合效率的led外延生长方法
CN116529894A (zh) * 2020-12-03 2023-08-01 艾维森纳科技有限公司 用于低电流密度下的高速操作的GaN LED中的p型掺杂
EP4229685A1 (en) * 2020-12-03 2023-08-23 Avicenatech Corp. P-type doping in gan leds for high speed operation at low current densities
JP7319559B2 (ja) * 2020-12-23 2023-08-0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7260807B2 (ja) * 2020-12-24 2023-04-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3002931A1 (ko) * 2021-07-21 2023-01-26
CN114122205A (zh) * 2021-11-10 2022-03-01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半导体外延结构及其应用、半导体外延结构的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558A (ja) * 1994-10-07 1996-04-30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素子
JP2000332364A (ja) * 1999-05-17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窒化物半導体素子
JP2003229645A (ja) * 2002-01-31 2003-08-15 Nec Corp 量子井戸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ならびに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20080060638A (ko) * 2006-12-27 2008-07-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우물의 전기장 조절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843B2 (ja) * 1996-09-06 2005-08-31 株式会社東芝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GB2327145A (en) * 1997-07-10 1999-01-13 Sharp Kk Graded layers in an optoelectronic semiconductor device
JPH11340559A (ja) 1998-05-22 1999-12-10 Hitachi Ltd 半導体発光素子
JP3505405B2 (ja) * 1998-10-22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08875A (ja) 1999-01-14 2000-07-28 Fujitsu Ltd 多重量子井戸構造半導体発光素子
JP3460641B2 (ja) 1999-09-28 2003-10-2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素子
US6803596B2 (en) * 1999-12-27 2004-10-12 Sanyo Electric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DE60129227T2 (de) * 2000-06-08 2008-03-13 Nichia Corp., Anan Halbleiterlaser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2319702A (ja) * 2001-04-19 2002-10-31 Sony Corp 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窒化物半導体素子
US6649942B2 (en) * 2001-05-23 2003-11-18 Sanyo Electric Co., Ltd.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6697413B2 (en) * 2001-10-31 2004-02-24 Applied Optoelectronics, Inc. Tunable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with tuning junction
US7042921B2 (en) * 2003-07-11 2006-05-09 Emcore Corporation Complex coupled single mode laser with dual active region
US7846757B2 (en) * 2005-06-01 2010-1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echnique for the growth and fabrication of semipolar (Ga,A1,In,B)N thin films, heterostructures, and devices
US7504274B2 (en) * 2004-05-10 2009-03-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abrication of nonpolar indium gallium nitride thin films, heterostructures and devices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JP2006310488A (ja) 2005-04-27 2006-11-09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417258B2 (en) * 2005-04-28 2008-08-26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JP2006332258A (ja) * 2005-05-25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窒化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305965A (ja) * 2006-04-14 2007-11-22 Toyoda Gosei Co Ltd 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101636182B1 (ko) * 2010-02-24 2016-07-04 고쿠리쓰 겐큐 가이하쓰 호징 리가가쿠 겐큐소 질화물 반도체 다중 양자 장벽을 갖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558A (ja) * 1994-10-07 1996-04-30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素子
JP2000332364A (ja) * 1999-05-17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窒化物半導体素子
JP2003229645A (ja) * 2002-01-31 2003-08-15 Nec Corp 量子井戸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素子ならびに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20080060638A (ko) * 2006-12-27 2008-07-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우물의 전기장 조절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광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6098B2 (en) 2015-10-20
JP5229566B2 (ja) 2013-07-03
JP2010028072A (ja) 2010-02-04
KR20100010364A (ko) 2010-02-01
US20100019223A1 (en)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23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9991424B2 (en)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049995B2 (en) High-efficiency long-wavelength light-emitting device
KR100576870B1 (ko)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제조방법
US8513694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vice
KR101007136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100947676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20140191192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20070122994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US20130087765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228747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8030680B2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87697A1 (en) Nitride based MQW light emitting diode having carrier supply layer
KR20130066870A (ko) 반도체 발광소자
US8053794B2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30058406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20110090118A (ko) 반도체 발광소자
KR101008588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7253451B2 (en) III-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90133417A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5236B1 (ko) 반사 전극 형성을 위한 콘택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CN108574027B (zh) 氮化镓基led芯片及制造方法
KR102459379B1 (ko) 고효율 장파장 발광 소자
JP4229625B2 (ja) 窒化物半導体層とそれを含む窒化物半導体素子
JP6482388B2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