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427B1 -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427B1
KR101479427B1 KR20130137012A KR20130137012A KR101479427B1 KR 101479427 B1 KR101479427 B1 KR 101479427B1 KR 20130137012 A KR20130137012 A KR 20130137012A KR 20130137012 A KR20130137012 A KR 20130137012A KR 101479427 B1 KR101479427 B1 KR 10147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differential
guide plate
air guide
automobi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438A (ko
Inventor
올리버 피셔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6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5Air cooling or ventilation; Heat exchangers; Thermal insulations
    • F16H57/0416Air cooling or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2Streamlining the under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액슬 디퍼렌셜(1)의 최적의 냉각을 보장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흐름 저항 계수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하여,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이 공기 안내판(5)의 조정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액슬 디퍼렌셜(1)에 공기 안내판(5)이 체결되도록 제안된다. 여기서,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을 따르며,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공기 흐름(S1)은 액슬 디퍼렌셜(1)로 안내된다.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로 공기 흐름(S)이 안내되지 않고,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공기 흐름(S)은 액슬 디퍼렌셜(1)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어서, 액슬 디퍼렌셜(1)에 부압이 발생하고 공기 흐름(S2)의 형태로 액슬 디퍼렌셜(1)의 환기가 구현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AN AXLE DIFFERENTIAL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하부의 공기 흐름(air stream)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때 자동차의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이 구비된다.
문헌 DE 44 29 924 A1호에는 자동차의 바닥하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바닥하부 구조는 자동차의 바닥 밑에서의 공기 저항이 감소되며 변속기와 같은 열 방출 부품을 위한 냉각 성능이 향상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이미 공지된 바닥하부 구조는 하부측 커버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고압 영역이 하부 방향으로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이미 공지된 바닥하부 구조의 경우, 공기 흐름은 자동차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측을 따라 흐르고 리어 액슬 변속기의 냉각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공지된 바닥하부 구조의 단점은, 차량 하부의 흐름의 모든 변화가 흐름 저항 계수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자동차의 흐름 저항 계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문헌 KR 10-0821141 B1호에는 리어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 안내판이 개시되어 있다. 이미 공지된 공기 안내판은 스프링에 의해 고정된다. 상승된 차량 속도에서, 상대풍은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이미 공지된 공기 안내판을 하방으로 밀며, 이는 리어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을 일으킨다. 따라서, 일정 차량 속도에 도달하면, 공기 안내판은 하방으로 밀어내어지고 흐름 저항 계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는 특히 상승된 차량 속도에서 덜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언급된 단점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특히 가능한 한 낮은 흐름 저항 계수에 비해 액슬 디퍼렌셜의 최적의 냉각이라는 상충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개선예를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6항의 특징들을 가지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여기서, 액슬 디퍼렌셜의 고유한 운동이 공기 안내판의 조정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공기 안내판이 액슬 디퍼렌셜에 체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공기 안내판이 액슬 디퍼렌셜의 하우징에 체결됨으로써, 공기 안내판은 액슬 디퍼렌셜의 고유한 운동을 따른다. 상기 액슬 디퍼렌셜은 공기 안내판에 의해 차량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액슬 디퍼렌셜 쪽으로 또는 액슬 디퍼렌셜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한다. 액슬 디퍼렌셜의 고유한 운동의 결과 공기 안내판은,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는 액슬 디퍼렌셜로 공기 흐름을 안내하고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는 액슬 디퍼렌셜로 공기 흐름을 안내하지 않도록, 공기 안내판이 액슬 디퍼렌셜의 하우징에 체결된다. 자동차가 가속중일 때 공기 안내판은 공기 흐름을 액슬 디퍼렌셜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슬 디퍼렌셜에 부압이 생성되고, 액슬 디퍼렌셜이 환기된다. 상기 기술된 방안에 의해, 액슬 디퍼렌셜의 통기 및 환기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cd(coefficient of drag)값으로도 알려진 흐름 저항 계수가 최적이 된다. 본 발명의 대상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안내판은 유동 핀(flow fin)을 구비한다.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때 흐름 저항 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동 핀은 공기 안내판의 하부측 및/또는 상부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주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은 액슬 디퍼렌셜에 가해진 기계적 하중이 흡수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명시된 과제는 또한 일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공기 안내판이 액슬 디퍼렌셜에 체결됨으로써, 공기 안내판은 액슬 디퍼렌셜의 고유한 운동을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서,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로 공기 흐름이 안내되고,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로 공기 흐름이 안내되지 않는다는 것이 제공된다. 더욱이, 자동차가 가속중일 때, 공기 흐름은 액슬 디퍼렌셜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어 액슬 디퍼렌셜에서 부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구동 샤프트 및 바닥하부 라이닝을 구비한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개략도.
도 2는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도 1에 상응하는 개략도.
도 3은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도 1에 상응하는 개략도.
도 1은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는 자동차의 피동 리어 액슬의 액슬 디퍼렌셜이다. 액슬 디퍼렌셜(1)은, 이 경우 카르단 샤프트 형태인 구동 샤프트(2)에 의해 구동된다. 도시되지 않은 구동 엔진의 구동력은 구동 샤프트(2)를 지나 액슬 디퍼렌셜(1)로 전달된다. 거기에서 본 도면에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부호 "3"으로 표시된 리어 휠이 구동된다. 자동차 하부에는 리어 휠(3)의 전방과 리어 휠(3)의 후방에 배치된 바닥하부 라이닝(4)이 구비된다. 자동차가 주행 중일 때 발생되는 공기 흐름이 도 1에서 차량 하부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공기 흐름의 화살표는 도면부호 "S"로 표시되어 있다. 상응하는 주행 상황에서, 액슬 디퍼렌셜(1)은 표시된 축(6)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하기에서 도 2 및 도 3을 바탕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슬 디퍼렌셜(1)은 상기 축(6)을 중심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액슬 디퍼렌셜(1)의 움직임은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은, 액슬 디퍼렌셜의 고유한 운동을 이용함으로써 요구조건에 따른 액슬 디퍼렌셜의 통기 및 환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이 공기 안내판의 조정을 일으키도록 액슬 디퍼렌셜(1)에 공기 안내판(5)이 체결되어 있다. 도 1은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인 상황을 도시하고,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는 동안 액슬 디퍼렌셜(1)은 수평으로 위치한다. 액슬 디퍼렌셜에 연결된 공기 안내판(5)도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위치한다. 바닥하부에서의 흐름은 자동차 하부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이는 낮은 공기 저항을 위해서 공기 안내판에 최적인 위치이다. 공기 안내판(5)이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흐름 저항 계수는 최적을 이룬다.
도 2는 제동 중 자동차의 구동 상황을 도시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은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그 결과, 공기 안내판(5)은 전방에서 아래쪽으로 눌린다. 액슬 디퍼렌셜(1)이 표시된 축(6)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 결과, 공기 안내판(5)은 도 2에서 좌측의 하방으로 움직이고, 이러한 단부는 차량의 전방부 방향으로 위치한다. 액슬 디퍼렌셜(1) 전방의 공기 안내판(5)이 개방된 결과, 바닥하부에서의 흐름(S)은 공기 흐름(S1)이 액슬 디퍼렌셜(1)로 안내되도록 변화된다. 액슬 디퍼렌셜(1)의 하우징(7)과 함께 공기 안내판(5)이 기울어짐으로써, 바닥하부에서의 흐름에 의해 액슬 디퍼렌셜(1) 통기가 이루어진다. 액슬 디퍼렌셜(1)이 통기된 결과, 액셜 디퍼렌셜(1)은 냉각된다.
도 3은 자동차의 가속을 도시한다. 여기서, 액슬 디퍼렌셜(1)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제동과 정확히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안내판(5)은 반대 방향, 즉 도면에서 우측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공기 또는 공기 흐름(S)의 성분이 액슬 디퍼렌셜(1)로 안내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공기 안내판(5)이 기울어진 결과 부압이 발생된다. 상기 부압은 액슬 디퍼렌셜(1) 주위의 영역이 환기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 주위의 공기 흐름의 결과, 마찬가지로 부압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자동차 내부는 환기가 구현되도록 설계된 슬라이딩 루프의 효과와 유사하다. 도 3에서, 이러한 환기는 공기 흐름(S2)으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의 환기를 위한 공기 안내판(5)의 기울기는, 바닥하부의 흐름에 아주 작은 영향을 미칠 뿐이다. 따라서, 특히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흐름 저항 계수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공기 안내판이 기울어진 결과로 흐름 저항 계수가 영향을 받는다. 흐름 저항 계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더 커진다. 그러나 제동 중 흐름 저항 계수의 증가는 허용 가능하거나 심지어는 바람직하다.
또한 액슬 디퍼렌셜(1)에 공기 안내판(5)이 체결되면,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이 공기 안내판(5)의 조정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 분명하다. 도 1 내지 도 3을 바탕으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의 결과, 공기 안내판(5)은 공기 흐름(S1)을 액슬 디퍼렌셜(1)로 안내하고 그로 인해 액슬 디퍼렌셜을 냉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때 공기 안내판(5)은 수평으로 위치하고, 자동차의 공기 저항 또는 자동차의 흐름 저항 계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도 3을 바탕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S)은 액슬 디퍼렌셜(1)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어서, 액슬 디퍼렌셜(1)에 부압이 발생하고 공기 흐름(S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슬 디퍼렌셜(1)은 환기된다. 그러므로 이때 자동차의 흐름 저항 계수는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서, 액슬 디퍼렌셜(1)의 효과적인 통기 및 환기는 상기의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자동차의 흐름 저항 계수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상에 대한 일 개선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공기 안내판(5)에 유동 핀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흐름 저항 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동 핀은 공기 안내판(5)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유동 핀은 공기 안내판(5)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공기 안내판(5)의 하부측에 부착된 유동 핀은 냉각 몸체를 확대함으로써, 기술된 구동 상황들 전부에서 액슬 디퍼렌셜(1)의 냉각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공기 안내판(5)의 하부측에 유동 핀이 배치된 경우, 종종 지상고(ground clearance)와 관련하여 문제가 발생한다.
유동 핀이 공기 안내판(5)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냉각 몸체가 확대된 결과 액슬 디퍼렌셜(1)의 냉각이 개선된다. 그러나 상기 유동 핀으로 인한 냉각 개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슬 디퍼렌셜(1)의 통기 중에만 효과적이다.
더욱이,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에 가해진 충돌 또는 충격과 같은 기계적 하중이 흡수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개념은, 공기 안내판(5)이 액슬 디퍼렌셜(1)에 체결됨으로써 공기 안내판(5)이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을 따른다는 것이다. 여기서,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을 이용하여 액슬 디퍼렌셜(1)의 냉각을 보장하는 동시에 최적의 흐름 저항 계수(cd값)를 얻는다.

Claims (7)

  1. 자동차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5)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1)의 냉각 장치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이 공기 안내판(5)의 조정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액슬 디퍼렌셜(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의 하우징(7)에 체결되어 있고,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에 의해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로 공기 흐름(S)을 안내하고,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로 공기 흐름(S)을 안내하지 않으며,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공기 흐름(S)을 액슬 디퍼렌셜(1)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하여, 액슬 디퍼렌셜(1)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5)은 유동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흐름 저항 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동 핀은 공기 안내판(5)의 하부측, 또는 상부측, 또는 하부측과 상부측 모두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에 가해진 기계적 작용이 흡수되거나 부분적으로 흡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6. 자동차 하부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판(5)이 구비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1)의 냉각 방법에 있어서,
    공기 안내판(5)이 액슬 디퍼렌셜(1)에 체결됨으로써 공기 안내판(5)은 액슬 디퍼렌셜(1)의 고유한 운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자동차가 제동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로 공기 흐름(S)이 안내되고, 자동차가 일정한 속도로 주행 중일 때 액슬 디퍼렌셜(1)로 공기 흐름(S)이 안내되지 않으며, 자동차가 가속 중일 때 공기 흐름(S)이 액슬 디퍼렌셜(1)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어, 액슬 디퍼렌셜(1)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방법.
KR20130137012A 2012-11-15 2013-11-12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1479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11017.4 2012-11-15
DE102012111017.4A DE102012111017A1 (de) 2012-11-15 2012-11-1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ühlung eines Achsdifferentials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438A KR20140063438A (ko) 2014-05-27
KR101479427B1 true KR101479427B1 (ko) 2015-01-05

Family

ID=5055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7012A KR101479427B1 (ko) 2012-11-15 2013-11-12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2996B2 (ko)
KR (1) KR101479427B1 (ko)
CN (1) CN103821917B (ko)
BR (1) BR102013029051A2 (ko)
DE (1) DE102012111017A1 (ko)
RU (1) RU254268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4087C2 (ru) * 2016-02-29 2020-06-19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ияния на течение воздуха в моторном отсеке автомобиля
DE102017123629B4 (de) * 2017-10-11 2021-04-0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aus einem Getriebeaggregat und einer Luftieitvorrichtung
DE102018108004A1 (de) * 2018-04-05 2019-10-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9281A1 (de) * 1993-06-10 1994-12-15 Daimler Benz Ag Plattenförmiges Verkleidungsteil und damit ausgerüstetes Kraftfahrzeug
DE4429924A1 (de) * 1993-08-23 1995-03-02 Nissan Motor Unterbodenstruktur für Automobile
DE19904515A1 (de) * 1999-02-04 2000-08-17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temperaturbelasteten Aggregates
DE10350375A1 (de) * 2003-10-28 2005-06-02 Volkswag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ühlung des Achsdifferenzials einer Kfz-Antriebsach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384A (en) * 1997-04-28 1999-07-27 Waldner, Jr.; Craig 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lubricants
JPH11208300A (ja) * 1998-01-26 1999-08-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駆動式アクスルの冷却構造
US6036615A (en) * 1999-01-28 2000-03-14 Dana Corporation Forced convection axle cooling
KR100821141B1 (ko) 2006-10-31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액슬의 냉각성 향상을 위한 가변형 냉각장치
DE102008009523A1 (de) 2008-02-16 2009-08-2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konvektiven Kühlung einer Antriebsstrang-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61540A1 (de) * 2008-12-03 2010-06-10 Dr.Ing.H.C.F.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konvektiven Kühlung einer Antriebsstrang-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9043101B4 (de) * 2009-09-26 2021-09-3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Luftführung von Kühllu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9281A1 (de) * 1993-06-10 1994-12-15 Daimler Benz Ag Plattenförmiges Verkleidungsteil und damit ausgerüstetes Kraftfahrzeug
DE4429924A1 (de) * 1993-08-23 1995-03-02 Nissan Motor Unterbodenstruktur für Automobile
DE19904515A1 (de) * 1999-02-04 2000-08-17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temperaturbelasteten Aggregates
DE10350375A1 (de) * 2003-10-28 2005-06-02 Volkswag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ühlung des Achsdifferenzials einer Kfz-Antriebsach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3029051A2 (pt) 2014-10-21
US20140135163A1 (en) 2014-05-15
DE102012111017A1 (de) 2014-05-15
RU2542682C1 (ru) 2015-02-20
KR20140063438A (ko) 2014-05-27
CN103821917A (zh) 2014-05-28
CN103821917B (zh) 2017-04-12
US9382996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735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스포일러 장치
GB2520888B (en) Devices for controlling the downforce generated by a vehicle
US20150225026A1 (en) Front air-flow streamlining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JP4945778B2 (ja) 自動車
KR101479427B1 (ko) 자동차의 액슬 디퍼렌셜의 냉각 장치 및 방법
US10086885B2 (en) Underbody air spat
US10167915B2 (en) Active brake cooling ducts
KR101501289B1 (ko) 자동차의 후방부
US9994267B1 (en) Active side-skirts for a motor vehicle
US8016070B2 (en) Powertrain
JP6416651B2 (ja) 車両のシャッタ開閉制御装置
CN113998017A (zh) 底罩构造
JP2014084035A (ja) サイドシル装着部材
JP5067334B2 (ja) 車体前部の導風構造
JP2015105051A (ja) 車両用冷却装置
WO2011101952A1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支持構造及び車両
CN113998016A (zh) 底罩构造
EP2282908B1 (en) Arrangement for cooling an area behind a vehicle engine
JP7442416B2 (ja) 車両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220243397U (zh) 一种导流装置及车辆
US11214124B2 (en) Extrac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220096487U (zh) 一种车辆的前部结构和车辆
KR100757171B1 (ko) 자동차용 허브 어셈블리 장치
JP2021095070A (ja)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2006297985A (ja) 駆動力伝達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