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689B1 -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689B1
KR101476689B1 KR1020130124466A KR20130124466A KR101476689B1 KR 101476689 B1 KR101476689 B1 KR 101476689B1 KR 1020130124466 A KR1020130124466 A KR 1020130124466A KR 20130124466 A KR20130124466 A KR 20130124466A KR 101476689 B1 KR101476689 B1 KR 10147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emi
finished product
injection
interference f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돈
안창기
정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3012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29C44/428Mould constructions; Mould suppor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18Sealing means between mould an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601/00 - B29K2709/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11/14Wood, e.g. woodboard or fibre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지 사출물을 이용하여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을 마감처리함에 있어서, 에지 사출물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다 간편하게 마감처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Molding sub-component for parting lineless wood material goods and Mold apparatus using same that and Method for making it}
본 발명은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을 감싸는 에지 사출물이 결합된 목재품을 제작할 때,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의 형합에 따른 파팅라인이 목재품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품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목재품을 제단한 후 사용자가 사용시 상해를 입지 않도록 테두리 부분을 마감처리하는 공정을 수반한다.
마감처리 공정은, 목재품의 테두리 부분을 부드러운 재질이거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미려하는 동시에, 특히 목재품이 가진 다소 부정적인 질감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또한, 마감처리 공정은,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탄성력 있는 질감을 사용자에게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처리 공정은, 일반적으로 목재품 제작시 목재반제품(PB, Paticle Board)에 HPM(High Pressure Melamine)이나 LPM(Low Pressure Melamine) 등 수지로 함침된 표면제를 접착한 후 에지 부분을 PVC, PP, ABS 등의 플라스틱 압출물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착에 필요한 설비로는, 직선 부분의 경우 에지밴더를 이용하며, 곡선부분은 곡면에지밴더 또는 고가의 머시닝센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목재품의 마감처리 공정은 복잡한 공정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가 동원되는 등 설비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마감처리하는 에지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사용자의 사용시 부주의로 인한 상해의 요소가 되었다.
한편, 기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0422648호는 마감처리 공정을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마감처리 공정을 수행할 경우 하형과 상형의 합형 부분에 의하여 마감처리 부분에 파팅라인이 발생되는데, 기등록특허는 이와 같은 파팅라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코어를 금형장치에 구비하여야 하는 바, 금형장치의 제작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등록 제10-0422648호(2004.03.0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을 감싸는 에지 사출물이 결합된 목재품을 제작할 때, 금형의 하형 및 상형의 형합에 따른 파팅라인이 목재품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금형 보조물,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금형장치 및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형틀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 및 상기 하형의 상부를 덮는 상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파팅라인리스 목재품을 제조하기 위한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금형 보조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금형장치에 상기 목재반제품과 함께 삽입되거나, 상기 목재반제품이 삽입되기 전 상기 금형장치에 미리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타면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하형 및 상기 상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억지끼움되는 억지끼움 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억지끼움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억지끼움 형상부는, 단차지게 형성된 상기 억지끼움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억지끼움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억지끼움 형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억지끼움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면부에 형틀이 형성된 하형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 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하형과 합형되거나 이형되는 상형과;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된 후 상기 형틀에 상기 목재반제품과 함께 삽입되거나, 상기 목재반제품이 삽입되기 전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금형장치에 미리 삽입 설치된 금형 보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형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링크 회동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금형 보조물의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를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와; 상기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에 의하여 상기 성형 공간이 형성된 상기 목재반제품을 하형 및 상형 사이에 형성된 형틀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와; 상기 사출 준비 단계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목재반제품의 상기 성형 공간으로 우레탄 사출물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하형 및 상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금형 보조물을 억지끼움 결합시키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와; 상기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에 의하여 상기 금형 보조물이 상기 형틀에 끼움된 상태에서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 상기 금형 보조물 사이에 성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목재반제품을 상기 형틀에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와; 상기 사출 준비 단계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목재반제품의 상기 성형 공간으로 우레탄 사출물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에 에지 사출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기존의 고정된 하형 및 상형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목재품을 제작할 수 있어 투자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에 금형 보조물을 결합시킨 후 금형장치에 삽입하는 경우, 수작업을 통해 용이하게 금형 보조물을 목재반제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금형 보조물의 수명이 다한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금형장치에 금형 보조물을 미리 삽입한 상태에서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을 삽입하는 경우, 자동화 공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체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목재반제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금형 보조물의 제1실시예로써 금형 보조물이 금형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금형 보조물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로써 금형 보조물이 금형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에지 사출물에 해당하는 우레탄 사출물이 결합된 상태의 목재품의 테두리 부분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이 결합된 상태의 목재반제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형틀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120) 및 상기 하형(120)의 상부를 덮는 상형(130)을 포함하는 금형장치(100)를 이용하여 파팅라인리스 목재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보조물(S)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형 보조물(S)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P)의 에지 부분에 해당하는 테두리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에지 사출물(U)인 우레탄 사출물(U)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U)이 형성되고, 상기 금형장치(100)에 목재반제품(P)과 함께 삽입되거나, 목재반제품(P)이 삽입되기 전 금형장치(100)에 미리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에지 부분’이라 함은 목재반제품(P)의 외곽을 이루는 각이 진 부분 전부를 일컫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특히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성형 공간(U)과, 이에 성형되는 에지 사출물은 동일한 도면기호 “U”로 표시되는 바, 이는 모두 우레탄 사출물(U)의 주입 결과에 따른 결과물이거나 그 과정상 사용되는 용어이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에지 사출물(U)은, 에지 부분을 감싸거나 에지 부분에 결합됨으로써 목재반제품(P)의 에지 부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구성이라면 여하한 구성으로 채택되어도 무방하다. 에지 사출물(U)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레탄 사출물(U)과 같이 몰딩 재료가 최종적으로 발포 및 고형화되어 생성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우레탄 사출물(U)은 통상 액상 재질 또는 반액상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금형 보조물(S)의 제1실시예로써, 금형 보조물(S)이 금형장치(10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면부에 형틀이 형성된 하형(120)과,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 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하형(120)과 합형되거나 이형되는 상형(130)과, 상술한 금형 보조물(S)을 포함한다.
하형(120)에 형성된 형틀은 금형 보조물(S)의 외형 중 하단부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형(130)에도 형틀의 일부 형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금형 보조물(S)의 외형 중 상단부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금형 보조물(S)의 외형과, 금형 보조물(S)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목재반제품(P)의 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형틀은 상술한 우레탄 사출물(U)을 주입하여 에지 사출물(U)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 바, 에지 사출물(U)이 형성되는 부분에 한정하여 소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형(13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링크 회동 기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 회동 기구(140)는, 링크 부재(141)로 본체부(110)와 상형(130)을 연결하고, 유압력 또는 전동력으로 작동하여 상형(130)을 하형(120)과 합형되도록 하거나 하형(120)으로부터 이형되도록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형(130)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에 고정된 힌지 연결단(143)에 힌지(144)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링크 회동 기구(140)의 링크부재(141)도 상형(130)에 형성된 힌지 연결단(14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금형 보조물(S)은, 도 3 내지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S01,S11,S21)(도면상 상형(130)과 형합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와,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의 타면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S03,S13,S23)(도면상 하형(120)과 형합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와,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되,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성형 공간(U)을 형성하는 형상부(S02,S12,S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부(S01,S11,S21)와 제2안착부(S03,S13,S23) 및 형상부(S02,S12,S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명칭을 구분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 명확하게 각 구성의 부분이 물리적으로 구획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기능적으로 각각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해하면 족하다.
한편, 제1안착부(S01,S11,S21)와 제2안착부(S03,S13,S23) 및 형상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형상 변형 및 제작이 용이하고 탄성력에 의하여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는 실리콘 재질로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억지끼움부(123A,123B)에 억지 끼움될 수 있는 정도의 성질을 가진 것이라면 여하한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금형 보조물(S)이 탄성력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 제1안착부(S01,S11,S21)와 상기 제2안착부(S03,S13,S23)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P)의 일면 및 타면에 결합될 때, 가고정의 방식으로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안착부(S01,S11,S21) 및 제2안착부(S03,S13,S23)의 이격된 거리가 목재반제품(P)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안착부(S01,S11,S21) 및 제2안착부(S03,S13,S23)를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시킬 때 작업자가 제1안착부(S01,S11,S21) 및 제2안착부(S03,S13,S23)를 각각 이격되도록 벌리는 동작으로 형상 변형시켜서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끼움 결합시킨 후 원래의 위치로 탄성력을 가진 채로 복원되면서 보다 견고한 밀착력으로 가고정시키기 위한 조건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적어도 제1안착부(S01,S11,S21)와 제2안착부(S03,S13,S23)는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S)은, 그 실시예에 따라 목재반제품(P)을 금형 장치(100)에 삽입 설치하기 전에 미리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시킬 수 있고, 혹은 금형 보조물(S)이 금형 장치(100)에 미리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장치(100)에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금형장치(100)에 목재반제품(P)을 삽입하기 전에 미리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금형 보조물(S)을 가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금형 보조물(S)이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가고정된 상태에서 목재반제품(P)을 금형장치(100)로 이동시켜 상술한 형틀에 맞춤시켜 설치하면 에지 사출물(U)의 제작을 위한 우레탄 사출물(U)이 주입될 수 있는 상태의 전단계의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처럼, 미리 금형 보조물(S)을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가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우레탄 사출물(U)의 주입하고 탈형 과정이 완료된 후, 수작업을 통해 용이하게 금형 보조물(S)을 목재반제품(P)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금형 보조물(S)의 수명이 다한 경우 교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금형 보조물(S)이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미리 가고정될 경우, 고정된 부분의 결합력이 목재반제품(P)의 이동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최종적으로 상술한 성형 공간(U)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금형장치(100)에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S11,S21) 및 제2안착부(S13,S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에는, 금형장치(100)의 하형(120) 및 상형(130) 중 어느 하나에 억지끼움되도록 형성된 억지끼움부(123A,123B)에 억지끼움되는 억지끼움 형상부(121A,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억지끼움부(123A,123B)는 가능한 한 고정된 상태이어야 하므로, 고정된 하형(1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억지끼움부(123A)는 도 4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금형 보조물(S)에 형성된 억지끼움 형상부(121A)는 단차지게 형성된 억지끼움부(123A)에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우레탄 사출물(U)이 단차진 부분에 의해 틈새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므로, 에지 사출물(U)의 고형화 후 탈형하는 과정에서 에지 사출물(U)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탈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억지끼움부(123A,123B)가 도 4a에 참조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고,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억지끼움 형상부(121B) 또한 라운드지게 형성된 억지끼움부(123B)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억지끼움 형상부(121B)가 단차지게 형성되지 않고 라운드지게 형성된 점에서 하형(120)의 억지끼움부(123B)에 끼움 결합시키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에 따르면, 전과정을 자동화 생산 라인을 구축하여 제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자동화 생산 라인을 이용하면, 미리 금형 보조물(S)을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에 가고정시킨 후, 금형장치(100)에 삽입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성형 공간(U)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수작업을 통해 금형 보조물(S)을 목재반제품(P)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에지 사출물(U)에 해당하는 우레탄 사출물(U)이 결합된 상태의 목재품(200)의 테두리 부분의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따르면, 금형 보조물(S)에 의하여 형성된 성형 공간(U)의 형상은 모두 상이하지만, 성형 공간(U)에 주입되는 에지 사출물(U)이 고형화된 후의 최종 목재품(200)의 외형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목재품(2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감성품질을 고려하여 에지 사출물(U)의 최종적인 외형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에지 부분의 형상과의 관계에서 에지 사출물(U)의 두께 등 내부 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고려되어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재반제품(P)의 상면에 해당하는 에지 부분의 절반 가까이 절개되는 에지 형상(P10)일 경우, 이에 결합되는 에지 사출물(U)의 상단부(U10B) 또한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재반제품(P)의 상면에 해당하는 에지 부분의 얇은 부분만이 절개되는 에지 형상(P20)일 경우, 이에 결합되는 에지 사출물(U)의 상단부(U20B) 또한 얇게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5a 및 도 5b의 에지 사출물(U)은 각각 그 하단부(U10A,U20A) 또한 목재반제품(P)의 에지 부분에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목재반제품(P)의 하단부를 어느 정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5c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목재반제품(P)의 상면 및 목재반제품(P)의 하면에 해당하는 에지 부분(P30B,P30A)의 절개된 부분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이에 결합되는 에지 사출물(U)의 상단부(U30B) 및 하단부(U30A) 또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 상이한 형상을 가진 목재반제품(P)의 에지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에지 사출물(U)을 설계함으로써, 에지 사출물(U)의 두께의 상이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목재품(200)의 테두리 질감을 개선시키고, 사용자의 감성품질에 맞는 적극적인 맞춤 설계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금형 보조물(S)의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금형 보조물(S)을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를 안착시키면서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U)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U)을 형성하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STEP1)와,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STEP1)에 의하여 성형 공간(U)이 형성된 목재반제품(P)을 하형(120) 및 상형(130) 사이에 형성된 형틀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STEP2)와, 사출 준비 단계(STEP2)에 의하여 안착된 목재반제품(P)의 성형 공간(U)으로 우레탄 사출물(U)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STEP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금형 보조물(S)을 금형장치(100)에 삽입 설치하기 전에 미리 목재반제품(P)의 에지 부분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분에 가고정시킨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하형(120) 및 상형(1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금형 보조물(S)을 억지끼움 결합시키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STEP1)와,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STEP1)에 의하여 금형 보조물(S)이 형틀에 끼움된 상태에서 목재반제품(P)의 테두리와 금형 보조물(S) 사이에 성형 공간(U)이 형성되도록 목재반제품(P)을 형틀에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STEP2)와, 사출 준비 단계(STEP2)에 의하여 안착된 목재반제품(P)의 성형 공간(U)으로 우레탄 사출물(U)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STEP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목재반제품(P)을 금형장치(100)에 삽입 설치하기 전에 미리 금형 보조물(S)의 억지끼움 형상부를 억지끼움부에 끼움 결합시키는 실시예를 적용한 제조방법에 해당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 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P: 목재반제품 S,S1,S2: 금형 보조물
U: 성형 공간, 에지 사출물, 우레탄 사출물
L: 파팅라인 100: 금형장치
110: 본체 120: 하형
130: 상형 140: 링크 회동 기구
STEP1: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
STEP2: 사출 준비 단계 STEP3: 사출 단계

Claims (10)

  1. 형틀이 상부면에 형성된 하형 및 상기 하형의 상부를 덮는 상형을 포함하는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파팅라인리스 목재품을 제조하기 위한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에 있어서,
    상기 금형 보조물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에지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금형장치에 상기 목재반제품과 함께 삽입되거나, 상기 목재반제품이 삽입되기 전 상기 금형장치에 미리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타면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하형 및 상기 상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억지끼움되는 억지끼움 형상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억지끼움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억지끼움 형상부는, 단차지게 형성된 상기 억지끼움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억지끼움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억지끼움 형상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억지끼움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7.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면부에 형틀이 형성된 하형과;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 각도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하형과 합형되거나 이형되는 상형과;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된 후 상기 형틀에 상기 목재반제품과 함께 삽입되거나, 상기 목재반제품이 삽입되기 전 상기 성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형 및 상기 상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미리 삽입 설치된 금형 보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형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링크 회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장치.
  9. 금형 보조물의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를 소정의 두께를 가진 목재반제품의 테두리 부분의 일면 및 타면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의 사이에 우레탄 사출물이 주입되는 성형 공간을 형성하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와;
    상기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에 의하여 상기 성형 공간이 형성된 상기 목재반제품을 하형 및 상형 사이에 형성된 형틀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와;
    상기 사출 준비 단계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목재반제품의 상기 성형 공간으로 우레탄 사출물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 방법.
  10. 하형 및 상형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억지끼움부에 금형 보조물을 억지끼움 결합시키는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와;
    상기 금형 보조물 결합 단계에 의하여 상기 금형 보조물이 상기 하형에 형성된 형틀에 끼움된 상태에서 목재반제품의 테두리와 상기 금형 보조물 사이에 성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목재반제품을 상기 형틀에 안착시키는 사출 준비 단계와;
    상기 사출 준비 단계에 의하여 안착된 상기 목재반제품의 상기 성형 공간으로 우레탄 사출물을 주입하여 발포 성형하는 사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 방법.
KR1020130124466A 2013-10-18 2013-10-18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66A KR101476689B1 (ko) 2013-10-18 2013-10-18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66A KR101476689B1 (ko) 2013-10-18 2013-10-18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689B1 true KR101476689B1 (ko) 2014-12-29

Family

ID=5267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66A KR101476689B1 (ko) 2013-10-18 2013-10-18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6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852A (en) * 1988-11-09 1991-12-03 Societa Italiana Vetro - Siv - S.P.A.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 sealing gasket on the rim of a sheet of glass
JP2004291329A (ja) * 2003-03-26 2004-10-21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装置
WO2006120743A1 (ja) * 2005-05-12 2006-11-16 Kakihara Kogyo Co., Ltd 加熱処理を施した樹脂成形品及びその加熱処理装置
US20070196626A1 (en) * 2006-02-06 2007-08-23 Summerer Franz J Multi-component molded plastic pa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9852A (en) * 1988-11-09 1991-12-03 Societa Italiana Vetro - Siv - S.P.A.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a sealing gasket on the rim of a sheet of glass
JP2004291329A (ja) * 2003-03-26 2004-10-21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装置
WO2006120743A1 (ja) * 2005-05-12 2006-11-16 Kakihara Kogyo Co., Ltd 加熱処理を施した樹脂成形品及びその加熱処理装置
US20070196626A1 (en) * 2006-02-06 2007-08-23 Summerer Franz J Multi-component molded plastic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02021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6849225B1 (en) Method of producing a plastic moulded part including an external covering
CN108700754A (zh) 用于制造包括刚性金属主体部和聚合物材料外涂层的物体的方法以及由此获得的物体
KR101476689B1 (ko) 파팅라인리스 목재품 제조용 금형 보조물, 금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71434B1 (ko) 천연소재 표면의 사출성형물 제조방법
CN106696312A (zh) 复合板材埋入成型工艺、复合板材及成型铣刀
JP3039755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20230020686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장치 및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방법
KR101755834B1 (ko) Tom 공법을 응용한 원단 감싸기 공법
KR20190094344A (ko) 실질적으로 심리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폴트리스 셸을 갖는 통합형 물품 및 이의 제조
CN218785748U (zh) 一种改善射频电缆组件注塑质量的高压注塑模具
KR102173024B1 (ko) 차량용 도어 스텝의 제조방법
JP2000127200A (ja) 表皮材の部分加飾一体成形品、その部分加飾一体成形品用金型、および表皮材の部分加飾成形方法
JP3188345B2 (ja) 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S5957730A (ja) 車両用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JPS63212521A (ja) 積層成形品
KR20230020685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용 프레스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KR20170037731A (ko) 자개를 구비한 사출성형물 제조방법
KR20230020684A (ko) 리얼우드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크래쉬 패드 프레스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 방법
TWI652159B (zh) 射出成型方法
KR20030002614A (ko) 스킨 시트 일체형 림 성형공법
JP2515852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60118516A (ko) 금속제 프레임 훅크 돌출 부위 누설 방지 기능을 갖는 성형 금형
JP2003245934A5 (ko)
JP5311617B2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