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105B1 - 굴 분리기 - Google Patents

굴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105B1
KR101474105B1 KR1020130015640A KR20130015640A KR101474105B1 KR 101474105 B1 KR101474105 B1 KR 101474105B1 KR 1020130015640 A KR1020130015640 A KR 1020130015640A KR 20130015640 A KR20130015640 A KR 20130015640A KR 101474105 B1 KR101474105 B1 KR 101474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rotary drum
wing
bundles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411A (ko
Inventor
김정명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정명
김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김홍민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13001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1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세척기의 회전력과 다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인양된 굴 뭉치를 낱개로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써, 인양된 굴을 세척하는 회전하는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 굴 세척기와,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고정축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날개가 결합되어 굴 세척기의 내부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는 굴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굴 뭉치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며,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고, 굴 세척기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동력수단 없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 분리기{Separator machine of Oyster}
본 발명은 굴 세척기의 회전력과 다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인양된 굴 뭉치를 낱개로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 멍게, 미역과 같은 부착성 수산물은 두껍고 길다란 원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많은 수하줄을 연결하고 상기 각각의 수하줄에 종자를 부착하여 허가받은 연안 청정해역의 양식장 수면하에 드리우고 정치시킨 다음 일정기간이 지나 상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후에 인양하여 채취한다.
도 1 과 도 11을 참고하여 인양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땜목위의 크레인이 원줄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땜목 전방의 원줄가이드에 걸치면 수하줄과 이에 연결되어 양식된 다량의 굴은 경사를 가진 콘베이어에 의해 땜목 내측으로 이송되며 작업자가 수하줄을 커팅(cutting)하여 원줄과 분리한다. 이후 굴이 굴 세척기 내부를 통과하며 고압수에 의해 세척과정을 거치고 각각의 이송캐리어에 분배되어 육지의 작업장으로 옮겨진다. 이러한 인양작업을 거친 굴은 다수의 작업자들이 도구를 이용하여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분리 작업을 쉽게 하도록 젊은 작업자들이 뭉쳐져 있는 굴을 발로 밟거나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깨뜨린다.
위 과정은 수하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굴 뭉치를 작은 뭉치로 만듦으로써 알굴과 패각을 분리하는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하줄과 굴의 분리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수하줄과 굴의 분리작업의 주를 이루는 인력이 고령화 되어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2)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과다한 동작을 취해 힘을 가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부상의 위험이 상시 따르며, 지속적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3) 위의 과정으로 분리과정 중 깨지거나 손실되는 굴 중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4) 뭉쳐져 있는 굴은 부피가 크므로 제한된 이송캐리어의 개수에 의해서 인양작업시 많은 양을 선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굴 뭉치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시키는 굴 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굴 세척기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동력수단 없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굴 분리기는, 인양된 굴을 세척하는 회전하는 회전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 굴 세척기와,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고정축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날개가 결합되어 굴 세척기의 내부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는 굴 분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굴 분리부는 상기 굴 세척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고정되어 위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축의 양쪽 또는 한쪽이 굴 세척기 내부에 위치하며 굴을 세척하기 위해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관에 연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굴 세척기 프레임(110,112,114)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는 상기 회전하는 회전드럼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 중심과 0~90도 경사각(C)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과한 노동력과 노동시간을 요구하지 않고 굴 뭉치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고, 깨지는 굴의 양을 줄여 상품화할 수 없는 굴의 양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 세척기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동력수단 없이 연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하므로 별도의 환경적 제약 없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한 형태로 하자발생시 작업자가 직접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굴 세척기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의 또 다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P-P'선에 따른 회전드럼의 단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회전드럼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 중 굴 분리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굴 분리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1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굴 분리기의 설명도-2
본 발명에 따른 굴 분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찹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된 굴 뭉치를 낱개로 분리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굴 세척기(100)와 굴 분리부(200)로 크게 구성된다.
굴 세척기(100)는 인양된 굴 뭉치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진 프레임(110), 회전하는 회전드럼(120), 회전드럼(120)의 내부를 통과하는 굴을 세척하는 물 분사관(1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드럼(120)은 팔각형 기둥을 중심으로 양쪽 끝단에 원기둥이 결합되고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팔각형 기둥은 내부와 외부 공간부가 관통되게 다수의 배출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에는 원형의 회전가이드(1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외주면과 접하여 기어(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부면과 하부면으로 구분되며, 하부면은 지면과 맞닿아 상기 회전드럼(120)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부면은 상기 회전드럼(120)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어져 있으며, 회전드럼(120)이 놓여질 수 있도록 4개의 롤러(150)가 앞 뒤의 회전가이드(124)와 접하게 위치하도록 롤러 지지대(116)가 설치된다. 이렇게 위치한 회전드럼(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단에 모터 지지대(118)와 결합된 유압모터(140)가 동력기어(142)를 회전시켜 회전드럼(120) 외주면의 기어(126)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앞-뒤로는 ‘ㄷ’자 형상의 전방프레임(114)과 후방프레임(112)이 결합되어 있다.
회전하는 상기 회전드럼(120) 내부를 통과하는 굴을 세척하기 위해서 내부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관(130)이 회전드럼(1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물 분사관(130)은 일측단은 밸브(134)가 결합되어있어 물의 분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른 일측단은 폐쇄되어 있어 바닥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물구멍(132)을 통해 물이 분사된다. 상기 물 분사관(130)의 양쪽은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에 영향을 받지 않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프레임(114)과 후방프레임(112)의 상단부에 U형 볼트(152)에 의해서 체결된다.
굴 분리부(200)는 상기 굴 세척기(100)의 회전드럼(120)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낱개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210)과 날개(2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210)은 상기 회전드럼(1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축(210)의 양쪽 끝단에는 축고정판(230)이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드럼(120) 내부에 위치한 물 분사관(130)에 연결 결합된 이송판(240)과 결합된다. 상기 이송판(24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진 ‘L’자 형태로써 휘어짐이나 외력에 강하며, 한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송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구멍과 상기 축고정판(230)은 볼트(80)로 체결되며, 이송구멍의 형상을 따라 축고정판(230)이 상-하 이동 가능함으로써 회전드럼(120) 내부에서 고정축(21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쉽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판(240)은 상기 고정축(210)이 설치된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고정축(210)과 결합방법에 있어서 이송구멍 또는 볼트(80)체결 없이 직접 용접이나 접합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210)과 결합되지 않은 이송판(240)의 다른 일측은 물 배출관에 결합, 프레임(110,112,114)에 결합, 또는 물 배출관과 프레임(110,112,114)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축(210)을 고정하기 위한 방식에는 그 조합은 다양하다.
또한 이송판(240)은 고정축(210)이 회전드럼(12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으로써, 상기 이송판(240)은 고정축(210)과 결합 방법에서 베어링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210)의 일측단에는 유압모터와 같은 동력원(M)이 결합되어 고정축(21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10)의 외주면에는 회전드럼(120)의 내부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돌출된 날개(2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날개(220)는 내측날개(222)와 외측날개(224)로 구분되며, 상기 내측날개(222)는 회전드럼(120)의 내부에서 진행하는 굴 뭉치가 회전드럼(120)의 벽면에 더 많은 양이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굴 뭉치간의 부딪힘을 증가시키고 저항이 커져서 굴 뭉치가 분리되도록 상기 고정축(210)과 결합에서 20도 이상 85도 이내의 경사각(A)를 가지고 결합되어 있다.
상기 외측날개(224)는 상기 내측날개(222)의 끝단을 통과하고 모인 굴 뭉치가 더 빠르게 날개(220)를 통과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날개(222)의 끝단에 100도 이상 180도 이내의 경사각(B)를 가지고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날개(224)의 끝단면은 회전드럼(120)과 소정의 거리간격을 가지고 위치한다. 상기 날개(220)가 경사각(A)와 경사각(B)로 구성됨에 있어서 내측날개(222)에서 외측날개(224)로 이동함에 따라 굴 뭉치들 간에 부딪힘과 저항이 커지고 이동 속도가 변함으로써 날개(220)로 인한 굴의 깨짐이나 부서짐 없이 굴 뭉치가 분리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210)과 날개(220)로 구성된 굴 분리부(200)는 회전하는 회전드럼(120) 내부에서 굴 뭉치가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회전드럼(1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0도 이상 60도 이내의 경사각(C)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프레임(114)에서 바라본 경우 회전드럼(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나, 회전드럼(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굴 분리부(200)는 경사각(C)의 크기는 동일하고 반대의 방향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고정축(210)의 날개(220)가 직접 타격하여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해 동력원(M)에 의해 회전될 경우, 고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1 및 도 10을 통해 설명한다.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의 상단부에 굴 뭉치들이 투입되면 굴 뭉치들은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에 의해서 회전드럼(120)의 내측면의 일정 높이까지 이동한 후 무게로 인해 다시 하단으로 쓸려서 내려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는 전방프레임(114)의 방향에서 바라봤을때 회전드럼(120)의 내측 왼쪽 벽면에 지그재그로 왕복하면서 이동하며, 회전드럼(120)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므로 굴 뭉치는 회전드럼(120)의 하단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굴 뭉치의 이동 과정에서 회전드럼(120)의 내측에 굴이 진행하는 경로 상에 설치된 굴 분리부(200)는 날개(220)가 가진 경사각 및 형상에 의해서 회전드럼(120)의 내측 벽면으로 더 많은 양의 굴 뭉치들이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 속도를 변화 시킴으로써 굴 뭉치들 간에 부딪힘과 저항을 증가시켜 굴 뭉치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분리과정은 굴을 직접적으로 타격하지 않으므로 굴의 깨짐이나 부서짐이 없고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해상에서 유지보수가 쉽다.
1: 굴 2: 원줄 3: 원줄매듭 4: 수하줄 5: 수하줄매듭
10: 땜목 20: 원줄분리기 30: 사바기 40: 콘베이어 50: 이송콘베이어
60: 이송캐리어(carrier) 80: 볼트
100: 굴 세척기
110: 프레임 112: 후방프레임 114: 전방프레임 116: 롤러 지지대
118: 모터 지지대
120: 회전드럼 122: 배출구멍 124: 회전가이드 126: 기어
130: 물 분사관 132: 물구멍 134: 밸브
140: 유압모터 142: 동력기어
150: 롤러 152: U형 볼트
200: 굴 분리부
210: 고정축
220: 날개 222: 내측날개 224: 외측날개
230: 축고정판
240: 이송판 242: 이송구멍 244: 원형고정판

Claims (8)

  1. 인양된 굴을 세척하는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굴 세척기(100)와;
    상기 회전드럼(120)의 길이 방향으로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고정축(210)에 하나 이상의 돌출된 날개(220)가 결합되어 회전드럼(120)의 내부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는 굴 분리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에 있어서,

    상기 굴 분리부(200)는 상기 회전드럼(120)의 내부에 위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축(210)의 양쪽 또는 한쪽이 회전드럼(120) 내부에 위치하며 굴을 세척하기 위해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관(130)에 연결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굴 세척기(100)의 프레임(110,112,114)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축(210)은 물 분사관(130) 또는 굴 세척기(100)의 프레임(110,112,114)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방법에 있어 소정의 길이를 가진 이송판(24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굴 분리부(200)가 상기 회전드럼(120)의 내부에 설치될 때 위치를 쉽게 결정하기 위해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판(240)은 이송판(24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구멍(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210)은 상기 날개(220)와 20도 이상 85도 이내의 경사각(A)을 가지고 결합되어 상기 회전드럼(120) 내부에서 진행되는 굴 뭉치를 회전드럼(120)의 벽면에 모이도록 하여 굴 뭉치간의 부딪힘을 증가시키고 저항을 높여서 굴 뭉치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220)는 내측날개(222)와 외측날개(224)로 구분되며 상기 회전드럼(120) 내부에서 진행되는 굴 뭉치가 내측날개(222)를 통과한 이후 더 빠른 흐름을 위해 내측날개(222)와 외측날개(224)가 일직선 상에 위치 또는 100도 이상 180도 이내의 경사각(B)를 가지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220)는 상기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에서 세척되며 진행하는 굴 뭉치를 분리하기 위해서 굴 뭉치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것으로써 상기 회전드럼(120)의 중심축과 날개(220)는 10도 이상 60도 이내의 경사각(C)를 를 가지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분리기
  7. 삭제
  8. 삭제
KR1020130015640A 2013-02-14 2013-02-14 굴 분리기 KR101474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40A KR101474105B1 (ko) 2013-02-14 2013-02-14 굴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640A KR101474105B1 (ko) 2013-02-14 2013-02-14 굴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11A KR20140102411A (ko) 2014-08-22
KR101474105B1 true KR101474105B1 (ko) 2014-12-22

Family

ID=5174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640A KR101474105B1 (ko) 2013-02-14 2013-02-14 굴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1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65B1 (ko) 2015-05-11 2015-08-21 김병권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101629652B1 (ko) 2016-02-05 2016-06-21 유금범 우렁쉥이 분리 및 세척장치
KR101641160B1 (ko) 2016-02-05 2016-07-20 유금범 양식물 분리 및 세척장치
KR20200122071A (ko)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10119819A (ko)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참코청하 굴 더미 분리 장치
KR20230112454A (ko) 2022-01-20 2023-07-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굴뭉치의 각굴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195B1 (ko) * 2014-10-07 2017-03-03 정형진 멸치덩어리 분리장치
CN106819062A (zh) * 2016-12-16 2017-06-13 青岛橡胶谷知识产权有限公司 一种壳类海鲜转动清洗装置
KR101954097B1 (ko) * 2017-10-25 2019-03-05 정재진 개체굴 분리 및 세척장치
CN107691618A (zh) * 2017-11-23 2018-02-16 桂林满梓玉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田螺流水线去尾装置
KR101836814B1 (ko) * 2017-11-27 2018-03-12 대한민국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CN115530220B (zh) * 2022-09-20 2023-09-08 浙江工业大学 一种贝类分级设备
KR102537155B1 (ko) * 2023-01-19 2023-05-26 김정호 활굴 패각 세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51Y1 (ko) * 1987-04-07 1989-12-22 김양묵 조개의 자숙 및 조개살의 세척장치
JPH03105533U (ko) * 1990-02-08 1991-10-31
JPH05153903A (ja) * 1991-12-09 1993-06-22 Erickson Trauschi ホタテ貝クリーナ
EP1371294A1 (en) * 2002-06-14 2003-12-17 Cortech Protect B.V.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llfi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51Y1 (ko) * 1987-04-07 1989-12-22 김양묵 조개의 자숙 및 조개살의 세척장치
JPH03105533U (ko) * 1990-02-08 1991-10-31
JPH05153903A (ja) * 1991-12-09 1993-06-22 Erickson Trauschi ホタテ貝クリーナ
EP1371294A1 (en) * 2002-06-14 2003-12-17 Cortech Protect B.V.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llfis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165B1 (ko) 2015-05-11 2015-08-21 김병권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KR101629652B1 (ko) 2016-02-05 2016-06-21 유금범 우렁쉥이 분리 및 세척장치
KR101641160B1 (ko) 2016-02-05 2016-07-20 유금범 양식물 분리 및 세척장치
KR20200122071A (ko) 2019-04-17 2020-10-27 유금범 수하연 절단장치
KR20210119819A (ko)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참코청하 굴 더미 분리 장치
KR20230112454A (ko) 2022-01-20 2023-07-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굴뭉치의 각굴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411A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105B1 (ko) 굴 분리기
ITRM20110364A1 (it) Apparecchiatura a più linee per posizionare frutti, in particolare pesche
JP6541882B2 (ja) エラ除去が容易なカニの殻除去装置
KR20150021185A (ko) 굴 분리기
CN205497596U (zh) 一种全自动大蒜切根机
CN105619489A (zh) 一种全自动大蒜切根机
KR20130067677A (ko) 굴 분리기
CN203537862U (zh) 一种牵引式籽瓜捡拾取籽上料存储联合作业机
CN104770834B (zh) 卧式青核桃脱皮机
KR101432921B1 (ko) 굴 덩이 개체 분리 장치
KR102218754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CN103621242A (zh) 根茎作物柔性分离装置
CN103478860B (zh) 一种用于蔬菜生产线的清洗设备
CN205831011U (zh) 一种大蒜切片机
US4211161A (en) Machine tools and machine for removing stem from vegetable, such as cabbage or cauliflower
US5076046A (en) Harvester for vine crops
KR20090012754U (ko) 상품이 내장된 포장용 상자의 회전 및 간헐누적 장치
GB1588171A (en) Tool and a machine for separating cauliflower stumps from the flowerets thereof
CN211337544U (zh) 一种用于火锅底料的油料管链设备
JP2006239488A (ja) 作物洗浄装置
CN102934560A (zh) 大蒜联合收割机
CN108966817B (zh) 跨越式菠萝采摘车
CN113331432A (zh) 一种转筒式去核机
CN208353992U (zh) 机械链轮的除杂防缠绕装置
CN207369990U (zh) 一种虾清洗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