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95B1 -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 - Google Patents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695B1
KR101471695B1 KR1020107004334A KR20107004334A KR101471695B1 KR 101471695 B1 KR101471695 B1 KR 101471695B1 KR 1020107004334 A KR1020107004334 A KR 1020107004334A KR 20107004334 A KR20107004334 A KR 20107004334A KR 101471695 B1 KR101471695 B1 KR 101471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base
center
elongated slots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795A (ko
Inventor
조셀린 보넬
파스칼 꿀러리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0006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물질로 구성된 인서트(1a)에 의해 아래로 이중화된 베이스(3)를 포함한 조리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기 인서트를 횡단하는 개구부들(7)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장형 슬롯들(31a)의 길이를 따라 구형의 아치형 형태를 개별적으로 정의하는 장형 슬롯들(31a)의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장형 슬롯들은 인서트의 중심 또는 상기 인서트의 외주변부(10a)에 선도되는 대향 말단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COOKING UTENSIL WITH EXTENDED ANTI-DEFORMATION SLOTS}
본 발명은 조리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리 용구는 상기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특히,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개구부들을 가진 경질 물질(hard material)인 인서트에 의해 아래로 이중화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WO 2006/126848는 예를 들면, 조리 용구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베이스는 알루미늄인 캡(cap)에 속한다. FR-A-2693093는 또 다른 일례로서, 또 다른 조리 용구를 개시하고, 상기 조리 용구에서 개구부들의 적어도 일부는 장형 슬롯들로 나타나고, 이때 상기 장형 슬롯들은 그들의 길이를 따라 구형의 아치형 형상을 개별적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처리는 특히 다음의 문제점들과 관련하여 이루어질 시 더 필요하다:
- 조리 용구를 제조하는 동안, 그리고 더 중요한 방식으로는 시간이 경과함 따른 베이스의 변형에 대한 저항,
- 조리 용구가 사용 동안에 있게 되는 화력 강도와, 이 유형의 열과 호환되는 물질들이 사용되는 순간으로부터 실시 방식(performing way)으로 유도되어 가열되는 상기 조리용구의 성능 사이에서의 커플링(coupling),
- 연질 물질인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과 경질 물질인 인서트의 접착.
절충안은 특히 다음과 같이 의도된다:
- 인서트에 구현된 개구부들을 통해 경질 물질인 인서트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 유도에 의한 현존하는 열 시스템을 가진 조리 용구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적합한 인서트 표면적을 보존시키는 것이다.
상술된 목표 및 절충안 모두 또는 그 일부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제안된 것은, 상술된 개구부들(구형의 아치형 형상을 가진 장형 슬롯들에 의해 정의됨) 중 적어도 일부는 장형으로 된(elongated) 대향 말단부들을 가지고, 상기 대향 말단부들 모두는 인서트(1a)의 중심 또는 이 인서트의 외주변으로 연장된다는 것이다.
이는 우수한 기계적인 강도에 기여하고, 그리고 상기 인서트의 표면적을 감소시키고, 다른 선택들은 예를 들면 추가적인 홀들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홀들은 유도에 의한 열 성능에 관한 효과를 가진다.
이로써, FR 269309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에 각 섹터들(angular sectors) 및/또는 방사상 슬롯들의 형상, 또는 WO 2006/129848에서 2 개 이상의 자유 말단부들의 수를 가진 14b와 같은 슬롯들의 방식에 의한 브랜치형(branched) 슬롯들의 형상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후자 문헌과 비교할 시, 슬롯들이 폐쇄형 윤곽(closed contour)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때 후자 문헌의 슬롯들(14a)은 외주변 밖에 또는 큰 중심 오리피스(orifice) 상에서 열려져 있다. 폐쇄형 윤곽은 기계적인 강도를 개선시킨다.
인서트에 추가 부착을 실시하기 위해, 상술된 베이스는 인서트의 물질보다 연한 물질인 제 1 물질을 포함하고, 개구부는 상기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장형 슬롯들을 포함하고, 이때,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 물질인 상기 제 1 물질로 다소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제조 기술들을 고려하면, 특히나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 베이스는 인서트의 물질보다 연한 물질/제 1 물질로 본질적으로 적어도 구성된 캡에 속하고, 이 인서트는 이러한 스루우-개구부들(through-openings)(장형 슬롯들을 포함)을 통하여, 상기 제 1 물질에 리세스 결합(recess-fitted)되거나, 또는
- 상기 베이스가 상기 인서트의 물질보다 연한 물질/상기 물질의 층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층은:
*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물질에 리세스 결합되는 인서트와,
* 상기 층의 물질보다 강한 또 다른 물질의 캡의 베이스 벽(base wall)(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 사이에서 개재된다.
본 목적 및 상기 본 목적의 실질적인 실시예에 관한 다른 특징은 비-국한적인 일례들로서 주어진 도면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조리 용구의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본질적으로 도 3의 단면선 I-I을 따른 수직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화살표 III의 방향으로 하여 나타낸, 완전하게 대칭을 이룬 도 1의 물품의 베이스의 도면이고,
도 4, 5, 6 및 7, 8, 9의 그룹은 도 1-3과 같은 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도 10, 11, 12, 13은 도 3, 6, 9 중 하나와 동일한 도면에 따른 각각의 인서트의 대략적인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6, 9에 도시된 더 유연한(malleable) 물질의 작은 충전재들(fillings)은 더 이상 체계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그들의 존재는 부수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참조). 베이스의 중심 위치에 또는 그들의 가까운 주변 위치에 있는 충전재들은, 일례로서 도 10,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단일 충전재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설명에 있어서, 여러 조리 용품은 적어도 하나의 핸들(10) 및 가열되거나 요리되는 음식 또는 요리 식품(preparation)을 수용하는 (중공(hollow)) 캡(10b(도 7) 또는 11(도 1, 4))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여러 조리 용품은 소위 "조리 용구"라 할 것이다. 캡의 베이스가 적합한 소스로부터 열이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상기 캡의 베이스는 민감한 부분이다. 프라이팬들, 소스냄비들(saucepan) 등 또한 관련되어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1이라 항상 칭한 조리 용구는 경질 물질(1a)의 부분(여기에서는 금속이라 함)을 포함하고, 상기 경질 물질은 상기 조리 용구 아래로 연질(softer) 물질의 부분(이 또한 여기에서 금속이라 함)에 삽입될 수 있다. 양쪽 부분들은 실시될 수 있는 강화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다.
여기에서, 부분 또는 그리드(grid)(1a)는 유도에 의해 열을 받는 조리 용구와 호환되는 강자성체 물질이다. 이는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 베이스(3)의 위치에서의 부분(1b)은 적어도 우수한 열-확산 물질이다. 알루미늄이 적합하다.
도 1-6에 있어서, 부분(1b)은 제시된 바와 같이 한 부분(one piece)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므로, 측벽(5)에 직립한 횡단형 베이스 벽(3)을 가진다. 상기 부분은 중공 캡 형상을 가진다. 핸들은 상기 부분에 부착된다.
이로써, 그의 베이스 벽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경질 금속 부분(1a)에 의해 아래로 이중화되고, 이때 상기 경질 금속 부분은 천공되거나 국부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 베이스 인서트를 정의한다.
실제로, 도 1에서와 같이, 조리 용구 베이스의 도시는 평평하고 낮은 면(11a) 상태가 아니라, 상부를 향해서 볼록체로 곡선화되고 오목한 상태로 되어, 주변 스팬(span)을 가진 베이스 영역(15)보다 아래에 있는 위치를 확보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나아가, 최초에 인서트(1a)는 도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특히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오히려 도 5와 같이 상승된 주변 에지(12a)를 가지는 캡슐일 수 있다. 도 7의 경우에 있어서, 그의 최종 형상은 연질 베이스(1b)와 함께 압력하에서 연결된 후 오목화된다. 도 1에서, 인서트(1a)는 베이스(3)의 중심부(3a)의 주변 크기에 한정된다(도 3 참조). 그러므로 상승된 주변 에지 없이, 그의 본래 형상이 실질적으로 남아있다. 도 5 이외에 에지 형상들은 림(rim)(외부 숄더(shoulder)를 가짐) 또는 더 플레어형(flared)적인 에지 등으로도 가능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인서트(1a)는, 상기 인서트를 통하여 똑바로 나아가고 이 베이스 벽의 연질 금속으로 밀접하게 충전된 오리피스들(7)을 통해, 상기 연한 베이스에 그것을 리세스 결합(recess-fitting)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오리피스들을 가진 인서트(1a)는 베이스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증진시킨다.
이는 도 2, 5 및 8을 간주하여 더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들(7)은 하나 이상의 종류일 수 있다. 우선, 이들은 동일 형상을 모두 가지지 않은, 변형-방지(anti-deformation) 장형 슬롯들(31a,31b,31c,31d)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다른 개구부들은 특히, 도 2 및 12의 인서트를 통과하는 해당 개구부들의 위치에서, 즉, 여기서는 작고 큰 직경들을 각각 가지는 원형 개구부들(30a, 30b)의 위치에서, 작은 직경(33a)의 원형 충전재들 및/또는 큰 직경(35a)을 가진 중심 충전재(도 10, 12, 13)와 같은 것을 리세스 결합함으로써 부착되어 완성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장형 슬롯들(31b)만으로 캡의 인서트-베이스 연결을 확보한다.
도 7-9에 있어서, 넓은 중심부(여기에서는 원반 형상)는 인서트의 오목 영역(37)에 의해 차지되고, 상기 인서트의 오목 영역은 이 인서트를 리세스 결합함으로써, 부착 및 강성을 증가시키고, 유도에 의해 열 성능을 증진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인서트의 오목 영역이 강자성체이고, 유도 코일로부터 자기 파에 민감한 경우, 연질 베이스 물질(1b) 및 인서트를 통해 가지 않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서든지, 기계적인 성능을 위하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절충안을 위해서, 이러한 오리피스들(7)이 존재할 시, 상기 오리피스들은 폐쇄형 윤곽, 특히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양태에서 이러한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을 고려해 보면, 상기 장형 슬롯들은 그들의 길이 상에서 구형 아치형을 정의하고, 이때 상기 구형 아치형은 대향 말단부들(도 13의 310d, 311d 또는 나아가 도 10의 310a, 311a 등)을 가지고, 상기 대향 말단부들 모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1a)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거나(즉, 그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또는 배향됨) 또는 그의 외주변부(10a)를 향하여 연장된다(다른 모든 도면들 및 주목하게는 도 1, 6 및 10).
이는 이미 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형 슬롯들은 슬롯들(31a)용 310a 및 311a 등의 2 개의 상술된 대향 말단부들을 오로지(exclusively) 가지되, WO 2006/126848에 개시될 수 있는 분기부들(ramifications)과는 다른 여러 다른 중간 말단부들이 없이 가진다.
캠페인(campaign) 테스트들을 따르고, 그리고 높은 기계적 성능을 이루기 위해서,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의 이러한 대향 말단부들 각각은, 일례로서 도 6의 장형 슬롯들(31a, 31a1)용 311a, 311a1 등의 근접한 슬롯의 말단부들 중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장형 슬롯들의 "말단부들"로서 지명된 것은 상기와 같은 슬롯(도 6의 312, 314 등)의 적어도 각 측 브랜치(branch) 또는 심지어 전체 브랜치의 말단부이다. "실질적으로 평행한" 양태는 이러한 평행적인 관계로 인식될 것이다.
하부가 보이는 베이스를 제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주목할 점은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이 상기 부분의 중심 주위에서 별 형으로서 배치된다는 점이다. 이는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위해 그리고 열 영역을 분배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들에 대해서, 그리고 의도된 절충안을 확보하기 위해서, 양 측 브랜치들 또는 슬롯들의 부분들이 직선으로 나가고, 직선의 중심부(도 3의 316)를 통해 함께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베이스의 주변부(10a)를 향하도록 배치된 볼록체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브랜치들(312, 314) 사이에 있는 도 6 또는 9의 중심부(318)와 같으며, 또한 도 13의 중심부(320)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직선의 해결책(rectilinear solution)"은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반 형상 인서트들에 대해 특히나 바람직하다.
슬롯들을 산업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2 개 이상의 루트들(routes)은 여기에서 타켓 목표를 이루기에 바람직하다.
우선, 다음 루트는 도 7, 9, 10에서 제시되고, 상기 도 7, 9, 10에서:
- 각 장형 슬롯(31a)에 의해 형성된 아치는 중심부(316 또는 618)를 가지고, 이때 상기 중심부는 말단부(310a, 311a)보다 인서트(1a)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 그리고 상기 슬롯들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말단부들(310a, 311a)을 향한 폭보다 그들의 중심부를 향한 폭이 더 크고, 이들은 도 10의 폭(e1)을 통해 알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슬롯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고, 이때 상기 도 13에서:
- (폭이 넓은) 둥근 돌출형(lobe)의 아치형 또는 나아가 각 장형 슬롯(31d)에 의해 정의된 꽃잎-형상(petal-shape)의 아치형은 중심부(320)를 가지고, 상기 중심부는 말단부들(여기서는 310a, 311d) 보다 인서트의 외주변에 더 가깝게 위치되고,
- 그리고 이러한 슬롯들은 그들의 말단부들을 향한 폭보다 더 큰 그들의 중심부를 향한 폭(e2)을 가진다.
장형 슬롯들의 폭이 그들의 전체 길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상기 장형 슬롯들의 폭이 작은 직경을 가지는 인서트들에 대해 선험적으로(a priori) 다소 보존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세번째 해결책은[도 3, 11, 12에서 제시됨]은 첫번째에 상응한다. 그러나, 예외들도 있을 수 있다.
주목할 점에 있어, 일어날 수 있는 강한 열 구배(heat gradients)를 포함하여, 베이스의 우수한 기계적 안정성을 위한 장형 슬롯들에 의해 바람직하게 정의된 바와 같은 아치들의 형상을 고려해 보면, 서로 다른 선택들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로써, 도 12에서의 실시예가 바람직하고, 상기 실시예는 2 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베이스 상의 중심에 위치되는, 동일한 길이의 적어도 3 개의 아치들(31c)을 가지고, 이때 상기 2 등변 삼각형 형상은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된 아치형 측을 가지고, 상기 아치들이 2 개씩 개별적으로 남아있는 정점들을 가진다.
도 13에서, 아치들은 중심 주위에 위치되면서 여러 개의 방사상 꽃잎 형상부(radial petals)(31d)을 정의하되, 여기서는 5개의 방사상 꽃잎 형상부들을 정의하고, 상기 방사상 꽃잎 형상부들 각각은 베이스(3)의 주변을 향해 배향된(또는 배치된) 볼록체를 가진다.
도 13에서, 상기 아치들은 개별적으로 U 형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U 형은 상기 아치를 가로지르는, 아치에 대해 관련된 방사상 축(41)에 대칭된 2 개의 측면부를 가진다. 상기 U 형의 측변부분 사이에서의 간격(h1)은, 이러한 측변부들을 연결시키는 중심부보다 중심에 가까운 그들의 자유 말단에서, 이 중심부의 길이(h2)보다는 작다.
이와 달리, 도 3, 9, 10-12에서, 아치들은, 동일한 도면에서 43으로 지칭되는 바와 같이, 방사상 축에 대해 2 개의 대칭부들(도 6에서 312, 314)을 가진 베이스의 주변부(10a)의 방향으로 플레어되는(flared) U 형상을 개별적으로 가진다.
이는 설명에서 초기에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 6(그러나 이 통지는 다른 슬롯 기하학적인 배열에 적용가능하다)에서 주목할 점은, 비-장형으로 폐쇄형 윤곽(여기서는 원형)을 따른 제 1 ("연질") 물질(1b)로 충전되고, 장형 슬롯들(여기에서는 31a)보다 면의 중심에 가까운 개구부들(30a)이 인서트(1a)를 통해 나간다는 점이다.
이는 변형-방지를 포함하여, 타켓 목표들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사실 또한 다음과 같다:
- 도 13을 제외한 제시된 대표적인 모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각 장형 슬롯에 의해 형성된 아치가 말단부들보다 중심 부분에 더 가깝게 위치된 중심부를 가지면,
- 다른 개구부들(여전히 30a로 지칭됨)은 제 1 연질 물질로 충전되고, 바람직하게는 인서트(1a)를 통해 나가는 원형 윤곽을 가진다.
특히, 인서트(1a)의 주변에 가까운 불연속 환형 형상과 함께, 슬롯들의 중심부들(320)이 정의되는 도 13의 경우에 있어서(그러나 다른 경우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다른 개구부들(30a로 지칭되고 그들 중 일부만이 제시됨)은 인서트를 통해 나아간다. 다시, 이러한 개구부들은 베이스 연질 물질로 충전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윤곽을 따르고, 그리고 각 장형 슬롯(31d)에 의해 정의된 구형의 아치 형상 내에 위치된다.
조리 용구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가능한 리벳을 다시 하지 않고, 특히 스탬핑(stamping)인 콜드 스탬핑(cold stamping)(실내 온도) 또는 핫(hot) 스탬핑에 의지할 수 있다.
제 1 경우에 있어서, 상술된 알루미늄과 같이, 연질 금속 블록(block)으로 시작될 수 있고, 이 블록은 인서트를 리세스 결합하여 캡(11)을 얻기 위해 맞춰질 수 있거나, 또는 베이스(3) 또한 인서트(1a)의 리세스 결합으로 우선적으로 형성되고, 그 후, 연질 금속은 캡의 측벽들을 세우기 위해 다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국부적인 보충, 예를 들면 구리 디스크(copper disk)는, 특히, 측벽과 그의 연결을 향해 베이스의 주변에서 구비될 수 있어서, 캡은 인서트의 물질보다 연한 물질/상기 물질로부터 본질적으로 적어도 구성된 채 남아있을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경질 물질 인서트(1a)로 시작되고, 여기에서 상기 경질 물질 인서트는 연질 베이스(3)의 중심에 있는 작은 디스크로서 나타난다. 콜드 스탬핑은 인서트의 리세스 결합을 발생시킨다: 모든 오리피스들(7)(장형 슬롯들(31a), 추가-개구부들(30a))은 연질 금속(충전재들(33a))으로 충전된다.
도 4-6의 실시예와 유사한 경우에 있어서, 인서트(1a)의 리세스 결합은 상승된 주변 에지(12a)를 가진 캡슐로부터 이루어진다. 압력 성형 하에서, 다시 콜드 스탬핑으로, 연질 물질은 오리피스들(7)로 흘러가고, 그리고 도 5의 상태가 얻어질 때까지, 주변 에지(12a)는 이 금속에 리세스-결합된다(가능한 하나의 에지(12a)는 서로 다르게 배향됨).
도 7-9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인서트(1a)의 리세스화된 결합(또는 피팅)은 핫 스탬핑에 의해 이루어진다. 캡(10b)은 여기에서 경질 물질이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이고, 미리 형성된다. 층(1b)은 캡 및 경질 인서트(1a)(여기에서 스테인레스 강)의 솔리드(solid) 베이스(3)의 물질 융점보다 낮은 융점을 가진 알루미늄 등의 연질 물질 블록으로부터 비롯되고, 베이스(3)와 인서트(1a) 사이에서 개재된다. 특히, 플레이트로 형상화된 인서트로 시작되는 경우, 가열 및 스탬핑은 한쪽 상에 있는 인서트의 오리피스들(7)로 충전된 연질 물질을 흐르게 하고, 다른 한쪽 상에 있는 상기 인서트의 주변을 휘게 한다. 그러나, 초기의 캡슐 형상은 바람직하고, 스탬핑은 도 8의 영역(45)인 캡의 에지 및 인서트의 에지가 일치되게 하고, 또한 연질 금속이 인서트, 변형된 연질 블록(1b)과 캡의 베이스 사이에서 밀접하게 부착되는 상기 영역에서 위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0-13의 인서트들의 슬롯 형상들을 가진 인서트들(1a)은 상기의 기술들 중 하나와 호환된다.
오리피스들(7)의 부분, 그리고 특히 개구부들(30a)이 반드시 원통형일 필요는 없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절두 원추 부분(frusto-conical section)은 고려된다.

Claims (17)

  1. 경질 물질의 인서트(1a)에 의해 아래로 이중화된 베이스(1b, 3),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는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개구부들(7)을 포함하는 조리 용구로서, 상기 개구부들 적어도 일부는, 각각 길이를 가지는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을 형성하고, 상기 장형 슬롯들은 개별적으로 그 길이를 따라서 구형의 아치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은 장형으로 된(elongated) 대향 말단부들(310a, 311a; 310d, 311d)을 길이 방향으로 가지고, 상기 대향 말단부들 모두는 인서트(1a)의 중심 또는 상기 인서트의 외주변 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a)는 원반 형상이고, 길이 방향으로 있는 대향 말단부들은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은:
    2 개의 대향 말단부들(310a, 311a, 310d, 311d) 및 2 개의 말단부들을 오로지(exclusively)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슬롯들의 대향 말단부들(310a, 311a, 310d, 311d)은 근접한 장형 슬롯의 말단부들 중 하나에 실질적으로 각각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슬롯들의 말단부들(310a, 311a, 310d, 311d)은 중심 직선부를 통해 함께 연결되는 2 개의 직선 측면부들에 속하거나, 상기 베이스의 주변부(10a)를 향하도록 배치된 볼록체를 가지는 곡선부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장형 슬롯(31d)에 의해 형성된 상기 아치는, 상기 말단부들(310a, 311a, 310d, 311d) 보다 상기 인서트의 외주변에 가깝게 위치되는 중심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장형 슬롯들은 상기 장형 슬롯들의 말단부들을 향한 폭보다 큰 상기 장형 슬롯들의 중심부를 향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슬롯(31a, 31b, 31c)에 의해 형성된 아치는 상기 말단부들보다 상기 인서트(1a)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된 중심부를 가지고, 그리고
    이러한 슬롯들은 상기 슬롯들의 말단부들을 향한 폭보다 큰 상기 슬롯들의 중심부를 향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구는, 2 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상의 중심에 위치되는, 동일 길이를 가진 3 개의 아치들(31c)을 포함하고, 상기 2 등변 삼각형 형상은 상기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된 아치형 측을 가지고, 상기 아치들이 2 개씩 개별적으로 되어 있는 정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치들은 중심 주위에서 위치되고, 여러 방사상 꽃잎형상부(31d)를 형성하고, 상기 방사상 꽃잎형상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의 주변부(10a)를 향하도록 배치된 볼록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조리 용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서로 별도로 형성된 상기 아치들(31d)은 개별적으로 U 형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아치들은 방사상 축(41)에 대해 2 개의 대칭부들을 가지고,
    상기 U 형의 측변부들 사이에서의 간격(h1)은, 이러한 측변부들을 연결시키는 중심부보다 중심에 가까운 각 측변부의 자유단에서, 상기 중심부의 길이(h2)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치들은 방사상 축(41, 43)에 대해 2 개의 대칭부들을 가진 베이스의 주변부(10a)의 방향으로 플레어되는(flared) U 형상을 개별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개구부들(30a)은 실질적으로 원형 윤곽을 가지고, 상기 다른 개구부들은 상기 인서트(1a)를 통해 나가는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보다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3. 제 4 항에 있어서,
    각 장형 슬롯(31a, 31b, 31c)에 의해 형성된 아치는 상기 말단부들보다 상기 인서트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된 중심부를 가지고, 그리고
    다른 개구부들(30a)은 상기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실질적인 원형 윤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른 개구부들(30a)은 실질적인 원형 윤곽을 가지고, 상기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각 장형 슬롯(31a, 31b, 31c, 31d)에 의해 정의된 구형의 아치형 형상에 의해 형성된 내부에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b, 3)는 상기 인서트(1a)의 물질보다 연한 제 1 물질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구성된 캡(11)에 속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인서트를 통해 나가는 장형 슬롯들(31a, 31b, 31c)을 포함한 다른 개구부들(30a)을 통하여, 상기 제 1 물질에 리세스 결합되고(recess-fitted), 상기 베이스가 서로에 리세스 결합된 2 개의 층들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b, 3)는 인서트(1a)의 물질보다 연한 물질의 연질 층(1b)을 포함하고, 상기 연질 층은:
    상기 인서트(1a)를 통해 나가는 개구부들(7)에 의해서, 상기 제 1 물질에 리세스 결합되는 인서트(1a)와,
    상기 연질 층(1b)보다 강한 물질의 캡(10b)의 베이스 벽(3) 사이에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형 슬롯들(31a, 31b, 31c, 31d)은,
    폐쇄형 윤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구.
KR1020107004334A 2007-08-01 2008-07-16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 KR101471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05641A FR2919484B1 (fr) 2007-08-01 2007-08-01 Article culinaire a fentes allongees anti-deformation.
FR0705641 200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795A KR20100061795A (ko) 2010-06-09
KR101471695B1 true KR101471695B1 (ko) 2014-12-10

Family

ID=3943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334A KR101471695B1 (ko) 2007-08-01 2008-07-16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863653B2 (ko)
EP (1) EP2173223B1 (ko)
JP (1) JP5108101B2 (ko)
KR (1) KR101471695B1 (ko)
CN (1) CN101808553B (ko)
AU (1) AU2008294666B2 (ko)
CA (1) CA2695202C (ko)
FR (1) FR2919484B1 (ko)
MX (1) MX2010001062A (ko)
RU (1) RU2463940C2 (ko)
WO (1) WO2009030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2318B1 (fr) 2010-07-09 2012-08-17 Seb Sa Article culinaire a empreinte en v ou en u
FR2964028B1 (fr) * 2010-08-27 2012-09-28 Seb Sa Ustensile culinaire de cuisson a fond induction et a evacuation des jus
US20120175374A1 (en) * 2011-01-10 2012-07-12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with Handles having Embedded indicia
FR2977777B1 (fr) * 2011-07-13 2014-05-09 Seb Sa Article culinaire a paroi larerale chauffee et procede
FR2977776B1 (fr) * 2011-07-13 2014-05-23 Seb Sa Article culinaire alimente par induction et procede pour fabriquer le recipient d'un tel article
ITAN20120084U1 (it) * 2012-04-06 2013-10-07 Alluflon Spa Recipiente di cottura.
FR3003456B1 (fr) 2013-03-20 2015-03-27 Seb Sa Procede de determination d'un indice de performance d'un ustensile culinaire pour une temperature de cuisson predeterminee dans le but d'evaluer un gain nutritionnel
FR3006161B1 (fr) * 2013-05-30 2015-12-04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munie de moyens d'accroche ameliores
DE102017005079B4 (de) 2017-05-24 2019-11-28 Acs Coating Systems Gmbh Kochgefäß mit metallischem Einsatz
FR3083681B1 (fr) * 2018-07-11 2020-07-10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atible induction comportant une plaque de fond ameliore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6635B2 (ja) * 1992-07-06 1998-09-30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熱伝導性底部を有する台所用品
EP1053711A1 (en) * 1999-05-21 2000-11-22 LAGOSTINA S.p.A. Cooking appliance with base suitable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onduction
US20020073986A1 (en) * 1999-08-25 2002-06-20 Amaury Bhagat Cooking utensil with a base constituted of a composit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8256A (en) * 1919-04-19 1922-02-28 Boehl Mary Johannah Cooking utensil
US1913337A (en) * 1931-09-04 1933-06-06 Harry F Johns Jr Baking pan
US4462388A (en) * 1982-06-07 1984-07-31 Fissler Gmbh Frying pan
JPS611293U (ja) * 1984-06-08 1986-01-07 立山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電磁調理器用鍋
DE3639037A1 (de) * 1986-11-14 1988-05-26 Lothar Hoffmann Kochgeschirr
JPH03119679A (ja) * 1989-10-02 1991-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ツキングヒータ
US5357850A (en) * 1990-03-30 1994-10-25 Seb S.A. Cooking vessel having a base which is non-deformable under the action of heat
EP0509860B1 (fr) * 1991-03-27 1996-06-05 Seb S.A. Article constitué à partir d'une plaque réalisée en un métal relativement mou et récipient culinaire constituant un tel article
US5647271A (en) * 1992-07-06 1997-07-15 Seb Kitchenware with thermal conducting system
DE4412944A1 (de) * 1994-04-15 1995-10-19 Vesta Ag & Co Ohg Topfförmiges Gar- und/oder Kochgerät
JPH08335494A (ja) * 1995-06-07 1996-12-17 Fujimaru Kogyo Kk 電磁調理器用容器
JPH1136562A (ja) * 1997-07-17 1999-02-09 Naka Ind Ltd 鋼板製フロアパネル
FR2780626B1 (fr) * 1998-07-01 2000-09-08 Seb Sa Recipient de cuisson dont le fond est renforce par une plaque et des gorges radiales
JP2003019068A (ja) * 2001-07-10 2003-01-21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用食器
CN2544654Y (zh) * 2002-04-24 2003-04-16 周赛方 铝质锅的复合锅底
JP3889414B2 (ja) * 2004-06-16 2007-03-07 株式会社三輝商事 誘導加熱用調理鍋
JP4159098B2 (ja) * 2004-09-07 2008-10-01 アサヒ軽金属工業株式会社 電磁調理器用鍋とその製造方法
KR100534491B1 (ko) * 2005-05-26 2005-12-07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0473311C (zh) * 2006-05-15 2009-04-01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可用于电磁炉的铸铝炊具及其制造方法
JP3132158U (ja) * 2007-03-19 2007-05-31 株式会社タイエイジャパン 電磁調理用調理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6635B2 (ja) * 1992-07-06 1998-09-30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熱伝導性底部を有する台所用品
EP1053711A1 (en) * 1999-05-21 2000-11-22 LAGOSTINA S.p.A. Cooking appliance with base suitable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onduction
US20020073986A1 (en) * 1999-08-25 2002-06-20 Amaury Bhagat Cooking utensil with a base constituted of a composi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3223A1 (fr) 2010-04-14
US20110226136A1 (en) 2011-09-22
FR2919484A1 (fr) 2009-02-06
CA2695202A1 (en) 2009-03-12
EP2173223B1 (fr) 2015-04-22
CN101808553A (zh) 2010-08-18
AU2008294666B2 (en) 2014-08-14
AU2008294666A1 (en) 2009-03-12
JP2010535046A (ja) 2010-11-18
WO2009030838A1 (fr) 2009-03-12
CA2695202C (en) 2013-11-12
JP5108101B2 (ja) 2012-12-26
CN101808553B (zh) 2012-12-12
RU2010107265A (ru) 2011-09-10
MX2010001062A (es) 2010-04-27
FR2919484B1 (fr) 2014-02-07
US8863653B2 (en) 2014-10-21
RU2463940C2 (ru) 2012-10-20
KR20100061795A (ko)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695B1 (ko) 연장된 변형­방지 슬롯들을 가진 조리 용구
JP3070612U (ja) 調理器
EP1651009B1 (en) Heaters for liquid heating vessels
EP1203553A2 (en) Stainless steel cooking utensil with composite capsular base heatable by magnetic induction
EP3119249B1 (en) Vessel for food cooking and method for its obtainment
WO2006008587A1 (en) Cooking vessel with multiply ringed bottom surface
CN105276660B (zh) 散热片及具有其的取暖器
KR101951487B1 (ko) 제어된 변형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용기
CN107076521A (zh) 散热器
JP2001203070A (ja) 電磁誘導加熱を利用した加熱保温プレート及び電磁誘導加熱調理用容器
EP1649791A2 (en) Heaters for liquid heating vessels
AU2008257251A1 (en) Culinary article with improved contact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EP1163870A1 (en) Process for heat moulding of frying pans
EP1053711A1 (en) Cooking appliance with base suitable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onduction
JP4004186B2 (ja) 調理用容器
KR100436281B1 (ko) 음식 조리용 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8791819U (zh) 一种防粘内胆及电磁烹饪器具
EP2198759A1 (en) Heating plate particularly for cooking plates, frying pans, pasta cookers, fryers and devices for professional cooking in general
BE1020307A3 (n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ookcontainer, bodem voor een kookcontainer, kookcontainer, en inductieelement.
CN105078202A (zh) 具有复合底的锅及其制造方法和电烹饪器具
CN209448922U (zh) 电磁线圈盘组件和具有其的电磁烹饪器具
KR200279284Y1 (ko) 음식 조리용 팬
KR20160103715A (ko) 유도가열 주방용기
CN102334899B (zh) 带有v形或u形凹部的烹饪用具
EP3449783A1 (fr) Ré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fond muni d'éléments ferromagnétiques indépend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