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94B1 -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 Google Patents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694B1
KR101471694B1 KR1020107003724A KR20107003724A KR101471694B1 KR 101471694 B1 KR101471694 B1 KR 101471694B1 KR 1020107003724 A KR1020107003724 A KR 1020107003724A KR 20107003724 A KR20107003724 A KR 20107003724A KR 101471694 B1 KR101471694 B1 KR 10147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ial
selector
knitting machin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486A (ko
Inventor
에토르 로나티
티베리오 로나티
포스토 로나티
Original Assignee
산토니 에쎄.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니 에쎄.뻬.아. filed Critical 산토니 에쎄.뻬.아.
Publication of KR2010004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남성 양말용 원형 편직기가 개시된다. 편직기는 다이얼 니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서 선택된 니들은 스티치의 형성과 관련시키며 선택되지 아니한 니들을 배제할 수 있는 다이얼 니들 셀렉터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편직기는 실린더로부터 다이얼로의 스티치의 전사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편직기는 형성될 양말을 인정시키기 위한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편직기는 셀렉터 로드의 변형을 제한하며 스티치의 형성 시에 엑츄에이터에 대한 유해한 영향 및 결함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OCKS WITH NEEDLES ON THE DIAL}
본 발명은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형태의 남성 양말용 원형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남성 양말용 원형 편직기는 두 가지의 주요 카테고리, 즉, 단일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편직기와 두 개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편직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편직기는 더 단순한 작동 시스템과 더 낮은 제조 및 유지 비용을 갖으나, 두 개의 실린더를 구비하는 편직기와는 달리 몇몇 형태의 스티치들은 재현할 수 없다.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단일의 실린더의 편직기는 단순한 단일의 실린더의 편직기에 비하여 더 넓은 범위의 가공을 실행하나, 두 개의 실린더의 편직기로 가능한 재봉의 모든 형태들이 가능하지는 않다.
그러나, 실린더 상부에 커터를 구비하고 있는 까닭에, 단일의 실린더의 편직기 상에서만 가능한, 착색된 방적사(yarn)의 재단(cutting)을 필요로 하는 다색의 장식 패턴들을 갖는 편직된 직물의 제조와 관련된 형태들과 같은 몇몇의 제조 형태들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형태의 편직기의 이점들을 유지하면서도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더욱 넓은 범위의 재봉 공정들의 실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남성 양말용 원형 편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 항에 따른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단일의 실린더의 편직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변형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편직기의 셀렉터 로드의 단부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도 1의 편직기의 업 트위스터(uptwister)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하나의 양말을 제조하는 동안 실린더에서 다이얼까지의 스티치의 전사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직기의 재봉 공정의 순서를 도시한다.
도 5,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편직기들을 도시한다.
도 7a, 도 7b, 도 8, 도 9,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편직기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의 특성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인 실례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하기에 주어지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참조 번호 1은 남성 양말의 제조용의 원형의 편직기를 나타낸다.
"남성 양말용 편직기"라는 용어에 의하면, 스티치의 치수에 사용되는 실 또는 방적사의 명목상 직경의 제조는 높은 수준의 피복 범위, 즉, 전통적인 여성용 스타킹의 투명함(sheerness)과 반대되는 특성을 갖는 편직된 직물의 제조와 같은 물품들을 제조할 수 있는 양말류를 제조하기 위한 편직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남성 양말"이라는 용어는 제조되는 물품의 본질적인 특성을 사실상 언급하며, 그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사용을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편직기(1)는 내부가 공동이며, 회전축(X)을 가지고 상기 축 주위에서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회전하며, 그 외부면에 복수 개의 축 방향의 홈(4)을 갖는 실린더(2)를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실린더(2)의 축 방향 홈(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고정된 복수 개의 실린더 니들(6)을 더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실린더(2)와 동축이며 그 외부에 위치되는 실린더(2) 주위를 회전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복수 개의 실린더 니들(6)을 더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하한 위치 및 하한 위치보다 축 방향으로 더 높은 상한 위치 사이에서 실린더 니들(6) 상에 교호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이동 메커니즘은 드럼에 결합되며, 실린더 니들(6)과 충분히 맞물리어 활성면들 구비하며, 실린더 니들(6)을 필요에 따라 상승 및/또는 하강시키는 복수 개의 캠을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실린더(2)를 둘러싸며, 이와 동축이며, 회전축(X)에 관하여 반경 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크라운 홈(10)을 구비하는 고정 외부 크라운(8)을 더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크라운 홈(10) 및 후방 한계 위치 및 후방 한계 위치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내측인 전방 한계 위치 사이에서 교호 방향으로 이의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이를 이동시키기 위한 관련 메커니즘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고정된 복수 개의 싱커(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편직기(1)는 실린더(2) 상부에 놓이도록 위치하며, 실린더(2)와 동축이며, 실린더(2)의 회전축(X) 주위를 회전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다이얼(14)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편직기(1)는 회전축(X)을 따라 연장되며 다이얼(14) 상부에 놓이며, 상기 다이얼(14)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회전 시에 이를 이동시키며, 그 상단부에서 동력 수단과 맞물리는 다이얼 축(15)을 포함한다.
다이얼(14)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실린더(2)의 외부면의 가상의 축 방향 연장부 내부에 잔류하는 복수 개의 반경 방향 홈(16), 및 다이얼(14)의 반경 방향 홈(16)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고정된 복수 개의, 예를 들면, 실린더 니들과 동일한 개수의 다이얼 니들(18)을 구비한다.
또한, 편직기(1)는 상기 다이얼 니들(18)과 맞물릴 수 있으며 후방 한계 위치 및 후방 한계 위치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외측인 전방 한계 위치 사이에서 교호 방향으로 다이얼 니들(18)의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직기(1)는 다이얼(14) 상부에 위치하며, 다이얼(14)과 동축이며, 고정된 환상의 커버(20)를 포함한다.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커버(20)에 결합된 복수 개의 캠(22)을 포함하여, 다이얼(1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캠(22)은 이들의 반경 방향 병진 운동을 부여하는 다이얼 니들(18)과 맞물리게 된다.
편직기(1)는 양말을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를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얀-핑커(yarn-finger;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실린더 니들(6), 다이얼 니들(18), 및 싱커(12)는 함께 작동하여 방적사를 인터레이스(interlace)하며 양말을 구성하는 스티치들을 형성한다.
편직기(1)는 다이얼 니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풀림 위치에서 다이얼 니들이 상기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위치로 다이얼 니들을 옮길 수 있는 다이얼 니들 셀섹터를 더 포함하며, 선택된 니들은 스티치의 형성과 관련시키며 선택되지 아니한 니들을 배제한다.
다시 말하면,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다이얼 니들, 특히, 다이얼 니들의 힐이 맞물림 위치에 의해 정의되는 미리 결정된 반경 방향 위치 외측에 위치할 때 단지 활성 기능을 갖는다. 다이얼 니들, 즉, 다이얼 니들의 힐이 상기 미리 결정된 반경 방향 위치 내측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할 때,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불활성화되어, 다시 말하면, 다이얼 니들을 맞물리게 할 수 없다.
다이얼 니들 셀렉터는 다이얼 니들(18)을 선택적으로, 즉, 다이얼 니들(18) 중 몇몇 또는 모두를 병진 운동시킬 수 있어서, 선택된 니들은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서 맞물릴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르면, 셀렉터는 명령에 따라 진동하여 다이얼 니들과(18) 중 몇몇을 선택하도록 다이얼 니들(18)과 맞물릴 수 있는 복수 개의 셀렉터 로드(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얼 니들(18)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상기 로드(30)는 실린더(2) 및 다이얼의 상부에 놓이며, 실린더(2)의 회전축(X) 주위에 환형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로드(30)는 상기 다이얼 니들(18)의 적어도 하나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단부(32a)에서 종료되는 맞물림 구간(32)을 포함한다.
다이얼(14)의 상부에 위치하는 환상의 업 트위스터(uptwister; 20)는 맞물림 단부(32a)에 의해서 힐을 구비하는 다이얼 니들까지 연장하도록 사용되는 개구(20a)를 갖는다.
로드(30)는 맞물림 구간(32)과 연결되는 명령 구간(34)을 더 포함한다. 각 로드(30)의 명령 구간(34)은 실린더(2)의 회전축(X)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보스(36)를 포함한다. 로드(30)의 보스(36)는 서로 비교하면 상호 엇갈리게, 예를 들면,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열된다(도 2 참조).
바람직하게는, 셀렉터는 상기 로드(3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서 대응하는 다이얼 니들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선택 명령 장치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선택 명령 장치는 돌출하도록 선택적으로 명령을 받아, 로드(30)의 보스(36)와 같이 축 방향으로 엇갈리며, 상기 로드(30) 중 하나의 보스(36)와 맞물리어, 로드(30)를 진동하게 하며 각각의 다이얼 니들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엑츄에이터 레버(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얼 니들(18)은 스티치를 창출하기 위한 재봉 구간 및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과 맞물릴 수 있는 이동 구간을 더 포함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니들(18)의 이동 구간은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예를 들면, 두 개의 다른 높이로 배열되어, 실린더 니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다이얼 니들의 다이얼 상의 축 방향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편직기(1)는 업 트위스터(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방적사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니들(6)은,
a)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하단부(50a; 힐) 및 다이얼 니들(18)과 싱커(12)와 맞물리어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는 상단부(50b) 사이에서 주로 회전축(X)을 따라 연장되는 스핀들(50);
b) 스핀들의 상단부(50b)에 위치하는 후크, 및 스핀들의 상단부(50b)에 위치하며 힌지 포인트에서 스핀들(50)에 피벗되어 후크 상으로 다시 밀폐되어 방적사를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탭; 및
c) 스핀들(50)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며, 탭의 힌지 포인트 아래에 위치하며, 하한 위치 및 상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 시에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는 전사 보스(60)를 포함한다.
전사 보스(60)는 실린더 니들의 상한 위치에서는 상기 전사 보스(60)가 다이얼 니들(18)의 재봉 단부 상부에 위치하여(도 4d 참조), 실린더(2)로부터 다이얼(14)로의 스티치의 전사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스핀들(50)을 따라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니들(6)은 스핀들(5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 1 힐(50b), 및 제 1 힐(50b) 및 전사 보스(60) 사이에 위치하여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맞물리어 실린더 니들(6)을 상한 위치로 제공하며 실린더 니들로부터 다이얼 니들까지 스티치를 전사하기 위한 최적 위치로 이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 2 힐(50c)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각 실린더 니들(6) 아래의 실린더(2)의 각 축 방향 홈(4)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잭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2)의 동일한 축 방향 홈(4) 내에 위치하며 하나가 다른 하나 아래에 배치되는 두 개의 잭(70, 80)을 포함한다.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드럼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캠 유닛 중, 제 1 유닛(90)은 단지 병진 운동을 위하여 실린더 니들(6)과 맞물릴 수 있으며, 다른 유닛(100, 110)은 병진 운동을 위하여 각각의 잭(70, 80)과 맞물릴 수 있다(도 4a 참조).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로부터 다이얼로의 스티치의 전사를 위한 위치까지의 실린더 니들의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가 극히 급한 캠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편직기(1)는 공동인 실린더(2) 내부에 다이얼이 위치하는 그 상부로부터 저부를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형성될 양말에 견인 효과(pulling effect)를 부여할 수 있는 흡입 견인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흡입 견인 수단은 실린더(2) 자체와 함께 회전하는 실린더(2) 내부에 삽입되는 흡입 튜브(120)를 포함한다. 튜브(120)는 다이얼(14) 바로 아래의 실린더(2) 상부로부터 상기 실린더(2)의 저부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튜브(120)는 실린더(2)의 벽을 향하여 외측으로 접어 꺾여 원추형 벽을 형성하는 상단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부(122)는 또한 절단 원추형(truncated cone)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튜브(120)의 상단부(122)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다이얼(14)의 저부와 함께, 공기의 흡입에 의해 형성될 양말이 튜브(120)에 진입하기 쉽도록 하는 환상의 입구 채널(124)을 형성한다,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편직기(1)는 형성될 양말의 기계적 파지 및 실린더(2)의 저부를 향한 견인에 의해서 양말에 견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견인 수단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계적 견인 수단은 요구되는 바와 같은 팽팽함을 유지하면서 형성될 양말을 기계적으로 핀치(pinch)하여 이를 실린더의 저부를 향하여 견인할 수 있다.
기계적 견인 수단은 흡입 튜브(120)와 함께 회전하면서(실린더(2)와 함께 회전하며) 흡입 튜브(120)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흡입 튜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튜브형 부시(20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시(200)는 부시(200) 외부에 위치하여 튜브(120)와 맞물리는 탭에 의해서 튜브(120)에 부착된다. 일례에 따르면, 탭의 구조는 회전 시에 부시(200)를 견인하나, 튜브(120) 내부에서 탭이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하도록 할 정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부시(200)는 상한 위치에서 하한 위치까지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시(200)의 상단부의 부분은 절단 원추 형상의 면(202)에 의해서 형성되어, 부시(200)가 상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면(202)은 형성될 양말의 부시(200)의 내부를 향한 하강에 대한 어떠한 장애물도 없는 채널(124)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원추 형상의 면(202)은 튜브(120)의 상단부(122)의 이상적인 연장부 상에 주로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견인 수단은 상한 위치 및 하한 위치 사이에서 또는 그 반대의 사이에서 부시(2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부시 이동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시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피스톤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공압 시스템을 포함한다.
기계적 견인 수단은 흡입 튜브(120) 내부에서 병진 운동 가능하며 이동식 파지 부재들을 형성하여 형성될 양말의 적어도 일부를 부시(200)로 견인하여 이를 기계적으로 파지하는 파지 장치(204)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장치(204)는 부시(200)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이 있으며 공기로 팽창되는 환상의 벽(206), 및 상기 탄성 벽(206)이 밀폐식으로 연결되는 지지체(208)를 포함한다(도 5 참조).
탄성 벽(206)은 공기로 팽창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팽창되면 형성될 양말의 일부를 부시(200)에 밀어 부쳐 이를 핀치하는 파지 요소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 장치(204)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피스톤(210), 및 피스톤(210)이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지지체(212)를 포함한다(도 6a 및 6b 참조).
피스톤(210)은 슬라이드하여 지지체(212)의 외부로 나와, 형성될 양말의 일부를 부시(200)에 압축시키는 파지 요소들을 형성하여 이를 핀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장치(204)는 피스톤이 부시와 맞물리어 형성될 양말의 일부를 핀치하는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의 피스톤의 자동 복귀를 위한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복귀 메커니즘은 피스톤의 헤드를 맞물리게 하는 피스톤과 동심인 탄성 요소(214)를 포함한다.
기계적 견인 수단은 다이얼 축(15)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 시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다이얼 축(15)으로부터 분리되며, 저부에서 파지 장치(204) 또는 파지 장치의 지지체(208, 212)에 연결되는 스핀들(300)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양말이 제조되는 동안 스핀들(300)은 회전축(X) 주위의 회전이 부족하기 때문에, 파지 장치(204)는 특수한 베어링들에 의해서 스핀들(300)과 함께 선회하며 회전축(X) 주위를 회전하여 형성될 양말 및 부시(200)의 본연의 회전을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견인 수단은 스핀들(300)이 상한 위치에 있을 때는 파지 장치(204)의 상한 위치에 대응하여 그리고 스핀들(300)이 하한 위치에 있을 때는 파지 장치(204)의 하한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신호를 각각 방출할 수 있는 한 쌍의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벽(206)은 공기에 의한 팽창 또는 후방 위치에서 전방 핀칭 위치로의 피스톤(210)의 이동을 위하여(300), 가압 공기의 파지 장치(204), 상세하게는 파지 장치(204)의 지지체(208, 212)로의 공급을 위하여, 스핀들(300)은 예를 들면, 축 방향 홀로 이루어진 공기 공급 채널(302)을 구비한다.
공기 공급을 위해 천공된 상기 스핀들은 가압 공기를 파지 장치(204)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 공급 메커니즘의 일례를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공기 공급 메커니즘은 파지 장치(204)에 연결되는 탄성 튜브를 포함한다.
바림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견인 메커니즘은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동기화된 작동의 수행을 야기한다.
상세하게는, 편직기(10)가 정상 작동하고 있는 동안, 양말의 제조의 시작, 즉, 발목 밴드의 형성에 대응하는 초기 구성에서, 부시(200)는 부시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서 상한 위치에 놓인다. 파지 장치(204)는 스핀들(300)에 의해서 상한 위치에 놓여, 부시(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양말의 제조 공정이 일단 시작되면, 이미 형성된 양말의 부분을 활성화한 공기 견인 메커니즘은 공기 흐름에 의해서 하부로 흡입된 부시(200) 내부의 채널(124)을 통하여 진행한다.
발목 밴드의 길이보다 작게 결정된 길이의 양말의 일부가 형성되어 파지 방치(204) 및 부시(200) 사이에 위치하면,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이 활성화된다.
상세하게는, 가압 공기가 스핀들(300)을 통하여 보내어진다.
변형예에 따르면, 탄성 벽(206)이 팽창하여 이미 형성된 양말의 부분을 기계적 구속을 형성하는 부시(200)에 핀치하거나, 피스톤(210)이 외측으로 병진 운동하여 이미 형성된 양말의 부분을 부시(200)에 핀치한다.
공기 견인 메커니즘은 비활성화되며, 부시 이동 메커니즘이 하한 위치를 차지한다.
양말의 제조가 진행되면, 스핀들(200)에 의해 이동되는 파지 장치(204)가 하부로 병진 운동하여 부시(200)를 이와 함께 견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핀들(300)의 이용 가능한 행정과 적어도 동일한 길이의 양말의 일부를 제조할 수 있다.
스핀들(300)이 하한 위치에 도달하면:
- 상기한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위치 신호에 의거하여, 흡입 견인 메커니즘이 재활성화된다;
- 스티치를 형성하는 요소들이 정지한다;
- 공기 공급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되어 탄성 벽이 공기가 빠지거나 피스톤이 후방 위치로 복귀한다;
- 파지 장치(204)가 스핀들(300)에 의해서 상한 위치로 되돌아가며, 부시(200)는 부시 이동 메커니즘에 위해 상한 위치로 되돌아간다;
- 공기 공급 메커니즘이 재활성화되어 탄성 벽이 공기에 의해 팽창하거나 피스톤이 전방 위치로 복귀하여 형성될 양말을 부시에 다시 핀치시킨다;
- 흡입 견인 메커니즘이 비활성화된다;
- 스티치를 형성하는 요소들이 재시동하여 양말의 제조가 재개된다.
이러한 작동 방법은 양말의 다리 부분, 뒤면 부분, 및 발가락 부분의 길이가 스핀들(300)의 유효 행정보다 긴 경우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스티치 형성 공정이 다이얼 니들 중 몇몇을 포함하거나 배제하도록 하여, 가능한 재봉의 범위를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필요한 경우 단일의 양말을 제조하는 동안 반복적으로 실린더로부터 다이얼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스티치가 전사를 포함하는 스티치 형성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점들에 따르면,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 니들로부터 다이얼 니들로의 스티치의 전사를 위한 최적의 높이에 실린더 니들을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축 방향 공간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가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이중 실린더의 편직기에 의해 실행되는 형태를 포함할 만큼 넓은 재봉 범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공지의 남성 양말용 단일 실린더의 편직기에서보다 형성될 양말을 더 강하게 견인할 수 있어서, 양말을 주름지게 하는 경향이 있는 스티치의 재봉의 부재 시에도 양말을 팽팽하게 유지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니들 셀렉터는 셀렉터 로드(30)와 선택 명령 메커니즘, 예를 들면, 엑츄에이터 레버(40)를 구비한 엑츄에이터(302) 사이에 중간 셀렉터 캡(300)을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 참조).
셀렉터는 각각의 셀렉터 로드(30)에 대하여 하나씩 구비되며, 예를 들면 셀렉터 로드(30)에 대해 외측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중간 선택 레버(304)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선택 레버(304)는 크라운(306)에 스프링 힌지 결합되어, 진동되어 엑츄에이터(302)의 각각의 엑츄에이터 레버(40)와 접합한다.
셀렉터는 각각의 셀렉터 로드(30)에 대하여 하나씩 구비되는 복수 개의 트러스트 레버(308)를 더 포함한다.
트러스트 레버(308)는 이동식이며, 상세하게는 캠(300)과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진동한다.
또한, 트러스트 레버(308)는 이들이 각각의 셀렉터 로드(30) 상에서 작동하는 능동 위치와 수동 위치 사이에서 각각의 중간 레버(304)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엑츄에이터(302)의 명령에 의거하여, 몇몇의 엑츄에이터 레버(40)는 이들을 하강시키는 각각의 중간 레버(304) 상에서 작동하여, 셀렉터 캠(300)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맞물림 위치로 이동하는 대응트러스트 레버(308)를 하강시킨다.
캠(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선택된 트러스트 레버(308), 다시 말하면, 하강된 트러스트 레버(308)는 반경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번갈아 진동하는 각각의 셀렉터 로드에 작용하여 원하는 다이얼 니들(18)을 선택한다.
엑츄에이터(302)는 실린터(2)의 회전축(X), 즉, 수직축에 평행하는 작동축을 갖는다.
원하는 다이얼 니들(18)을 선택하도록 셀렉터 로드(30)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동작은 캠(30)이 이러한 동작과 반경 방향으로 접합하여 각각의 중간 셀렉터 로드(304)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므로 엑츄에이터(302)의 엑츄에이터 레버(40) 상에 있는 것처럼 작동하지 않으며, 엑츄에이터 레버(40)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셀렉터 캠(300)이 트러스트 로드(308)와 맞물릴 때, 셀렉터 캠(300)은 셀렉터 로드(30)의 작동과 반경 방향으로 접합한다.
이러한 구조는 엑츄에이터 상의 제한된 스트레인 및 높은 수준의 이동 반복성 하에서 신뢰할 만하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셀렉터 로드(3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주로 축 방향의 연장부를 갖는 적어도 세 개의 분리된 구간으로 나뉜다(도 8 참조).
상세하게는, 셀렉터 로드(30)는 엑츄에이터(302)의 엑츄에이터 레버(40)의 영향 하에서 스프링 힌지 결합되어 진동하는 상부 구간(320), 상부 구간(320)의 영향 하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구간(322), 및 중간 구간(322)의 영향 하에서 스프링 힌지 결합되어 진동하는 최종 구간(324)을 포함한다.
엑츄에이터(302)는 회전축(X)에 관련되는, 예를 들면, 회전축(X)과 수직하는, 즉 수평의 작동축(Y)를 갖는다.
셀렉터는 섹렉터 로드(30)의 외측에 반경 방향으로 위치하여 이의 축 방향 이동 전체를 따라 중간 구간(322)과 맞물리는 셀렉터 캠(326)을 더 포함한다.
엑츄에이터(302)의 명령에 의거하여, 몇몇의 엑츄에이터 레버(40)는 각각의 셀렉터 로드(30) 상에서, 상세하게는 셀렉터 로드(30)의 상부 구간(320) 상에서 작동하여, 이들을 완전하게 진동하도록 한다. 진동한 다음에, 중간 구간(322)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셀렉터 캠(326)에 의해 맞물리기에 적절한 위치를 차지한다.
캠이 회전하면, 몇몇의 중간 구간(322)은 캠에 의해 맞물리어 셀렉터 로드(30)의 최종 구간(324)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된다.
최종 구간(324)와 맞물린 중간 구간(322)은 최종 구간(324)을 진동하게 하여, 원하는 다이얼 니들(18)에 작용한다.
원하는 다이얼 니들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중간 구간(322) 상에서의 동작하는 축 방향 이동은 캠(326)이 중간 구간(322)과 맞물릴 때, 이러한 동작과의 축 방향 접합부로 작용하는 캠(326)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엑츄에이터 상의 제한된 스트레인 및 높은 수준의 이동 반복성 하에서 신뢰할 만하다.
또한, 최종 구간(324)는 제한된 크기로 이루어져 만약 그렇지 아니한 경우 다이얼 니들의 정밀한 이동과 타협할 수 있는 제한된 변형에 종속된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셀렉터는 중간 구간이 최종 구간에 힌지 결합되는 세 개의 별개의 구간들로 이루어진 셀렉터 로드(30)를 포함한다(도 9 참조).
기계적으로 강행되기 때문에 진동의 보다 뛰어난 복귀를 보장하기 위한 방식으로 최종 구간(324)이 중간 구간(322)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변형예는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셀렉터 로드(30)는 주로 축 방향의 연장부를 갖는 두 개의 분리된 구간으로 이루어진다(도 10 참조).
셀레터 로드(30)는 엑츄에이터(302)의 엑츄에이터 레버(40)에 의해 수평 작동축과 맞물릴 수 있는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메인 구간(330)을 포함한다.
메인 구간(33)은 돌출 노치(331)를 포함한다.
셀레터 로드(30)는 진동을 위해 원하는 다이얼 니들(18)과 맞물릴 수 있는 최종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32)을 더 포함한다.
셀렉터는 셀렉터 로드(30)의 메인 구간(330)의 노치(331)와 맞물릴 수 있는 셀렉터 캠(334)을 더 포함한다.
엑츄에이터(302)의 명령에 의거하여, 메인 구간(330)이 이동하며 노치(331)는 셀렉터 캠(334)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셀렉터 캠(334)을 회전시킴으로써, 셀렉터 캠(334)은 메인 구간(33)에 작용하여, 메인 구간(33)을 충분히 하강시켜 진동 시에 선택된 다이얼 니들(18)을 이동시키는 최종 구간(332)에 작용하게 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셀렉터는 단일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셀렉터 로드(30) 및 다이얼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셀렉터 캠(350)을 포함한다(도 11a 및 b 참조).
셀렉터 로드(30)는 하단부에 구비된 풋(352) 및 긴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을 포함한다.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은 그 상단부에서 엑츄에이터(302)의 엑츄에이터 레버(40)와 함께 수평 작동축 상에서 작동한다. 다른 단부에서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은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으로부터 돌출된 풋(352)과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후퇴한다.
해머 형상의 풋(352)은 다이얼 니들(18)에 작용할 수 있는 노즈(356)을 포함한다.
풋(352)은 예를 들면,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과의 연결부에 셀렉터 로드(30)의 진동을 위해 셀렉터 캠(350)와 맞물릴 수 있는 노치(358)을 더 구비한다.
엑츄에이터(302)의 명령에 의거하여, 몇몇의 셀렉터 로드(30)가 제 1 진동을 실행하여 노치(358)는 셀렉터 캠(350)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적절한 위치를 차지하며, 노즈(356)는 노치(358)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후방인 까닭에 다이얼 니들로부터 여전히 떨어져 있다.
셀렉터 캠(350)을 회전시킴으로써, 셀렉터 캠(350)은 노치와 맞물리어 이전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노치를 캠에 의해 강행되는 제 2 진동으로 견인하다.
다시 말하면, 진동 레버는 이중 진동, 즉, 엑츄에이터(302)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1 진동 및 셀렉터 캠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2 진동을 실행한다.
노치(358)는 다이얼 니들에 작용할 때 풋(352)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서, 노즈(356)와는 인접하며 엑츄에이터 레버(40)를 구비하는 맞물림 영역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
셀렉터 로드(30)가 다이얼 니들에 작용할 때, 셀렉터 캠(350)은 니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동에 축 방향으로 접합하며, 따라서 이러한 이동은 셀렉터 로드의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354) 및 엑츄에이터 레버(40)에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스티치의 형상 시의 결점 및 결함을 제한하거나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는 첨부되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유발적 및 특정한 필요 조건을 만족하도록 상기한 편직기의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31)

  1.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축 주위를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회전하며, 외부면에 복수 개의 축 방향 홈을 갖는 실린더;
    실린더의 상기 축 방향 홈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복수 개의 실린더 니들;
    하한 위치 및 하한 위치보다 축 방향으로 높은 상한 위치 사이에서 실린더 니들에 교호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
    실린더를 둘러싸며, 실린더와 동축이며, 복수 개의 크라운 홈을 구비하는 고정 외부 크라운;
    상기 크라운 홈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복수 개의 싱커;
    후방 한계 위치 및 후방 한계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내측인 전방 한계 위치 사이에서 싱커에 교호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싱커 이동 메커니즘;
    실린더 상부에 놓이는 방식으로 위치하며, 실린더와 동축이며, 명령에 따라 실린더의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며, 복수 개의 반경 방향 홈을 구비하며, 실린더의외면 내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이얼;
    다이얼에 연결되어 회전 시에 다이얼을 견인하는 다이얼 축;
    다이얼의 상기 반경 방향 홈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복수 개의 다이얼 니들;
    상기 다이얼 니들과 맞물리며 후방 한계 위치 및 후방 한계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외측인 전방 한계 위치 사이에서 다이얼 니들에 교호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
    양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실린더 니들, 다이얼 니들 및 싱커의 협업에 의해 인터레이스되며 양말을 구성하는 스티치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적사를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얀-핑커;
    다이얼 니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풀림 위치로부터 이들이 상기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위치로 이들을 병진 운동시킬 수 있으며 선택된 니들은 스티치의 형성과 관련시키며 선택되지 아니한 니들을 배제하는 다이얼 니들 셀렉터 메커니즘; 및
    형성될 양말의 기계적 파지에 의해서 형성될 양말에 견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은
    실린더와 함께 회전하는 실린더 내부의 흡입튜브;
    흡입 튜브 내부에 위치하며, 흡입튜브와 함께 회전하며, 흡입 튜브 내에서 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한 튜브형 부시;
    부시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부시 이동 메커니즘; 및
    부시 내부의 흡입 튜브 내부에서 병진 운동 가능하며, 해제 가능한 파지 부재들을 형성하도록 명령을 받아 형성될 양말의 적어도 일부를 부시로 견인하여 이를 기계적으로 핀치하는 파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은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며, 파지 장치에 연결된 다이얼 축 내부의 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양말 제조용의 원형 편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셀렉터는 명령에 따라 진동하여 다이얼 니들과 맞물리어 이들 중 적어도 몇몇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셀렉터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셀렉터는 상기 셀렉터 로드의 적어도 몇몇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다이얼 니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명령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선택 명령 메커니즘은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명령을 받아 상기 셀렉터 로드의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엑츄에이터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셀렉터 로드는 상기 다이얼 니들의 적어도 하나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 단부에서 종료되는 맞물림 구간, 및 맞물림 구간에 연결되어 상기 엑츄에이터 레버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연장되는 명령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셀렉터 로드의 상기 명령 구간은 실린더의 회전축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를 포함하며;
    셀렉터 로드의 상기 보스는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엑츄에이터 레버는 상기 보스에 대응하여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엑츄에이터 레버가 상기 셀렉터 로드의 단지 몇몇과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축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엑츄에이터 레버도 축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얼 니들은 스티치의 형성을 위한 재봉 구간, 및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과 맞물릴 수 있는 이동 구간을 포함하며;
    다이얼 니들의 상기 이동 구간은 축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간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니들의 개수는 다이얼 니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얼 상부에 놓이도록 위치하며, 회전축과 동축인 업 트위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이얼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복수 개의 캠을 포함하며;
    상기 캠은 업 트위스터와 다이얼 사이에 상기 업 트위스터 상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업 트위스터 상에 위치하며 방적사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니들은
    a)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슬라이드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하단부 및 다이얼 니들과 싱커와 맞물리어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는 상단부 사이에서 주로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스핀들;
    b) 스핀들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후크, 및 스핀들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힌지 포인트에서 스핀들에 피벗되어 후크 상으로 다시 밀폐되어 방적사를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탭; 및
    c) 스핀들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며, 힌지 포인트 아래에 위치하며, 하한 위치 및 상한 위치 사이의 이동 시에 형성된 스티치를 맞물리게 할 수 있는 전사 보스를 포함하며;
    전사 보스는 실린더 니들의 상한 위치에서는 상기 전사 보스가 다이얼 니들의 재봉 단부 상부에 위치하여, 실린더로부터 다이얼로의 스티치의 전사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스핀들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실린더 니들은 스핀들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 1 힐, 및 제 1 힐 및 전사 보스 사이에 위치하여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에 의해 맞물리어 실린더 니들을 상한 위치로 제공할 수 있는 제 2 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 니들 아래에 대응 실린더 홈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실린더에 동축이며 그 외부에 반경 방향으로 놓이는 드럼을 더 포함하며;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동일한 실린더 홈 내에 위치하며 하나가 다른 하나 아래에 배치되는 두 개의 잭을 포함하며;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드럼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캠 유닛을 포함하며, 이들 중 제 1 유닛은 병진 운동을 위하여 실린더 니들과 맞물릴 수 있으며, 다른 유닛들은 병진 운동을 위하여 각각의 잭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실린더 니들 이동 메커니즘은 실린더 니들을 상한 위치까지 상승시켜서 전사 보스가 다이얼 니들의 재봉 단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사가 급한 적어도 하나의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는 내부가 공동이며;
    상기 편직기는 실린더의 상단으로부터 실린더의 저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야기하여 형성될 양말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 견인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1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핀들은 축 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어서 가압 공기의 파지 장치로의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 장치는 스핀들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 장치는 상기 파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이 있으며 공기로 팽창 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 장치는 상기 파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동식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 견인 메커니즘 및 기계적 견인 메커니즘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어,동기화된 작동의 수행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렉터는 셀렉터 로드의 적어도 일 구간과 맞물리어 다이얼 니들 및 캠과 맞물리는 셀렉터 로드의 상기 구간 사이의 동작과 마주하는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셀렉터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셀렉터는 단일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셀렉터 로드 및 다이얼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셀렉터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셀렉터 로드는 하단부에 구비된 풋 및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을 포함하며;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은 그 상단부에서 엑츄에이터의 엑츄에이터 레버와 함께 협업하며, 그 다른 단부에서 스프링 힌지 결합 구간으로부터 돌출된 풋과 연결되어,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풋은 다이얼 니들에 작용할 수 있는 노즈 및 셀렉터 로드의 진동을 위해 셀렉터 캠과 맞물릴 수 있는 노치를 포함하며;
    노치는 노즈와는 인접하며 엑츄에이터 레버를 구비하는 맞물림 영역과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셀렉터 로드는 노즈가 다이얼 니들과 떨어져 있는 동안 엑츄에이터에 의해 강행되는 제 1 진동을 완료하여 노치가 셀렉터 캠과의 맞물림을 위한 적절한 위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 1 진동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캠에 의해 강행되는 제 2 진동을 완료하여 노즈가 다이얼 니들에 작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07003724A 2007-07-24 2008-07-15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KR101471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S2007A000104 2007-07-24
IT000104A ITBS20070104A1 (it) 2007-07-24 2007-07-24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o per calze da uomo con aghi sul platorell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486A KR20100045486A (ko) 2010-05-03
KR101471694B1 true KR101471694B1 (ko) 2014-12-10

Family

ID=3992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24A KR101471694B1 (ko) 2007-07-24 2008-07-15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78029B2 (ko)
EP (1) EP2171142B1 (ko)
JP (1) JP2011528408A (ko)
KR (1) KR101471694B1 (ko)
CN (1) CN101809213B (ko)
AT (1) ATE497553T1 (ko)
DE (1) DE602008004835D1 (ko)
IT (1) ITBS20070104A1 (ko)
TW (1) TW200936834A (ko)
WO (1) WO2009013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2878B1 (it) * 2009-02-04 2012-04-02 Busi Giovanni Srl Macchina circolare da calzetteria e/o maglieria perfezionata
IT1394674B1 (it) * 2009-07-08 2012-07-13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o per calze da uomo, del tipo con aghi sul platorello
EP2284308B1 (de) 2009-08-03 2017-11-08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nnadel mit verliersicherem Kupplungsteil
IT1396192B1 (it) * 2009-10-07 2012-11-16 Santon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er la produzione di capi di abbigliamento del tipo "seamless", a funzionalita' ncrementata.
IT1403218B1 (it) 2011-01-05 2013-10-17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o per calze da uomo, del tipo con aghi sul platorello
ITBS20110096A1 (it) * 2011-06-29 2012-12-30 Santoni & C Spa Manufatti, quali calze da uomo, realizzati su macchine circolari monocilindro con aghi sul platorello
ITMI20111681A1 (it) 2011-09-19 2013-03-20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a doppio cilindr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simili.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TWI539050B (zh) * 2013-11-15 2016-06-21 Da Kong Entpr Co Ltd Sewing sock machine needle plate
USD771153S1 (en) * 2014-01-15 2016-11-08 Santoni S.P.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D772958S1 (en) * 2014-01-15 2016-11-29 Santoni S.P.A. Device for feeding thread to needles of a knitting machine
DE102015103639B4 (de) * 2015-03-12 2020-04-23 Terrot Gmbh Nadelzylinder und Rundstrickmaschine
CN105483926B (zh) * 2016-01-22 2017-11-24 新昌县振兴纺织机械有限公司 单针筒全电脑织袜机哈夫盘及喂纱器座垂直升降结构
CN105544082A (zh) * 2016-02-05 2016-05-04 陈仲纪 一种小口径上针盘横针提花的走针机构
CN105544084A (zh) * 2016-02-05 2016-05-04 陈仲纪 一种小口径上针盘横针提花结构
CN105544081B (zh) * 2016-02-05 2018-08-24 陈仲纪 一种小口径上针盘横针提花机构
CN105734807A (zh) * 2016-04-29 2016-07-06 厦门兴全龙机械有限公司 一种易于调节上针筒和上盘三角间隙的圆盘针织机
CN106987994A (zh) * 2017-06-05 2017-07-28 陈仲纪 一种弧形走针轨道的提花走针结构及走针方法
USD873307S1 (en) * 2017-11-23 2020-01-21 Santoni S.P.A. Textile machine
WO2019197928A1 (en) * 2018-04-11 2019-10-17 Santoni S.P.A.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items and method for turning tubular knitted items
USD891485S1 (en) * 2018-04-12 2020-07-28 Santoni S.P.A. Textile machine
USD892179S1 (en) * 2018-04-12 2020-08-04 Santoni S.P.A. Textile machine
CN108691086A (zh) * 2018-06-07 2018-10-23 广东南豆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牵引座的导纱机构
IT201900007380A1 (it) * 2019-05-27 2020-11-27 Santoni & C Spa Organo porta-aghi per macchina tessile circolare
TWD207731S (zh) * 2019-06-12 2020-10-11 義大利商聖東尼股份公司 紡織機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825A (en) * 1982-06-09 1985-09-10 Colosio Cesare S.R.I. Device selecting the needles on the dial plate of either single or multiple feed, sing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the manufacture of ribbed fabric
JP2835171B2 (ja) * 1989-10-10 1998-12-14 モナーク・ニッティング・マシーナ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レイパイル糸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6268A (en) * 1968-09-12 1970-06-23 Us Industries Inc Device for minimizing twisting of circular knit fabric
DE2117125A1 (en) 1970-04-07 1971-10-21 Solis S.r.l., Tavarnuzze, Florenz (Italien) Circular single cylinder needle control
IT1138774B (it) * 1981-05-08 1986-09-17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del tipo a cilindro e platorello,in particolare per la fabbricazione di calze
IT1176349B (it) * 1984-06-29 1987-08-18 Savio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tiraggio con rovesciamento per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US5052196A (en) * 1988-02-17 1991-10-01 Francesco Turini Pneumatically sock tensioning and revers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IT1245837B (it) * 1990-11-15 1994-10-24 S F I M Srl Macchina circolare monocilindrica con azionamento del platorello perfezionato in particolare per la produzione di calze
JPH11241257A (ja) * 1998-02-23 1999-09-07 Nagata Seiki Co Ltd 丸編機の糸切断装置
JP2000336561A (ja) * 1999-05-31 2000-12-05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高密度編地を編成する丸編機及びその編成方法
ITMI20030899A1 (it) * 2003-05-02 2004-11-03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a medio
JP4213544B2 (ja) * 2003-09-03 2009-01-21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並びに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9825A (en) * 1982-06-09 1985-09-10 Colosio Cesare S.R.I. Device selecting the needles on the dial plate of either single or multiple feed, sing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the manufacture of ribbed fabric
JP2835171B2 (ja) * 1989-10-10 1998-12-14 モナーク・ニッティング・マシーナ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レイパイル糸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BS20070104A1 (it) 2009-01-25
CN101809213A (zh) 2010-08-18
TW200936834A (en) 2009-09-01
ATE497553T1 (de) 2011-02-15
CN101809213B (zh) 2011-07-06
JP2011528408A (ja) 2011-11-17
EP2171142B1 (en) 2011-02-02
EP2171142A1 (en) 2010-04-07
WO2009013773A1 (en) 2009-01-29
US20100192637A1 (en) 2010-08-05
DE602008004835D1 (de) 2011-03-17
KR20100045486A (ko) 2010-05-03
US7878029B2 (en)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694B1 (ko) 다이얼 상의 니들을 구비하는 양말용 원형 편직기
KR101680401B1 (ko) 양말 제조용 단일 원통 원형 편직 기계
JP6918795B2 (ja) 靴下などの管状製品を、少なくとも1つのフィード又はドロップを有するダブルシリンダ円型機械での形成を終了する際の自動的なピックアップのために準備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ダブルシリンダ円型機械
EP0784113A1 (en) Sing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140019291A (ko) 다이얼 상에 니들들을 구비하는 유형의, 남성의 양말을 위한 원형 편물 기계
JP2017537238A (ja) シンカ作動装置を備えた靴下類等の編成品のための円形編機
US4407145A (en) Knitwork drawing device in a doub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JP6879911B2 (ja) 丸編み機
EP0168871B1 (en) Pulling with reversing device and process for circular knitting frames
US628634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items closed at an axial end, and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items
EP0385154B1 (en) Mechanical take down device
JP2006525438A (ja) 改良された針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中径タイプの丸編機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KR20200010273A (ko) 원형 편직기 및 원형 편직기의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US4297857A (en) Apparatus for knitting terry loops on a circular hosiery machine
JPH0633351A (ja) 丸編機
KR200348623Y1 (ko) 양말편직기
JPH05195389A (ja) 丸編機用機械式テークオフ装置
EP4127285A1 (en)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EP0038437A1 (en) Sing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the type having two needle-carrying structures, for knitting plain and purl stitches
ITMI991688A1 (it) Procedimento per eseguire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in corrispondenza di una sua estremita' assiale al termine del suo ciclo di p
ITMI951081A1 (it)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on dispositivo per evitare tensioni indesiderate e rotture del filo tenuto da aghi disattiv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