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600B1 -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600B1
KR101471600B1 KR1020130136437A KR20130136437A KR101471600B1 KR 101471600 B1 KR101471600 B1 KR 101471600B1 KR 1020130136437 A KR1020130136437 A KR 1020130136437A KR 20130136437 A KR20130136437 A KR 20130136437A KR 101471600 B1 KR101471600 B1 KR 10147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foot
chair
us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돈
서현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뒷사람과 의자 밑에서 발과 발이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를 통한 의자 밑 발의 위치를 감지하여 의자 밑을 칸막이 또는 셔터로 차단하기 위한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과, 상기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와, 상기 밑판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Chair and its supporting apparatus with partition under a chair}
본 발명은 의자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의자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뒷사람과 의자 밑에서 발과 발이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를 통한 의자 밑 발의 위치를 감지하여 의자 밑을 칸막이 또는 셔터로 차단하는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허리를 등받이로 받치고 다리를 자유롭게 놓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람들이 편히 앉아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의자는 사람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사람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 및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의 경우, 밑판 하부가 뚫려 있어서 수업 또는 강의 시간 혹은 도서관 등에서 의자에 앉아 공부를 할 때,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뒷사람과 의자 밑에서 발과 발이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는 뒷사람이 편안한 자세를 취했을 때 발생하는 상황으로 수업이 한 시간이면 한 시간 동안 여러 번의 충돌을 경험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이 상황이 계속되다 보면 수업보다 뒷사람의 발 위치가 신경 쓰이고 혹은 뒷사람과 시비가 붙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밑이 차단된 형태의 의자가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의자에 사람이 앉아있지 않은 경우나 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이 자신의 발을 뒤로 옮기지 않는 경우에도 뒷사람은 언제나 자신의 발을 앞에 위치하는 의자 밑으로 위치시켜 편안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7759호 : 다리 비틀기 방지 의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528 : 등받이탁자와 선반을 갖는 실용의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뒷사람과 의자 밑에서 발과 발이 충돌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를 통한 의자 밑 발의 위치를 감지하여 의자 밑을 칸막이 또는 셔터로 차단하기 위한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의 특징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과, 상기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와, 상기 밑판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보조 기구의 특징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로 구성된 의자에 부착되는 의자 보조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밑판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칸막이 연동부는 밑판을 중심으로 앞과 뒤의 공간을 차단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를 밑판과 지면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칸막이 구동부와, 상기 밑판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을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칸막이 연동부는 칸막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는 밑판의 앞쪽에 설치되는 앞쪽 센서와, 밑판의 뒤쪽에 설치되는 뒤쪽 센서와, 상기 앞쪽 센서 및 뒤쪽 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센서는 밑판의 정 중앙보다 앞쪽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칸막이 구동부는 도르래 식을 통한 칸막이의 올리고 내리는 구조이거나, 또는 걸쇠를 이용한 걸림 장치로 칸막이를 걸고 있다가 걸쇠가 풀리면서 칸막이가 내려오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칸막이는 2개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각 칸막이의 양 끝단이 서로 모여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는 수업 또는 강의 시간 혹은 도서관 등에서 의자에 앉아 공부를 할 때, 뒷사람과 의자 밑에서 발과 발의 충돌을 피할 수 있고, 개인적 공간 침해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학교나 밀집된 사람들이 앉는 장소의 경우 보다 효과적인 의자가 될 수 있다.
또한, 앞쪽 의자에 사람이 앉아있지 않은 경우나 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이 자신의 발을 뒤로 옮기지 않는 경우에는 뒷사람이 언제나 자신의 발을 앞에 위치하는 의자 밑으로 위치시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의자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밑 칸막이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에서 밑 칸막이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00)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200)과, 상기 밑판(200)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300)와, 상기 밑판(200)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200)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 연동부(400)는 밑판(200)을 중심으로 앞과 뒤의 공간을 차단하는 칸막이(410)와, 상기 칸막이(410)를 밑판(200)과 지면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칸막이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밑판(200)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을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4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 연동부(400)는 칸막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가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오른쪽, 가운데, 왼쪽 다 선택 가능한 3단 스위치로서, 스위치 별로 칸막이 구동부의 동작을 수동과 자동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실시예로서, 수동으로 선택되는 경우 칸막이(410)를 바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칸막이(410)를 밑판(200)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설치하여, 앞쪽 칸막이 뒤쪽 칸막이 버튼을 2개 설치하여 앞쪽 뒤쪽을 자유롭게 올리고 내릴 수도 있다.
또한, 자동으로 선택되는 경우 밑판(200)에 설치된 2개 이상의 센서(420)를 이용하여 앞쪽의 발이 먼저 들어올 경우 뒤쪽을 차단하고, 뒤쪽의 발이 먼저 들어올 경우 앞쪽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이때, 두발이 동시에 들어올 경우를 대비하여,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앞쪽 센서(420a) 및 뒤쪽 센서(420b) 사이에 하나의 센서(420c)를 더 설치하여 먼저 발이 들어온 사람이 누구인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도록 한다.
이때, 중간 센서(420c)는 밑판(200)의 정 중앙에 두는 것이 아니라 의자 밑 공간의 주인도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것이므로 가운데 보다 앞쪽으로 설치하여 앞쪽의 사람과 뒤쪽의 사람이 동시에 발을 넣더라도 앞쪽의 사람이 센서를 좀 더 빨리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 애초에 앞쪽 센서(420a)는 바로 앞쪽으로 뒤쪽 센서(420b)는 바로 뒤쪽에서 중앙 쪽으로 조금 이동시켜 설치함으로써, 밑판(200)으로 발을 동시에 넣을 경우 앞쪽의 사람이 먼저 통과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칸막이 구동부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셔터와 같이 칸막이(410)를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올리고 내리는 구성으로, 내부는 도르래 식으로 칸막이(410)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내려갔다 올라갔다를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일뿐, 걸쇠 등과 같은 걸림 장치로 칸막이(410)를 밑판(200) 또는 등받이(100)에 걸고 있다가 구동 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걸쇠가 풀리면서 칸막이(410)가 아래로 내려 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칸막이 구동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2개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각 칸막이의 양 끝단이 서로 모여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1개의 칸막이(410)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2개의 칸막이(410a)(410b)의 양 끝단이 서로 모여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2개의 칸막이(410a)(410b)를 이용하는 경우 각 칸막이의 움직임의 거리 및 각도를 미리 정의하여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과,
    상기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와,
    상기 밑판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연동부는
    밑판을 중심으로 앞과 뒤의 공간을 차단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를 밑판과 지면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칸막이 구동부와,
    상기 밑판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을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연동부는 칸막이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밑판의 앞쪽에 설치되는 앞쪽 센서와, 밑판의 뒤쪽에 설치되는 뒤쪽 센서와, 상기 앞쪽 센서 및 뒤쪽 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중간 센서는 밑판의 정 중앙보다 앞쪽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구동부는 도르래를 통해 칸막이를 올리고 내리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2개의 칸막이를 이용하여 각 칸막이의 양 끝단이 서로 모여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8.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걸치기 위한 밑판 및 상기 밑판을 지면으로부터 공중에 떠받치는 다리로 구성된 의자에 부착되는 의자 보조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밑판 하부로 사용자의 발이 감지되면 밑판과 지면 사이에 칸막이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발과 뒷자리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과의 충돌을 차단하는 칸막이 연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보조 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연동부는
    밑판을 중심으로 앞과 뒤의 공간을 차단하는 칸막이와,
    상기 칸막이를 밑판과 지면 사이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칸막이 구동부와,
    상기 밑판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는 사람의 발을 감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보조 기구.
KR1020130136437A 2013-11-11 2013-11-11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KR10147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37A KR101471600B1 (ko) 2013-11-11 2013-11-11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37A KR101471600B1 (ko) 2013-11-11 2013-11-11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600B1 true KR101471600B1 (ko) 2014-12-10

Family

ID=5267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437A KR101471600B1 (ko) 2013-11-11 2013-11-11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6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14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뒤좌석의 발판 구조
KR20020030922A (ko) * 2000-10-18 2002-04-26 류정열 풋 레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KR20070111438A (ko) * 2007-11-01 2007-11-21 남태욱 사물함이 구비된 학생의자
KR20130019668A (ko) * 2011-08-17 2013-02-27 정재훈 기능성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14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뒤좌석의 발판 구조
KR20020030922A (ko) * 2000-10-18 2002-04-26 류정열 풋 레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KR20070111438A (ko) * 2007-11-01 2007-11-21 남태욱 사물함이 구비된 학생의자
KR20130019668A (ko) * 2011-08-17 2013-02-27 정재훈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38356A1 (en) Wheel chair with urinal device
US8562083B2 (en) Double bench with cabinet
US7874958B1 (en) Leg exercising apparatus
WO2013006845A3 (en) Chair, frame and lifting garment useful for patients
US10168608B2 (en) Sampling stand for food products in a retail store and method of operating a sampling stand
TW201707612A (zh) 一種電動桌及電動桌的控制方法
US10624508B2 (en) Variable height lift seat
US20170303680A1 (en) Work surface arrangement
JP2007301252A (ja) 離床検出装置
KR101471600B1 (ko) 밑 칸막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의자 보조 기구
KR20120077369A (ko) 남아용 소변기
US20230200599A1 (en) Retractable platform
KR20150136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7300B1 (ko) 소화기 받침대
JP3196524U (ja) 介護・高齢者用腰掛付収納ボックス
JP2000139594A (ja) 収納家具
KR1011689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애인 전용 공연 관람장치
JP2004353211A (ja) トイレ用床下収納装置
JP5496742B2 (ja) 保育施設
JP3215437U (ja) 収納式玄関座具
JP2002045246A (ja) 玄関収納装置
CN211092699U (zh) 一种适老化的多功能床头柜
JP2502074Y2 (ja) トイレの使用位置チェック装置
JP3190643U (ja) 男性の排尿飛散防止用傾斜付踏み台
JP3107964U (ja) マンションの専有住戸の玄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