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483B1 -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 Google Patents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483B1
KR101470483B1 KR1020087022690A KR20087022690A KR101470483B1 KR 101470483 B1 KR101470483 B1 KR 101470483B1 KR 1020087022690 A KR1020087022690 A KR 1020087022690A KR 20087022690 A KR20087022690 A KR 20087022690A KR 101470483 B1 KR101470483 B1 KR 10147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weight
tablet
microcrystalline cellulos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014A (ko
Inventor
마사츠구 노자키
사치오 모테기
가나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결정 셀룰로오스와 소량의 경질 무수규산을 슬러리 형상으로 혼합한 후, 분무건조법으로 제조되는 부형제) 및 전분함유 당류(전분 분말, 전분 조립물, 전분·유당 조립혼합물 등)의 혼합분말을 건조상태에서 압축성형하여, 정제 경도 약 30N~60N, 수분함량 3.2 중량% 이하의 정제로 함으로써, 타정안정성 및 보존안정성이 높은 비피더스균 또는 유산균 등의 유용균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가 얻어진다.
신속 붕괴성 정제,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Description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INTRAORALLY RAPIDLY DISINTEGRATING TABLET}
본 발명은 구강내 침의 존재하 또는 소량의 물의 존재하에서 빠르게 붕괴하는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용균을 함유하고, 장기간 보존안정성에도 뛰어난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장 내에는 장내세균이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장관 전체에 100조개의 장내세균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장내세균총을 형성하고 있다. 장내세균에는 비피더스균이나 유산균 등의 유용균 또는 유익균과 대장균이나 웰치균 등의 유해균이 있으며, 이 세균들의 균형이 유지되어 사람에게 유용한 작용을 하고 있다. 이 균형이 깨지면 영양성분의 분해, 소화, 흡수, 면역, 감염방어, 노화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내세균총의 균형유지가 사람의 건강에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근래 알려지고 있다. 장내세균총의 흐트러짐은 스트레스나 불규칙적인 식생활, 피로, 수면부족 등 현대인이 자주 놓이는 상황이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나이 드는 것도 장내세균총이 흐트러지는 원인이 되는 등,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증상이다.
장내세균총의 균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피더스균 등의 생균제제가 의료용 의약품, 일반의약품 또는 보충제(supplement)로서 가루약, 정제, 캡슐제 등의 형태로 환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구강내 붕괴성 정제는, 고령자나 소아 등 연하(嚥下) 능력이 떨어지는 환자나 일반성인 모두, 복용 장소를 가리지 않고 물 없이도 복용할 수 있는 제제로서 그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미 그와 같은 제제가 몇가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제를 개시하는 공지문헌으로서, (1) 약물, 당류, 당류의 입자표면이 축축할 정도의 수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타정(打錠)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일본특허공개 평5-271054호 공보 참조)에 의해 제조되는 정제, (2) 약물, 수용성 부형제 및 비결정질 당류를 압축성형한 후, 에이징(aging)시키는 방법(일본특허공개 평11-12161호 공보 참조)에 의해 제조되는 정제, (3) 약물, 유당, 결정 셀룰로오스 및 경질 무수규산을 일정 비율로 함유하고, 또한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등의 붕괴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일본특허공개 2000-273038호 공보 참조)가 알려져 있다.
또한, (4) 일본약학회 제124년회의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상품명: 프로솔브)의 제제로의 응용(2)'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의 생균제제로의 응용처방이 나타나 있으며,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낮은 타정압력으로도 제제화할 수 있고, 타정시에 생균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 및 이 때 정제의 붕괴시간이 약 1.5~2분인 것이 나타나 있다.
하지만, 이 공지문헌들에는 유용균을 함유하는 구강내 붕괴성 정제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즉, (1)의 정제는 습윤한 혼합물을 타정하기 때문에, 수분에 불안정한 유용균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2)의 정제는 일정한 온도, 습도의 조건하에서 나정(裸錠)을 에이징시킬 필요가 있어, 정제의 건조감량을 증대시키고, 유용균의 보존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3)의 정제는 본 발명과는 정제의 조성이 다르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유용균 제제 및 그 보존안정성에 관해서 아무런 기재도 되어 있지 않다. 또한, (4)에는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비피더스균 등 유용균에 응용한 예가 나타나 있으며, 타정시에 생균수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도 나타나 있다. 하지만, (4)에는 얻어진 생균제제의 보존안정성이나 신속 붕괴성에 대한 기재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균에 대해서는, 구강내에서 빠르게 붕괴하고, 적당한 강도를 가지며, 통상의 압축성형기를 이용하여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함유하는 유용균의 장기간 보존안정성도 뛰어난 구강내 신속붕괴성 정제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를 함유하고, 수분함량이 3.2 중량% 이하인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를 기재한다.
(1) 유용균이 비피더스균 또는 유산균인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2) 유용균이 비피더스균인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3)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70 중량부 함유하는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4) 전분함유 당류를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60 중량부 함유하는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5)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40~70 중량부 함유하고, 전분함유 당류를 30~60 중량부 함유하는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6) 정제의 경도(硬度)가 30N~60N인 상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7)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의 혼합분말을 건조상태에서 압축성형하여, 수분이 3.2 중량% 이하인 정제를 얻는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검토를 거듭한 결과, 유용균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를 배합함으로써, 통상의 타정기에 의해 비교적 낮은 타정압력으로 타정함으로써 구강내에서 빠르게 붕괴하고, 적당한 강도를 가지며, 유용균 타정시의 사멸율이 적고, 또한 장기간 보존안정성도 뛰어난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함으로써 완성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균은 사람의 소화활동에 유용한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비피더스균류(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등), 유산균류(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 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패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등)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피더스균, 특히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나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 등의 비피더스균을 들 수 있다. 유용균은 적절히 2종 또는 그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균은, 예를 들어, 생균분말, 동결건조품 등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배합량은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30 중량부로 할 수 있으며, 보다 양호한 성형성을 얻기 위해서는 0.1~20 중량부, 특히 0.5~10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균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유효성을 고려하여 생균이 105~1010개/정이고, 바람직하게는 106~109개/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용균은, 유용균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의약품, 건강식품 등의 다른 유효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결정 셀룰로오스와 소량의 경질 무수규산을 슬러리 형상으로 혼합한 후에 분무건조법으로 제조되는 부형제이며, 일본 특허 제3300364호에 그 제조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는 JRS PHARMA사가 시판하고 있는 '프로솔브(PROSOLV)'(등록상표)를 사용할 수 있다.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35~7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70 중량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분함유 당류는, 적어도 전분을 함유하는 것이면 되 고, 전분 뿐이어도 되며, 전분과 1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당류를 적절한 비율로 단순히 혼합한 것이어도 되고, 그것들을 조립(造粒; granulation)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분함유 당류로서 통상 전분을 40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것이 사용된다. 전분함유 당류의 조립방법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분무건조,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압출 조립 등을 들 수 있다. 전분의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소맥 전분, 감자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유당, 락툴로즈(lactulose), 백당, 맥아당, 엿가루, 포도당, 과당, 말티톨,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전분함유 당류의 사용량은 전분함유 당류에 포함되는 전분의 함유량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60 중량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분함유 당류로서 전분과 유당을 약 7:3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25~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정제에는 희망에 따라 정제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첨가제는 단독 또는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붕괴제, 결합제, 산미제(酸味劑), 발포제, 인공감미료, 교미제(橋味劑), 향료, 유동화제, 활택제, 착색제, 안정화제, 부형제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에서는, 원하는 붕괴성을 부여하기 위하 여 통상 붕괴제를 배합한다. 이 붕괴제로는 예를 들어, 크로스포비돈,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멜로스칼슘,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나트륨 전분(starch)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크로스포비돈이 범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붕괴제를 배합하지 않아도 구강내에서 신속하게 붕괴된다.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제조는,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에 희망에 따라 다른 첨가제를 더한 것을 건조상태에서 압축성형하고, 수분이 3.2 중량% 이하인 정제를 얻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유용균 등의 첨가물의 입자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자가 작은 것을 사용하면 복용감이 뛰어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희망에 따라 유용균을 제외한 다른 첨가물은, 습식조립 공정을 거친 후 건조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전분함유 당류 등을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한 후, 분무건조,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압출 조립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압축성형에는 일반적으로 정제의 성형에 사용되는 장치가 이용되며, 예를 들어 회전식 타정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정시에 유용균이 사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정압력을 비교적 낮게 설정하고, 또한 정제가 파손되지 않을 경도가 얻어지도록 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정압력은 통상 약 1톤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구강내에서 붕괴성이 있으며, 적당한 정제 경도를 나타낸다. 구강내에서의 붕괴시간은 통상 5~50 초, 바람직하게는 5~4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초이다. 또한, 정제 경도는 유통과정에서 정제가 파손되지 않는 강도이며, 붕괴시간이 짧은 정제를 얻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30N~60N,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N~50N의 경도를 가진다.
정제중의 수분함량은 유용균의 장기간 보존안정성에 현저히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수분함량이 가능한 한 적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수분함량은 3.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로 유지된다. 또한, 정제의 보관은 통상 건조제를 넣은 글라스병에 정제를 넣어 보관하는, 알루미늄 포장재로 정제를 완전히 밀폐하는 SP 포장 등이 바람직하다.
복용방법으로는 (1) 본 정제를 입에 넣고, 물 없이 침으로 구강내에서 정제를 붕괴시켜 그대로 복용하는 방법, (2) 본 정제를 입에 넣고, 더욱 소량을 물도 포함하여, 구강내에서 붕괴시켜 복용하는 방법, (3) 물과 함께 본 정제를 입에 넣고, 그대로 복용하는 방법, 혹은 (4) 본 정제를 물로 붕괴시킨 후에 복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a) 물 없이 복용하는 기회가 많은 경우, (b) 정제를 들이키기 어려운 환자가 복용하는 경우, (c) 동시에 많은 약제를 복용할 필요가 많은 경우, 또는 (d) 통상의 정제인 경우, 기도가 막혀버릴 우려가 있는 고령자나 어린이가 복용하는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제의 물성(경도, 붕괴시간 및 유용균 안정성 시험)은 아래의 시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한편, 아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비피더스균 분말은,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과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를 배양한 후, 동결 건조처리를 하여 얻어진 분말로서, 약 1×1010개/g의 생균을 가지는 것이다.
(1) 경도 시험
정제 경도계(후지와라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은 10회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2) 붕괴시험
일본약국방에 따른 붕괴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시험은 붕괴시험기(후지야마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이용하고, 보조판 없이 측정하였다. 시험액은 물(37℃)을 이용하였다. 시험은 6정에 대하여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3) 구강내 붕괴시간측정
구강내의 침만으로 정제가 붕괴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3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4) 보존안정성 시험
각 정제를 알루미늄 포장한 후, 온도 40℃, 75% 상대습도하에서 1주일 또는 2주일간 보존하였다. 그 동안의 균수의 감소는 비피도박테리움 감별용 배지(말의 탈섬유 혈액 첨가)를 이용하여 평판도말법으로 측정하였다. 보존전의 생균수와 보 존후의 생균수로부터 비피더스균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3
비피더스균 분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프로솔브 90, JRS PHARMA제품), 전분함유 당류(옥수수 전분, 옥수수 전분 조립품,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옥수수 전분: 유당(중량비)=70:29) 중 어느 1종)를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糖衣)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약 4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붕괴시험 및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배합량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39 139 139
옥수수 전분 131 - -
옥수수 전분 조립품 - 131 -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 - - 131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3 0.3
정제물성 경도(N) 39.7 38.1 40.2
붕괴시간(초) 23 17 17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초) 9 20 24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적당한 강도를 가지며, 붕괴시험 및 구강내 붕괴시험에서 뛰어난 붕괴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비피더스균 분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프로솔브 90, JRS PHARMA제품),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약 4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보존안정성 시험(보존기간 2주)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비교예 1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39 270
옥수수전분·유당 조립혼합물 131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3




건조감량(중량%) 2.2 2.2
경도(N) 45.1 40.4
붕괴시간(초) 17 71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초) 23 9
보존안정성 시험(생존율)(%) 16 4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붕괴시험에서 뛰어난 붕괴성을 나타내고, 또한 비피더스균의 생존율도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전분함유 당류(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를 함유하지 않는 정제는, 바스켓 내에 작은 정제조각이 계속해서 남기 때문에 붕괴시간이 길어지고, 생존율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및 비교예 3
비피더스균 분말, 결정 셀룰로오스(아비셀 PH101, 아사히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만니톨, 유당, 경질 무수규산, 크로스포비돈(콜리돈 CL, BASF사 제품)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약 4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붕괴시험, 구강내 붕괴시간측정 및 보존안정성 시험(보존기간 1주)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39 - -
옥수수 전분 131 - -
결정 셀룰로오스 - 108 81
만니톨 - 161 -
유당 - - 162
경질 무수규산 - - 8.1
크로스포비돈 - - 16.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84 2.7




건조감량(중량%) 2.5
경도(N) 39.7 43.7 39.0
붕괴시간(초) 23 14 14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초) 9 15 16
보존안정성 시험(생존율)(%) 57 0.8 <0.3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적당한 강도를 가지면서, 구강내에서 뛰어난 붕괴성을 나타내고, 또한 비피더스균의 생존율도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을 배합하지 않고 제조한 정제는, 보존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와 비교예 4 및 비교예 5
비피더스균 분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프로솔브 90, JRS PHARMA제품), 옥수수 전분,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약 30~4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정제의 건조감량은 2.2~7.3 중량%인 것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붕괴시험, 구강내 붕괴시간측정 및 보존안정성 시험(보존기간 1주)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10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39 139 139 139 139
옥수수 전분 131 - - 131 131
옥수수 전분·
유당 조립혼합물
- 131 131 -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3 0.3 0.3 0.3




건조감량(중량%) 2.5 2.2 3.2 6.1 7.3
경도(N) 39.7 40.2 39.0 32.9 42.1
붕괴시간(초) 23 17 18 17 15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초) 9 24 21 9 9
보존안정성 시험(생존율)(%) 57 45 32 4 <0.2
표 4의 결과로부터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가 적당한 강도를 가지면서, 구강내에서 뛰어난 붕괴성을 나타내고, 또한 뛰어난 생존율을 얻기 위해서는 정제의 수분(건조감량)이 3.2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 실시예 9 및 비교예 6
비피더스균 분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프로솔브 90, JRS PHARMA제품),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약 30, 40, 50, 6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붕괴시험,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6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10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39 139 139 139 139
옥수수 전분·
유당 조립혼합물
131 131 131 131 131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3 0.3 0.3 0.3



경도(N) 32.2 41.9 52.3 61.8 82.9
붕괴시간(초) 19 17 17 22 97
구강내 붕괴시간측정(초) 18 24 30 43 74
표 5의 결과로부터 붕괴시간을 약 40초 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경도가 약 30N 이상, 약 60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0 ~ 실시예 12 및 비교예 7 ~ 비교예 9
비피더스균 분말,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프로솔브 90, JRS PHARMA제품),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고 재혼합하여 타정용 분말로 하였다. 회전식 타정기(PICCORA, RIVA. S. A제품)를 이용하여, 당의형 절굿공이로 1정 280mg, 9mmΦ, 경도가 30~40N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은 정제중에 약 9~87중량부, 옥수수 전분·유당 조립혼합물도 정제중에 약 9~87 중량부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정제에 대하여 붕괴시험, 구강내 붕괴시간측정, 타정안정성 시험, 보존안정성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피더스균 분말 10 10 10 10 10 10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08 135 189 27 81 243
옥수수 전분·
유당 조립혼합물
162 135 81 243 189 27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3 0.3 0.3 0.3 0.3 0.3



경도(N) 35.9 38.2 35.6 31.2 36.0 35.6
붕괴시간(초) 23 15 24 179 66 57
구강내
붕괴시간(초)
38 26 13 80 50 13
보존안정성
(생존율)(%)
- 21 14 24 21 7
표 6의 결과로부터 붕괴시간 및 구강내 붕괴시간을 40초 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이 정제안에 약 35~70 중량부, 전분함유 당류(옥수수전분·유당 조립혼합물)의 배합량은 정제중에 약 25~60 중량부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가 9.6 중량부로 적고, 전분함유 당류가 87 중량부로 많은 정제(비교예 7)는, 붕괴성이 현저히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가 87 중량부로 많고 전분함유 당류가 9.6 중량부로 적은 정제(비교예 9)는, 보존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는 적당한 강도를 가지고, 구강내에서의 뛰어난 붕괴성을 나타내며, 유용균이 뛰어난 타정안정성과 보존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령자, 소아 등 연하능력이 떨어지는 환자나 일반성인 모두, 복용 장소에 상관없이 물 없이도 복용할 수 있는 정제로서, 장내세균총의 불균형을 개선하 고, 또는 장내세균총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를 함유하고, 수분함량이 3.2 중량% 이하인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로서, 여기서 상기 정제는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70 중량부의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25~60 중량부의 전분함유 당류를 함유하며, 정제 경도가 30N~60N이고, 상기 유용균은 비피더스균 또는 유산균인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용균이 비피더스균인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와 전분함유 당류의 함량의 합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40~70 중량부 함유하고, 전분함유 당류를 30~60 중량부 함유하는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5. 유용균,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전분함유 당류의 혼합분말을 건조상태로 압축성형하여, 수분 함량이 3.2 중량% 이하인 정제를 얻는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정제는 정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70 중량부의 규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25~60 중량부의 전분함유 당류를 함유하며, 정제 경도가 30N~60N이고, 상기 유용균은 비피더스균 또는 유산균인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7022690A 2006-03-24 2007-03-23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KR10147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3857 2006-03-24
JP2006083857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014A KR20080111014A (ko) 2008-12-22
KR101470483B1 true KR101470483B1 (ko) 2014-12-08

Family

ID=3854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690A KR101470483B1 (ko) 2006-03-24 2007-03-23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100634B2 (ko)
KR (1) KR101470483B1 (ko)
CN (1) CN101410127B (ko)
MY (1) MY149923A (ko)
SG (1) SG170766A1 (ko)
WO (1) WO200711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5293A1 (en) * 2015-07-07 2018-07-05 Toa Pharmaceutical Co., Ltd. Bacteria-Containing Oral Rapidly Disintegrating Tablet
US20230190831A1 (en) * 2020-04-17 2023-06-22 Evelo Biosciences, Inc. Solid dosage forms with improved disintegration profi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054A (ja) * 1992-01-29 1993-10-19 Takeda Chem Ind Ltd 口腔内溶解型錠剤およびその製造法
WO2004091585A1 (en) * 2003-04-16 2004-10-28 Synthon B.V.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34A (ja) * 1990-06-07 1992-02-12 Asahi Breweries Ltd 腸溶性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乳酸菌錠剤
JPH054926A (ja) * 1991-06-27 1993-01-14 Dainippon Pharmaceut Co Ltd 腸内有用細菌配合糖衣錠
US5585115A (en) * 1995-01-09 1996-12-17 Edward H. Mendell Co., Inc. Pharmaceutical excipient having improved compressability
JP3591801B2 (ja) * 1997-06-19 2004-11-24 田辺製薬株式会社 口腔内速崩壊性製剤の製法
DK0931543T3 (da) * 1997-12-19 2002-06-17 Merck Patent Gmbh Flerlagstabletter indeholdende probiotiske mikroorganismer såsom lactobacilli eller bifidobakterier
JP4063386B2 (ja) * 1998-01-29 2008-03-19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速放性経口医薬品組成物
JP2000063289A (ja) * 1998-08-20 2000-02-29 Morinaga Milk Ind Co Ltd 生理活性物質含有製剤
JP2001122785A (ja) * 1999-10-22 2001-05-08 Nippon Boehringer Ingelheim Co Ltd ブロチゾラムを含有する錠剤
JP5041651B2 (ja) * 2001-09-28 2012-10-03 ティーエヌティーギャンブ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生物体成分の送達系
JP4605977B2 (ja) * 2002-06-14 2011-01-05 日本ベーリンガーインゲルハイム株式会社 ブロチゾラムを含有する錠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1054A (ja) * 1992-01-29 1993-10-19 Takeda Chem Ind Ltd 口腔内溶解型錠剤およびその製造法
WO2004091585A1 (en) * 2003-04-16 2004-10-28 Synthon B.V.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11375A1 (ja) 2009-08-13
WO2007111375A1 (ja) 2007-10-04
SG170766A1 (en) 2011-05-30
KR20080111014A (ko) 2008-12-22
CN101410127A (zh) 2009-04-15
MY149923A (en) 2013-10-31
CN101410127B (zh) 2011-08-31
JP5100634B2 (ja)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8453A (en)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with improved buccal disintegrability and/or dissolubility
KR101435229B1 (ko) 구강내 붕괴정 및 그 제조법
EP2077729B1 (en) Probiotic oral dosage forms
US10292934B2 (en) Disintegrating particle composition containing acid-type carboxymethylcellulose and crystalline cellulose, an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containing said composition
ES2217532T3 (es) Comprimidos de lactoferrina.
JP4802436B2 (ja) 口腔内崩壊型組成物及び口腔内崩壊型製剤
EP1145711A1 (en) Flash-melt oral dosage formulation
US11337926B2 (en) Colon-targeted composition of biological active component and application thereof
JPH10182436A (ja) 固形医薬製剤
JP5415232B2 (ja) 生菌製剤の製造方法
WO2010114864A1 (en) Probiotic oral dosage forms
KR101470483B1 (ko) 구강내 신속 붕괴성 정제
CN101264107A (zh) 地衣芽孢杆菌药物组合物及其制剂
EP3020416A1 (en) Ultrafast-disintegrating tabl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676617B1 (ko) 아목시실린 및/또는 클라불란산 또는 이의 염을 함유하는경구용 현탁정제 조성물
JP6983407B2 (ja) 菌含有口腔内速崩壊性錠剤
KR102431738B1 (ko) 초고속 붕해 정제 및 그 제조 방법
JP2016193893A (ja) 生菌製剤
JP2018158947A (ja) 生菌含有製剤
JP2019116447A (ja) 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3019A (ja) ロンガム菌とキシロオリゴ糖を配合した経口摂取用組成物
CN108463216B (zh) 口腔内保持型崩解性固体制剂、其制造方法和用于该制造方法的粉体组合物
JP2023119660A (ja) 錠剤用基材、錠剤の崩壊促進用組成物、口腔用錠剤の食感および/または食味改良用組成物ならびに錠剤の製造方法
JP2021024822A (ja) 安定化されたトリメブチンマレイン酸塩含有固形製剤
JP2010159289A (ja) 圧縮成形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