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442B1 -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 Google Patents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42B1
KR101469442B1 KR20130080229A KR20130080229A KR101469442B1 KR 101469442 B1 KR101469442 B1 KR 101469442B1 KR 20130080229 A KR20130080229 A KR 20130080229A KR 20130080229 A KR20130080229 A KR 20130080229A KR 101469442 B1 KR101469442 B1 KR 10146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fixing bracket
coupled
damper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성
박승철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0Foot rests or foo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적용되는 발 받침대(Footrest)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접이식 발받침대의 복귀 동작 시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제동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복귀 동작 중 충격력이나 충격소음을 현저히 줄여 시트 사용자에게 편안한 안락함과 장치의 내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충격 감쇠 구조의 접이식 발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31)으로 결합되며 타단에는 발판(133)이 구비되는 지지대(130);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발판(130)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지지대(130)를 상향 회전시키는 리턴스프링(150); 및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대(1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170);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Folding type footrest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발받침대의 복귀 동작 시 회전력을 감쇠시키는 제동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복귀 동작 중 충격력이나 충격소음을 현저히 줄여 시트 사용자에게 편안한 안락함과 장치의 내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충격 감쇠 구조의 접이식 발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의 시트에는 리어(Rear) 시트에 승차한 승객이 발을 올려놓음으로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받침대(Footrest)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시트의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받침대(10)는 지지대(11)를 포함하며, 지지대(11)의 일단은 시트프레임(1)의 후단부와 힌지(12)로 결합되며 타단에는 발을 올려놓을 있는 발판(1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미사용 상태의 발받침대(10)는 승객의 공간 활용을 위해 시트백(4)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게 시트프레임(1)과 지지대(11)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리턴스프링(미 도시)을 포함하여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반자동 접이식 발받침대(10)는 미사용 중에는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12)를 중심으로 시트백(4)의 후방을 향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시트백(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리어시트의 승객이 발판(13)에 발을 올려놓음으로서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이 극복되면서 힌지(12)를 중심으로 시트백(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발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리어시트의 승객이 발판(13)으로부터 다시 발을 뗌과 동시에 발받침대(10)는 다시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12)를 중심으로 시트백(4)의 후방을 향해 회전하며 시트백(4)에 밀착된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종래 발받침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종래 발받침대(10)는 리어시트에 승객이 발받침대(10)로부터 발을 뗌과 동시에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하다가 시트백의 후면에 강하게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이러한 충격력과 충격소음으로 인해 해당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와 발받침대(10)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과 충격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줄이는 설계가 가능하나, 이 경우 잦은 사용감에 따라 초기 설계된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해지는 상황에서는 미사용 상태에서 발받침대(10)가 시트백(4)의 후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살짝 이격되어 고정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또 리어시트의 승객이 발을 제거시키면 발받침대(10)가 시트백(4)의 후면을 향해 매우 느린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리어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공간 활용 및 그 작동에 있어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턴스프링에 의한 복귀 동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현하도록 하며, 특히 복귀 완료 시점 시트와 발받침대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이나 충격소음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31)으로 결합되며 타단에는 발판(133)이 구비되는 지지대(130);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발판(130)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지지대(130)를 상향 회전시키는 리턴스프링(150); 및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대(1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17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댐퍼(170)는 내부에 형성된 유체실에 오일이 채워지며,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는 원형 본체(171); 상기 원형 본체(171)와 동일한 축선방향을 유지하도록 유체실 내부에 설치되며, 오일과 접촉하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베인(1730)이 형성되는 로터(173); 및 일단이 상기 로터(173)와 축 결합되며, 상기 원형 본체(171)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타단이 상기 회전축(131)과 축 결합되는 출력샤프트(175);로 이루어진 로터리 방식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70)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원형 본체(171)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면취부(1710)와 상응하는 형상의 관통홀(181)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81)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구(190)를 통해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8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110)에는 지지대(130)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단(135)과 접촉하여,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백을 향해 상향 회전되는 지지대(130)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스토퍼(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리턴스프링과 댐퍼의 보완적인 설치 구조로부터 승객이 발받침대로부터 발을 떼는 초기에는 발받침대의 신속한 복귀 회전을 구현하고, 복귀 완료 시점에 이르러서는 회전속도를 급격히 줄여 서서히 회전시킴으로서, 시트와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이나 충격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프런트시트에 착석한 승객에는 편안한 안락함을 제공하고,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에는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 구조를 이루는 댐퍼의 용이한 체결 구조를 제시함으로서 기존 발받침대에 대한 추가 구성이 용이하고, 유지보수 역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차종의 다양한 시트에 따라 적용되는 발받침대의 설치 위치가 달리지게 되더라도 발받침대의 초기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발받침대의 설치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시트의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발받침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판의 구성을 보이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자동 접이식 발받침대의 회전 작동 시 신속한 복귀 동작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복귀 완료 시점에서는 복귀 회전속도를 급격히 감쇠시켜 발받침대와 시트 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과 충격소음이 해당 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발받침대(100)는, 고정브래킷(110), 지지대(130), 리턴스프링(150), 및 댐퍼(17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발받침대(100)가 적용되는 차량 시트(2)는 시트쿠션(3), 시트백(4), 및 시트쿠션(3)과 시트백(4)을 차량 플로어로부터 고정 지지하는 시트프레임(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시트의 후방 하단에 고정 결합되어 발받침대(100)를 고정 지지하는 부재로서, 시트쿠션(3) 또는 시트백(4) 또는 시트프레임(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어시트 승객의 발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해당 시트(프런트시트)에 착석한 승객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승객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강성이 확보된 시트프레임(1)에 고정 결합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은 시트프레임(1)의 후단부와 고정구(미 도시)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11)와, 고정부(111)에 일체로 결합되며 지지대(130)의 일단에 구비된 회전축(1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3)가 일체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그 일단에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지지부(113)를 횡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31)이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결국 지지대(130)는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시트의 후방에서 하향 회전된 사용 상태와 상향 회전된 미사용 상태의 사이 구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지지대(130)의 타단에는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133)이 구비되어서 구성된다. 여기서 발판(133)은 리어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을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지대(130)로부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좋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대(130)의 일단에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주면에는 원호 형상의 안내스토퍼(1370)가 형성된 연결봉(137)이 결합되어 있으며, 발판(133)은 연결봉(137)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안내스토퍼(1370)의 양쪽 끝단(1370a,1370b)과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제한블록(1330)이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발판(133)은 위치제한블록(1330)이 원호 형상된 안내스토퍼(1370)의 일측 끝단(1370a)과 타측 끝단(1370b) 사이 구간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만족된다. 결국 승객의 발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따라 연결봉(133)으로부터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발판(133)에 올려진 사용자의 발목을 편안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 지지대(130)를 중심으로 양쪽 발판(130)이 연결봉(137)에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양 발을 개별적으로 지지하여 안락함을 더욱 증대시키게 된다.
도 7의 표시번호 '1331'은 발판(133)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로서, 발판(133)의 회전 동작 시 연결봉(137)의 안내스토퍼(1370)를 따라 이동하며 발판(133)의 회전 동작을 안내한다.
계속해서 지지대(130)는 고정브래킷(110)과 리턴스프링(150)을 매개로 연결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150)은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지지부(113)를 관통하는 회전축(131)의 일단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이루면서, 지지대(130)의 회전축(131)과 고정브래킷(110)을 긴장된 상태로 연결하고 있다.
결국 이렇게 리턴스프링(150)를 매개로 연결된 지지대(150)는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백(4)의 후면에 근접하도록 상향 회전된 상태 즉, 미사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130)의 끝단에는 가압단(135)이 회전축(1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단(135)과 접촉되게 고정브래킷(110)에는 위치제한스토퍼(115)가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에 위치제한스토퍼(115)와 가압단(135)을 구비함으로서, 미사용 상태 즉,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130)가 시트백(4)의 후면에 근접하게 상향 회전된 상태에서 가압단(135)은 위치제한스토퍼(115)에 지지됨으로서 지지대(130)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제한스토퍼(115)는 고무 등의 탄성력이 부여된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으며, 고정브래킷(110)에 형성된 장착홈(1130)에 압입하여 결합되거나, 혹은 장착홈(1130)에 나사 가공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위치제한스토퍼(115)의 외면에 나사 가공부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되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미사용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대(130)의 최대 회전각은 리어시트 승객의 공간 활용을 위해 시트백(4)의 후면에 최대로 근접한 상태로 제한된다.
아울러 장착홈(1130)에 대해 탈 부착 결합되는 위치제한스토퍼(115)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차종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시트 종류에 따라서 적정 높이의 위치제한스토퍼(115)만을 교체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트에 대한 접이식 발받침대의 조립 호환성이 우수해진다.
계속해서 상기 댐퍼(170)는, 지지대(1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저항을 발생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지지대(130)의 복귀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닛으로서,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도시된 바로는 상기 리턴스프링(150)의 반대쪽인 회전축(131)의 일측 끝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댐퍼(170)는 사용되는 탄성부재(유체, 스프링 등)와 마찰부재(베인, 디스크 등)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다양한 방식의 댐퍼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로터리 댐퍼의 적용이 효과적이다.
도 6은 로터리 댐퍼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로터리 댐퍼(170)는 내부에 형성된 유체실에 오일이 채워지는 원형 본체(171)와, 상기 원형 본체(171)와 동일한 축선방향을 유지하며 유체실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베인(1730)이 형성된 로터(173)와, 상기 로터(173)와 축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원형 본체(171)의 일측으로 연장하여 돌출되는 출력샤프트(17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로터리 댐퍼(170)는 유체실에 채워지는 오일의 점성계수, 오일과 접촉하는 베인(1730)의 형상, 개수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출력샤프트(175)의 회전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댐퍼(170)는 결국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지지부(113)에 원형 본체(171)가 고정 결합되며, 회전축(131)의 끝단에 형성된 축공(1310)에 출력샤프트(175)가 축 결합되도록 장착된다.
결국 지지대(130)에 올려진 사용자의 발을 제거하면, 지지대(130)는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축(131)과 축 결합된 댐퍼(170)의 출력샤프트(175) 및 로터(173)는 회전축(131)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여기서 로터(173)의 회전속도와 비례하여 베인(1730)이 구비된 로터(173)의 외면에는 점성저항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지지대(130)로부터 사용자의 발이 제거된 초기에는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130)의 강한 회전력이 발생되어 시트백(4)의 후면을 향해 신속한 회전 동작이 구현되다가, 상기 로터(170)의 외면에 점성저항이 비례적으로 증가되는 시점에서는 지지대(130)의 회전속도가 급격히 감속하게 되고, 일단에 구비된 가압단(135)이 고정브래킷(110)의 위치제한스토퍼(115)에 밀착되는 순간(미사용 상태)까지 감쇠된 회전속도로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브래킷(110)과 회전축(131)을 연결하는 리턴스프링(150)과 댐퍼(170)의 상호 보완적인 작용을 통하여, 승객의 발이 제거되는 복귀 동작 초기에는 지지대(130)의 신속한 회전을 만족하면서도 복귀 동작 완료 시점에서는 감쇠된 회전 동작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서, 복귀 작동을 신속하게 하는 것으로 물론 가압단(135)이 위치제한스토퍼(115)에 접촉되거나 혹은 발판(133)이 시트백(4)에 접촉됨으로서 충격력이나 충격소음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결국 프런트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작동에 따른 충격력을 줄임으로서 장치의 내구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130)의 최종적인 회전력을 댐퍼(170)가 관할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적용되는 리턴스프링(150)의 탄성계수에 대한 세심한 설계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종래와 같이 시트백(4)으로부터 지지대(130)가 살짝 벌어져서 위치 고정되는 등의 품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댐퍼(170)의 장착 구조를 다시 살펴보면, 댐퍼(170)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댐퍼(170)를 구성하는 원형 본체(171)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면취부(1710)와 상응하는 형상의 관통홀(181)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81)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구(190)를 이용하여 회전지지부(11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18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결국 댐퍼(17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회전지지부(113)를 관통하는 회전축(131)의 끝단에 형성된 축공(1310)에 댐퍼(170)의 출력샤프트(175)를 삽입하여 축 결합하고, 댐퍼(170)를 구성하는 원형 본체(171)에 형성된 면취부(1710)를 하우징(180)의 관통홀(181)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구(190)를 이용하여 하우징(180)을 회전지지부(113)에 고정 결합시키는 것으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댐퍼(170)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배제되고 면취부(1710)를 통해 하우징(180)으로부터 고정위치가 확보되는 한편 회전축(131)과의 축 결합상태가 확보되기 때문에, 발받침대(100)의 조립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만약 댐퍼(17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구(190)를 풀어 하우징(180)을 분리시키는 것만으로 댐퍼(170)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댐퍼로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표시번호 '185'는 고정브래킷(110)의 회전지지부(113)와 하우징(180)의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유지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시트프레임 2: 시트
3: 시트쿠션 4: 시트백
100: 발받침대 110: 고정브래킷
115: 회전제한스토퍼 130: 지지대
135: 가압단 131: 회전축
133: 발판 150: 리턴스프링
170: 댐퍼 171: 원형 본체
173: 로터 175: 출력샤프트
180: 하우징

Claims (5)

  1. 차량 시트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10);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131)으로 결합되며 타단에는 발판(133)이 구비되는 지지대(130);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발판(130)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지지대(130)를 상향 회전시키는 리턴스프링(150); 및
    상기 고정브래킷(110)과 지지대(13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대(13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저항을 발생시키는 댐퍼(170);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170)는, 내부에 형성된 유체실에 오일이 채워지며,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결합되는 원형 본체(171); 상기 원형 본체(171)와 동일한 축선방향을 유지하도록 유체실 내부에 설치되며, 오일과 접촉하는 외면에 하나 이상의 베인(1730)이 형성되는 로터(173); 및 일단이 상기 로터(173)와 축 결합되며, 상기 원형 본체(171)의 일측으로 돌출 연장된 타단이 상기 회전축(131)과 축 결합되는 출력샤프트(175);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170)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면서, 원형 본체(171)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면취부(1710)와 상응하는 형상의 관통홀(181)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81)과 나란한 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구(190)를 통해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18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110)에는 지지대(130)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단(135)과 접촉하여, 리턴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백을 향해 상향 회전되는 지지대(130)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스토퍼(11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33)은 지지대(130)의 끝단에 결합된 연결봉(137)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KR20130080229A 2013-07-09 2013-07-09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KR10146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229A KR101469442B1 (ko) 2013-07-09 2013-07-09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229A KR101469442B1 (ko) 2013-07-09 2013-07-09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442B1 true KR101469442B1 (ko) 2014-12-05

Family

ID=5267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229A KR101469442B1 (ko) 2013-07-09 2013-07-09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094A (en) * 2017-06-26 2019-01-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631A (ja) * 1998-05-18 1999-11-24 Koito Ind Ltd 腰掛用足掛装置
JP2000043629A (ja) * 1998-07-28 2000-02-15 Nissan Motor Co Ltd フットレスト
JP2007020638A (ja) * 2005-07-12 2007-02-01 Aisin Seiki Co Ltd オットマ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8631A (ja) * 1998-05-18 1999-11-24 Koito Ind Ltd 腰掛用足掛装置
JP2000043629A (ja) * 1998-07-28 2000-02-15 Nissan Motor Co Ltd フットレスト
JP2007020638A (ja) * 2005-07-12 2007-02-01 Aisin Seiki Co Ltd オットマ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094A (en) * 2017-06-26 2019-01-09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assembly
GB2564094B (en) * 2017-06-26 2020-04-08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17539A1 (ja) 車両用シート
JP5382646B2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KR101469442B1 (ko) 충격 감쇠 구조를 갖는 차량 시트용 접이식 발받침대
WO2017206569A1 (zh) 齿轮箱总成以及包括该齿轮箱总成的头枕驱动器
CN107249929B (zh) 带有减振装置的婴幼儿座椅
JP6420628B2 (ja) 車両用シート
CN106799976B (zh) 用于汽车座椅调节器的传动装置
KR20120031853A (ko) 개선된 축 결합 구조를 갖는 접이식 의자
US20200391639A1 (en)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CN105751894B (zh) 一种车辆及传动轴中间支撑装置及安装支架
JPWO2010116415A1 (ja) 車載シート用制動装置
KR101816680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5378689B2 (ja) 椅子
CN110893909B (zh) 带有阻尼运动的连杆伸展系统
CN208469626U (zh) 一种滑动阻尼式扶手
KR20120001514A (ko) 댐퍼 플라이휠
JP2006168419A (ja) 車両用シート
CN110228399A (zh) 脚托装置和包括其的车辆
JP5960042B2 (ja) シート
KR10151704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JP5509871B2 (ja) 着座シート
CN219159267U (zh) 一种具有减震效果的涡轮增压器中间体
JP6134549B2 (ja) 乗物用シート
KR100508785B1 (ko) 가스스프링과 가스실린더를 이용한 차량용 좌석 완충장치
CN210019997U (zh) 一种带减震装置的轮椅车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