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77B1 -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77B1
KR101466677B1 KR1020147014702A KR20147014702A KR101466677B1 KR 101466677 B1 KR101466677 B1 KR 101466677B1 KR 1020147014702 A KR1020147014702 A KR 1020147014702A KR 20147014702 A KR20147014702 A KR 20147014702A KR 101466677 B1 KR101466677 B1 KR 10146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oxal
product
semi
dimethyl terephthalat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727A (ko
Inventor
리저룽
주완위
우팡췬
쩡쭤샹
Original Assignee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상하이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이스트 차이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상하이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이스트 차이나 유니버시티 오브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쿤산 톈양 핫 멜트 접착제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6Intercrosslinking of at least two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 주로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합니다: 1)일정한 양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기타 이염기성 에스테르, 1,4-부탄디올과 기타 디올, 유기주석촉매를 반응기에 넣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진행하며, 부산물인 일가 알코올의 증류량이 이론량의 95%이상이 될 때까지 반응하면 에스테르교환반응이 완료된다; 2)한 동한 보온한 후, 안정제, 중축합촉매를 첨가하고 반응 온도를 계속 높히며 감압 중축합하면 공중합체 입자를 얻는다. 그리고 나서 냉동, 분쇄를 거쳐 코폴리에스테르 분말을 획득할 수 있다; 3) 단계2)의 산물에 폴리비닐 알코올PVA/글리옥살혼합물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상온에서 교반하여 목표 산출물을 얻는다. 해당 산출물은 사용 온도에서 반-상호침투 망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METHODS FOR PREPARATION OF POLYESTER/GLYOXALATED POLYVINYL ALCOHOL SEMI-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HOT-MELT ADHESIVE}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코올PVA(polyvinyl alcohol )/ 글리옥살을 첨가하는 것을 통해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데 관한 것이다.
현재 알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핫 멜트 접착제는 모두 이염기산(에스테르)과 디올을 에스테르교환(transesterification)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한 후, 다시 감압 중축합반응을 거쳐 획득한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US 6255443에서는 저융점의 코폴리에스테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였으며, 중국특허CN 1340585에서는 고융점 코폴리에스테르 핫 멜트 접착제의 합성기술에 관해 제시하였다. 중국특허 200710043238.2는 소르브산의 금속염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통해 코폴리에스테르를 개질시켜 성능이 비교적 좋은 폴리에스테르 핫 멜트 접착제를 획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볼 때, 생성된 저융점 코폴리에스테르 핫 멜트 접착제는, 제조하는 과정에서 모두 이소프탈산과 같은 비선형 분자구조의 원료를 넣었으며, 이에 따라 코폴리에스테르 분자의 선형구조를 파괴하여 코폴리에스테르의 결정도와 융점을 낮춤으로써, 의류 등 각 업종에서 필요되는 요구에 적응하도록 한다. 다른 방면에서, 결정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해당 고화속도도 느리며, 이는 안감가공과정에서의 배면부착현상을 초래하므로, 획득한 핫 멜트 접착제는 신속하게 부착을 완료해야 하는 생산라인에서의 응용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상응한 글루막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 네트필름 제품을 제조하는 데도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는, 제품의 성능으로 볼 때 기타 중합방법과 비교할 수 없는 우월성을 가진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생산과정에서 해당 잠재적인 반응성을 유지하며,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사용할 시에 상호침투 네트워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열가소성을 감소 또는 소거하여, 개선된 내세정성과 개선된 내용제성을 확보하며, 특히 종래기술에 의한 비가교 핫 멜트 접착제와 비교할 때 융점이 낮고 빨리 결정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의류산업 생산라인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수요에 따라 네트필름 또는 글루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고, 또한 긴 시간 동안 고온 온도장에서의 운용도 적합하므로 광범위한 응용 전망이 있는 고성능 핫 멜트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는 종래기술에 존재하는 저융점과 급속 결정 즉 양쪽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흠결을 극복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수요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진행하도록,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1,4-부탄디올, 디올과 유기주석촉매를 반응기에 넣는 단계- 반응온도는 140~180°C이며, 기상온도는 65~90°C를 유지하며, 부산물인 일가(monohydric) 알코올의 증류량의 부피가 이론량의 95%이상이 될 때까지 반응하면 에스테르교환반응이 완료됨-;
2) 상기 반응온도가 0.5 시간 동안 유지된 후, 아인산 에스테르류의 안정제와 중축합촉매를 첨가하고, 공중합체 입자를 얻기 위해, 반응 온도를 160~240°C까지 계속 높히며 0.5~1.5시간 감압 중축합반응을 하고, 공중합체 분말을 획득하기 위해, 냉동, 분쇄를 수행하는 단계;
3) 잠재적 반응성이 있는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를 획득하기 위해, 단계2)에서 생산된 코폴리에스테르 분말과 폴리비닐 알코올PVA/글리옥살의 혼합물을 넣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상기 이염기성 에스테르는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1,6-디부틸 아디페이트, 1,10-디부틸 세바케이트, 1,6-디메틸 아디페이트 또는 디메틸 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염기성 에스테르의 몰비는 1:0.2~0.35이다;
상기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틸렌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과 1,3-프로필렌글리콜 중의 한 가지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1,4-부탄디올과 디올의 몰비는 1:0.1~0.35이다;
총 에스테르기와 총 수산기의 몰비는 1:1.1~1.8이다;
상기 총 에스테르기는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염기성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말한다;
상기 총 수산기는 상기 1,4-부탄다이올과 디올에서의 수산 작용기(hydroxyl functional groups)를 말한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글리옥살 혼합물 중에는 질량백분율이 13%~37.5%인 글리옥살을 함유한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글리옥살 혼합물의 질량은 단계(2)에서의 상기 공중합체 분말의 질량의 0.2%~0.5%이다.
상기 유기주석촉매는 부틸주석 옥사이드이며, 부틸주석 옥사이드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2%~0.04%이며; 상기 중축합촉매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이며,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2%~0.04%이다.
상기 아인산 에스테르류의 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이며,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1%~0.09%이다.
본 발명의 창의적인 부분은 합성한 코폴리에스테르에 폴리비닐 알코올PVA/글리옥살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통해 획득한 핫 멜트 접착제 제품의 특징에 있으며, 해당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적당한 온도에서 건조한 후, 폴리비닐 알코올PVA과 글리옥살이 반응하여 아세탈화합물을 생성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해당 네트워크는 코폴리에스테르와 일정한 정도의 상호침투를 형성하여, 반-상호침투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는 융점이 낮고, 빨리 결정되며, 내열 안정성이 좋고, 내 드라이클리닝성, 내수세성, 내염기성이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네트필름 또는 글루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며, 긴 시간 동안 고온 온도장에서의 운용도 적합하다.
아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서술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온도계, 기계 교반기, 환류 응축기 관(reflux condenser)을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291g, 1,6-디메틸 아디페이트(dimethyl adipate) 87.1g, 1,4-부탄디올(1,4-butanediol) 225g, 1,6-헥산디올(1,6-hexanediol) 33.1g, 2,2,4-트리메틸-1,3-펜틸렌글라이콜(2,2,4-trimethyl-1,3-pentanediol)29.2g, 부틸 틴 옥사이드(butylstanoic acid)0.058g를 넣고, 질소를 통과시키고 가열, 교반하며, 응축수를 오픈하여 반응솥 내의 온도가 160°C좌우로 될 때, 메탄올이 증류하여 나오기 시작하며, 반응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증류해 낸 메탄올이 이론양의 95%이상이 되면, 에스테르화 반응이 완료된다. 0.5시간 보온한 후, 계속하여 온도를 220°C까지 높이고, 상기 반응 시스템에 트리페닐 포스파이트0.029g,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0.058g을 넣고, 시스템 압력이 100Pa으로 되기까지 점차적으로 감압하며, 반응시간 30분, 온도가 220°C에서 점차적으로 235°C까지 높아지면 중축합반응이 완료된다. 질소 분위기 하에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공중합체 입자를 획득하고, 다시 냉동, 분쇄를 거쳐 코폴리에스테르 분말을 획득할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 분말에 폴리비닐 알코올/ 글리옥살 혼합물을 넣으며 여기서 폴리비닐 알코올/ 글리옥살 혼합물은 질량백분율이 13.0%인 글리옥살을 함유하고, 폴리비닐 알코올/ 글리옥살 혼합물의 질량은 코폴리에스테르 분말의 0.2%이며, 상온에서 균일하게 교반하여 핫 멜트 접착제 제품을 획득한다. 각각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와 시차주사 열량측정법(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으로 측정한 해당 제품의 평균 분자량은 15260g/mol이며, 융점은 90-110°C이다. 국가표준 GB/T3682-2000에 따라 측정한 해당 융체 유동속도는120g/10min160°C이다. HG/T 3716-2003에 따라 측정한 개방시간은 15초이며; FZ/T 01085-2009에 따라 측정한 초기 박리강도는 26.08N이며; FZ/T 01084-2000에 따라 측정한 수세 후의 박리강도는 22.1N; FZ/F 01083-2009에 의해 측정한 드라이클리닝 후의 박리강도는 19.82N이며; 수세표준(Wash standard)을 참조하면, 산 세척은 PH=2, 알칼리 세척은 PH=11이며, 산, 알칼리 세척 후의 박리강도는 각각 15.25N와 16.69N이다.
실시예2~6
실시예2~6과 실시예1의 단계와 공정 조건은 거의 동일하며, 다소 변경이 있는 공정조건과 원료의 배합 비율은 표1에서 표시한 바와 같으며, 획득한 산출물의 성능도 표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2~6과 비교예에 관련된 공정파라미터와 산출물의 성능
실시예 번호 2 3 4 5 6 비교예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imethyl Terephthalate, mol 2 2 2 2 2 2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Dioctyl Phthalate, mol 0.4
1,6-디부틸 아디페이트 1,6-Dibutyl Adipate, mol 0.45
1,10- 디부틸 세바케이트 1,10-Dibutyl Sebacate, mol 0.6 0.6
1,6- 디메틸 아디페이트 1,6-Dimethyl Adipate, mol 0.7
디메틸 프탈레이트 Dimethyl Phthalate, mol 0.5
1,4- 부탄디올 1,4-Butanediol, mol 2.1 3.2 2.7 2.9 3.6 2.7
에틸렌글리콜 Ethylene Glycol, mol 0.30 0.24 0.45 0.24
1,6- 헥산디올 1,6-hexanediol, mol 0.5 0.5
2,2,4- 트리메틸-1,3- 펜틸렌글라이콜 2,2,4-trimethyl-1,3-pentanediol, mol 0.6
네오펜틸 글라이콜 Neopentyl Glycol, mol 0.3 0.45 0.3
1,3- 프로필렌 글리콜 1,3-Propanedio, mol 0.24 0.4
부틸 주석 옥사이드 Butylstanoic Acid, g 0.078 0.098 0.078 0.0155 0.078 0.078
트리페닐포스파이트 Triphenyl Phosphite, g 0.12 0.122 0.349 0.14 0.039 0.349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Tetrabutyl Titanate, g 0.078 0.078 0.101 0.101 0.155 0.101
에스테르화 반응 보온 시간, min 30 40 45 50 60 45
중축합 시간, min 40 50 65 60 70 65
중축합 온도, °C 220
~240
220
~240
220
~240
220
~240
220
~240
220
~240
PVA/ 글리옥살(23%)*: 코폴리에스테르 0.3% 0.4% /
PVA/ 글리옥살(31%)*: 코폴리에스테르 0.2% 0.25% /
PVA/ 글리옥살(37.5%)*: 코폴리에스테르 0.5% /
평균 분자량 16200 21080 23090 25580 24890 22980
융점, °C 98
~112
104
~116
102
~109
105
~115
104
~122
102
~109
용융지수,
g/10min(160°C)
95.7 88.3 84.7 83.2 81.9 84.7
개방시간, s 15 10 15 10 15 20
초기 박리강도 (N/5cm) 21.2 21.68 23.84 23.07 24.35 23.84
수세 후 박리강도 (N/5cm) 19.08 19.13 21.45 20.76 20.94 20.94
드라이클리닝 후 박리강도 (N/5cm) 17.84 18.02 20.26 17.99 19.84 15.92
산 세척 후 박리강도 (N/5cm) 13.78 12.96 15.40 14.90 15.87 11.90
알칼리 세척 후 박리강도 (N/5cm) 13.64 13.72 15.68 14.20 15.20 10.26
*괄호 안의 숫자는 PVA/ 글리옥살 혼합물 중의 글리옥살의 질량 백분율이다

Claims (3)

  1.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으로서,
    1) 질소 분위기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진행하도록,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1,4-부탄디올, 디올과 유기주석촉매를 반응기에 넣는 단계-반응온도는 140~180°C이며, 기상온도는 65~90°C를 유지하며, 부산물인 일가(monohydric) 알코올의 증류량의 부피가 이론량의 95%이상이 될 때까지 반응하면 에스테르교환반응이 완료됨-;
    2) 반응 온도가 0.5 시간 동안 유지된 후, 아인산 에스테르류의 안정제와 중축합촉매를 첨가하고, 공중합체 입자를 얻기 위해 0.5~1.5시간 감압 중축합반응을 하며 반응 온도를 160~240°C까지 증가시키고, 공중합체 분말을 획득하기 위해, 냉동 및 분쇄하는 단계;
    3) 목표 산출물을 획득하기 위해, 단계2)에서 생산된 산출물과 폴리비닐 알코올(PVA)/글리옥살의 혼합물의 특정 양을 상온에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염기성 에스테르는 디에틸헥실 프탈레이트, 1,6-디부틸 아디페이트, 1,10-디부틸 세바케이트, 1,6-디메틸 아디페이트 및 디메틸 프탈레이트 중 하나이고;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염기성 에스테르의 몰비는 1:0.2~0.35이고;
    상기 디올은 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틸렌글라이콜, 네오펜틸 글라이콜과 1,3-프로필렌글리콜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1,4-부탄디올과 디올의 몰비는 1:0.1~0.35이고;
    총 에스테르기와 총 수산기의 몰비는 1:1.1~1.8이고;
    상기 총 에스테르기는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이염기성 에스테르에서의 에스테르 작용기를 나타내고;
    상기 총 수산기는 상기 1,4-부탄다이올과 디올에서의 수산 작용기(hydroxyl functional groups)를 나타내고;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글리옥살 혼합물 중에는 질량백분율이 13%~37.5%인 글리옥살을 함유하고;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글리옥살 혼합물의 질량은 상기 단계(2)의 산출물의 질량의 0.2%~0.5%인,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주석촉매는 부틸주석 옥사이드이며, 부틸주석 옥사이드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2%~0.04%이며; 상기 중축합촉매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이며,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2%~0.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 에스테르류의 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이며,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의 사용량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질량의 0.01%~0.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20147014702A 2012-12-28 2013-06-20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1466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5817433A CN103013415B (zh) 2012-12-28 2012-12-28 一种半互穿网络结构型聚酯/聚乙烯醛热熔胶及其制备工艺
CN201210581743.3 2012-12-28
PCT/CN2013/077547 WO2013189294A1 (zh) 2012-12-28 2013-06-20 一种半互穿网络结构型聚酯/聚乙烯醇缩乙二醛热熔胶的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727A KR20140091727A (ko) 2014-07-22
KR101466677B1 true KR101466677B1 (ko) 2014-11-28

Family

ID=4796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702A KR101466677B1 (ko) 2012-12-28 2013-06-20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46985B2 (ko)
KR (1) KR101466677B1 (ko)
CN (1) CN103013415B (ko)
AU (1) AU2013280006B2 (ko)
NZ (1) NZ623058A (ko)
SG (1) SG2014012892A (ko)
WO (1) WO2013189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3415B (zh) 2012-12-28 2013-12-04 昆山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半互穿网络结构型聚酯/聚乙烯醛热熔胶及其制备工艺
CN105348497B (zh) * 2015-12-07 2018-01-02 上海天洋热熔粘接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共聚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06700362A (zh) * 2017-01-18 2017-05-24 彭先彧 一种具有耐水性的聚乙烯醇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5746A (zh) * 2010-10-15 2011-01-26 河海大学 新型高强复合金属材料用聚脂热熔胶的研制
CN102492248A (zh) * 2011-12-09 2012-06-13 北京工商大学 用于聚丁二酸丁二醇酯及其共聚酯的大分子成核剂及应用方法
CN102675609A (zh) * 2012-06-07 2012-09-19 昆山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快速结晶型纳米复合聚酯热熔胶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1688A (en) * 1961-04-20 1965-10-12 Wallace & Tiernan Inc Polyvinyl acetate plasticized with polyester
JPS54154438A (en) * 1978-05-26 1979-12-05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roduction of high-viscosity polymer emulsion
US5922808A (en) * 1995-08-31 1999-07-13 Dainichiseika Color&Chemicals Mfg. Co., Ltd PVA-base thermoplastic copolymer, and its production process and use
DE19831366A1 (de) 1998-07-13 2000-01-27 Inventa Ag Tiefschmelzende Copolyester- bzw. Copolyetheresterschmelzklebemassen
CN1138841C (zh) 2000-08-29 2004-02-18 上海理日科技发展有限公司 高熔点聚酯热熔胶的制造方法
CN101126006B (zh) 2007-06-29 2010-05-19 上海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聚酯热熔胶的制备方法
JP5715565B2 (ja) * 2009-08-07 2015-05-07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組成物、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US8226022B2 (en) * 2010-07-28 2012-07-24 Eirich Machines, Inc. Mixer with a chopper
CN103013415B (zh) 2012-12-28 2013-12-04 昆山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半互穿网络结构型聚酯/聚乙烯醛热熔胶及其制备工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5746A (zh) * 2010-10-15 2011-01-26 河海大学 新型高强复合金属材料用聚脂热熔胶的研制
CN102492248A (zh) * 2011-12-09 2012-06-13 北京工商大学 用于聚丁二酸丁二醇酯及其共聚酯的大分子成核剂及应用方法
CN102675609A (zh) * 2012-06-07 2012-09-19 昆山天洋热熔胶有限公司 一种快速结晶型纳米复合聚酯热熔胶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727A (ko) 2014-07-22
SG2014012892A (en) 2014-06-27
AU2013280006A1 (en) 2014-07-17
AU2013280006B2 (en) 2015-01-29
US20140303323A1 (en) 2014-10-09
NZ623058A (en) 2015-11-27
US9346985B2 (en) 2016-05-24
CN103013415B (zh) 2013-12-04
WO2013189294A1 (zh) 2013-12-27
CN103013415A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309B1 (ko) 열용융 접착제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US11807714B2 (en) Semi-crystalline mixture of polyester polyols, and the use thereof
US20140256875A1 (en) Process for preparing amorphous polyester hot melt adhesive with low melting point
KR101372581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WO2017097157A1 (zh) 一种新型共聚酯热熔胶及其制备方法
EP3184572A9 (en) Transparent biodegradable polymer
KR101466677B1 (ko) 반-상호침투 망상구조 폴리에스테르/폴리비닐 글리옥살 핫 멜트 접착제의 제조방법
CN101245230A (zh) 线性共聚酯热熔胶的制备方法
JP2016518466A (ja) 接着剤および封止剤における、内在の難燃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の使用。
JP5211604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製造方法
Qu et al. Biodegradable copolyester poly (butylene-co-isosorbide succinate) as hot-melt adhesives
CN102675609B (zh) 一种快速结晶型纳米复合聚酯热熔胶及其制备工艺
CN103483572B (zh) 一种低熔点耐水洗聚酯热熔胶的制备方法
CN114605622A (zh) 一种具有丙二酸结构的脂肪族聚酯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026257B (zh) 末端改性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包含其的热塑性树脂组合物、以及成型品
CA1117246A (en) Copolyester, processes for producing it and its use
CN103468195A (zh) 一种生物可降解聚酯热熔胶的制备方法
US20220017690A1 (en) Crystalline Polyesterpolyol
CN105482755B (zh) 抗静电改性热熔胶及其制备方法
KR20190062049A (ko) 접착 특성을 가진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96633B1 (ko) 내약품성 및 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240027345A (ko) 접착강도가 우수하고 융점조절이 가능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KR101200823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JPH0967431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材料
CN115044021A (zh) 一种丙二酸支链化聚酯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