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443B1 -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443B1
KR101465443B1 KR1020130043393A KR20130043393A KR101465443B1 KR 101465443 B1 KR101465443 B1 KR 101465443B1 KR 1020130043393 A KR1020130043393 A KR 1020130043393A KR 20130043393 A KR20130043393 A KR 20130043393A KR 101465443 B1 KR101465443 B1 KR 10146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ating
local
stage
attach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527A (ko
Inventor
이상현
이재석
우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3004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44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부착물의 국부 영역을 서로 합착시키는 국부 합착부; 및 상기 국부 영역이 서로 합착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상기 국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가합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을 합착시키는 합착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APPARATUS FOR LAMINATING WIRELESS ANTENNA}
본 발명은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과 전자파 흡수 시트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합착(合着)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은 전자태그에 내장된 정보를 전파를 이용하여 안테나와 리더를 통해 비(非)접촉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또한, 무선 충전 기술은 전기 콘센트에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연결하지 않고도 전파를 활용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상술한 무선 인식 및 무선 충전은 연성 회로 기판에 서로 독립적 또는 혼용되어 소정의 패턴을 이루는 안테나로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안테나는 별도의 부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폰의 후면 커버 내측에 부착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무선 인식 기술과 무선 충전 기술을 단순히 접목하는 경우, 상호간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무선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같은 전자파 흡수 시트를 부착함으로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판의 하면에 전자파 흡수 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기판의 하면과 전자파 흡수 시트 사이에는 접착면을 통해 서로 합착되는데, 합착되는 과정에서, 기판과 전자파 흡수 시트가 서로 합착 되는 영역이 일정하지 않거나, 불균일한 힘으로 서로 합착되는 경우 이들 사이에는 기포가 잔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판과 이의 하면에 합착되는 전자파 흡수 시트의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면, 결국 제품 불량률이 불규칙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8596호(공개일 : 2009년 09월 1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기판을 기포 없이 합착할 수 있는 기판 라미네이팅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 및 전자파 흡수 시트와 같은 한 쌍의 부착물의 일단을 국부적으로 합착하고, 합착된 국부 영역으로부터 부착물의 타단을 따라 부착물을 가압 합착함으로써, 부착물들의 접합면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부착물들의 접합면을 부착물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 합착하여, 접합면에서의 기포를 부착물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한 쌍의 부착물의 국부 영역을 서로 합착시키는 국부 합착부; 및 상기 국부 영역이 서로 합착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상기 국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가합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을 합착시키는 합착부를 포함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국부 합착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각각의 마주 보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부 안착부의 안착 영역에는 서로 합착되는 상기 국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 영역은, 하부 안착 영역과 상부 안착 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국부 합착부는,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하부 안착 영역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상부 안착 영역을 갖는 하부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일단에는 상기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 영역은,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차 영역은,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 2하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2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승강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각각 진공 제공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진공 제공부는, 상기 상부 안착 영역과 상기 하부 안착 영역으로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을 진공 흡착할 수 있다.
상기 합착부는, 상기 국부 합착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국부 영역이 합착된 한 쌍의 부착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합착 롤러와, 상기 안내 롤러와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는 이동되는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외면을 순차적으로 가압 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착 롤러는 히터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국부 합착부는,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이 상기 안내 롤러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공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되면,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을 상기 안내 롤러에 위치되도록 상기 국부 합착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진공 제공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상승시키고, 상기 합착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단차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의 측부에 위치되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승강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각각 진공 제공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진공 제공부는, 상기 상부 안착 영역과 상기 하부 안착 영역으로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을 진공 흡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착부는, 합착부 몸체와, 상기 합착부 몸체의 하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합착 롤러와, 상기 합착 롤러를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부착물 상면에서 가압 롤링되도록 상기 합착부 몸체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착부 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안내홀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국부 합착부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접하여 롤링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 각각의 서로 접하는 곡률면에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이 각각 안착된다.
상기 합착부는,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 각각의 곡률면을 접하거나 이격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기판 및 전자파 흡수 시트와 같은 한 쌍의 부착물의 일단을 국부적으로 합착하고, 합착된 국부 영역으로부터 부착물의 타단을 따라 부착물을 가압 합착함으로써, 부착물들의 접합면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부착물들의 접합면을 부착물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 합착하여, 접합면에서의 기포를 부착물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사용한 부착물들의 합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단차 영역의 배치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사용한 부착물들의 합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사용한 부착물들의 합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는 크게 국부 합착부(100)와, 합착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 합착부(10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100)는 상하를 따라 이격되는 상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100)는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와,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의 상면에는 하부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의 하면에는 상부 안착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121,12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111,1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111,112)는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121,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121,122)의 상부 안착 영역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111,112) 중,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111)의 하부 안착 영역에는 상향 단차지는 단차 영역(A)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 영역(A)은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111,112)와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121,122)는, 각각 진공 제공부(미도시)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진공 제공부는 상기 상부 안착 영역과 상기 하부 안착 영역으로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10,20) 각각을 진공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111,112)와,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121,122)는 각각의 승강부(150)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합착되는 부착물들(10,2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부착물(10)은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는 연성 회로 기판(10)이고, 다른 하나의 부착물(20)은 기판(1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전자파 흡수 시트(20), 예컨대 페라이트 시트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기판(10)의 하면, 또는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상면에는 접착물이 형성된다.
상기에 언급되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의 상부 안착 영역에는 진공 흡착을 통해 상기 기판(10)이 안착되고,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의 하부 안착 영역에는 전자파 흡수 시트(20)가 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합착부(200)는 국부 합착부(100)의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합착부(200)는 상기 국부 합착부(100)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부착물(10,20)의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롤러(210)와, 상기 국부 영역이 합착된 한 쌍의 부착물(10,20)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합착 롤러(220)와, 상기 안내 롤러(210)와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220)를 회전시키는 회전기(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220)는 이동되는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10,20)의 외면을 순차적으로 가압 롤링할 수 있다.
상기 합착 롤러들(220)은 히팅 롤러로서, 도시되지 않는 히터가 내장되어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부착물들(10,20)을 가열 합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국부 합착부(100)는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이 상기 안내 롤러(210)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160)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부(150)는 이동 레일과, 리니어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국부 합착부(100)는 이동 레일에 연결되고,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의 하부 안착 영역에는 전자파 흡수 시트(20)가 진공 흡착되어 안착되고,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의 상부 안착 영역에는 기판(10)이 진공 흡착되어 안착된다.
여기서,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와 하부 안착 스테이지(110)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는 상태를 이룬다.
특히, 전자파 흡수 시트(20)는 하부 안착 영역에 형성되는 단차 영역(A)에 안착되어 일부분이 상향 단차를 이루도록 대기된다.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는 승강부(160)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12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단차 영역(A)에 안착되는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국부 영역은 하강되는 기판(10)의 일부분에 합착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국부 영역은 합착되고, 이외 영역은 이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 제공부(미도시)는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111)의 하부 안착 영역에 제공되는 진공을 파지함과 아울러, 승강부(150)는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111)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일부분이 합착되는 국부 영역은 단차지는 상태를 이루어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111)에 진공 흡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부(160)는 도 4의 상태를 이루는 국부 흡착부(100)를 합착부(2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일부분이 합착된 국부 영역은 안내 롤러(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즉, 제어기(미도시)는 상기 진공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111)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되면, 상기 이동부(160)를 사용하여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을 상기 안내 롤러(210)에 위치되도록 상기 국부 합착부(100)를 이동시킨다.
이어, 제어기는 상기 진공 제공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121)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부(15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121)를 상승시킨 이후, 회전기(230)를 사용하여 합착부(200)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안내 롤러(210)와 한 쌍의 합착 롤러(220)는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합착된 국부 영역은 회전되는 안내 롤러(210)에 의해 한 쌍의 합착 롤러(220)의 사이에 인입된다.
이와 동시에, 진공 제공부는 제 2하부 안착 스테이지(112) 및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122)에 제공되는 진공을 파지함과 아울러, 승강부(150)는 제 2하부 및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112,122)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는 국부 영역으로부터 합착 롤러들(220)의 사이로 인입되어 가압 롤링되고, 이를 통해, 이들은 국부 영역으로부터 타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합착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판 및 전자파 흡수 시트와 같은 한 쌍의 부착물의 일단을 국부적으로 합착하고, 합착된 국부 영역으로부터 부착물의 타단을 따라 부착물을 가압 합착함으로써, 부착물들의 접합면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단차 영역(A)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안착 영역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111')의 하부 안착 영역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단차 영역(A')을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국부 합착부(100)가 합착부(200)로 이동되는 경로는 비스듬한 경로를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8 내지 도 11은 제 2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사용한 부착물들의 합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는 크게 국부 합착부(300)와, 합착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 합착부(300)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320)와,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안착 스테이지(320)는 제 1실시예의 '12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다. 다만, 단차 영역(A)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의 하부 안착 영역에서, 단차 영역(A)은 안착 영역의 상면과 곡률을 형성하여 연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합착부(400)는 상기 국부 합착부(300)의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합착부(400)는 합착부 몸체(410)와, 상기 합착부 몸체(410)의 하단에 회전축(421)을 구비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합착 롤러(420)와, 상기 합착 롤러(420)를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부착물(10,20) 상면에서 가압 롤링되도록 상기 합착부 몸체(410)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부(4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착부 몸체(410)에는, 상기 회전축(421)의 상하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21)과 상기 안내홀(411)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미도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430)가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작용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을 참조 하면,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의 하부 안착 영역에는 전자파 흡수 시트(20)가 진공 흡착되어 안착되고, 상부 안착 스테이지(320)의 상부 안착 영역에는 기판(10)이 진공 흡착되어 안착된다.
여기서, 상부 안착 스테이지(320)와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는 상태를 이룬다.
특히, 전자파 흡수 시트(20)는 하부 안착 영역에 형성되는 단차 영역(A)에 안착되어 일부분이 상향 단차를 이루도록 대기된다.
도 10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는 승강부(350)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32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단차 영역(A)에 안착되는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국부 영역은 하강되는 기판(10)의 일부분에 합착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국부 영역은 합착되고, 이외 영역은 이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11을 참조 하면, 진공 제공부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321)의 상부 안착 영역에 제공되는 진공을 파지하고, 승강부(350)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321)를 상부로 승강시킨다.
이에 따라,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국부 영역은 합착되는 상태로 단차 영역(A)에 안착되고, 이들 사이의 이외 부분은 이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12를 참조 하면, 이어, 이동부(450)는 합착부(400)를 하부 안착 스테이지(310) 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합착 롤러(420)는 합착부 몸체(410)의 단부에 회전되는 상태를 이루고, 탄성 부재(430)에 의해 상하로의 탄성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합착 롤러(420)는 서로 합착된 국부 영역의 상면, 즉, 기판(1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가압 롤링된다.
이때, 진공 제공부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322)로의 진공을 파지하고, 승강부(350)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322)를 상승시킨다.
합착 롤러(420)는 이동부(450)의 이동에 의해, 기판(10)의 상면에 하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상태로 가압 롤링된다.
따라서, 이동 및 가압 롤링되는 합착 롤러(420)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압되어,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는 일단부인 국부 영역부터 타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합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 하면, 제 2실시예에서의 단차 영역(A)은 하부 안착 영역(310)의 상면으로 곡률(r)은 합착 롤러(420)의 곡률(r)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합착 롤러(420)가 구르면서 단차 영역(A)을 통과할 때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와 서로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판 및 전자파 흡수 시트와 같은 한 쌍의 부착물의 일단을 국부적으로 합착하고, 합착된 국부 영역으로부터 부착물의 타단을 따라 부착물을 가압 합착함으로써, 부착물들의 접합면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르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를 사용한 부착물들의 합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는 국부 합착부(500)와, 합착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국부 합착부(500)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501,502)와,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501,502)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접하여 롤링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510,5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510,520) 각각의 서로 접하는 곡률면(511,521)에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10,20)이 각각 안착된다. 상기 안착은 제 1,2실시예에서 언급한 진공 흡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510,520)는, 상부 곡률 스테이지(520)와 하부 곡률 스테이지(510)로 구성된다.
상기 합착부(600)는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501,502)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510,520) 각각의 곡률면(511,521)을 접하거나 이격시키는 승강부(610)와,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510,520)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기(620)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의 작용을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 하면, 하부 곡률 스테이지(510)의 곡률면(511)에는 진공 흡착을 통해 전자파 흡수 시트(20)가 안착된다.
상부 곡률 스테이지(520)의 하면에서의 곡률면(521)에는 진공 흡착을 통해 기판(10)이 안착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 곡률 스테이지(520,510)는 상하를 따라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회전기(620)는 상부 및 하부 곡률 스테이지(520,510)의 초기 회전 위치를 유지한다.
도 14를 참조 하면, 승강부(610)는 상부 곡률 스테이지(520)와 하부 곡률 스테이지(510)의 곡률면(521,511) 일단이 서로 밀착되도록 승강시킨다.
따라서, 기판(10)의 일단과 전자파 흡수 시트(20)의 일단에서의 국부 영역은 서로 합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도 15를 참조 하면, 회전기(620)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부 곡률 스테이지(520)와 하부 곡률 스테이지(51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기(620)는 설정된 회전각 범위로, 상부 및 하부 곡률 스테이지(520,510)의 곡률면들(521,511)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접촉되도록 회전시킨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진공 제공부는, 회전 속도에 따라, 곡률면(521,511) 일단에서 타단을 따르는 진공을 순차적으로 파지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회전되는 상부 및 하부 곡률 스테이지(520,510)의 사이에서 가압 밀착됨으로써, 기판(10)과 전자파 흡수 시트(20)는 단차 영역(A)으로부터 타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합착될 수 있다.
이상, 상기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판 및 전자파 흡수 시트와 같은 한 쌍의 부착물의 일단을 국부적으로 합착하고, 합착된 국부 영역으로부터 부착물의 타단을 따라 부착물을 가압 합착함으로써, 부착물들의 접합면 사이에 기포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한 쌍의 부착물들의 접합면을 부착물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가압 합착하여, 접합면에서의 기포를 부착물 외부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판 20 : 전자파 흡수 시트
100, 300, 500 : 국부 합착부 110, 310 : 하부 안착 스테이지
120, 320 : 상부 안착 스테이지 200, 400, 600 : 합착부
210 : 안내 롤러 220 : 합착 롤러
230 : 회전기 410 : 합착부 몸체
411 : 안내홀 420 : 합착 롤러
421 : 회전축 430 : 탄성 부재
510 : 하부 곡률 스테이지 520 : 상부 곡률 스테이지
610 : 승강부 620 : 회전기

Claims (15)

  1. 한 쌍의 부착물의 국부 영역을 서로 합착시키는 국부 합착부; 및
    상기 국부 영역이 서로 합착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상기 국부 영역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외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가합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을 합착시키는 합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합착부는,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각각의 마주 보는 면에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국부 안착부의 안착 영역에는 서로 합착되는 상기 국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영역은, 하부 안착 영역과 상부 안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국부 합착부는,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이 형성되는 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하부 안착 영역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상부 안착 영역을 갖는 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하되,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일단에는 상기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영역은,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한 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영역은,
    상기 하부 안착 영역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단차 영역이 형성되는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 2하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2하부 안착 스테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승강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각각 진공 제공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진공 제공부는, 상기 상부 안착 영역과 상기 하부 안착 영역으로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을 진공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부는,
    상기 국부 합착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롤러와,
    상기 국부 영역이 합착된 한 쌍의 부착물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합착 롤러와,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안내 롤러와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합착 롤러는 이동되는 상기 국부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의 외면을 순차적으로 가압 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합착부는,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이 상기 안내 롤러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공 제공부에 의해 상기 제 1하부 안착 스테이지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되면,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을 상기 안내 롤러에 위치되도록 상기 국부 합착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진공 제공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에 제공되는 진공 흡착력을 해제하고, 상기 승강부를 사용하여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상승시키고,
    상기 합착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상기 단차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와, 상기 제 1상부 안착 스테이지의 측부에 위치되는 제 2상부 안착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승강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안착 스테이지와, 제 1,2상부 안착 스테이지는, 각각 진공 제공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진공 제공부는, 상기 상부 안착 영역과 상기 하부 안착 영역으로 진공 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한 쌍의 부착물 각각을 진공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부는,
    합착부 몸체와,
    상기 합착부 몸체의 하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합착 롤러와,
    상기 합착 롤러를 서로 합착된 상기 국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부착물 상면에서 가압 롤링되도록 상기 합착부 몸체를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합착부 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안내홀 상단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합착부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와,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접하여 롤링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 각각의 서로 접하는 곡률면에는 상기 한 쌍의 부착물이 각각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부는,
    상기 한 쌍의 국부 합착부 몸체를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 승강시켜,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 각각의 곡률면을 접하거나 이격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한 쌍의 곡률 스테이지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15. 삭제
KR1020130043393A 2013-04-19 2013-04-19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KR10146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93A KR101465443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393A KR101465443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27A KR20140125527A (ko) 2014-10-29
KR101465443B1 true KR101465443B1 (ko) 2014-11-26

Family

ID=5199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393A KR101465443B1 (ko) 2013-04-19 2013-04-19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4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85A (ko) * 2009-03-16 2010-09-29 주식회사 모비텍 케이스 일체형 필름안테나 제조 방법
KR20100107699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태인 개선된 구조의 rfid태그 및 rfid태그 제조방법
KR20120134285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모텍스 전자태그 라벨의 인코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085A (ko) * 2009-03-16 2010-09-29 주식회사 모비텍 케이스 일체형 필름안테나 제조 방법
KR20100107699A (ko) *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태인 개선된 구조의 rfid태그 및 rfid태그 제조방법
KR20120134285A (ko) * 2011-06-02 2012-12-12 주식회사 모텍스 전자태그 라벨의 인코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27A (ko)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1711B (zh) 板体研磨装置
JP4841355B2 (ja) 半導体ウエハの保持方法
KR100864520B1 (ko) 카메라모듈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5339550B2 (ja) 真空積層システムおよび真空積層成形方法
JP4908404B2 (ja) 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ボンディングシステム
TWI639671B (zh) 黏著帶貼付方法及黏著帶貼付裝置
CN107275665A (zh) 一种吸膜及热熔机构以及绝缘膜上料、热熔和转移机构
TWI537138B (zh) Sheet Adhesive Device and Paste Method
CN113296295A (zh) 显示模组包胶方法和遮光胶组件
KR101465443B1 (ko) 무선 안테나용 합착 장치
KR20130100136A (ko) 시트 부착 장치 및 부착 방법
KR101165208B1 (ko) 평판디스플레이패널의 연마방법
JP6339341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KR101684288B1 (ko) 웨이퍼 보호용 필름의 분리장치
TW201509680A (zh) 剝離裝置及剝離方法
JP2012069768A (ja) 両面粘着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剥離装置
CN106339749B (zh) 一种智能卡inlay层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207097963U (zh) 一种吸膜及热熔机构以及绝缘膜上料、热熔和转移机构
WO2006061933A1 (ja) 部品の組み立て装置及び組み立て方法
KR102575834B1 (ko) 로봇암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제조 시스템
KR20160018402A (ko) 기판 접합 방법 및 기판 접합 장치
CN115990554A (zh) 薄型显示面板移送及涂层装置
US20200316747A1 (en) Laminated membrane, substrate holder including laminated membran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JP7317482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JP2011251453A (ja) 補強板貼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