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595B1 -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595B1
KR101463595B1 KR1020130044214A KR20130044214A KR101463595B1 KR 101463595 B1 KR101463595 B1 KR 101463595B1 KR 1020130044214 A KR1020130044214 A KR 1020130044214A KR 20130044214 A KR20130044214 A KR 20130044214A KR 101463595 B1 KR101463595 B1 KR 10146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tape
lead
frame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102A (ko
Inventor
정태열
Original Assignee
정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열 filed Critical 정태열
Priority to KR102013004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5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는: 리드와 프레임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부와, 리드와 프레임을 결합하여 실드를 형성하는 실드형성부와, 실드형성부에서 결합되는 리드와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부착부 및 실드형성부에서 형성된 상기 실드를 검사하는 실드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C-CHIP SHIELD}
본 발명은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와 프레임으로 실드를 구성함에 있어 모든 공정의 생산 자동화를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IC소자용 실드란 이동통신용 단말기 등의 제품에서 회로 기판상에 식립된 IC소자들의 윗부분을 덮어서 IC소자와 IC소자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장 간섭을 상호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노이즈를 예방하고 통화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드는 리드와 그 내부에 조립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리드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실드를 조립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리드와 프레임을 각각의 프레스로 성형 제작한 후, 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거나 별도의 조립용 장치로 재차 투입시켜 일체화 조립하고 있었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드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른 테이프를 부착한다.
이러한 테이프는 롤러에서 풀릴 때 시트지와 그 위에 부착된 메인 테이프 및 테두리 테이프가 다 같이 붙어 있는 상태로 공급되며, 테이핑 공정을 자동화 하기 위해서는 테두리 테이프 및 시트지를 제거하고 메인 테이프만을 제품에 붙여야 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0456126호(등록일:2004.10.28)에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리드와 프레임으로 실드를 구성함에 있어 각 리드와 프레임에 불량없이 절연테이프를 부착하고, 리드와 프레임을 조립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자동화 생산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는: 리드와 프레임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부와,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여 실드를 형성하는 실드형성부와, 상기 실드형성부에서 결합되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부착부 및 상기 실드형성부에서 형성된 상기 실드를 검사하는 실드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은 연속 반복하여 프레싱 성형된 평판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공급부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리드를 공급하기 위한 제1보빈 및 상기 제1보빈과 이격 배치되며, 평판띠 형상의 상기 프레임을 공급하기 위한 제2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부착부는 상기 리드에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제1테이프부착부 및 상기 리드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제2테이프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부착부는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될 상기 절연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부 및 상기 테이프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부위와 대응되게 절단하고, 파지하여,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테이프부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테이프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공급부는 상기 절연테이프가 권취되고, 상기 절연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보빈과, 상기 테이프보빈에서 공급되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이형지를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보빈 및 상기 절연테이프를 파지하여 한 피치씩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에 이송하는 테이프피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피더부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상기 절연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피더부는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에 의한 상기 절연테이프 부착 후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절연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부여부는 상기 파지부재를 상기 이송작동부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송작동부로부터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는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절연테이프 사이에 구비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를 관통하여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부위만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상기 절연테이프를 파지하여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펀치 및 상기 부착펀치와 상기 다이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절연테이프가 상기 부착펀치에 선택적으로 파지되게 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부착펀치에 형성되는 진공흡착홀부 및 상기 진공흡착홀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부착펀치의 펀칭 후 상기 다이에 부착되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부착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상호 동일선상으로 일치시키고, 상호 인접하게 이송시키는 재료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료정렬부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이 인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브라켓과, 상기 안내브라켓에 의해 상호 인접한 리드와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지그와,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되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일치시켜 상기 안착지그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안착지그를 수평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센싱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센싱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이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지그에 구비되어 고정홀을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드형성부는 상기 리드가 진입되는 상측프레스홀과 상기 프레임이 진입되는 하부프레스홀이 구비되는 재료지지다이 및 상기 하부프레스홀의 상기 프레임을 상기 리드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프레임의 지지단을 절단하는 가압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이 분리된 스크랩을 절단하는 프레임스크랩컷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드검사부는 상기 실드에 부착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여부를 파악하는 비젼검사부 및 상기 실드의 조립불량여부를 파악하는 조립상태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젼검사부와 상기 조립상태검사부 사이에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리드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상기 실드를 스크랩과 분리하는 리드컷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컷팅부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실드를 안내하는 실드안내부 및 상기 실드안내부에 상기 실드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상기 스크랩과 상기 실드를 분리하는 분리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젼검사부는 상기 실드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와, 상기 안내가이드의 둘레면을 감싸는 함체 및 상기 함체내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상태검사부는 상기 리드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실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밸트와,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의 높이에 따라 접촉되는 검사터널 및 상기 슬라이드패널 상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터널에 실드 걸림 시 하강되어 상기 실드의 이동경로를 전환하는 전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컷팅부에 의해 상기 실드가 분리된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리드스크랩컷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은 (a) 리드와 프레임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와, (b) 상기 리드에 절연테이프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c)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여 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d) 상기 실드의 상기 프레임측에 절연테이프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실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은 평판띠 형상으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되어 나란하게 공급되고, 상기 절연테이프는 띠 형상으로 보빈에 권취되어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의 직각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와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부착펀치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펀치에 진공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실드에 부착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평판띠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검사되고,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함체 내로 순차적으로 진입되고, 촬영부의 촬영에 의해 상기 절연테이프의 부착불량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의 높이차를 판별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리드와 프레임 각각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고, 조립하는 공정을 동시에 자동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부착부에 흡착부가 구비되어 절연테이프의 부착 시 부착펀치에 절단된 절연테이프가 견고히 고정되어 부착됨으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어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된 절연테이프를 제외한 부위가 다이로부터 장력부여부에 의해 손쉽게 떼어낼 수 있어 원활한 공정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테이프의 불량여부와 조립상태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실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재료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부착부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부착부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장력부여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부착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부착작동부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테이프밀착부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재료정렬부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재료정렬부를 보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실드형성부를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실드형성부를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스크랩컷팅부를 보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스크랩컷팅부를 보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비젼검사부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리드컷팅부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조립상태검사부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조립상태검사부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의 조립상태검사부의 검사터널을 보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의 절연테이프 부착방법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S) 제조장치(10)는 재료공급부(100), 테이프부착부(200), 실드형성부(400) 및 실드검사부(700)를 포함한다.
재료공급부(100)는 실드(S)를 이루는 리드(L)와 프레임(P)을 공급한다. 리드(L)와 프레임(P)은 연속 반복하여 프레싱 성형된 평판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료공급부(100)는 도 1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띠 형상의 리드(L)를 공급하기 위한 제1보빈(110) 및 제1보빈(110)과 이격 배치되며, 평판띠 형상의 프레임(P)을 공급하기 위한 제2보빈(120)을 포함한다.
제1보빈(110)과 제2보빈(120)은 상하로 구비되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어 리드(L)와 프레임(P)을 공급한다.
테이프부착부(200)는 리드(L) 또는 프레임(P)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실드형성부(400)의 전후측에 각각 마련된다. 즉, 테이프부착부(200)는 리드(L)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1테이프부착부(200a) 및 실드형성부(400)에 의해 리드(L)에 프레임(P)이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2테이프부착부(20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테이프부착부(200a)와 제2테이프부착부(200b)는 실드형성부(400)의 전후에 각각 마련되며,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테이프부착부(200)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될 절연테이프(T)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부(210) 및 테이프공급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절연테이프(T)를 부착부위와 대응되게 절단하고, 파지하여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하는 테이프부착작동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절연테이프(T)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이프공급부(210)는 절연테이프(T)가 권취되고, 절연테이프(T)를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보빈(212)과, 테이프보빈(212)에서 공급되는 절연테이프(T)의 이형지를 회수하는 이형지회수보빈(214) 및 절연테이프(T)를 파지하여 한 피치씩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 이송하는 테이프피더부(220)를 포함한다.
테이프공급부(210)는 리드(L)와 프레임(P)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구비되어 절연테이프(T)를 공급한다. 그리고,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서 부착부위만 절단된 후 테이프회수보빈(216)에 의해 회수된다. 이러한 테이프보빈(212), 이형지회수보빈(214) 및 테이프회수보빈(216)은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된다.
테이프피더부(220)는 도 6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테이프(T)의 진행방향으로 테이프부착작동부(25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222) 및 파지부재(222)를 절연테이프(T)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작동부(225)를 포함한다. 파지부재(222)는 엑추에이터(A)의 작동에 의해 절연테이프(T)를 파지하는 파지핑거로 이루어지고, 이송작동부(225)는 레일가이드(226)와, 파지부재(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레일가이드(226)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가이드롤러(228)가 구비되는 이송프레임(227)을 포함한다. 이송프레임(227)은 엑추에이터(A)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테이프피더부(220)는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 의한 절연테이프(T) 부착 후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한 절연테이프(T)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230)를 포함한다. 장력부여부(230)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222)를 이송작동부(225)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232) 및 파지부재(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작동부(225)로부터 수평이동 시키는 수평이동작동부(234)를 포함한다. 승강작동부(232)와 수평이동작동부(234)는 엑추에이터(A)로 이루어져 파지부재(222)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킨다.
테이프부착작동부(25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 또는 프레임(P)과 절연테이프(T) 사이에 구비되는 다이(252)와, 다이(252)를 관통하여 절연테이프(T)를 부착부위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절연테이프(T)를 파지하여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하는 부착펀치(254) 및 부착펀치(254)와 다이(252)에 의해 절단된 절연테이프(T)가 부착펀치(254)에 선택적으로 파지되게 하는 흡착부(255)를 포함한다.
이때,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 의해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 시 부착부위 이외의 부분이 다이(252)에 부착되게 되는데 장력부여부(230)에 의해 이를 떼어낼 수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펀치(254)에 의해 절연테이프(T)가 절단되어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되고, 절단된 나머지 절연테이프(T)는 다이에 부착되는데, 파지부재(222)에 의해 파지된 절연테이프(T)는 파지부재(222)가 승강작동부(232)에 의해 하강되고, 수평이동작동부(234)에 의해 일측으로 당겨지면서 다이(252)로부터 떼어내진다.
그리고, 다이(252)에는 부착펀치(254)의 펀칭 후 다이(252)에 부착되는 절연테이프(T)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부착방지부(253)가 구비된다. 부착방지부(253)는 다이(252)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함몰홈으로 이루어져 절연테이프(T)와 접촉면적을 축소하여 절연테이프(T)의 분리가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방지부(253)를 함몰홈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복수개의 돌기 등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흡착부(255)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펀치(254)에 형성되는 진공흡착홀부(256) 및 진공흡착홀부(256)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57)를 포함한다. 진공흡착홀부(256)는 부착펀치(254) 각각의 중앙에 중공 형성되며, 부착펀치(254)에 의해 절단된 절연테이프(T)가 부착펀치(254)에 고정되게 하여 요구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절연테이프(T)가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되면 진공펌프(257)의 작동이 중지되어 흡착작동이 해제된다.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부착된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밀착부(300)에 의해 리드(L) 또는 프레임(P)에 밀착된다. 테이프밀착부(300)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1테이프부착부(200a)의 후단과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2테이프부착부(200b)의 후단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테이프밀착부(300)는 리드(L) 또는 프레임(P)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와, 지지플레이트(310) 상부에 구비되어 엑추에이터(A)에 의해 승강되어 리드(L) 또는 프레임(P)을 가압하는 밀착펀치(320)를 포함한다.
테이프밀착부(300)는 리드(L)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1테이프부착부(200a)의 후측에 구비되는 제1테이프밀착부(300a)와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제2테이프부착부(200b)의 후측에 구비되는 제2테이프밀착부(300b)로 이루어진다.
실드형성부(400)는 리드(L)와 프레임(P)을 결합하여 실드(S)를 형성하는 것으로, 절연테이프(T)가 부착된 리드(L)에 프레임(P)을 결합한다. 이때, 재료정렬부(500)에 의해 리드(L)와 프레임(P)을 상호 동일선상으로 일치시키고, 상호 인접하게 이송시킨다.
재료정렬부(500)는 실드형성부(400)에서 리드(L)와 프레임(P)을 결합하기 위해 리드(L)와 프레임(P)을 상호 일치시키는 것으로서, 도 12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와 프레임(P)이 인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브라켓(510)과, 안내브라켓(510)에 의해 상호 인접한 리드(L)와 프레임(P)이 안착되는 안착지그(520)와 안착지그(520)에 안착되는 리드(L)와 프레임(P)을 일치시켜 안착지그(520)에 고정하는 고정부(530) 및 안착지그(520)를 수평이동시키는 가이드부(5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정렬부(500)는 각 개소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리드(L)와 프레임(P)을 일치시켜 한 피치씩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테이프부착부(200)와 실드형성부(400) 사이에 구비되고, 후술되는 실드검사부(700) 후측에 구비되어 리드(L)와 프레임(P)을 이송한다.
안내브라켓(510)에는 각각 안내되는 리드(L)와 프레임(P)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센서(512)가 구비된다. 안착지그(520)는 안내브라켓(510)에 의해 안내되는 리드(L)와 프레임(P)이 각각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에 진입된 리드(L)와 프레임(P)은 고정부(530)에 의해 안착지그(520)에 고정되어 가이드부(54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리드(L)와 프레임(P)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센싱홀(H)이 구비되고, 고정부(530)는 센싱홀(H)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고정핀의 삽입은 엑추에이터(A)의 구동에 의해 승강됨으로써 가능하다.
실드형성부(400)는 도 14 또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L)가 진입되는 상부프레스홀(412)과 프레임(P)이 진입되는 하부프레스홀(414)이 구비되는 재료지지다이(410) 및 하부프레스홀(414)의 프레임(P)을 리드(L)측으로 가압하고 프레임(P)의 지지단을 절단하는 가압펀치(420)를 포함한다. 가압펀치(420)에는 리드(L)와 프레임(P)의 센싱홀(H)에 삽입되는 정렬핀(425)이 구비되고, 재료지지다이(410)에는 정렬핀(425)이 삽입되는 수용홀부(415)가 형성된다. 정렬핀(425)에 의해 리드(L)와 프레임(P)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가압펀치(420)의 가압에 의해 리드(L)와 프레임(P)이 조립되는 것이다.
가압펀치(420)에 의해 리드(L)에 프레임(P)이 결합되어 실드(S)가 형성된다. 이때, 리드(L)는 평판띠 형상으로 진행되며, 지지단이 절단된 프레임(P)은 평판띠 형상의 리드(L)에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프레임(P)이 분리된 스크랩(SC)은 프레임스크랩컷팅부(600)로 이동되어 잘게 컷팅된다. 프레임스크랩컷팅부(600)는 도 16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SC)의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부(610)와, 쿠션부(610)로 승강되는 커터(620)로 이루어진다. 커터(620)는 엑추에이터(A)에 의해 승강되어 스크랩(SC)을 컷팅하고 잘게 컷팅된 스크랩(SC)은 배출가이드(630)를 따라 이송된다.
실드검사부(700)는 실드형성부(400)에서 형성된 실드(S)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실드(S)에 부착된 절연테이프(T)의 불량여부를 파악하는 비젼검사부(710) 및 실드(S)의 조립불량여부를 파악하는 조립상태검사부(720)를 포함한다. 절연테이프(T)의 불량여부를 파악하는 검사는 평판띠 형상의 리드(L)에 프레임(P)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조립불량여부를 파악하는 검사는 리드(L)의 지지단까지 분리되어 개별로 나뉘어진 실드(S)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비젼검사부(710)와 조립상태검사부(720) 사이에는 평판띠 형상의 리드(L)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실드(S)를 스크랩(SC)과 분리하는 리드컷팅부(800)가 구비된다. 리드컷팅부(8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띠 형상의 실드(S)를 안내하는 실드안내부(810) 및 실드안내부(810)에 실드(S)를 고정함과 동시에 리드(L)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스크랩(SC)과 실드(S)를 분리하는 분리펀치(820)를 포함한다.
분리펀치(820) 또한 엑추에이터(A)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어 리드(L)의 지지단이 분리되며, 스크랩(SC)과 분리된 실드(S)는 실드안내부(810)의 하부로 배출된다.
비젼검사부(710)는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S)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712)와 안내가이드(712)의 둘레면을 감싸는 함체(714) 및 함체(714)내에 구비되어 실드(S)를 촬영하는 촬영부(716)를 포함한다. 안내가이드(712)와 함체(714) 내부는 흑착색되어 촬영부(716)의 촬영 시 광반사가 최소화된다. 그리고, 실드(S)에 부착된 절연테이프(T)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상태검사부(720)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실드(S)의 조립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실드(S)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조립불량을 검사한다. 즉,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드(S)의 높이가 기준치와 다르므로 이를 분류할 수 있다.
조립상태검사부(720)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컷팅부(800)에 의해 분리된 실드(S)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밸트(722)와, 컨베이어밸트(722)의 단부에 구비되어 실드(S)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패널(724)과 슬라이드패널(724)에 구비되어 실드(S)의 높이에 따라 접촉되는 검사터널(726) 및 슬라이드패널(724) 상에 구비되어 검사터널(726)에 실드(S) 걸림 시 하강되어 실드(S)의 이동경로를 전환하는 전환패널(728)을 포함한다.
슬라이드패널(724)의 상부에 구비되는 검사터널(726)은 실드(S)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정확하게 조립이 된 실드(S)는 검사터널(726)을 통과하여 배출되고, 조립불량인 실드(S)는 검사터널(726)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패널(724)과 동일선상을 이루던 전환패널(728)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조립불량인 실드(S)는 전환패널(728)이 개방한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분류된다.
그리고, 리드컷팅부(800)에 의해 실드(S)가 분리된 스크랩(SC)은 리드스크랩컷팅부(900)에 의해 잘게 컷팅된다. 리드스크랩컷팅부(900)는 쿠션부(910)와, 커터(920), 배출가이드(93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프레임스크랩컷팅부(60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S) 제조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S) 제조방법은 리드(L)와 프레임(P)을 공급하는 단계(S100)와, 리드(L)에 절연테이프(T)를 공급하는 부착단계(S200)와, 리드(L)와 프레임(P)을 결합하여 실드(S)를 형성하는 단계(S300)와, 실드(S)의 프레임(P)측에 절연테이프(T)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S400) 및 실드(S)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리드(L)와 프레임(P)은 평판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1,2보빈(110,120)에 권취되어 나란하게 공급되며, 절연테이프(T)는 띠 형상으로 테이프보빈(212)에 권취되어 리드(L)와 프레임(P)의 직각방향으로 공급된다.
리드(L)에 절연테이프(T)가 제1테이프부착부(200a)에 의해 부착된다(S200).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공급부(210)에 의해 공급되는데, 테이프보빈(212)에서 공급되는 절연테이프(T)는 이형지가 이형지회수보빈(214)에 의해 회수되며, 테이프피더부(220)에 의해 한 피치씩 이동된다(S210). 즉, 파지부재(222)가 절연테이프(T)를 파지하고, 이송작동부(225)의 이동에 의해 한 피치씩 이송되어 리드(L)의 하부에 공급된다.
이때, 프레임(P)은 제1테이프부착부(200a)의 하부로 진행중이며, 리드(L)와 절연테이프(T)는 다이(252)를 사이에 두고 위치된 상태이다.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 의해 리드(L)에 내면에 부착된다(S220).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A)의 작동에 의해 부착펀치(254)가 상승하면, 다이(252)와의 접촉에 의해 부착부위만큼 절연테이프(T)를 절단하고(S222), 부착펀치(254)가 리드(L)의 내면에 닿으면서 절연테이프(T)를 부착한다.(S226)
이때, 부착펀치(254)에 의해 절단된 절연테이프(T)는 흡착부(255)에 의해 부착펀치(254)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S224).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펀치(254)의 진공흡착홀부(256)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절개된 절연테이프(T)가 부착펀치(254)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어 리드(L)의 부착부위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리드(L)에 절연테이프(T)가 부착되면, 재료정렬부(500)에 의해 리드(L)와 프레임(P)이 한 피치씩 이동된다.
이때, 절연테이프(T)의 부착 시 절개된 부위를 제외한 절연테이프(T)는 다이(252)에 부착되게 되는데, 이는 장력부여부(230)에 의해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이(252)의 저면에는 함몰홈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방지부(253)가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절연테이프(T)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장력부여부(23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펀치(254)의 가압에 의해 절연테이프(T)가 절개됨과 동시에 절개부위를 제외한 외측부위는 다이(252)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절연테이프(T)를 파지한 파지부재(222)가 승강작동부(232)의 작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고, 파지부재(222) 중 일측의 파지부재(222)가 수평이동되면서 절연테이프(T)를 다이(252)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파지부재(222)는 이송작동부(225)에 의해 절연테이프(T)의 진행방향으로 한 피치씩 이동시킨다. 또한, 부착부위가 절개된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회수보빈(216)에 권취되어 회수된다.
절연테이프(T)가 부착된 리드(L)는 재료정렬부(500)에 의해 한 피치씩 이동되고, 테이프밀착부(300)에 전달되어 절연테이프(T)를 리드(L)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S230). 즉, 절연테이프(T)가 부착된 리드(L)는 지지플레이트(310)에 지지되고,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착펀치(320)가 가압하여 절연테이프(T)를 견고히 부착시키게 된다.
리드(L)와 프레임(P)에는 센싱홀(H)이 형성되어 재료정렬부(500)의 고정핀이 센싱홀(H)에 삽입되어 이동시킴으로써, 한꺼번에 한 피치씩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상호 인접하게 이동된다.
이후, 리드(L)와 프레임(P)을 결합하여 실드(S)를 형성한다(S300). 리드(L)와 프레임(P)은 상하로 인접하게 이동되어 실드형성부(400)에서 상호 결합된다. 리드(L)와 프레임(P)은 재료지지다이(410)에 고정된다. 즉, 리드(L)는 상부프레스홀(412)에 진입되고, 프레임(P)은 하부프레스홀(414)에 진입되며, 가압펀치(420)가 프레임(P)을 리드(L)측으로 가압하여 리드(L)에 프레임(P)을 결합한다(S300). 이때, 가압펀치(420)에는 정렬핀(425)이 형성되어 정렬핀(425)이 리드(L)와 프레임(P)의 센싱홀(H)에 삽입되면서 리드(L)와 프레임(P)을 동일선상으로 유지시킴으로 정확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프레임(P)의 지지단은 가압펀치(420)에 의해 절단되며, 평판띠 형상의 리드(L)에 프레임(P)이 결합되므로, 평판띠 형상의 실드(S)가 형성되는 것이다.
프레임(P)이 분리된 스크랩(SC)은 프레임스크랩컷팅부(600)로 이동되어 잘게 컷팅된다. 스크랩(SC)은 쿠션부(610)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하는 커터(620)에 접촉되어 컷팅되며, 배출가이드(6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실드(S)의 프레임(P)측에 절연테이프(T)를 공급하여 부착한다(S400). 평판띠 형상의 리드(L)에 프레임(P)이 부착된 상태로 실드(S)가 형성된 후,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를 부착하는 것으로서, 절연테이프(T)는 제2테이프부착부(200b)에 의해 부착된다. 즉, 절연테이프(T)는 테이프공급부(210)에 의해 공급되고(S410), 테이프부착작동부(250)에 의해 절연테이프(T)를 부착펀치(254)에 의해 부착한다(S420). 이는 부착펀치(254에 의해 절연테이프(T)가 절단되고(S422), 흡착부(255)에 의해 흡착되며(S424), 부착펀치(254)와 프레임(P)의 접촉에 의해 부착된다(S426). 제2테이프부착부(200b)의 구성은 제1테이프부착부(200a)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제2테이프부착부(200b)에 의해 절연테이프(T)가 프레임(P)에 부착되면, 제2테이프부착부(200b)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2테이프밀착부(300b)에 의해 프레임(P)에 부착된 절연테이프(T)를 밀착시킨다(S430).
상기한 바와 같이 실드(S) 상태에서 프레임(P)에 절연테이프(T)가 부착된 후에는 실드(S)의 불량여부를 검사한다(S500). 실드(S)의 불량여부 검사는 실드(S)에 절연테이프(T)의 불량여부 검사와, 실드(S)의 조립상태 불량유무를 검사한다.
우선, 절연테이프(T)의 불량여부 검사는 비젼검사부(710)에 의해 수행된다(S510). 비젼검사부(710)에서 수행되는 절연테이프(T) 불량여부 검사는 평판띠 형상의 실드(S) 상태로 수행된다. 즉, 평판띠 형상의 실드(S)는 안내가이드(712)에 의해 안내되어 함체(714) 내부로 진행되고, 함체(714) 내부에 구비되는 촬영부(716)에 의해 촬영되어 절연테이프(T)의 불량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안내가이드(712)와 함체(714) 내부는 흑착색되어 촬영부(716)의 촬영 시 광반사를 최소화하여 실드(S)에 부착된 절연테이프(T)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S510).
그리고, 실드(S)의 조립상태 불량여부 검사는 조립상태검사부(720)에 의해 수행된다(S530). 이는 실드(S)의 높이차를 이용하여 조립불량을 검사하는 것이다. 즉, 리드(L)와 프레임(P)의 조립이 불량하면, 실드(S)의 기준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이를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상태 불량여부 검사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실드(S) 상태에서 수행된다.
즉, 평판띠 형상의 리드(L)의 지지단이 리드컷팅부(800)에 의해 절단되어(S520) 개별적으로 분리된 실드(S)가 컨베이어밸트(722)를 따라 이송되고, 컨베이어밸트(722)의 단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패널(724)을 따라 슬라이드 낙하되고, 검사터널(726)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실드(S)의 조립이 정상일 경우에는 검사터널(726)을 통과하게 되고, 실드(S)의 조립이 불량일 경우에는 실드(S)가 기준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검사터널(726)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전환패널(728)이 하부로 이동되면서 조립불량인 실드(S)는 전환패널(728)이 개방한 공간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정상인 실드(S)와 분류된다.
그리고, 리드컷팅부(800)에 의해 실드(S)가 분리된 스크랩(SC)은 리드스크랩컷팅부(900)에 의해 잘게 컷팅되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리드와 프레임 각각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고, 조립하는 공정을 동시에 자동화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드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실드제조장치 L : 리드
P : 프레임 S : 실드
T : 절연스티커 M : 구동모터
A : 액추에이터 H : 센싱홀
SC : 스크랩 100 : 재료공급부
110 : 제1보빈 120 : 제2보빈
200 : 테이프부착부 200a : 제1테이프부착부
200b : 제2테이프부착부 210 : 테이프공급부
212 : 테이프보빈 214 : 이형지보빈
216 : 테이프회수보빈 220 : 스티커피더부
222 : 파지부재 225 : 이송작동부
226 : 레일가이드 227 : 이송프레임
228 : 가이드롤러 230 : 장력부여부
232 : 승강작동부 234 : 수평이동작동부
250 : 테이프부착작동부 252 : 다이
253 : 부착방지부 254 : 부착펀치
255 : 흡착부 256 : 진공흡착홀부
257 : 진공펌퍼 300 : 테이프밀착부
300a: 제1테이프밀착부 300b: 제2테이프밀착부
310 : 지지플레이트 320 : 밀착펀치
400 : 실드형성부 410 : 재료지지다이
412 : 상부프레스홀 414 : 하부프레스홀
415 : 수용홀부 420 : 가압펀치
425 : 정렬핀 500 : 재료정렬부
510 : 안내브라켓 512 : 유무센서
520 : 안착지그 530 : 고정부
540 : 가이드부 600 : 프레임스크랩컷팅부
610 : 쿠션부 620 : 커터
630 : 배출가이드 700 : 실드검사부
710 : 비젼검사부 712 : 안내가이드
714 : 함체 716 : 촬영부
720 : 조립상태검사부 722 : 컨베이어밸트
724 : 슬라이드패널 726 : 검사터널
728 : 전환패널 800 : 리드컷팅부
800 : 실드안내부 820 : 분리펀치
900 : 리드스크랩컷팅부 910 : 쿠션부
920 : 커터 930 : 배출가이드

Claims (29)

  1. 리드와 프레임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부;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테이프부착부;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여 실드를 형성하는 실드형성부; 및
    상기 실드형성부에서 형성된 상기 실드를 검사하는 실드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부착부는 상기 실드형성부 전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에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제1테이프부착부; 및
    상기 실드형성부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에 결합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제2테이프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과 상기 프레임은 연속 반복하여 프레싱 성형된 평판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공급부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리드를 공급하기 위한 제1보빈; 및
    상기 제1보빈과 이격 배치되며, 평판띠 형상의 상기 프레임을 공급하기 위한 제2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부착부는,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될 상기 절연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공급부; 및
    상기 테이프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부위와 대응되게 절단하고, 파지하여,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테이프부착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공급부는 상기 절연테이프가 권취되고, 상기 절연테이프를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보빈;
    상기 테이프보빈에서 공급되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이형지를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보빈; 및
    상기 절연테이프를 파지하여 한 피치씩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에 이송하는 테이프피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피더부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 및
    상기 파지부재를 상기 절연테이프의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피더부는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에 의한 상기 절연테이프 부착 후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부위를 제외한 상기 절연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부는 상기 파지부재를 상기 이송작동부로부터 승강시키는 승강작동부; 및
    상기 파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송작동부로부터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부착작동부는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절연테이프 사이에 구비되는 다이;
    상기 다이를 관통하여 상기 절연테이프를 부착부위만큼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상기 절연테이프를 파지하여 상기 리드 또는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부착펀치; 및
    상기 부착펀치와 상기 다이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절연테이프가 상기 부착펀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부착펀치에 형성되는 진공흡착홀부; 및
    상기 진공흡착홀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에는 상기 부착펀치의 펀칭 후 상기 다이에 부착되는 상기 절연테이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부착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형성부로 이송되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상호 동일선상으로 일치시키고, 상호 인접하게 이송시키는 재료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정렬부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이 인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브라켓;
    상기 안내브라켓에 의해 상호 인접한 리드와 상기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지그;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되는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일치시켜 상기 안착지그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안착지그를 수평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센싱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센싱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이 상기 센싱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지그에 구비되어 고정홀을 포함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형성부는,
    상기 리드가 진입되는 상측프레스홀과 상기 프레임이 진입되는 하부프레스홀이 구비되는 재료지지다이; 및
    상기 하부프레스홀의 상기 프레임을 상기 리드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프레임의 지지단을 절단하는 가압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형성부의 후측에는 상기 프레임이 분리된 스크랩을 절단하는 프레임스크랩컷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검사부는,
    상기 실드에 부착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여부를 파악하는 비젼검사부; 및
    상기 실드의 조립불량여부를 파악하는 조립상태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검사부와 상기 조립상태검사부 사이에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리드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상기 실드를 스크랩과 분리하는 리드컷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컷팅부는 평판띠 형상의 상기 실드를 안내하는 실드안내부; 및
    상기 실드안내부에 상기 실드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의 지지단을 절단하여 상기 스크랩과 상기 실드를 분리하는 분리펀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검사부는 상기 실드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
    상기 안내가이드의 둘레면을 감싸는 함체; 및
    상기 함체내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상태검사부는 상기 리드컷팅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실드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밸트;
    상기 컨베이어밸트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패널;
    상기 슬라이드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실드의 높이에 따라 접촉되는 검사터널; 및
    상기 슬라이드패널 상에 구비되어 상기 검사터널에 실드 걸림 시 하강되어 상기 실드의 이동경로를 전환하는 전환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컷팅부의 후측에는 상기 리드컷팅부에 의해 상기 실드가 분리된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리브스크랩컷팅부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23. (a) 리드와 프레임을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
    (b) 상기 리드에 절연테이프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을 결합하여 실드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실드의 상기 프레임측에 절연테이프를 공급하여 부착하는 단계; 및
    (e) 상기 실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은 평판띠 형상으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되어 나란하게 공급되고;
    상기 절연테이프는 띠 형상으로 보빈에 권취되어 상기 리드와 상기 프레임의 직각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절연테이프는 부착펀치에 의해 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부착펀치에 진공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실드에 부착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평판띠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검사되고;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검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테이프의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가 함체 내로 순차적으로 진입되고, 촬영부의 촬영에 의해 상기 절연테이프의 부착불량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의 조립상태 불량유무 검사는 상기 실드의 높이차를 판별하여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방법.
KR1020130044214A 2013-04-22 2013-04-22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14A KR101463595B1 (ko) 2013-04-22 2013-04-22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214A KR101463595B1 (ko) 2013-04-22 2013-04-22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02A KR20140126102A (ko) 2014-10-30
KR101463595B1 true KR101463595B1 (ko) 2014-11-20

Family

ID=5199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214A KR101463595B1 (ko) 2013-04-22 2013-04-22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20B1 (ko) * 2017-12-21 2019-02-26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쉴드캔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7402B (zh) * 2018-08-21 2023-12-26 东莞市爱康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装设备
KR102354323B1 (ko) * 2020-07-16 2022-01-20 김규철 지지테이프 부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972A (ja) * 1998-03-16 1999-09-28 Oki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のテープ貼り装置
KR20000042743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이방성 전도필름의 가압착방법 및 그 장치와 자동운전제어방법
KR100456126B1 (ko) 2002-12-18 2004-11-08 정태열 아이씨소자용 실드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486768B1 (ko) 2002-12-23 2005-05-03 정태열 회로기판의 아이씨소자용 실드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5972A (ja) * 1998-03-16 1999-09-28 Oki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のテープ貼り装置
KR20000042743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이방성 전도필름의 가압착방법 및 그 장치와 자동운전제어방법
KR100456126B1 (ko) 2002-12-18 2004-11-08 정태열 아이씨소자용 실드 조립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486768B1 (ko) 2002-12-23 2005-05-03 정태열 회로기판의 아이씨소자용 실드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20B1 (ko) * 2017-12-21 2019-02-26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쉴드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102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8716B2 (ja) 電子タグ切断装置
KR101766511B1 (ko) 창호용 프로파일 자동 절단장치
KR101491703B1 (ko)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KR101463595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301626A (ja) 搬送穴あけ装置
KR101563286B1 (ko) 열차단부재 자동용접장치
KR101463596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US4877174A (en) Tab device excise and lead form apparatus
TW201622606A (zh) 拉鏈用拉頭的加壓裝置
KR20190011973A (ko) 리드 프레임 자동 검사 시스템
KR101923026B1 (ko) 진단 키트용 스트립 연속절단장치
KR101157431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자동 편집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016969B1 (ko) Lcm 공정의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 시스템
JP5555219B2 (ja) 平盤打抜き装置
KR101109513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자동 편집장치
KR1015025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정렬장치
KR101514961B1 (ko) 무선키 제조장치
KR101516333B1 (ko) Tco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330139B2 (ja) タイヤ材料のジョイント装置およびタイヤ材料の作製方法
CN112171771A (zh) 内层电路板冲孔机的全自动冲孔方法
KR102023984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자동 편집장치
KR101468820B1 (ko) 보강재 펀칭 장치
KR20160131424A (ko) 진단 키트용 케이스 정렬장치
CN215882927U (zh) 一种自动贴合ccm类硅胶产品的装置
KR102113688B1 (ko) 커넥터 보강판 커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