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61B1 - 무선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61B1
KR101514961B1 KR1020130067431A KR20130067431A KR101514961B1 KR 101514961 B1 KR101514961 B1 KR 101514961B1 KR 1020130067431 A KR1020130067431 A KR 1020130067431A KR 20130067431 A KR20130067431 A KR 20130067431A KR 101514961 B1 KR101514961 B1 KR 10151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release
coupled
unit
batte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035A (ko
Inventor
배방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filed Critical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to KR102013006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6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5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key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는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과,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무선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을 조립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와, 상기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에서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이 조립된 상부하우징을 공급받아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조립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와, 상기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와 상기 버튼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태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왕복시키는 제2구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터리 커넥터가 끼워진 무선키의 하부하우징이 놓여지는 한 쌍의 제3안착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상기 하부하우징에 압입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안착부는 상기 제2가압부의 아래쪽에서 왕복하고, 상기 제2가압부는 배터리 커넥터를 교대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키 제조장치{ASSEMBLING DEVICE OF REMOTE KEY}
본 발명은 무선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무선키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결합해서 제조하는데, 상기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release knob) 등이 장착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상기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압입하는 버튼 조립장치, 상기 하부하우징에 배터리 커넥터를 압입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 및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를 포함하는 무선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키(Key)를 이용해 도어 및 트렁크를 개폐하고, 시동을 걸어 운행하게 된다.
최근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무선키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키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시동 및 경적 등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각 기능들을 작동하기 위한 버튼들 및 배터리 커넥터 등의 부품이 내부에 장착되고, 엠블럼 등이 외부에 부착된다. 종래의 키에 비해서 다양한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여러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키의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폴딩되는 금속키는 릴리즈노브를 이용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며, 상기 릴리즈노브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을 가지는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에 결합되는 릴리즈캡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릴리즈노브는 누르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부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키에 내장되는 회로와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는 무선키의 하부하우징에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키를 제조장치는 작업자가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였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하부하우징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였다. 따라서 생산성이 향상에 한계가 있었고, 균일한 압력으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서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육안으로 검사하여 불량을 수거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하고자 한다.
둘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부품을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셋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의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제품을 선별하고자 한다.
넷째, 생산원가를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을 조립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하부하우징에 배터리 커넥터를 조립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에 있어서,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안착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제1안착부에 상부하우징을 공급하는 상부하우징 공급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스프링의 상측에 릴리즈캡을 공급한 후에 릴리즈캡을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부하우징에 조립된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이 조립된 상부하우징을 제1안착부에서 취출한 후에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취출분류부; 및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취출분류부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에 있어서,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이 놓여지는 제2안착부;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에 결합되어 버튼을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에 있어서,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부; 이동부를 왕복시키는 제2구동부;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터리 커넥터가 끼워진 무선키의 하부하우징이 놓여지는 한 쌍의 제3안착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결합되어 배터리 커넥터를 하부하우징에 압입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되, 제3안착부는 제2가압부의 아래쪽에서 왕복하고, 제2가압부는 배터리 커넥터를 교대로 압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에 있어서, 비전검사장치는, 검사대상인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이 안착되어 순환하는 이송부가 설치된 테이블;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을 가압하는 제3가압부; 테이블에 결합되어 검사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테이블에 결합되어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촬영된 기본이미지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처리부; 및 테이블에 결합되어 영상처리부에 의해 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조립장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버튼 조립장치,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 및 비전검사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부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다.
둘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부품을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의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제품을 선별할 수 있다.
넷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급부에서 안착부로 상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릴리즈노브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프링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릴리즈캡 조립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릴리즈캡이 상부하우징에 압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의 검사부 중 조립검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검사부 중 텐션검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취출분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배출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의 버튼 조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부분확대 작동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의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부분확대 사시도 이다.
도 22는 도 18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의 비전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비전검사장치로 상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을 검사하는 경우의 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비전검사장치로 하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을 검사하는 경우의 가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차량용 무선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 버튼 조립장치(200),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 및 비전검사장치(400)를 포함하는 무선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는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을 조립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 상기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200); 하부하우징에 배터리 커넥터를 조립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선키 제조공정은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순으로 조립한 후, 가조립된 버튼을 압입하고, 키패드 및 PCB프레임을 조립 후 압입하여 비전검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하부하우징에 배터리 커넥터를 압입한 후, 엠블럼을 부착하고 압입하여 비전검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키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각각의 제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는 차량용 무선키의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폴딩되는 금속키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는 릴리즈노브(50)를 상기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0)에 조립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에 관한 것이다(도 27 참조).
상부하우징(10)은 릴리즈노브(50)가 장착되는 릴리즈노브 장착부(12) 및 릴리즈캡(70)이 장착되는 릴리즈캡 장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12)에 릴리즈노브(50)를 삽입한 후에 스프링(60)을 사이에 두고 릴리즈캡(70)을 결합하여 조립된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릴리즈캡(70) 순서로 공급되어 조립되며, 상기 릴리즈노브(50)에는 스프링(60)이 삽입되는 스프링 장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캡(70)에도 스프링(60)이 삽입되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된다.
도 1은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는 회전테이블(120)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안착부(13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안착부(130)에 상부하우징(10)을 공급하는 상부하우징 공급부(14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를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15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50)의 상측에 스프링(60)을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16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60)의 상측에 릴리즈캡(70)을 공급한 후에 상기 릴리즈캡(7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17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조립된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180);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을 상기 제1안착부(130)에서 취출한 후에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취출분류부(19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취출분류부(190)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배출하는 배출부(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기 회전테이블(120), 상부하우징 공급부(140), 릴리즈노브 공급부(150), 스프링 공급부(160), 릴리즈캡 조립부(170), 검사부(180), 취출분류부(190) 및 배출부(1000)가 결합되는 기본 골격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 공급부(140), 릴리즈노브 공급부(150), 스프링 공급부(160), 릴리즈캡 조립부(170), 검사부(180), 취출분류부(190) 및 배출부(10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테이블(120)의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안착부(130)는, 상부에 상부하우징(10)이 안착되는 제1안착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13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검사공(136) 및 취출공(1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부(130)에 안착된 상부하우징(10)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부(13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안착부(130)는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을 조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판 형상의 작업대로서,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안착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이하, ‘조립품’이라 한다.)은 상기 검사공(136)을 통해 조립상태를 검사하고, 상기 취출공(134)을 통해 상기 제1안착홈(132)에서 취출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탈방지부(138)는 이탈방지 구동부(112)로 작동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138)는 상기 제1안착홈(132)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 구동부(112)가 상기 이탈방지부(138)의 하부를 밀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140)는, 상부하우징(1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42); 및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상기 제1안착부(130)에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로봇(1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42)는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14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42)를 따라 상부하우징(10)이 이송되고,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로봇이(144)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집어서 이동해 상기 제1안착홈(132)에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안착한다.
이때, 상기 제1안착홈(132)의 일부를 덮고 있는 이탈방지부(138)는 열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이 상기 제1안착홈(132)에 안착된 후에 상기 이탈방지부(138)는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일부를 덮어 상기 제1안착홈(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15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노브 공급피더(152); 및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152)로부터 공급된 릴리즈노브(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안착시키는 릴리즈노브 공급로봇(154);을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152)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릴리즈노브(50)를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15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로봇(154)은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152)에서 공급된 릴리즈노브(50)를 회전암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된 릴리즈노브 장착부(12)의 위로 이동 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릴리즈노브(50)를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12)에 공급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공급부(16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스프링 공급피더(162); 및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162)로부터 공급된 스프링(6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안착된 릴리즈노브(50)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스프링 공급로봇(164);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162)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스프링(60)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스프링 공급부(16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 공급로봇(164)은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162)에서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스프링(60)을 유도관을 통하여 하나씩 낙하시켜 상기 릴리즈노브(50)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52)에 공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17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캡 공급피더(172); 및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172)로부터 공급된 릴리즈캡(70)을 상기 스프링(60)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로봇(174);을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172)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릴리즈캡(70)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17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릴리즈캡 조립로봇(174)은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172)로부터 공급된 릴리즈캡(70)을 집어서 상기 릴리즈노브(50)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14) 위로 이동한 후 상기 릴리즈캡(70)을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14)에 압입하게 된다.
상기 검사부(180)는,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상기 릴리즈캡(70)이 압입되었는지 검사하는 조립검사부(182); 및 상기 릴리즈캡(70)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조립된 릴리즈노브(50)의 텐션을 검사하는 텐션검사부(184);를 포함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조립검사부(182)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조립검사부(182)는 상기 이탈방지부(138)를 눌러서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봉을 상승시켜 상기 검사공(136)을 통해 릴리즈노브(50)를 누르게 되므로, 상기 조립품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텐션검사부(184)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텐션검사부(184)는 상기 릴리즈캡(70) 상측을 눌러서 고정한 상태에서 검사봉을 상승시켜 상기 검사공(136)을 통해 릴리즈노브(50)를 누르게 되므로, 상기 릴리즈노브(50)를 눌렀을 때의 텐션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취출분류부(190)는, 상기 제1안착부(130)에 안착된 상부하우징(10)을 취출하는 취출로봇(192); 및 상기 취출로봇(192)이 취출한 상부하우징(10)을 상기 검사부(180)의 검사결과에 따라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분류로봇(194);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취출로봇(192)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탈방지부(138)가 상기 조립품의 일부를 덮고 있던 상태가 이탈방지 구동부(112)에 의해 해제되고, 상기 취출로봇(192)은 상기 조립품을 집어서 상기 분류로봇(194)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분류로봇(194)에 상기 조립품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취출로봇(192)이 상기 조립품을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제1안착부(130)에 형성된 취출공(134)을 통해 취출봉을 상승시켜서 상기 조립품을 밀어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분류로봇(194)은 회전하는 판을 이용해 상기 취출로봇(192)이 취출한 상기 조립품을 상기 배출부(1000)로 배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000)는, 정상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200); 및 불량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1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200) 및 제3컨베이어(1400)는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품을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1200) 및 제3컨베이어(1400)는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취출분류부(190) 및 배출부(10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검사부(180)를 통과한 조립품은 일단 상기 취출로봇(192)에 의해 상기 배출부(100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180)의 결과에 따라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다고 판단된 조립품은 상기 제2컨베이어(1200)로 배출되고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다고 판단되지 아니한 조립품은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류로봇(194)은 상기 제2컨베이어(1200)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품이 정상인 경우 윗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180도 회전하여 상기 조립품을 상기 제2컨베이어(1200)로 배출한다. 그러나 상기 조립품이 불량인 경우 상기 분류로봇(194)은 상기 제3컨베이어(1400) 쪽으로 이동한 후에 180도 회전하여 상기 조립품을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하며,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된 조립품은 불량수거함(1420)에 모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릴리즈노브 조립장치(100)는 상부하우징 공급부(140)와 릴리즈노브 공급부(150) 사이에 상부하우징(10)이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상부하우징 검사부, 릴리즈노브 공급부(150)와 스프링 공급부(160) 사이에 릴리즈노브(50)가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릴리즈노브 검사부, 스프링 공급부(160)와 릴리즈캡 조립부(170) 사이에 스프링(60)이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스프링 검사부를 더 포함하여 불량 조립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버튼 조립장치(200)
버튼 조립장치(200)는 차량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0)에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및 시동 등에 사용되는 버튼(40)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버튼(40)은 상기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된 장착부에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조립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200)는 메인프레임(210),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40)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0)이 놓여지는 제2안착부(220),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230) 및 상기 제1지지부(230)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4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하는 제1가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제2안착부(220) 및 제1지지부(230)가 설치되는 버튼 조립장치(200)의 기본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220)는 버튼(40)이 가조립된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0)이 놓여지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안착부(2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이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측과 정합되는 형태의 돌출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220)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30)는 상기 제2안착부(220)의 상측에 상기 제1가압부(2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가압부(240)는 상기 제2안착부(220)의 상측에 위치하여 버튼(40)을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지지부(230)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압부(240)를 지지하며, 상기 제2안착부(220)를 기준으로 전방에 작업자가 위치하고 후방에 제1지지부(23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가압부(240)는, 상기 제1지지부(230)에 결합되는 제1구동부(242), 상기 제1구동부(242)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제1연결부(244) 및 상기 제1연결부(244)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40)을 압입하는 제1압입부(246)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242)는 상기 제1연결부(244) 및 제1압입부(246)를 상하로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왕복운동에 사용되는 모터,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작업환경을 고려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제1구동부(242)의 하부는 상기 제1압입부(246)의 상부와 제1연결부(24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압입부(246)는 상부하우징(10)에 가조립된 버튼(40)을 압입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244)와 제1압입부(246)는 일체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압입부(246)는 상기 제1연결부(244)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버튼(40)을 압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부(240)는, 상기 제1연결부(244)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압입부(246)가 상기 버튼(40)을 압입할 때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핀(2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버튼(40)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0)은 상기 버튼(40)이 위로 향하도록 상기 돌출부(222)에 안착되고 상기 제1압입부(246)가 상기 버튼(40)을 누를 때, 상기 가이드핀(248)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을 두 지점 이상 눌러 고정하므로 정확하게 상기 버튼(4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 조립장치(200)는 작업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부(250)는 작업자와 제2안착부(220) 사이의 메인프레임(2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감지부(250)에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가압부(240)의 구동이 정지되고 작업자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가압부(240)의 구동이 계속되므로, 상기 제1가압부(240)와 제2안착부(220) 사이에 작업자의 손 등이 끼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조립장치(200)는 제2안착부(220)에 상부하우징(10)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감지부(260)는 상부하우징(10)의 옆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안착부(22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감지부(260)에 상기 상부하우징(10)이 감지되면 제1가압부(240)의 구동이 계속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가압부(240)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제2안착부(220)에 안착시킨 경우에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부(260)는 상기 제2안착부(220)에 안착되는 상부하우징(10)의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감지된 높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240)가 상기 버튼(40)을 압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200)는 상기 제2안착부(220) 및 제1가압부(240)를 2개 구비하여 상기 제1가압부(240)가 상기 버튼(40)을 교대로 압입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하나의 제2안착부(220)에 버튼(40)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0)을 안착시킨 후 다른 하나의 제2안착부(220)에 버튼(40)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0)을 안착시키는 동안 먼저 안착된 쪽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200)의 작업공정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부하우징(10)의 장착부에 버튼(40)을 삽입하는 가조립을 한다. 그 다음 상기 버튼(40)이 가조립된 상부하우징(10)을 상기 버튼(40)이 위로 오도록 제2안착부(220)에 안착시키고, 제1감지부(250) 및 제2감지부(260)의 감지결과 이상이 없으면 제1가압부(240)로 버튼(4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248)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을 고정하므로 정확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립장치(200)는 상부하우징(10)에 버튼(40)을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고, 버튼(40)을 상부하우징(10)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는 차량 무선키에 내장되는 회로와 상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연결하는 배터리 커넥터(80)를 상기 하부하우징(20)에 조립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에 관한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조립장치는 가이드레일(312)이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310),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부(320), 상기 이동부(320)를 왕복시키는 제2구동부(330), 상기 이동부(3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터리 커넥터(80)가 끼워진 무선키의 하부하우징(20)이 놓여지는 한 쌍의 제3안착부(34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350) 및 상기 제2지지부(350)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넥터(80)를 상기 하부하우징(20)에 압입하는 제2가압부(360)를 포함하되, 상기 제3안착부(340)는 상기 제2가압부(360)의 아래쪽에서 왕복하고, 상기 제2가압부(360)는 배터리 커넥터(80)를 교대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는 가이드레일(312), 제2구동부(330) 및 제2지지부(350)가 설치되는 배터리 조립장치의 기본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작업테이블 등에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12)에는 이동부(320)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12) 따라 왕복하게 된다. 즉, 작업자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320)는 오른쪽과 왼쪽을 왕복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구동부(33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상기 이동부(320)를 좌우로 왕복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32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제3안착부(34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제3안착부(340)는 하부하우징(20)에 형성된 장착부에 배터리 커넥터(80)가 끼워진 하부하우징(20)이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상부에는 상기 하부하우징(20)이 안착되도록 상기 하부하우징(20)의 외측과 정합되는 형태의 제2안착홈(3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3안착부(34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을 따라 왕복하면서 교대로 상기 제2가압부(36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부(350)는 상기 제3안착부(340)의 상측에 상기 제2가압부(36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2가압부(360)는 상기 제3안착부(340)의 상측에 위치하여 배터리 커넥터(80)를 가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2지지부(35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에 결합되어 상기 제2가압부(360)를 지지하며, 상기 제3안착부(340)를 기준으로 전방에 작업자가 위치하고 후방에 제2지지부(35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가압부(360)는, 상기 제2지지부(350)에 결합되는 제3구동부(362), 상기 제3구동부(362)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제2연결부(364) 및 상기 제2연결부(364)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넥터(80)를 압입하는 제2압입부(366)를 포함한다.
상기 제3구동부(362)는 상기 제2연결부(364) 및 제2압입부(366)를 상하로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3구동부(362)의 하부는 상기 제2압입부(366)의 상부와 제2연결부(36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구동부(330) 및 제3구동부(362)는 일반적으로 왕복운동에 사용되는 모터,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작업환경을 고려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제2압입부(366)는 상기 하부하우징(20)에 가조립된 배터리 커넥터(80)를 압입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364)와 제2압입부(366)는 일체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압입부(366)는 상기 제2연결부(364)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배터리 커넥터(80)를 압입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이동부(320)의 이동에 따라 변하는 압입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는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에 결합되는 제3감지부(3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320)가 상기 가이드레일(312)의 양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감지부(370)에 감지되어 상기 제2가압부(360)가 상기 배터리 커넥터(80)를 교대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가이드레일(312)의 양쪽 끝에는 제3감지부(370)가 각각 존재하고, 작업자를 기준으로 이동부(32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우측 제3감지부(370)에 감지되면 상기 이동부(320)의 이동이 멈추고 좌측 제3안착부(340)를 향해 제2가압부(360)가 작동되며, 상기 제2가압부(360)의 작동 후 상기 이동부(32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좌측 제3감지부(370)에 감지되면 상기 이동부(320)의 이동이 멈추고 우측 제3안착부(340)를 향해 상기 제2가압부(360)가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이동부(320)가 좌우를 왕복하게 되고, 작업자는 제2가압부(360)가 작동하지 않는 제3안착부(340)에 배터리 커넥터(80)가 가조립된 하부하우징(20)을 안착함으로써, 한 쌍의 제3안착부(340)에 교대로 제2가압부(360)가 압입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는 상기 제3안착부(340)에 상기 하부하우징(20)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4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감지부에 상기 하부하우징(20)이 감지되면 상기 이동부(320)가 왕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4감지부에 상기 하부하우징(20)이 감지되면 제2가압부(360)의 구동이 계속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가압부(360)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하부하우징(20)을 제3안착부(340)에 안착시킨 경우에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는 한 쌍의 제3안착부(3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작업자는 상측에 제2가압부(360)가 위치하지 않는 제3안착부(340)에 배터리 커넥터(80)가 가조립된 하부하우징(20)을 안착하는 작업을 수행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그러나 혹시 있을지 모르는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상기 제2가압부(360)의 하부에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해 상기 제2가압부(3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5감지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300)는 하부하우징(20)에 배터리 커넥터(80)를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할 수 있고, 배터리 커넥터(80)를 하부하우징(20)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비전검사장치(400)
비전검사장치(400)는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을 촬영한 이미지와 미리 촬영된 기본이미지를 비교하여 정상 또는 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비전검사장치(400)는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이 안착되어 순환하는 이송부(412)가 설치된 테이블(410);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에 조립된 부품을 가압하는 제3가압부(420);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430);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43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촬영된 기본이미지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에는 버튼(40), 키패드, PCB프레임(16) 등의 부품이 조립되고, 상기 하부하우징(20)에는 배터리 커넥터(80), 엠블럼(90) 등의 부품이 조립된다.
상기 테이블(410)은 비전검사장치(400)가 설치되는 기본구조로서 작업대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부(412)는, 상기 테이블(410) 위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레일; 상부에 상기 검사대상 안착되고 상기 이송레일에 놓여져 이동하는 안착대(416); 및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에서 상기 안착대(416)를 상기 이송레일 사이를 이동시키는 레일이동부(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412)는 직사각형의 테이블(410) 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레일을 포함하는데, 상기 이송레일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안착대(416)를 이송한다. 상기 이송레일은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대(416)는 상부에 검사대상을 안착하고 하부는 상기 이송레일에 놓여져 테이블(410) 위를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부(430)가 상기 검사대상을 아래쪽 및 옆쪽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된 중공 및 측면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이동부(414)는 상기 한 쌍의 이송레일 중 어느 한쪽을 따라 이동한 안착대(416)를 나머지 한쪽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이송레일의 양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블(410)에 설치되므로, 상기 안착대(416)는 상기 테이블(410) 위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412)는 상기 제3가압부(420) 또는 카메라부(430) 아래쪽에 상기 안착대(416)가 위치하게 되면 이송을 멈추고 상기 제3가압부(420) 또는 카메라부(430)가 가압 또는 촬영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작업이 끝나면 다시 이송을 계속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3가압부(420)는,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는 제3지지부(422); 상기 제3지지부(422)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4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4구동부(424); 상기 제4구동부(424)에 결합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제3연결부(426); 및 상기 제3연결부(426)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412)를 따라 이송되는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에 조립된 부품을 누르는 누름부(4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지지부(422)는 상기 제4구동부(424)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4구동부(424)가 상기 이송레일의 상부 즉, 상기 안착대(416)에 안착된 검사대상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4구동부(424)는 상기 제3연결부(426) 및 누름부(428)를 상하로 왕복하도록 구동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4구동부(424)의 하부는 상기 제3연결부(426)의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4구동부(424)는 일반적으로 왕복운동에 사용되는 모터,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작업환경을 고려해 에어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제3연결부(426)는 상기 제4구동부(424)와 상기 누름부(428)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4구동부(424)의 왕복운동을 상기 누름부(428)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제3연결부(426)와 누름부(428)는 필요에 따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누름부(428)는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에 조립된 부품을 누르는 부분으로서, 조립된 부품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28)는 상기 제3연결부(426)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누르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누르는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부(430)는, 상기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의 위쪽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432) 및 조명; 상기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의 아래쪽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434) 및 조명; 및 상기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의 옆쪽을 촬영하는 제3카메라(436) 및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430)는 제1카메라부터 제3카메라(432. 434, 436)까지 3개의 카메라를 배치하여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을 촬영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각각의 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4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카메라 내지 제3카메라(432. 434, 436)는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구비하여 검사대상의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미리 정상 조립된 제품을 촬영한 기본이미지와 상기 카메라부(430)가 촬영한 검사대상의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검사대상의 조립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며 불량인지를 판별하는 부분이다.
즉, 미리 입력된 기본이미지와 촬영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소정의 검사기준 이상으로 일치하면 정상적으로 조립된 제품으로 판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검사기준은 필요에 따라서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430)로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영상처리부가 판별한 결과는 상기 영상표시부(450)에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불량제품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영상표시부(450)는 경고 메세지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불량제품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불량제품임을 경고하는 별도의 경고등 또는 경고음발생장치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전검사장치(400)는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검사대상을 수거하는 수거함(460); 및 상기 수거함(460)에 설치되는 불량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처리부가 검사대상을 불량으로 판별한 경우에 상기 이송부(412) 및 제3가압부(420)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이 상기 수거함(460)에 수거되어 상기 불량감지부에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412) 및 제3가압부(420)의 작동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영상처리부가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 또는 하부하우징(20)을 불량제품으로 판별하면 상기 이송부(412) 및 제3가압부(420)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영상표시부(450), 경고등 및 경고음발생장치를 통해 작업자에게 경고하게 되며, 작업자가 상기 불량제품을 수거하여 상기 수거함(460)에 넣어서 상기 불량감지부가 상기 불량제품이 수거되었음을 감지하면 상기 이송부(412) 및 제3가압부(420)의 작동이 계속되게 된다.
이렇게 불량제품을 완전히 수거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수준 이상의 제품만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따른 비전검사장치(400)는 이송부(412)가 설치된 테이블(410), 제3가압부(420), 카메라부(430), 영상처리부 및 영상표시부(450) 등을 포함함으로써, 검사기준을 표준화하여 불량 제품을 선별하고 일정한 수준 이상의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키 제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무선키 10: 상부하우징
12: 릴리즈노브 장착부 14: 릴리즈캡 장착부
16: PCB프레임 20: 하부하우징
30: 금속키 40: 버튼
50: 릴리즈노브 52: 스프링 장착홈
60: 스프링 70: 릴리즈캡
80: 배터리 커넥터 90: 엠블럼
100: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110: 베이스프레임
112: 이탈방지 구동부 120: 회전테이블
130: 제1안착부 132: 제1안착홈
134: 취출공 136: 검사공
138: 이탈방지부 140: 상부하우징 공급부
142: 제1컨베이어 144: 상부하우징 공급로봇
150: 릴리즈노브 공급부 152: 릴리즈노브 공급피더
154: 릴리즈노브 공급로봇 160: 스프링 공급부
162: 스프링 공급피더 164: 스프링 공급로봇
170: 릴리즈캡 조립부 172: 릴리즈캡 공급피더
174: 릴리즈캡 조립로봇 180: 검사부
182: 조립검사부 184: 텐션검사부
190: 취출분류부 192: 취출로봇
194: 분류로봇
200: 버튼 조립장치 210: 메인프레임
220: 제2안착부 222: 돌출부
230: 제1지지부 240: 제1가압부
242: 제1구동부 244: 제1연결부
246: 제1압입부 248: 가이드핀
250: 제1감지부 260: 제2감지부
300: 버튼 조립장치 310: 베이스플레이트
312: 가이드레일 320: 이동부
330: 제2구동부 340: 제3안착부
342: 제2안착홈 350: 지지부
360: 제2가압부 362: 제3구동부
364: 제2연결부 366: 제2압입부
370: 제3감지부 400: 비전검사장치
410: 테이블 412: 이송부
414: 레일이동부 416: 안착대
420: 제3가압부 422: 제3지지부
424: 제4구동부 426: 제3연결부
428: 누름부 430: 카메라부
432: 제1카메라 434: 제2카메라
436: 제3카메라 450: 영상표시부
460: 수거함 1000: 배출부
1200: 제2컨베이어 1400: 제3컨베이어
1420: 불량수거함

Claims (5)

  1.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과,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무선키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을 조립하는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상기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에서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이 조립된 상부하우징을 공급받아 상부하우징에 버튼을 조립하는 버튼 조립장치;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조립하는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
    상기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와 상기 버튼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에 의해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하부하우징을 공급받아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릴리즈캡 및, 버튼이 조립된 상태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배터리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넥터 조립장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왕복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배터리 커넥터가 끼워진 무선키의 하부하우징이 놓여지는 한 쌍의 제3안착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 커넥터를 상기 하부하우징에 압입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안착부는 상기 제2가압부의 아래쪽에서 왕복하고, 상기 제2가압부는 배터리 커넥터를 교대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키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는 제1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안착부에 상부하우징을 공급하는 상부하우징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릴리즈캡을 공급한 후에 상기 릴리즈캡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조립된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이 조립된 상부하우징을 상기 제1안착부에서 취출한 후에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취출분류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취출분류부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키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이 끼워진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이 놓여지는 제2안착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압입하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키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검사장치는,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이 안착되어 순환하는 이송부가 설치된 테이블;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에 조립된 부품을 가압하는 제3가압부;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부품이 조립된 상부하우징 또는 하부하우징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촬영된 기본이미지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어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판별된 결과를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키 제조장치.
KR1020130067431A 2013-06-12 2013-06-12 무선키 제조장치 KR101514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431A KR101514961B1 (ko) 2013-06-12 2013-06-12 무선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431A KR101514961B1 (ko) 2013-06-12 2013-06-12 무선키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35A KR20140145035A (ko) 2014-12-22
KR101514961B1 true KR101514961B1 (ko) 2015-04-24

Family

ID=5267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431A KR101514961B1 (ko) 2013-06-12 2013-06-12 무선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7B1 (ko) * 2021-07-14 2021-12-23 박영호 로타케이스 및 커버 결합을 위한 가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0550B (zh) * 2015-01-29 2018-08-24 广东利元亨智能装备有限公司 电瓶栓自动装配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KR100715189B1 (ko) 2006-03-29 2007-05-08 이강우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인서트 조립 장치
KR101131041B1 (ko) 2005-03-23 2012-03-3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로드어셈블리 자동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KR101131041B1 (ko) 2005-03-23 2012-03-30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로드어셈블리 자동조립장치
KR100715189B1 (ko) 2006-03-29 2007-05-08 이강우 일회용 가스 라이터의 인서트 조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17B1 (ko) * 2021-07-14 2021-12-23 박영호 로타케이스 및 커버 결합을 위한 가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35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9B1 (ko) 비전검사장치 및 방법
KR101491703B1 (ko)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KR100647528B1 (ko) 백라이트유닛의 표면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CN213340460U (zh) 自动电池贴装设备
KR101514961B1 (ko) 무선키 제조장치
CN111570298A (zh) 一种口罩坏件剔除装置
TWI568374B (zh) A compression device for a zipper
CN110234484B (zh) 树脂密封装置中的摄像方法以及树脂密封装置
CN213855814U (zh) 一种用于视觉分拣的自动化设备
CN211587585U (zh) 一种五金插针尺寸检测及筛选的设备
KR101463595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89992A2 (en) Automatic component segregator
CN212633466U (zh) 一种口罩坏件剔除装置
KR20080043286A (ko) 와이어링하네스의 자동검사기
CN212703075U (zh) 一种用于印刷电路板的视觉检测设备
CN114147148A (zh) 一种二极管引脚长度检测裁切组件
CN111194172A (zh) 拉链制造装置
CN210162307U (zh) 一种自动化激光模组检测包装设备
KR101400672B1 (ko) 리클라이너용 기어림의 외관 자동검사장치 및 방법
CN220170170U (zh) 一种面板尺寸检测设备
KR101463596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CN214555381U (zh) 一种出料检测设备
TWI623998B (zh)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and its operation classification device
CN209994657U (zh) 一种多工位连续作业冷插设备
KR102533961B1 (ko) 배터리셀 카트리지의 테이프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