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703B1 -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703B1
KR101491703B1 KR20120118434A KR20120118434A KR101491703B1 KR 101491703 B1 KR101491703 B1 KR 101491703B1 KR 20120118434 A KR20120118434 A KR 20120118434A KR 20120118434 A KR20120118434 A KR 20120118434A KR 101491703 B1 KR101491703 B1 KR 10149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release
release knob
sp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1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379A (ko
Inventor
배방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filed Critical (주)에이엔피 크리비즈
Priority to KR2012011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차량용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조립하는 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공급하여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릴리즈노브를 삽입되게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스프링이 안착되게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릴리즈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릴리즈캡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에 조립되게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검사공 및 취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를 누르는 덮개판과, 중심이 상기 안착부의 양측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덮개판에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연결로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를 밀어 상기 안착홈의 일부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판이 열리도록 하는 구동판 및 구동로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ASSEMBLING DEVICE OF RELEASE KNOB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무선키는 버튼, 릴리즈노브(release knob) 등이 장착되는 상부하우징과 배터리가 장착되는 하부하우징을 결합해서 제조하는데, 상기 무선키의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폴딩되는 금속키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는 릴리즈노브를 상기 상부하우징에 조립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키(Key)를 이용해 도어 및 트렁크를 개폐하고, 시동을 걸어 운행하게 된다.
최근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무선키가 제공된다. 상기 무선키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 트렁크의 개폐, 시동 및 경적 등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고, 종래의 키에 비해서 다양한 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여러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키의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폴딩되는 금속키는 릴리즈노브를 이용해 상기 하우징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며, 상기 릴리즈노브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을 가지는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에 결합되는 릴리즈캡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릴리즈노브는 누르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상부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상기 릴리즈노브, 스프링 및 릴리즈캡을 상기 상부하우징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에 한계가 있었고, 균일한 압력으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서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을 하고자 한다.
둘째, 릴리즈노브를 상부하우징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셋째, 릴리즈노브가 조립된 상부하우징의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제품을 자동으로 선별하고자 한다.
넷째, 생산원가를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차량용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공급하여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릴리즈노브를 삽입되게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스프링이 안착되게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릴리즈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릴리즈캡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에 조립되게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검사공 및 취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를 누르는 덮개판과, 중심이 상기 안착부의 양측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덮개판에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연결로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를 밀어 상기 안착홈의 일부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판이 열리도록 하는 구동판 및 구동로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는, 상부하우징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노브 공급피더 및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릴리즈노브를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되게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공급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스프링 공급피더 및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스프링을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된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스프링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캡 공급피더 및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릴리즈캡을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에 조립되게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기 릴리즈캡이 압입되었는지 검사하는 조립검사부와, 상기 릴리즈캡으로 상기 상부하우징에 조립된 릴리즈노브의 텐션을 검사하는 텐션검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을 취출하는 취출로봇과, 상기 취출로봇이 취출한 상부하우징을 상기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분류로봇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취출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취출분류부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배출부는, 정상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 및 불량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베이스프레임, 안착부, 상부하우징 공급부, 릴리즈노브 공급부, 스프링 공급부, 릴리즈캡 조립부, 검사부, 취출분류부 및 배출부 등을 포함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조립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및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릴리즈노브를 상부하우징에 가압시 균일한 압력으로 조립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릴리즈노브가 조립된 상부하우징의 조립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제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다.
넷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급부에서 안착부로 상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릴리즈노브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프링 공급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릴리즈캡 조립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릴리즈캡이 상부하우징에 압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의 검사부 중 조립검사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검사부 중 텐션검사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취출분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배출부를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2는 차량용 무선키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키의 하우징에 삽입되거나 폴딩되는 금속키를 상기 하우징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는 릴리즈노브(50)를 상기 무선키의 상부하우징(10)에 조립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도 12 참조).
상부하우징(10)은 릴리즈노브(50)가 장착되는 릴리즈노브 장착부(12) 및 릴리즈캡(70)이 장착되는 릴리즈캡 장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12)에 릴리즈노브(50)를 삽입한 후에 스프링(60)을 사이에 두고 릴리즈캡(70)을 결합하여 조립된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릴리즈캡(70) 순서로 공급되어 조립되며, 상기 릴리즈노브(50)에는 스프링(60)이 삽입되는 스프링 장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릴리즈캡(70)에도 스프링(60)이 삽입되는 스프링 장착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회전테이블(200)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는 안착부(3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300)에 상부하우징(10)을 공급하는 상부하우징 공급부(4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를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5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50)의 상측에 스프링(60)을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6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60)의 상측에 릴리즈캡(70)을 공급한 후에 상기 릴리즈캡(7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7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조립된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800);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을 상기 안착부(300)에서 취출한 후에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취출분류부(90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취출분류부(900)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배출하는 배출부(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회전테이블(200), 상부하우징 공급부(400), 릴리즈노브 공급부(500), 스프링 공급부(600), 릴리즈캡 조립부(700), 검사부(800), 취출분류부(900) 및 배출부(1000)가 결합되는 기본 골격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 공급부(400), 릴리즈노브 공급부(500), 스프링 공급부(600), 릴리즈캡 조립부(700), 검사부(800), 취출분류부(900) 및 배출부(10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테이블(200)의 둘레를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300)는, 상부에 상부하우징(10)이 안착되는 안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검사공(360) 및 취출공(340)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00)에 안착된 상부하우징(10)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00)는 상부하우징(10)에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을 조립할 수 있도록 마련된 판 형상의 작업대로서,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릴리즈노브(50), 스프링(60) 및 릴리즈캡(70)이 조립된 상부하우징(10)(이하, ‘조립품’이라 한다.)은 상기 검사공(360)을 통해 조립상태를 검사하고, 상기 취출공(340)을 통해 상기 안착홈(320)에서 취출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이탈방지부(380)는 상기 안착홈(320)에 안착된 상부하우징(10)의 일부분을 누르는 덮개판(382), 상기 덮개판(382)은 안착부(300)에 한 쌍의 연결로드(384)를 통해서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384)의 일측은 상기 덮개판(382)의 양 측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안착부(300)의 양 측면에 힌지로 결합되며, 타측에는 가로바(386)가 결합된다.
상기 덮개판(382)은 이탈방지 구동부(140)로 작동하는데, 상기 이탈방지 구동부(140)는 상기 가로바(386)와 접촉하는 구동판(142) 및 구동로드(14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로드(144)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타측은 상기 가로바(386)에 직접 결합되거나 구동판(142)을 이용하여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덮개판(382)은 상기 안착홈(320)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구동로드(144)가 상기 가로바(386)를 밀면 상기 덮개판(382)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로바(386) 없이 상기 구동로드(144)가 상기 연결로드(384)에 직접 힌지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400)는, 상부하우징(1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420); 및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상기 안착부(300)에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로봇(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420)는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로봇(440)은 공급집게(442)와 제1이동부(444)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집게(442)는 상기 제1컨베이어(420)를 따라 이송되는 상부하우징(10)을 잡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제1이동부(444)를 따라 움직인다.
상기 제1이동부(444)는 상기 공급집게(4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 및 좌우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4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420)를 따라 상부하우징(10)이 이송되고, 상기 공급집게(442) 아래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420)가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집게(442)가 상기 상부하우징(10)을 집으면 상기 제1이동부(444)는 상기 공급집게(442)를 상승시켜 안착부(300)에 형성된 안착홈(320) 위로 이동 후에 하강하고, 상기 공급집게(442)가 상기 상부하우징(10)을 놓음으로써 상기 안착홈(320)에 상기 상부하우징(10)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320)의 일부를 덮고 있는 덮개판(382)은 열리고, 상기 상부하우징(10)이 상기 안착홈(320)에 안착된 후에 상기 덮개판(382)은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일부를 덮어 상기 안착홈(3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50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노브 공급피더(520); 및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520)로부터 공급된 릴리즈노브(50)를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안착시키는 릴리즈노브 공급로봇(540);을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520)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릴리즈노브(50)를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로봇(540)은 제2이동부(542), 제1연결부(544), 회전암(546) 및 공급고리(548)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이동부(542)는 상기 제1연결부(544), 회전암(546) 및 공급고리(54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 및 좌우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544)는 상기 회전암(546)과 상기 제2이동부(542)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하측은 상기 제2이동부(542)에 결합되고 상측은 상기 회전암(546)의 일측과 힌지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암(546)은 타측에 상기 공급고리(548)가 결합되어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520)로 공급된 릴리즈노브(50)를 상부하우징(10)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릴리즈노브(50)에는 스프링 장착홈(52)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프링 장착홈(52)에 상기 공급고리(548)가 삽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암(546)이 회전할 때 상기 공급고리(548)에서 상기 릴리즈노브(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고리(548)에는 공기흡입기 등과 연결되는 공기흡입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5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2이동부(542)는 상기 제1연결부(544), 회전암(546) 및 공급고리(548)를 상승시켜 상기 공급고리(548)를 상기 릴리즈노브(50)에 삽입하게되고, 상기 제2이동부(542)는 상기 안착부(300)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회전암(546)이 회전하여 상기 공급고리(548)에 삽입된 릴리즈노브(50)가 상기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된 릴리즈노브 장착부(12)의 위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이동부(542)는 하강하여 상기 릴리즈노브(50)를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12)에 공급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 공급부(60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스프링 공급피더(620); 및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620)로부터 공급된 스프링(60)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안착된 릴리즈노브(50)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스프링 공급로봇(64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620)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스프링(60)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프링 공급로봇(640)은 제3이동부(642), 제2연결부(644), 수용부(646) 및 개폐부(647)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동부(642)는 상기 제2연결부(644), 수용부(646) 및 개폐부(647)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644)는 상기 제3이동부(642)에 상기 수용부(646)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상기 수용부(646)의 상부는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620)와 파이프(622)로 연결되며 하부는 상기 개폐부(647)와 결합된다. 즉, 상기 수용부(646)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 중공에 상기 파이프(622)로를 통해 공급된 스프링(60)이 수용되고, 상기 개폐부(647)가 열리면 상기 중공에 수용된 스프링(60)이 아래로 떨어져 상기 릴리즈노브(50)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홈(52)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646)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연결부(644)에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중공이 형성된 유도부(648)를 통해서, 상기 아래로 떨어진 스프링(60)을 상기 스프링 장착홈(52)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스프링 공급부(6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620)에서 파이프(622)를 통해 스프링(60)이 상기 수용부(646)에 공급되고, 상기 스프링(60)은 상기 개폐부(647)가 닫힌 상태로 상기 수용부(646)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3이동부(642)가 하강한 후에 상기 개폐부(647)가 열리면 아래로 떨어져 상기 유도부(648)를 통해서 상기 스프링 장착홈(52)에 공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700)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캡 공급피더(720); 및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720)로부터 공급된 릴리즈캡(70)을 상기 스프링(60)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로봇(740);을 포함한다.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720)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해 릴리즈캡(70)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릴리즈캡 조립로봇(740)은 제4이동부(742), 릴리즈캡 집게(744), 압입부(745) 및 안내부(746)를 포함한다. 상기 제4이동부(742)는 릴리즈캡 집게(744) 및 압입부(74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 및 좌우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에는 상기 제4이동부(742)에 결합되고, 릴리즈캡(70)을 상부하우징(10)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14)에 압입하기 위한 압입부(745)가 결합되며, 상기 안내부(746)는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1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4이동부(742)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캡(70)의 압입을 안내하도록 좌우 이동하는 안내판(747)을 구비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7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4이동부(742)가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를 하강시키고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는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720)에서 릴리즈캡(70)을 집는다. 그 후에 상기 제4이동부(742)가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를 상승시켜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14)의 상측으로 이동 후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안내판(747)은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의 하측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릴리즈캡(70)은 상기 안내판(747)의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747)이 열리면 상기 릴리즈캡 집게(744)는 하강하고 상기 압입부(745)가 상기 릴리즈캡(70)을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14)에 압입하게 된다.
상기 검사부(800)는,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상기 릴리즈캡(70)이 압입되었는지 검사하는 조립검사부(820); 및 상기 릴리즈캡(70)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0)에 조립된 릴리즈노브(50)의 텐션을 검사하는 텐션검사부(84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검사부(820)는 제1지지부(822), 제1승강부(824), 제1검사봉(826), 제1고정대(827) 및 고정부(828)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부(822)는 안착부(300)의 하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1승강부(824)는 상기 제1지지부(822)에 결합되어 상기 제1검사봉(826)을 승강시키는 부분으로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대(827)는 상기 안착부(300)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828)는 상기 제1고정대(827)에 결합되어 승강하며 상기 이탈방지부(380)를 눌러 고정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 조립검사부(8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1승강부(824)는 제1검사봉(826)을 상승시켜 상기 검사공(360)을 통해 릴리즈노브(50)를 누르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부(828)가 하강하여 상기 이탈방지부(380)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품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검사부(840)는 제2지지부(842), 제2승강부(844), 제2검사봉(846), 제2고정대(847), 제3승강부(848) 및 고정홀더(849)를 구비한다. 상기 제2지지부(842)는 안착부(300)의 하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승강부(844)는 상기 제2지지부(842)에 결합되어 상기 제2검사봉(846)을 승강시키는 부분으로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대(847)는 상기 안착부(300)의 상측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상기 제3승강부(848)는 상기 제2고정대(847)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홀더(849)를 승강시키며, 상기 고정홀더(849)는 검사시 릴리즈캡(70)의 이탈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 텐션검사부(84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제2승강부(844)는 제2검사봉(846)을 상승시켜 상기 검사공(360)을 통해 릴리즈노브(50)를 누르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홀더(849)가 하강하여 상기 릴리즈캡(70) 상측을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리즈노브(50)를 눌렀을 때의 텐션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취출분류부(900)는, 상기 안착부(300)에 안착된 상부하우징(10)을 취출하는 취출로봇(920); 및 상기 취출로봇(920)이 취출한 상부하우징(10)을 상기 검사부(800)의 검사결과에 따라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분류로봇(940);을 포함한다.
상기 취출로봇(920)은 제5이동부(922), 취출집게(924), 제3지지부(926), 제4승강부(927) 및 취출봉(928)을 구비한다. 상기 제5이동부(922)는 상기 취출집게(92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 및 좌우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부(926)는 안착부(300)의 하측에서 베이스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4승강부(927)는 상기 제3지지부(926)에 결합되어 상기 취출봉(928)을 승강시키는 부분으로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취출로봇(9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탈방지부(380)가 상기 조립품의 일부를 덮고 있던 상태가 이탈방지 구동부(140)에 의해 해제되고, 상기 제5이동부(922)는 상기 취출집게(924)를 하강시켜 상기 조립품을 집은 후에 상기 취출집게(924)를 상승시켜 분류대(946)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취출집게(924)를 하강시켜 상기 분류대(946) 위에 상기 조립품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취출집게(924)가 상기 조립품을 집을 수 있도록 상기 제4승강부(927)는 상기 안착부(300)에 형성된 취출공(340)을 통해 상기 취출봉(928)을 상승시켜서 상기 조립품을 밀어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분류로봇(940)은 제6이동부(942), 분류구동부(944) 및 분류대(946)를 구비한다. 상기 제6이동부(942)는 상기 분류구동부(944) 및 분류대(94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이동부 및 좌우이동부는 슬라이드, 실린더,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류구동부(944)는 상기 제6이동부(942)와 분류대(946)를 연결하며, 상기 분류대(946)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류대(946)는 상기 분류구동부(94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배출부(1000)로 상기 조립품을 배출한다. 아울러 상기 분류대(946)가 회전할 때 상기 분류대(946)에서 상기 조립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분류대(946)에는 공기흡입기 등과 연결되는 공기흡입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000)는, 정상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200); 및 불량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10)을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1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200) 및 제3컨베이어(1400)는 일렬로 배치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조립품을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컨베이어(1200) 및 제3컨베이어(1400)는 물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취출분류부(900) 및 배출부(10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검사부(800)를 통과한 조립품은 일단 상기 취출로봇(920)에 의해 상기 배출부(100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800)의 결과에 따라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다고 판단된 조립품은 상기 제2컨베이어(1200)로 배출되고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다고 판단되지 아니한 조립품은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류대(946)는 상기 제2컨베이어(1200)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품이 정상인 경우 윗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180도 회전하여 상기 조립품을 상기 제2컨베이어(1200)로 배출한다. 그러나 상기 조립품이 불량인 경우 상기 분류대(946)는 상기 제6이동부(942)에 의해 상기 제3컨베이어(1400) 쪽으로 이동한 후에 180도 회전하여 상기 조립품을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하며, 상기 제3컨베이어(1400)로 배출된 조립품은 불량수거함(1420)에 모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는 상부하우징 공급부(400)와 릴리즈노브 공급부(500) 사이에 상부하우징(10)이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상부하우징 검사부, 릴리즈노브 공급부(500)와 스프링 공급부(600) 사이에 릴리즈노브(50)가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릴리즈노브 검사부, 스프링 공급부(600)와 릴리즈캡 조립부(700) 사이에 스프링(60)이 공급되었는지 검사하는 스프링 검사부를 더 포함하여 불량 조립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하우징 12: 릴리즈노브 장착부
14: 릴리즈캡 장착부 50: 릴리즈노브
52: 스프링 장착홈 60: 스프링
70: 릴리즈캡 100: 베이스프레임
140: 이탈방지 구동부 200: 회전테이블
300: 안착부 320: 안착홈
340: 취출공 360: 검사공
380: 이탈방지부 400: 상부하우징 공급부
420: 제1컨베이어 440: 상부하우징 공급로봇
500: 릴리즈노브 공급부 520: 릴리즈노브 공급피더
540: 릴리즈노브 공급로봇 600: 스프링 공급부
620: 스프링 공급피더 640: 스프링 공급로봇
700: 릴리즈캡 조립부 720: 릴리즈캡 공급피더
740: 릴리즈캡 조립로봇 800: 검사부
820: 조립검사부 840: 텐션검사부
900: 취출분류부 920: 취출로봇
940: 분류로봇 1000: 배출부
1200: 제2컨베이어 1400: 제3컨베이어
1420: 불량수거함

Claims (9)

  1. 차량용 무선키의 상부하우징에 릴리즈노브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의 원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되고, 상부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공급하여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릴리즈노브를 삽입되게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스프링이 안착되게 공급하는 스프링 공급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릴리즈캡을 위치시킨 후 상기 릴리즈캡이 상기 상부하우징에 형성된 릴리즈캡 장착부에 조립되게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검사공 및 취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분을 눌러 고정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의 일부를 누르는 덮개판과, 중심이 상기 안착부의 양측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덮개판에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연결로드와, 상기 한 쌍의 연결로드의 길이방향 타측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를 밀어 상기 안착홈의 일부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판이 열리도록 하는 구동판 및 구동로드로 이루어진 이탈방지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공급부는, 상부하우징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상부하우징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노브 공급피더; 및
    상기 릴리즈노브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릴리즈노브를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되게 공급하는 릴리즈노브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공급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스프링 공급피더; 및
    상기 스프링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스프링을 상기 릴리즈노브 장착부에 안착된 릴리즈노브의 상측에 안착시키는 스프링 공급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캡 조립부는, 바이브레이터가 내장된 릴리즈캡 공급피더; 및
    상기 릴리즈캡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릴리즈캡을 상기 스프링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릴리즈캡 장착부에 조립되게 압입하는 릴리즈캡 조립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에 상기 릴리즈캡이 압입되었는지 검사하는 조립검사부와, 상기 릴리즈캡으로 상기 상부하우징에 조립된 릴리즈노브의 텐션을 검사하는 텐션검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하우징을 취출하는 취출로봇과, 상기 취출로봇이 취출한 상부하우징을 상기 검사부의 검사결과에 따라 정상 또는 불량으로 분류하는 분류로봇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 취출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취출분류부에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배출하는 배출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배출부는, 정상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 및
    불량으로 분류된 상부하우징을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KR20120118434A 2012-10-24 2012-10-24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KR10149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434A KR101491703B1 (ko) 2012-10-24 2012-10-24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8434A KR101491703B1 (ko) 2012-10-24 2012-10-24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79A KR20140052379A (ko) 2014-05-07
KR101491703B1 true KR101491703B1 (ko) 2015-02-17

Family

ID=5088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18434A KR101491703B1 (ko) 2012-10-24 2012-10-24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172B1 (ko) 2015-04-23 2015-11-30 주식회사 세정로봇 자동차용 도어래치어셈블리의 케이블 결합장치
KR101653928B1 (ko) * 2015-07-06 2016-09-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746B1 (ko) * 2015-03-30 2015-06-30 주식회사 모베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헤드 분류 장치
KR101975059B1 (ko) * 2015-06-19 2019-05-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탈부착형 저온 시약 보관 자켓을 이용한 시약 교체 장치
KR101942306B1 (ko) * 2018-09-17 2019-01-25 주식회사 디에스피 소음기용 가변밸브 자동조립 장치 및 조립방법
CN109352308B (zh) * 2018-11-11 2023-10-24 广东新力光工业装备有限公司 一种旋钮帽自动组装设备
CN112975353A (zh) * 2018-11-28 2021-06-18 温州职业技术学院 阀芯的智能制造系统
CN113681256B (zh) * 2021-08-31 2022-10-21 杭州富利登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盖体压簧的自动安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JP2002031695A (ja) 2000-07-17 2002-01-31 Global Nuclear Fuel-Japan Co Ltd 核燃料集合体用スペーサ自動組立装置
JP2003340658A (ja) 2002-05-20 2003-12-02 Pioneer Electronic Corp 製品組み立て装置
KR101057803B1 (ko) 2009-03-23 2011-08-19 주식회사 폴리테크 브리더 어셈블리의 자동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151A (ja) * 1999-05-14 2000-11-28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小物製品自動組立装置
JP2002031695A (ja) 2000-07-17 2002-01-31 Global Nuclear Fuel-Japan Co Ltd 核燃料集合体用スペーサ自動組立装置
JP2003340658A (ja) 2002-05-20 2003-12-02 Pioneer Electronic Corp 製品組み立て装置
KR101057803B1 (ko) 2009-03-23 2011-08-19 주식회사 폴리테크 브리더 어셈블리의 자동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172B1 (ko) 2015-04-23 2015-11-30 주식회사 세정로봇 자동차용 도어래치어셈블리의 케이블 결합장치
KR101653928B1 (ko) * 2015-07-06 2016-09-02 평화정공 주식회사 케이블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79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703B1 (ko) 차량용 무선키의 릴리즈노브 조립장치
CN106425468B (zh) 弹簧插板自动化装配机及其操作方法
KR100803001B1 (ko)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631279B1 (ko) 도어 락 자동 조립 시스템
KR20100073552A (ko) 몰딩용 타블렛 선별 및 공급 장치
CN107026038A (zh) 键盘开关自动组装机
CN115041423B (zh) 一种dip封装电子元器件的全自动检测分选装置
CN108890290B (zh) 汽车顶棚拉手装配检测系统
CN108683053B (zh) 一种usb连接器全自动装配设备及工艺
KR101341399B1 (ko) 터렛 피커장치
CN109066266B (zh) 一种全自动组装插头设备
CN218275486U (zh) 一种电路保险端子自动组装机
KR101463595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4961B1 (ko) 무선키 제조장치
CN107253081B (zh) 汽车用轴承的车边设备
KR100988520B1 (ko) 확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칩 분류장치
KR20100087069A (ko) 스프링 앗세이 조립방법
KR100291105B1 (ko) 타블렛 자동공급장치
CN110000558B (zh) 一种水龙头阀芯组装设备及组装方法
JPS6076924A (ja) ニ−ドルベアリング組立装置
KR101463596B1 (ko) 아이씨소자용 실드 제조장치
CN112006382A (zh) 拉头组装装置的压紧装置
KR0161065B1 (ko) 시이트고무의 샘플채취장치
CN111940952B (zh) 正极焊接机及电池
KR102512630B1 (ko) 경첩 자동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