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252B1 -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 Google Patents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252B1
KR101461252B1 KR1020097022514A KR20097022514A KR101461252B1 KR 101461252 B1 KR101461252 B1 KR 101461252B1 KR 1020097022514 A KR1020097022514 A KR 1020097022514A KR 20097022514 A KR20097022514 A KR 20097022514A KR 101461252 B1 KR101461252 B1 KR 10146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medicament
liver disease
liv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986A (ko
Inventor
유지 요시카와
메구미 야마모토
나오토 이시바시
마미 세키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이 적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예를 들면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Drug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fatty liver 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본 발명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polyprenyl compuound)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을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습관의 서구화에 따라, 지방의 섭취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과잉으로 섭취된 지방은 체내에 서서히 축적되어 각종 질병의 유발 원인으로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지방 축적의 메커니즘은 다음의 두가지로 크게 구별된다. 하나는, 혈액 중에 존재하는 과잉의 지방분이 혈관벽에 침착되고, 혈관을 협착함으로써 서서히 동맥경화로 진행되어, 마침내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등을 일으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마찬가지로 과잉의 지방분이 내장기관에 침착하는 것으로, 특히 최근에는, 간장에 다량의 지방이 침착되는, 소위 지방간이 많이 보여, 그 일부가 마침내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 간경변, 간장암으로 이행된다(Gastroenterology. 116, 1413-1419(1999)). 이들 질병은 그 발증 메커니즘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에 적합한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이 필요로 해진다.
지방간의 치료제로서는 폴리엔포스파티딜콜린(polyenephosphatidylcholine)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지혈증 치료제인 클로피브레이트(clofibrate)로 대표되는 피브레이트계 약제가, 지방간에 대한 치료제로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피브레이트계 약제는, 간장에 있어서 지방간 β산화계 효소를 매개로 지질대사를 개선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Ann. N. Y. Acad. Sci. 386, 111-135(1982)). 그러나, 피브레이트계 약제는 일반적으로 간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Atherosclerosis. 92, 31-40(1992)), 부작용이 적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이 요망되고 있다.
한편,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하나로, 상기 폴리엔포스파티딜콜린이나 피브레이트계 약제와는 전혀 화학구조가 상이한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은, 레티노인산 결합 단백 및 레티노인산 수용체에 대해 친화성을 나타내는 비환식 레티노이드(acyclic retinoid)로, 간세포암에 있어서의 분화유도작용 및 아포토시스 유도작용이 알려져 있다. 임상에 있어서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은 1년간의 장기 투여에 의해 간암 근치 치료 후의 재발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간암 재발 억제작용이 시사되고 있다. 또한, 이때, 간기능 장애 및 다른 레티노이드에 보이는 부작 용은 거의 확인되지 않아, 안전한 약제이다(N. Eng. J. Med., 334, pp.1561-1567(1996)).
그러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효과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것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1 : Gastroenterology.,116, pp.1413-1419(1999)
비특허문헌 2 : Ann. N.Y. Acad. Sci., 386, pp.111-135(1982)
비특허문헌 3 : Atherosclerosis.,92, pp.31-40(1992)
비특허문헌 4 : N. Eng. J. Med., 334, pp.1561-1567 (1996)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과제는 부작용이 적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을 발견하기 위해, 각종 연구를 거듭해 왔다. 그 결과,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간장 중의 지질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知見)을 토대로 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의약.
[2]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의약.
[3]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의약.
[4]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의약.
[5]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제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의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6] 경구투여 제제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7] 상기 의약의 제조를 위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의 사용.
[8]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방법으로서, 예방 및/또는 치료 유효량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동물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예 1에 있어서의 각 군의 H-TG량(㎎/g liver) 및 H-T-chol량(㎎/g liver)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예 1에 있어서의 각 군의 지방간 스코어 및 O.R. 양성 면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예 1에 있어서의 각 군의 S-TG 농도(㎎/dL) 및 S-T-chol 농도(㎎/dL)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예 1에 있어서의 각 군의 S-ALT 농도(U/L) 및 S-AST 농도(U/L)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정상 대조군과, #은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예 2에 있어서의 각 군의 S-TG 농도(㎎/dL)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은 예 2에 있어서의 각 군의 정소 중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에 있어서 *는 대조군과 유의차(P<0.05)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 의약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란, 화학구조 중에 수개의 직쇄 이소프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말하는 것으로, 말단에 카르복실산을 갖는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고, 또한,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이하, NIK-333이라 칭한다)을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로서, 일본국 특허공고 소63-34855 공보에 기재된 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 등의 공액 폴리프레닐카르복실산(폴리프렌산) 및 그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일본국 공고특허공보 소63-32058호, J. Chem. Soc. (C) 2154페이지 1966년)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적당한 투여방법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경구투여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산제, 액제 등을, 또한, 비경구투여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주사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는 본 발명의 폴리프레닐계 화합물 또는 그의 약리학상 허용 가능한 염과 통상의 제제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제의 경우에는 젖당, 포도당, 콘스타치, 자당 등의 부형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붕괴제,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경화유 등의 활택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등의 결합제,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등의 습윤제, 기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교미제(flavoring agent) 등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투여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제의 경우에는, 물, 에탄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유, 한천, 트래거캔스고무 등의 희석제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제, 완충제, 등장화제, 보존제, 무통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처방하는 경우, 그 투여단위는 본 발명 화합물로서 성인 1인당, 경구투여의 경우, 1일 1~2,000 ㎎, 바람직하게는 20~800 ㎎, 비경구투여의 경우, 1일 1~1,000 ㎎, 바람직하게는 10~100 ㎎의 범위에서 투여되고, 각각 1일 1~3회의 분할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1: NIK-333의 간장 중 지질량 감소에 관한 평가
실험에는 6주령의 SD계 웅성 랫트(일본 찰스리버)를 사용하여, 고지방식 부하군은 HFD32(일본 클레아)를, 정상 대조군은 CE-2(일본 클레아)를 사용하여, 양군 모두 제한급이(制限給餌)로 1일당 25±3 g으로 하였다. 표 1에 각 사료 성분을 나타낸다. NIK-333은 고지방식 부하 개시와 동시에 1일 1회 8주간 연속 강제 경구투여를 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간장을 적출하여, 간장 중 트리글리세리드(H-TG) 및 콜레스테롤(H-T-chol)량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적출한 간장으로부터 헤마톡실린-에오신(H.E.) 및 오일 레드 O(O.R.) 염색 표본을 제작하여 병리조직학적 검토를 행하였다. H.E. 염색 표본으로부터 간장의 지방 변성의 정 도를 5단계로 등급을 나눠 스코어화하였다. 또한, O.R. 염색 표본으로부터 화상해석장치에 의한 간장 표본 면적당 O.R. 양성 면적에 대해 산출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S-TG), 총 콜레스테롤(S-T-chol), 알라닌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S-ALT), 아스파라긴산아미노트랜스퍼라아제(S-AST)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도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65946508-pct00001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IK-333은 간장 중 지질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부터,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IK-333은 혈중의 지질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장 중 지질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티노이드는 임상에 있어서, 고트리글리세리드 혈증을 초래하는 것이 부작용으로서 문제로 되고 있으나(N. Engl. J. Med. 313, 981-985(1985)), NIK-333의 경우는 이러한 혈중 지질농도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IK-333은 혈중의 트랜스아미나아제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 간장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NIK-333이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해 효과를 갖는 것은 명확하다.
예 2: NIK-333과 ATRA의 독성에 관한 평가
7주령의 C57BL/6N 마우스(일본 찰스리버)에 NIK-333 또는 ATRA를 각각 1일 1회 2주간 연속 강제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종료 후, 각 개체의 S-TG 농도 및 정소 중량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대조군에는 대두유를 투여하였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TRA는 S-TG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반하여, NIK-333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TRA는 정소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에 반하여, NIK-333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ATRA는 마우스(Fundam. Appl. Toxicol. 8, 517-530(1987)) 및 랫트(Toxicology. 30, 115-124(1984))에 있어서 정소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나, NIK-333에 그 작용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NIK-333은 ATRA와 비교하여, S-TG 및 정소에 대한 독성이 낮은 것이 명확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하는 새로운 의약으로서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은, 간장 중의 지질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간기능의 개선효과 를 갖는 것이다. 또한, 환식 레티노이드인 all-trans-retinoic acid(이하, ATRA라 약칭한다)와 비교하여,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S-TG) 농도 및 정소 중량에 대한 영향이 없어, 부작용이 적은 의약이다.

Claims (6)

  1.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며,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으로서, 폴리프레닐계 화합물이 (2E,4E,6E,10E)-3,7,11,15-테트라메틸-2,4,6,10,14-헥사데카펜타엔산인 의약.
  2.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제 담체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인 의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구투여 제제인 의약.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7022514A 2007-03-30 2008-03-27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KR101461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90114 2007-03-30
JP2007090114 2007-03-30
PCT/JP2008/000760 WO2008126363A1 (ja) 2007-03-30 2008-03-27 脂肪肝又は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986A KR20100015986A (ko) 2010-02-12
KR101461252B1 true KR101461252B1 (ko) 2014-11-12

Family

ID=3986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514A KR101461252B1 (ko) 2007-03-30 2008-03-27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120914A1 (ko)
EP (1) EP2143430B1 (ko)
JP (2) JP5341749B2 (ko)
KR (1) KR101461252B1 (ko)
CN (1) CN101652134B (ko)
ES (1) ES2555782T3 (ko)
HK (1) HK1138200A1 (ko)
WO (1) WO2008126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5491B2 (ja) * 2010-04-14 2015-05-27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レチノイン酸受容体リガンドによる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作用
JP5304939B1 (ja) * 2012-05-31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積層体、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GB201301626D0 (en) * 2013-01-30 2013-03-13 Dignity Sciences Ltd Composition comprising 15-OHEPA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2808031A1 (en) * 2013-05-30 2014-12-03 Fundació Hospital Universitari Vall d' Hebron - Institut de Recerca Sex hormone-binding globulin for use as a medica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965A (ja) 2000-09-27 2002-04-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脂肪肝予防・改善機能を有する組成物
JP2004290821A (ja) 2003-03-27 2004-10-21 Aichi Electric Co Ltd 混合装置
JP2006232711A (ja) 2005-02-24 2006-09-07 Tohoku Univ 血中中性脂肪低下作用および肝臓中性脂肪合成抑制作用および血小板凝集抑制作用を有する油脂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949A (en) * 1980-04-07 1981-11-04 Eisai Co Ltd 3,7,11,15-tetramethyl-2,4,6,10,14-hexadecapentaenic acid
JPS57106638A (en) 1980-12-24 1982-07-02 Eisai Co Ltd Conjugated polyprenylcarboxylic acid and its derivative
JPS6332058A (ja) 1986-07-22 1988-02-10 株式会社 梅彦 石材の床張り方法
US5922345A (en) * 1990-12-07 1999-07-13 Scotia Holdings Plc Nutrition
GB9026648D0 (en) * 1990-12-07 1991-01-23 Efamol Holdings Nutrition
JPH09194362A (ja) * 1996-01-19 1997-07-29 Bizen Kasei Kk ドコサヘキサエン酸及びエイコサペンタエン酸含有リン脂質を含む組成物
CA2407421C (en) * 2000-04-24 2009-11-03 Nikken Chemicals Co., Ltd.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JPWO2003097034A1 (ja) * 2002-05-17 2005-09-15 日研化学株式会社 TGF−α発現抑制剤
CN1956716B (zh) * 2004-02-25 2010-12-15 国立大学法人东京大学 具有抑制转录因子klf5的活化作用的药物
JP5099808B2 (ja) * 2006-05-29 2012-12-19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JP2008150307A (ja) 2006-12-15 2008-07-03 Kenko Tsusho Kk 体脂肪の蓄積に起因する疾患の治療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4965A (ja) 2000-09-27 2002-04-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脂肪肝予防・改善機能を有する組成物
JP2004290821A (ja) 2003-03-27 2004-10-21 Aichi Electric Co Ltd 混合装置
JP2006232711A (ja) 2005-02-24 2006-09-07 Tohoku Univ 血中中性脂肪低下作用および肝臓中性脂肪合成抑制作用および血小板凝集抑制作用を有する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6363A1 (ja) 2008-10-23
US8673976B2 (en) 2014-03-18
JP2013216679A (ja) 2013-10-24
ES2555782T3 (es) 2016-01-08
KR20100015986A (ko) 2010-02-12
EP2143430A1 (en) 2010-01-13
EP2143430B1 (en) 2015-09-23
EP2143430A4 (en) 2010-12-29
CN101652134A (zh) 2010-02-17
JP5341749B2 (ja) 2013-11-13
US20120259015A1 (en) 2012-10-11
JPWO2008126363A1 (ja) 2010-07-22
CN101652134B (zh) 2015-07-15
HK1138200A1 (en) 2010-08-20
US20100120914A1 (en)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600B1 (ko) 메타독신 및 마늘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지방간 및 지방간성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8017652B2 (en)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KR101461252B1 (ko)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CA271167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fatty liver disease
JP2008222656A (ja) 肥満改善および予防用組成物ならびに健康食品
JP7271693B2 (ja) ハイドロキノン誘導体を含む肥満又は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炎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組成物
US20190247343A1 (en) Use of fenofibric acid in the treatment of hepatic diseases
WO2007069744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予防・改善用組成物
KR20070044198A (ko) 푸마르산 및 푸마르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대사증후군 치료제
CN101466266A (zh) 用于治疗代谢紊乱的化合物
US7687544B2 (en) Method of using catalpic acid to treat type 2 diabetes and associated disorders
CN111686239B (zh) 抗真菌化合物的应用
WO2013005834A1 (ja) 高純度epaを含有する抗肥満剤
KR101572311B1 (ko) 2-아미노-2-노보네인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4466A (ko) 대사증후군 치료용 약제 조성물
JP2010095456A (ja) 脂質代謝改善剤
CN115531406A (zh) 芒柄花苷在制备预防或治疗脂肪肝药物中的应用
JP2015205846A (ja) レプチン分泌促進剤
CN114848662A (zh) 纳他霉素在制备预防和/或治疗非酒精性脂肪性肝病或肝炎药物中的应用
CN113521082A (zh) 雷公藤甲素在制备预防和/或治疗肝病的药物中的应用
CN112641779A (zh) Gw441756在制备预防和/或治疗脂肪肝药物中的应用
KR20150120580A (ko) 시나핀 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