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480B1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480B1
KR101459480B1 KR20130071860A KR20130071860A KR101459480B1 KR 101459480 B1 KR101459480 B1 KR 101459480B1 KR 20130071860 A KR20130071860 A KR 20130071860A KR 20130071860 A KR20130071860 A KR 20130071860A KR 101459480 B1 KR101459480 B1 KR 10145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hole
pad layer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1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Abstract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은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에는 복수 개의 쓰루홀들이 형성되고, 제1 연결부의 상면에서 쓰루홀들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홀 패드층이 형성되며, 제2 연결부의 상면에는 쓰루홀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베이스 패드층들이 형성되고,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은 상하로 중첩되며 쓰루홀을 통해 솔더로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FPCB}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연결하여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부가장치와의 신호전달 및 전원 공급 등을 위한 다양한 소자 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각종 전자제품 및 자동차 등의 전자회로를 구성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리지드 인쇄회로기판(Rigid PCB)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FPC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 등화 장치로서 최근에는 전구보다는 LED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LED에 전기적인 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는 리지드 인쇄회로기판 보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자동차용 리어 콤비 램프의 경우는 대부분 계단형이나 굴곡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자동차 구조물의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여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여러 개로 절단하여 이들을 솔더(solder)로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경우는 여러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솔더로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서 이들의 연결 부위가 자동차의 진동에 매우 취약하여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솔더링 불량에 따른 이음매의 변형 또는 크랙이나 전기적인 단선 발생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위의 진동 등에 의한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음매의 솔더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은,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에는 복수 개의 쓰루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쓰루홀들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홀 패드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쓰루홀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베이스 패드층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은 상하로 중첩되며 상기 쓰루홀을 통해 솔더로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쓰루홀의 내벽에는 구리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홀 패드층은 원형으로서 상기 쓰루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상기 쓰루홀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은 원형으로서 상기 쓰루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홀 패드층 및 베이스 패드층은 구리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은 표면 산화 방지를 위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상기 고정홀들에는 별도의 고정 지그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은,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제1 연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제2 연결부를 형성하며, 이들 연결부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a) 상기 제1 연결부에 복수 개의 쓰루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쓰루홀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홀 패드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고, (b)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 상기 쓰루홀들에 대응하는 베이스 패드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며, (c)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의 고정홀들을 상하로 연결하고 그 고정홀들에 고정 지그를 끼우며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상하로 중첩하고, (d) 상기 쓰루홀을 통해 솔더링하여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은, 상기 쓰루홀의 내벽에 구리 도금층이 형성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은, 상기 베이스 패드층을 표면 처리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의 연결부를 고정 지그를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솔더링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이들 연결부가 틀어지면서 솔더링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들의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중첩한 상태에서 솔더링 작업을 하므로, 솔더의 단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의 연결 부분에서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연결 부분에서의 변형 또는 크랙이나 전기적인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연결부들의 연결 부분이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분리되는 등 그 연결 부분의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을 도시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에 적용되는 제2 연결부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을 도시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은 각종 전자제품 및 자동차 등에서 다양한 전기 전자장치와의 신호 전달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은 자동차의 등화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 자동차 구조물의 형상 및 구조에 대응하여 길이가 길어진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복수 개로 절단하고 그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솔더링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 중 두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예를 설명하는데, 어느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이라 하고, 다른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은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을 연결하는 연결 부위의 진동 등에 의한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음매의 솔더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은 기본적으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11)와,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는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에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회로 패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부(11)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제1 연결부(11)에는 복수 개의 쓰루홀들(31)이 형성되는 바, 쓰루홀들(31)은 네 개로서 제1 연결부(11)의 각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쓰루홀(through hole) 이라 함은 내벽이 도금된 구멍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11)에 네 개의 쓰루홀(31)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의 크기 및 제1 연결부(11)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11)의 상면에서 각 쓰루홀(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홀 패드층(33)이 형성된다. 즉, 홀 패드층(33)은 제1 연결부(11)의 상면에서 쓰루홀(31)의 상단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 패드층(33)은 원형으로서 쓰루홀(31)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그 쓰루홀(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홀 패드층(33)은 솔더링 작업 시 충분한 솔더링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쓰루홀(31) 내경의 20% 이상 큰 외경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홀 패드층(33)은 구리(copper)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쓰루홀(31)의 내벽에는 위에서 쓰루홀을 정의하며 언급한 바 있듯이 솔더링 작업 시 납땜(solder)의 젖음성과 강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리 도금층(3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부(11)의 대략 중앙 부위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고정홀들(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홀들(37)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연결부(21)와 제1 연결부(11)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연결부(21)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제2 연결부(21)의 상면에는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들(31)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베이스 패드층들(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패드층들(41)은 제2 연결부(21)의 상면에 도금 형성되는 원형의 구리 도금층으로서 이루어지며, 쓰루홀(31)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제2 연결부(2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패드층(41)은 솔더링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연결 불량 등을 방지하기 위해 쓰루홀(31) 내경의 20% 이상 큰 외경을 지닐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41)은 공정 이동 시 이의 표면이 산화되어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그 표면이 표면 처리된 구리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연결부(21)의 대략 중앙 부위에는 제1 연결부(11)의 제1 고정홀들(37)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고정홀들(4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연결부(11)의 제1 고정홀들(37) 및 제2 연결부(21)의 제2 고정홀들(43)은 제1 및 제2 연결부(11, 21)가 상하로 중첩될 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연결부(11, 21)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지그(50: 이하 도 1 참조)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홀들(37, 43)은 구멍의 내벽이 도금되지 않은 논 쓰루홀(non through ho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 지그(50)는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솔더링 작업 시 이들 연결부(11, 2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들 연결부(11, 21)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 지그(50)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솔더 상태의 산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가해지는 열의 차이로 제1 및 제2 연결부(11, 2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고정 지그(50)는 서로 겹쳐진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솔더링 작업 시 제1 연결부(1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1)를 지지하는 지지판(51)과, 그 지지판(51)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53)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돌기들(53)은 제1 및 제2 연결부(11, 21)가 서로 겹쳐지며 연결된 제1 및 제2 고정홀들(37, 43)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의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는, 고정 지그(50)의 고정 돌기(53)가 제2 연결부(21)의 제2 고정홀(43)에 끼워지며 그 고정 지그(50)의 지지판(51)을 통해 제2 연결부(21)를 지지하고, 고정 돌기(53)가 제1 연결부(11)의 제1 고정홀들(37)에 끼워진 상태로,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은 상하로 중첩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31)을 통해 솔더(70)로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 중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을 연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부(11)에 복수 개의 쓰루홀들(31)이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의 상면에서 쓰루홀(31)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구리 도금층의 홀 패드층(33)이 형성되며, 제1 연결부(11)에 복수 개의 제1 고정홀들(37)이 형성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쓰루홀들(31)의 내벽에는 솔더링 작업 시 납땜(solder)의 젖음성과 강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리 도금층(3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부(21)의 상면에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들(31)에 대응하는 베이스 패드층들(41)이 형성되고, 제2 연결부(21)에 복수 개의 제2 고정홀들(43)이 형성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패드층(41)은 공정 이동 시 이의 표면이 산화되어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그 표면이 표면 처리된 구리 도금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을 제공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를 솔더링 작업으로 연결하는 후속 과정으로서,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지그(50)의 고정 돌기(53)를 제2 연결부(21)의 제2 고정홀들(43)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의 제2 연결부(21)는 제2 고정홀들(43)을 통해 고정 지그(50)의 고정 돌기(53)에 끼워지며 그 고정 지그(50)의 지지판(51) 상면으로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11)의 제1 고정홀들(37)에 고정 지그(50)의 고정 돌기(53)를 끼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는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며 고정 지그(50)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은 상하로 중첩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상하로 중첩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31)을 통해 솔더링하여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솔더(70)로서 연결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은 솔더(70)가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31)에 충진되며 그 솔더(7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솔더링 작업 완료 후, 고정 지그(50)를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고정홀들(37, 43)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로 절단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100) 및 그 연결 방법에 의하면,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의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를 고정 지그(50)로서 서로 겹쳐지게 고정하고,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중첩한 상태로 제1 연결부(11)의 쓰루홀(31)을 통해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솔더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0, 20)의 제1 및 제2 연결부(11, 21)를 고정 지그(50)를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솔더링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제1 및 제2 연결부(11, 21)가 틀어지면서 솔더링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중첩한 상태에서 솔더링 작업을 하므로, 솔더(70)의 단차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의 연결 부분에서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 연결 부분에서의 변형 또는 크랙이나 전기적인 단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홀 패드층(33)과 베이스 패드층(41)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연결부(11, 21)의 연결 부분이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분리되는 등 그 연결 부분의 내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11... 제1 연결부
20...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21... 제2 연결부
31... 쓰루홀 33... 홀 패드층
35... 구리 도금층 37... 제1 고정홀
41... 베이스 패드층 43... 제2 고정홀
50... 고정 지그 51... 지지판
53... 고정 돌기 70... 솔더

Claims (11)

  1.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을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으로서,
    어느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다른 하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에는 복수 개의 쓰루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쓰루홀들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는 홀 패드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는 상기 쓰루홀들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베이스 패드층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은 상하로 중첩되며, 상기 쓰루홀을 통해 솔더로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에는 상하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 상기 고정홀들에는 별도의 고정 지그가 끼워지며,
    상기 고정 지그는 서로 겹쳐진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의 솔더링 작업 시 상기 제1 연결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루홀의 내벽에는 구리 도금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패드층은,
    원형으로서 상기 쓰루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상기 쓰루홀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은,
    원형으로서 상기 쓰루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지니며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패드층 및 베이스 패드층은 구리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은 표면 산화 방지를 위해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7. 삭제
  8. 삭제
  9. 복수 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들 중 어느 하나에 제1 연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제2 연결부를 형성하며, 이들 연결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연결부에 복수 개의 쓰루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면에서 상기 쓰루홀의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홀 패드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에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상면에 상기 쓰루홀들에 대응하는 베이스 패드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에 복수 개의 고정홀들이 형성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의 고정홀들을 상하로 연결하고 그 고정홀들에 고정 지그를 끼우며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상하로 중첩하고;
    상기 쓰루홀을 통해 솔더링하여 상기 홀 패드층과 베이스 패드층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지그의 고정 돌기를 상기 제2 연결부의 고정홀들에 끼우고, 상기 고정 지그의 지지판 상면으로 상기 제2 연결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고정홀들에 상기 고정 지그의 고정 돌기를 끼우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상기 고정 지그를 통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쓰루홀의 내벽에 구리 도금층이 형성된 제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드층을 표면 처리한 제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방법.
KR20130071860A 2013-06-21 2013-06-2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KR10145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60A KR101459480B1 (ko) 2013-06-21 2013-06-2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860A KR101459480B1 (ko) 2013-06-21 2013-06-2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480B1 true KR101459480B1 (ko) 2014-11-07

Family

ID=5228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860A KR101459480B1 (ko) 2013-06-21 2013-06-2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78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WO2021137648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193A1 (ja) * 2010-07-23 2012-01-26 エヌワイ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と相手側部材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193A1 (ja) * 2010-07-23 2012-01-26 エヌワイ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と相手側部材の接続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78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한화 Fpcb 연결 장치
WO2021137648A1 (ko) * 2020-01-03 2021-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6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US7612296B2 (en) Visually inspectable surface mount device pad
US5471368A (en) Module having vertical peripheral edge connection
US20150264804A1 (en) Pcb back drill detection method and pcb plating
US20130016480A1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heat gathering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4650948B2 (ja) スルーホールのはんだ付け構造
KR101459480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유닛 및 그 연결 방법
US20190006777A1 (en) Printed Circuit Board Solder Joints
US20130248237A1 (en) Printed circuit board
JP2009206327A (ja) 配線構造及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20502765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に設けられたコンタクト面を金属コンタクトに接触接続するための方法、圧着片、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と金属コンタクトとの接続部ならびに制御装置
US20170019998A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652963B1 (ko) 다방향 메탈 피시비 조립방법
KR20140073758A (ko) 인쇄회로기판
US20090073713A1 (en) LED Multidimensional Printed Wiring Board Using Standoff Boards
JP201715766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0810A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
JP4923275B2 (ja) スルーホール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2005327895A (ja) プリント配線板
JP2007266178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CN217283545U (zh) 双面电路板和电路板组件
CN210042391U (zh) 一种pcb板焊接结构
JP2002271007A (ja) 両面プリント配線基板
JP2010177622A (ja) 配線基板
JP5672026B2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