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785B1 -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 Google Patents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785B1
KR101458785B1 KR20130057196A KR20130057196A KR101458785B1 KR 101458785 B1 KR101458785 B1 KR 101458785B1 KR 20130057196 A KR20130057196 A KR 20130057196A KR 20130057196 A KR20130057196 A KR 20130057196A KR 101458785 B1 KR101458785 B1 KR 10145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ube
bulk bag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숙
이현정
이현서
이현아
Original Assignee
박은숙
이현정
이현서
이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숙, 이현정, 이현서, 이현아 filed Critical 박은숙
Priority to KR2013005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8/00Large container
    • B65D2588/02Large container rigid
    • B65D2588/12Large container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2588/125Intermediate bulk container [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자루형 몸체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되, 상기 튜브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다수의 접힘점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본 발명은 벌크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립형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벌크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백(bulk bag)은 비료, 곡물, 광물, 화합물 등과 같은 적재물을 적재하고 운반하는데 쓰이는 커다란 자루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라고 지칭되기도 하며, 그 외에도 톤백(ton bag), 빅백(big bag), 슈퍼백(super bag) 등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벌크백의 구조를 살펴보면 직물재 등 유연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자루의 측면 부분에 지게차의 포크에 걸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고리 또한 직물재 등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아래로 처지거나 구겨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지게차의 포크에 고리를 걸거나 벗기기 위해서는 수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890호(2011. 9. 20.) "톤백"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공보를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형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외면에 재봉띠(22)가 재봉되고, 고리(21)는 벌크백 상단으로 돌출되는 여러 개의 고리수단(20)으로 구성된 벌크백이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고리수단(20)은 전체 내부에 탄성을 가진 심재(30)를 내장하여 세워진 상태로 형태를 유지케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탄성을 가진 심재(30)를 이용하여 고리(21)가 항상 세워지도록 하여 앞서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처럼 보이나, 현재 이러한 고리수단(20)은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탄성을 가진 심재(30)를 이용하는 경우 고리가 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시 부피가 커지게 되고, 특히나 고리수단(20)의 무게가 무거워 지기 때문에 직물재로 된 벌크백에 상단에서 서있지 못하고 넘어지거나 또는 적재물을 담을 때 벌크백의 형태를 유지기가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크백 고리가 세워진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무게를 가볍게 하여 고리가 세워진 상태가 원활히 유지되며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 형태를 이루어 고리가 지게차의 포크에 걸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벌크백을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튜브를 이용해 벌크백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자루형 몸체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되, 상기 튜브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다수의 접힘점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크백 고리가 서 있는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공기를 이용해 형태를 유지케 함으로써 고리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공기를 주입하고 빼내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고리를 세울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 형태를 이루어 고리가 지게차의 포크에 걸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벌크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벌크백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가 형성된 벌크백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리에 슬리브가 형성된 벌크백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가 벌크백 몸체 하단까지 길이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에 지게차의 포크를 걸어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내지 9은 튜브를 이용해 본 발명에 의한 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해 슬리브가 형성된 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고리가 세워진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되, 무게를 가볍게 하여 고리가 세워진 상태가 원활히 유지되며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 형태를 이루어 고리가 지게차의 포크에 걸리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벌크백을 얻기 위해 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자루형 몸체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되, 상기 튜브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다수의 접힘점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다각형의 링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가 형성된 벌크백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고리의 구조를 달리한 벌크백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에 슬리브가 형성된 벌크백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에 지게차의 포크를 걸어주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벌크백은 내부가 비어 적재물을 담을 수 있는 자루형의 몸체(100)를 이루고 상단부에 링 형태로 되는 고리(200)가 형성되어 지게차 또는 크레인과 같은 장비로 상기 고리(200)를 걸어 벌크백을 들어올릴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기타 견고한 재질로 짜인 원단을 이용해 형성된다. 몸체(100)의 재질은 적재되는 적재물의 양에 따라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합당한 재질이 선택되는데, 적재물의 양이 적을 경우 비닐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등 다양한 재질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고리(200)는 별도로 마련되어 상단 측면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리(200)는 벌크백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요한 적절한 개수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벌크백 몸체(10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는데, 이 경우 상단 입구가 사각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네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리(20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리(200)는 공기가 채워져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형성된다. 내부가 비어 공기가 채워짐으로써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키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거나 오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리(200)의 무게를 최소로 하면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200)는 적어도 두 개가 한 조를 이루며 벌크백 몸체(1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0) 사이에 슬리브(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30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부직포나 합성수지 천과 같은 원단으로 고리(200)와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게 말아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고리(2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리브(3000가 고리(200) 사이에 설치되면 고리(200)와 함께 터널을 형성하게 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터널을 관통하여 고리(200)를 포크에 쉽게 걸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리(200)와 슬리브(300)의 결합은 지퍼에 의할 수 있다. 그러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착과 같이 두 물체를 결합시키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고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하단까지 길이가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리(200)의 하단이 몸체(100) 하단에 이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리(200)에 공기가 주입되면 고리(200)가 벌크백 몸체(100)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벌크백의 형태 유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 구성은 필요에 따라 채택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9은 튜브를 이용해 본 발명에 의한 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리(200)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튜브(2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220)는 내부가 비고 밀폐되어 주입된 공기가 새나가지 않게 형성된다. 튜브(220) 자체로 고리(20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별도로 마련된 피복을 튜브(220)에 씌워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쉽게 끊어지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튜브(220)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링 형태를 이루게 성형됨으로써 고리(200)로 형성된다. 튜브(220)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링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공기 주입을 위해 튜브(220)에는 주입구(224)가 형성된다. 주입구(224)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물론 배출할 수도 있게 형성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벌크백을 사용하는 경우 공기를 주입해서 고리(200)를 세워진 상태로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세워진 고리(200)에 쉽게 걸어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반면 벌크백을 보관을 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때와 같이 부피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튜브(220) 일측 단부에는 양측 가장자리가 일부 절개되는 절개부(22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앙부가 절개되어 슬릿(228)이 형성된다. 절개부(226)는 전체 폭 중 1/3 정도만을 남기고 양측을 절개하여서 형성하는 것이고, 반대로 슬릿(228)은 전체 폭 중 중앙부 1/3 정도만이 절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226)과 슬릿(228)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된 지점은 튜브(220) 내부에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접착 또는 융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튜브(2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슬릿(228)을 관통한 다음 절개부(226)가 슬릿(228)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224)로 공기가 주입되면 튜브(220)가 부풀어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링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26)와 슬릿(228)의 절개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튜브(220)의 폭 방향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슬릿(228)의 방향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튜브(220)는 다수의 접힘점(222)이 형성된다. 접힘점(222)은 튜브(22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튜브(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226)에서 슬릿(228)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하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다. 튜브(2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접힘점(222)에서 접히게 된다. 따라서 절개부(226)를 슬릿(228)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튜브(220)가 자연스럽게 다각형을 이루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해 슬리브가 형성된 고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튜브(220)를 이용해 고리(200)를 형성하는 경우 튜브(220) 사이에 슬리브(300)를 결합함으로써 고리(200) 사이에 슬리브(300)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튜브(220)와 슬리브(300)의 결합은 다양한 결합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지퍼를 이용한 결합을 예로 하였다. 이 경우 슬리브(300)는 펼쳐진 상태에서 튜브(220)에 결합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슬리브(300) 양측 가장자리에 지퍼가 형성되고 튜브(220) 일측에도 지퍼가 형성되어 튜브(220)가 슬리브(300) 양측에 지퍼로 결합되는 것이다.
펼쳐진 슬리브(300)와 튜브(2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튜브(220)의 일측 단부를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228)에 관통시키게 된다. 이때 펼쳐진 슬리브(300)도 튜브(220)와 같이 말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220)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224)로 공기가 주입되면 튜브(220)가 부풀어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링 형태를 이루게 되고 슬리브(300)는 터널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0)가 형성된 고리(200)가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고리(2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한 벌크백은 고리(200)에 공기를 주입됨으로써 서 있는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바, 공기를 이용해 형태를 유지케 함으로써 고리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요한 경우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고리를 세울 수 있게 되는 등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몸체, 200 : 고리,
220 : 튜브, 222 : 접힘점,
224 : 주입구, 226 : 절개부,
228 : 슬릿, 300 : 슬리브.

Claims (8)

  1. 측면에 고리(200)가 형성된 자루형 몸체(100)가 마련되며,
    상기 고리(2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튜브(22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220)는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링 형태를 이루되,
    상기 튜브(22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다수의 접힘점(222)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200)가 다각형의 링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20)는 주입구(224)가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는 자립형 벌크백.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20)의 일측 단부는 양측이 절개되어 절개부(226)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 단부에는 슬릿(228)이 형성되되,
    상기 일측 단부가 상기 슬릿(228)을 관통하여 절개부(226)가 슬릿(228)에 걸리고 상기 주입구(224)로 공기가 주입되면 링 형태로 형성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220)의 타측 단부는 몸체(100) 하단까지 연장되어 몸체(100)를 지지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고리(200)가 적어도 두 개 마련되어 한 조를 이루되, 상기 고리(200) 사이에는 슬리브(300)가 형성되어 터널 형태를 이루게 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200)와 슬리브(300)는 지퍼로 결합되는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7. 삭제
  8. 삭제
KR20130057196A 2013-05-21 2013-05-21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10145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96A KR101458785B1 (ko) 2013-05-21 2013-05-21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196A KR101458785B1 (ko) 2013-05-21 2013-05-21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785B1 true KR101458785B1 (ko) 2014-11-05

Family

ID=5228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7196A KR101458785B1 (ko) 2013-05-21 2013-05-21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95U (ja) * 1991-08-12 1993-03-02 照始 酒見 運搬用袋容器
JPH09110089A (ja) * 1995-10-19 1997-04-28 Sato Sangyo Kk 粒体排出装置付袋を内側に嵌装したコンテナ
JP2002225873A (ja) 2001-01-31 2002-08-14 Sekisui Plastics Co Ltd 飲料容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695U (ja) * 1991-08-12 1993-03-02 照始 酒見 運搬用袋容器
JPH09110089A (ja) * 1995-10-19 1997-04-28 Sato Sangyo Kk 粒体排出装置付袋を内側に嵌装したコンテナ
JP2002225873A (ja) 2001-01-31 2002-08-14 Sekisui Plastics Co Ltd 飲料容器ホルダ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4929A (en) Bulk containers
US5222812A (en) Bulk containers
US9540840B2 (en) Shape retaining foldable umbrella base
FI57913C (fi) Flexibel saeck och et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n flexibel saeck
US5607237A (en) Bulk bag with lift straps
US7798712B2 (en) Large capacity waste disposal bag
JPH08175597A (ja) リサイクル可能なバルクバッグコンテナー
KR101874264B1 (ko) 컨테이너백
CZ286342B6 (cs) Ohebný zásobník se zlepšenou dolní a horní částí
DK2812493T3 (en) BULK MATERIAL CONTAINER with the connector
US10442575B1 (en) Waste bag and assembly methods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1458785B1 (ko)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US20060245672A1 (en) Multicoat free standing bag
KR101609339B1 (ko)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102649842B1 (ko) 플렉시블 컨테이너
US10112769B2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KR101458146B1 (ko)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US20140205209A1 (en) Bare liner bulk bag
WO2014192993A1 (ko)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950000597B1 (ko) 부피가 있는 물질을 들어올리고,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20170005995A (ko) 인양이 용이한 벌크 백
KR101149349B1 (ko) 포대 기립용 튜브 및 이를 구비한 포대
KR200455252Y1 (ko) 포대
CN208470477U (zh) 一种设置有自支撑结构的编织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