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054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054B1
KR101458054B1 KR1020140105654A KR20140105654A KR101458054B1 KR 101458054 B1 KR101458054 B1 KR 101458054B1 KR 1020140105654 A KR1020140105654 A KR 1020140105654A KR 20140105654 A KR20140105654 A KR 20140105654A KR 101458054 B1 KR101458054 B1 KR 10145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imilar
pseudo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다카키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런트 단자부(30)와, 이 프런트 단자부(30)보다 접점 위치가 커넥터의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리어 단자부(40)를 갖고, 접속 대상이 되는 상대 단자와 도통 접속하는 단자(20)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1)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시의 삽입감을 좋게 하고, 끼워 맞춤 불량을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서,
프런트 단자부(30)에는 프런트 탄성 아암(31)과, 그 프런트 탄성 아암(31)의 선단에 형성되는 프런트 접촉부(32)를 갖고, 그 프런트 접촉부(32)에는 상대 단자에 대하여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33)과, 이 프런트 접점(33)보다 커넥터의 삽입구측에 위치하여 상대 단자에 부착한 이물을 와이핑하는 유사 접점(34)을 갖는 전기 커넥터(1)로 했다. 이에 따라, 유사 접점(34)과 프런트 접점(33)으로 이물을 제거하여 리어 접점(43)에서 확실한 도통 접촉을 가능하게 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이물을 와이핑하는 접점과, 상대 단자와 도통(導通) 접속하는 접점을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단자가 도통 접속하는 상대 단자의 표면에는 기판 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일이 있다. 그러한 이물이 단자의 접점과 상대 단자와의 사이에 끼이면, 단자간의 도통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 하나의 단자에 2개의 단자부를 설치하고, 각각의 단자부의 선단에 설치한 접점 중, 한쪽을 이물의 와이핑용으로, 다른 한쪽을 상대 단자와의 도통 접속용으로 형성한 단자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2-69243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2-69243호 공보
그런데 2개의 단자부를 설치하면, 각각의 단자부가 갖는 접압이 상대 단자에 가해지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의 삽입력이 증대한다. 그 때문에 단자부가 하나인 경우에 비하여, 전기 커넥터를 끼워 맞추는 조작자에게 있어서는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무겁게 느껴져서 조작성이 악화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이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삽입감이 좋은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프런트 단자부와, 이 프런트 단자부보다 접점 위치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리어 단자부를 갖고, 접속 대상이 되는 상대 단자와 도통 접속하는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프런트 단자부에는 프런트 탄성 아암과, 그 프런트 탄성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프런트 접촉부를 가지며, 그 프런트 접촉부에는 상대 단자에 대하여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과, 이 프런트 접점보다 삽입구측에 위치하여 상대 단자에 부착한 이물을 와이핑하는 유사(疑似) 접점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전기 커넥터는 프런트 단자부와, 이 프런트 단자부보다 접점 위치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리어 단자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상대 단자에 대하여 프런트 단자부와 리어 단자부의 쌍방에서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프런트 단자부에는 프런트 탄성 아암과, 그 프런트 탄성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프런트 접촉부를 갖기 때문에, 프런트 탄성 아암을 스프링으로서 프런트 단자부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그 프런트 접촉부에는 상대 단자에 대하여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과, 이 프런트 접점보다 삽입구측에 위치하여 상대 단자에 부착한 이물을 와이핑하는 유사 접점을 갖기 때문에, 상대 단자와 유사 접점과의 사이에 이물을 끼워서 거두어 들일 수 있고, 또 이 유사 접점에서 거두어 들일 수 없었던 이물도 프런트 접점에서 거두어 들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사 접점과 프런트 접점의 양자에서 이물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리어 단자부도 또, 프런트 단자부와 마찬가지로 탄성 아암부와, 접점을 갖는 접촉부를 설치할 수 있고, 프런트 단자부와 마찬가지로, 리어 탄성 아암을 탄성 변형시켜 리어 접점을 상대 단자와 접촉시킬 수 있다. 즉 프런트 단자부에서 이물을 잡음으로써 그 프런트 단자부가 도통으로 기능하지 않아도, 리어 단자부에서 도통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프런트 단자부와 리어 단자부를 서로 독립하여 만곡시킬 수 있고, 접촉부의 형상도 또 서로 독립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프런트 단자부와 리어 단자부에서 서로 독립한 삽입력을 갖게 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을 펀칭하여 형성한 펀칭 단자로 하면, 금속의 판 두께면을 접점으로 할 수 있고, 2개의 접점이 있으면, 2개의 접점 모두 판 두께 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접점의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 접점, 프런트 접점, 리어 접점 모두 삽발 방향을 따르는 동일 면에서 상대 커넥터와 접촉시킬 수 있다.
삽발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과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을, 상기 가상선과 프런트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프런트 접점 삽입각(F1)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삽발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과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을, 상기 가상선과 프런트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프런트 접점 삽입각(F1)보다 작게 형성했기 때문에, 유사 접점을 갖는 프런트 단자부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유사 접점의 안쪽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각(C2)을 90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각(C2)을 90도보다 크게 형성했기 때문에, 이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유사 접점의 두께를 그 주위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경사면을 프런트 접촉부에 설치할 수 있다. 유사 접점의 두께를 그 주위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경사면을 프런트 접촉부에 설치했기 때문에, 수지제 재료가 깎인 찌꺼기가 상대 단자에 용융 부착하여 생긴 이물 등에 대하여, 선단을 가늘게 한 유사 접점에서 절단하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이물에 대한 이물 제거능을 높일 수 있다.
유사 접점의 선단보다 프런트 접점의 선단을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유사 접점의 선단보다 프런트 접점의 선단을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시켰기 때문에, 환언하면, 프런트 접점의 위치를 유사 접점의 위치보다 전후 방향에서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하도록 프런트 접촉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유사 접점과 상대 단자의 사이에 홀딩할 수 없어 다 없애지 못했던 이물을, 프런트 접점에서 홀딩하여 제거하는 이물 제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이물을 제거하여 도통 불량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커넥터 끼워 맞춤시의 삽입압을 저감하여 삽입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자의 프런트 단자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자의 프런트 단자부의 판 두께 방향의 두께 차이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프런트 단자부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 3 상당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단자의 리어 단자부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하우징(10)에 단자(20)가 조립된 전기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1)는 프린트 기판 등의 접속 대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다른 프린트 기판 등에 설치되는 상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끼워 맞추고, 전기 커넥터(1)에 구비하는 단자(20)와, 상대 커넥터에 구비하는 상대 단자가 접촉하여 프린트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편의상, 도 1의 X방향을 폭 방향, Y방향을 전후 방향, Z방향을 상하 방향(삽발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단 이들의 방향은 전기 커넥터(1)의 설치 방향이나 사용 방향을 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자(20)를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또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입벽(立壁)(13)에 의해 오목홈(12)이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를 받아들이는 삽입구가 개구되어 있다. 또, 단자 고정홈(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단자(20)를 고정하고 있다.
단자(20)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두께 방향으로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고,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에의 고정에 이용하는 고정부(21)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프런트 단자부(30) 및 리어 단자부(40)와, 2개의 고정부(21, 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탄성 아암(24)과,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25)와, 프런트 및 리어 단자부(30, 40)의 기단에 연통하는 기단부(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부(21)나 각 단자부(30, 40)의 두께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복수의 단자(20)는 하우징(10) 내에서 서로 폭 방향으로 일렬씩 배열하도록 조립된다.
프런트 단자부(3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프런트 탄성 아암(31)과, 프런트 탄성 아암(31)의 선단에 형성되는 프런트 접촉부(32)를 갖고, 프런트 접촉부(32)에는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33)과, 이 프런트 접점(33)보다 전기 커넥터(1)의 삽입구측(상측)에 위치하여 상대 단자에 부착한 이물을 와이핑하는 유사 접점(34)를 갖고 있다. 또한 상대 단자에 부착하고 있는 이물에는 섬유나 사진(砂塵), 기판 깎은 찌꺼기, 성형 깎은 찌꺼기, 플럭스,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프런트 단자부(3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 3에서 나타낸다.
전기 커넥터(1)의 삽발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L)과 유사 접점(34)의 삽입구측 가장자리(34a)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을, 상기 가상선(L)과 상기 프런트 접점(33)의 삽입구측 가장자리(33a)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프런트 접점 삽입각(F1)보다 작게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은 15도∼45도가 바람직하고, 프런트 접점 삽입각(F1)은 그 유사 접점 삽입각(C1)보다 큰 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 접점 삽입각(C1)이 45도보다 크면 프런트 단자부(30)의 삽입력이 너무 커져서 삽입감이 나빠진다. 15도보다 작으면 유사 접점(34)에 의한 이물 제거 효과가 옅어지게 된다. 또, 프런트 접점(33)의 프런트 접점 삽입각(F1)은 90도보다 커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90도보다 크면 프런트 접촉부(32)가 상하 방향으로 너무 커져서 리어 접촉부(42)와의 간격이 넓어지고, 커넥터끼리의 컴팩트한 끼워 맞춤을 할 수 없게 된다.
유사 접점(34)의 삽입각(C1)은 작게 하는 한편, 유사 접점각(C2) 즉, 유사 접점(34)의 삽입구측 가장자리(34a)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 가장자리(34b)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각(C2)을 90도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유사 접점각(C2)이 작은 경우에는 유사 접점(34)에 이물이 접한 후, 그 이물은 유사 접점(34)의 양 옆으로 밀어내어져서 유사 접점(34)의 바로 뒤로 돌아 들어가거나, 유사 접점(34)에 접한 후, 유사 접점(34)를 타고 넘어 그 바로 뒤로 이동하거나 하는 일이 일어나기 쉽다. 그에 비하여, 유사 접점각(C2)이 90도보다 큰 경우에는 유사 접점 주변의 판면 방향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유사 접점(34)의 바로 뒤로 이물이 돌아 들어가기 어렵고, 또, 유사 접점(34)이 이물을 타고 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유사 접점(34)에 접한 이물이 프런트 접점(33)이나 리어 접점(43)에도 접할 확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이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돌출한 유사 접점(34)과 프런트 접점(33)의 사이는 안부(鞍部)가 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오목부의 깊이는 0.05mm 이하로 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깊어지면, 유사 접점각(C2)이 작아져서 유사 접점(34)에서의 이물 제거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유사 접점(34)과 프런트 접점(33)의 굵기는 동등하게 하고 있지만, 유사 접점(34) 부분의 판 두께를 얇게 하는 등으로 하여, 유사 접점(34)을 프런트 접점(33)보다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사 접점(34)을 얇게 하면, 유사 접점(34)의 마찰 계수가 저하하여 삽입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 유사 접점(34)이 얇아도 유사 접점(34)이 상대 단자와 접촉한 부분에서 이물이 제거 가능하고, 얇게 함으로써 놓친 이물이 있어도 프런트 접점(33)에서 없애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의 선단을, 그것 이외의 프런트 접촉부(32)의 두께, 즉 단자(20)의 판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접촉부(32)의 판 두께보다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의 두께를 얇게 하도록,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의 주위에서, 프런트 접촉부(32)의 판 면으로부터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으로 향하는 경사면(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S)을 형성함으로써,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의 상대 단자에 대한 슬라이딩면을 얇게 할 수 있으며, 또,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 각각의 슬라이딩면의 두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사 접점(34)을 칼끝처럼 형성하면, 상대 단자에 용융 부착한 이물 등을 분단하여 상대 단자와의 접착력을 약하게 한 후에, 프런트 접점(33)에서 와이핑 제거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프런트 접점(33)은 유사 접점(34)의 위치보다 전후 방향에서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오도록 형성하고 있고, 그 돌출한 길이를 0.01mm∼0.05mm로 하는 것은 바람직한 양태이다. 프런트 접점(33)을 유사 접점(34)의 위치보다 전후 방향에서 상대 단자측으로 0.01mm∼0.05mm 돌출한 위치에 형성하면, 0.05mm 이상의 큰 이물은 유사 접점(34)에서 제거하기 쉽고, 프런트 접점(33)에서는 그것보다 작은 이물을 제거하기 쉽다.
상기 예와는 반대로,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사 접점(34)의 위치를 프런트 접점(33)보다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한 양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는 유사 접점(34)이 상대 단자와 접촉한 후, 프런트 탄성 아암(31)이 휘어서 프런트 접점(33)이 상대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유사 접점(34) 쪽을 돌출시킴으로써, 프런트 단자부(30)의 접압을 낮게 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다.
리어 단자부(40)도 프런트 단자부(30)와 마찬가지로, 리어 탄성 아암(41)과, 리어 접점(43)을 갖는 리어 접촉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단, 리어 단자부(40)에는 유사 접점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접촉부(42)의 삽입구측 가장자리(42a)와 상기 가상선(L)과의 사이의 리어 접점 삽입각(R1)도 또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접점 삽입각(R1)이 작을수록 리어 단자부(40)의 삽입력이 낮아져 삽입성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 리어 단자부(40)는 리어 접점(43)의 위치를 프런트 접점(33)의 위치보다 전후 방향에서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한 위치에 오도록 형성하고 있다. 리어 접점(43)의 위치를 프런트 접점(33)보다 돌출시킴으로써, 리어 접점(43)의 접압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어 상대 단자와의 확실한 도통 접촉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 탄성 아암(24)은 접속부(25)로 통하는 일단측과 기단부(26)로 통하는 타단측과의 사이에서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역 U자가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입벽(1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접속부(25)는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기판상의 접점에 납땜 등 됨으로써 기판에 도통 접속된다.
기단부(26)는 양 단자부(30, 40)의 기단이 되고, 고정부(21)를 통하여 하우징(10)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상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는 전기 커넥터(1)의 하우징(10)과 끼워 맞추는 상대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 내에 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상대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1)의 오목홈(12)을 형성하는 삽입구에 찔러 넣음으로써 양 하우징이 끼워 맞춰지고, 전기 커넥터(1)의 복수의 단자(20) 각각이 복수의 상대 단자의 각각에 접촉한다. 이때, 단자(20)의 유사 접점(34), 프런트 접점(33) 및 리어 접점(43)이 상대 단자의 폭 방향 동일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순차 접촉하기 때문에, 하나의 상대 단자에 대하여 단자(20)의 합계 3개의 접점이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 끼워 맞춤시에 있어서, 단자(20)는 유사 접점(34)의 삽입각(C1)을 작게 했기 때문에, 프런트 단자부(30)의 삽입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끼워 맞춤시의 조작감을 높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1)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할 때의 삽입력(삽입압)은 접점의 접압이나, 마찰 저항, 게다가 접점의 삽발 방향에 대한 각도, 즉 여기서 말하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의 함수이기도 하기 때문에, 유사 접점 삽입각(C1)을 작게 함으로써 프런트 단자부(30)의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유사 접점(34)의 유사 접점각(C2)은 90도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고, 유사 접점(34)에 닿은 이물이 다시 접점(33, 43)의 궤도상에 부착할 확률을 적게 하고 있다.
프런트 단자부(30)는 또, 유사 접점 삽입각(C1)보다 큰 프런트 접점 삽입각(F1)을 갖는 프런트 접점(33)을 설치했기 때문에, 유사 접점(34)에서 이물을 제거할 수 없어도, 프런트 접점(33)에서 이물 제거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20)에는 프런트 단자부(30)와 리어 단자부(40)의 2개의 단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프런트 접촉부(32)에 설치한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에 이물이 부착했다고 해도, 그 유사 접점(34)이나 프런트 접점(33)이 통과한 후에 리어 접점(43)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접촉부(32)에서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리어 접점(43)에서는 상대 단자와 확실히 접촉시켜 도통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 접속하는 기판끼리의 확실한 도통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도전성의 금속판을 두께 방향으로 펀칭 가공하여 판 두께면을 접점으로 하면, 작은 스페이스 내에서 금속판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단자를 배열할 수 있어 전기 커넥터(1)의 폭 방향으로 단자(20)를 고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자(20)를 소켓형 하우징인 하우징(10)에 설치하지 않고, 상대 하우징인 플러그형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라도, 양 단자부(30, 40)의 선단측이 상대측 단자(소켓형 하우징)의 삽입구측에 상당하기 때문에, 접점 위치를 설명하는 상기 기재는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 고정부(21)나 접속부(25), 제 3 탄성 아암(24), 기단부(26)의 형상이나 크기, 위치, 개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제 3 탄성 아암(24)은 설치하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프런트 단자부(30)나 리어 단자부(40)의 탄성 아암의 형상이나 위치 등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프런트 접점 및 리어 접점 이외의 제 3 접점을 설치하는 등, 다른 구성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전기 커넥터(소켓형 커넥터) 10: 하우징
12: 오목홈 13: 입벽
20: 단자(소켓측 단자) 21: 고정부
24: 제 3 탄성 아암 25: 접속부
26: 기단부 30: 프런트 단자부
31: 프런트 탄성 아암 32: 프런트 접촉부
33: 프런트 접점
33a: (프런트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
33b: (프런트 접점의) 이측(裏側) 가장자리
34: 유사 접점
34a: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
34b: (유사 접점의) 안쪽측 가장자리
40: 리어 단자부
41: 리어 탄성 아암
42: 리어 접촉부
43: 리어 접점
43a: (리어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
43b: (리어 접점의) 안쪽측 가장자리
L: 가상선
C1: 유사 접점 삽입각
C2: 유사 접점각
F1: 프런트 접점 삽입각
R1: 리어 접점 삽입각
S: 경사면

Claims (8)

  1. 프런트 단자부와, 이 프런트 단자부보다 접점 위치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에 위치하는 리어 단자부를 갖고, 접속 대상이 되는 상대 단자와 도통 접속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프런트 단자부에는
    프런트 탄성 아암과, 그 프런트 탄성 아암의 선단에 형성되는 프런트 접촉부를 가지며,
    그 프런트 접촉부에는
    상기 금속판의 판 두께면에 형성되고, 상대 단자에 대하여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과,
    이 프런트 접점보다 삽입구측에 위치하여 상기 금속판의 판 두께면에 형성되고, 상대 단자에 부착한 이물을 와이핑하는 유사 접점을 갖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삽발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과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 삽입각(C1)을, 상기 가상선과 프런트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프런트 접점 삽입각(F1)보다 작게 형성한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사 접점의 삽입구측 가장자리와, 삽입구측과는 반대의 안쪽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유사 접점각(C2)을 90도보다 크게 형성한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사 접점의 두께를 그 주위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경사면을 프런트 접촉부에 설치한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사 접점의 선단보다 프런트 접점의 선단을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시킨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프런트 접점과 유사 접점과의 사이에 오목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사 접점의 판 두께 부분을 프런트 접점의 판 두께 부분보다 얇게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어 단자부에 상대 단자에 대하여 접촉하는 리어 접점을 설치하고, 프런트 접점의 선단보다 리어 접점의 선단을 상대 단자측으로 돌출시킨 전기 커넥터.
KR1020140105654A 2013-08-20 2014-08-14 전기 커넥터 KR101458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0190A JP5481595B1 (ja) 2013-08-20 2013-08-20 電気コネクタ
JPJP-P-2013-170190 2013-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054B1 true KR101458054B1 (ko) 2014-11-04

Family

ID=5074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654A KR101458054B1 (ko) 2013-08-20 2014-08-1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0753B2 (ko)
EP (1) EP2840659A1 (ko)
JP (1) JP5481595B1 (ko)
KR (1) KR101458054B1 (ko)
CN (1) CN104425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1595B1 (ja) * 2013-08-20 2014-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7117734A (ja) * 2015-12-25 2017-06-29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608361B2 (en) *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9326909A (zh) * 2018-11-20 2019-02-1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高密度大功率卡类连接端子以及连接器
KR20220032133A (ko) * 2020-09-07 202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JP1686040S (ko) * 2020-10-02 2021-05-24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873A (ja) * 1985-01-07 1986-08-14 ザ スタンダード オイル カンパニー 100パーセント固体、溶媒を伴なつたニトリル光硬化可能な被覆組成物および光硬化可能な被覆組成物を調製する方法
JP2004356096A (ja) * 2003-05-27 2004-12-16 Tyco Electronics Corp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9066A (en) * 1963-05-27 1965-08-03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US3631381A (en) * 1970-04-02 1971-12-28 Ind Electronic Hardware Corp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
US4106841A (en) * 1977-03-11 1978-08-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H0622939Y2 (ja) * 1986-11-28 1994-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間接型コネクタの接点構造
US4725250A (en) * 1987-01-27 1988-02-16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ircuit panel socket
US4891023A (en) * 1988-08-22 1990-01-02 Molex Incorporated Circuit card edge connector and terminal therefor
JPH11233183A (ja) 1998-02-13 1999-08-27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ジャックコネクタとカセット接続装置及びコネクタ
US6095821A (en) * 1998-07-22 2000-08-01 Molex Incorporated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reference terminals
US6015299A (en) * 1998-07-22 2000-01-18 Molex Incorporated Card edge connector with symmetrical board contacts
US6309254B1 (en) * 1998-12-17 2001-10-30 Tyco Electronics Corportion Card edge connector having cross-talk reduction feature
JP2001345134A (ja) * 2000-05-31 2001-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及び半導体装置
US20030198768A1 (en) 2001-02-13 2003-10-23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Fuel tank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US6439930B1 (en) * 2001-11-05 2002-08-2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s including moveable contacts
DE102004021529B4 (de) 2004-05-03 2007-02-01 Lumberg Connect Gmbh & Co. Kg Kontaktvorrichtung
JP2007109499A (ja) 2005-10-13 2007-04-26 Fujitsu Ltd コンタクト部材、コネクタ、基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5001193B2 (ja) 2008-02-19 2012-08-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804526B2 (ja) * 2008-11-28 2011-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374074B1 (ja) *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8491340B2 (en) * 2011-02-22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dge connector that accommodates printed circuit boards of varying thickness
JP5491664B1 (ja) * 2013-07-19 2014-05-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D717738S1 (en) * 2013-07-26 2014-11-18 Iriso Electronics Co., Ltd. Contact member
JP5481595B1 (ja) * 2013-08-20 2014-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873A (ja) * 1985-01-07 1986-08-14 ザ スタンダード オイル カンパニー 100パーセント固体、溶媒を伴なつたニトリル光硬化可能な被覆組成物および光硬化可能な被覆組成物を調製する方法
JP2004356096A (ja) * 2003-05-27 2004-12-16 Tyco Electronics Corp コンタクト構造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81595B1 (ja) 2014-04-23
CN104425932B (zh) 2018-03-09
CN104425932A (zh) 2015-03-18
JP2015041407A (ja) 2015-03-02
EP2840659A1 (en) 2015-02-25
US20150056830A1 (en) 2015-02-26
US9190753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54B1 (ko) 전기 커넥터
CN107623205B (zh) 电连接器
KR101526354B1 (ko) 커넥터 및 단자
JP5162338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101478584B1 (ko) 커넥터
US8579640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JP5486121B1 (ja) 電気コネクタ
US8747124B2 (en) Eye-of-the needle pin contact
KR20160129772A (ko)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KR20100031471A (ko)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JP2013020920A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WO2015068692A1 (ja) 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CN104852215A (zh) 连接器
JP486622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CN103390824A (zh) 连接器和配合连接器
TWI730196B (zh) 通訊系統之插頭連接器之插頭接點
JP6360939B1 (ja) 多接点コネクタ
CN113795983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装置
US11349234B2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JP2018163730A (ja) 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0073353A (ja) 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及びプラグ
CN209993821U (zh) 音源插座的改良型端子结构
KR20150011741A (ko) 커넥터
JP2014135196A (ja) コネクタ
JP2016103394A (ja) ワイピング部材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