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471A -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471A
KR20100031471A KR1020090085255A KR20090085255A KR20100031471A KR 20100031471 A KR20100031471 A KR 20100031471A KR 1020090085255 A KR1020090085255 A KR 1020090085255A KR 20090085255 A KR20090085255 A KR 20090085255A KR 20100031471 A KR20100031471 A KR 2010003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ade
receptacle
latch arm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398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죠오지 데일리
매튜 에드워드 모스톨러
세스 에스. 피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3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4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력을 회로 기판 등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2)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2)는, 전선 수용면(14)으로부터 정합면(12)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수용 공동들을 갖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정렬 공동들(48, 78)은 콘택트 수용 공동들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전선 수용면(14)을 향하여 정합면(12)으로부터 연장된다. 콘택트들(80, 90)은 콘택트 수용 공동들 내에 위치한다. 각 콘택트(80, 90)는 전선 수용부와 콘택트부를 갖는다. 전선 수용부는 종단되어 있는 전선(89, 99)을 갖고, 콘택트부는 정합면(12) 근처의 콘택트 수용 공동들 내에 위치한다. 커넥터 래치 아암(24)은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며, 하우징(10)의 정합면(12) 근처에 제공된 래치 돌출부(28)를 갖는다. 래치 돌출부(28)는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 정렬 공동, 전선 수용부, 커넥터 래치 아암

Description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원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패널 부재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컴퓨터, 프린터, 보조 하드웨어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 간에 전력 또는 전기 또는 전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데 필요하다. 흔히,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필요한 전기적 제어를 제공하도록 소형화된 구성요소들로 채워진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패널 부재들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패널 부재의 일단에 인접하여 고정된 하우징으로 연장되는 전기적 콘택트를 포함한다. 정합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성요소의 동작가능 신뢰성은 연결 통합성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다. 즉, 콘택트들 간에 전기적 연결이 불충분하면, 구성요소들은 의도한 대로 동작할 수 없다. 많은 종래 기술에서는, 인접하는 패널 부재들 간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들은 자신들을 서로 하나의 방향으로만 향하게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008년 5월 5일자의 Tyco Electronics Corporation의 특허 명세서 114-13225 Rev B 및 미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8/0166901 A1호는 제2 패널 부재에 고정된 제2 커넥터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패널 부재에 고정된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커넥터 조립체들의 각각은, 제1 부와 제2 부가 서로 소정의 제1 이격 거리로 배치된 제1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2 콘택트는 제2 부로부터 소정의 제2 이격 거리로 배치되고, 제1 콘택트의 소정의 제1 이격 거리는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커넥터 조립체와 제2 커넥터 조립체의 제2 콘택트 및 대응하는 제1 콘택트는 선회가능한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 조립체는, i) 정합 전기 커넥터 조립체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는 점과, ii) 커넥터 조립체들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 부품들의 수가 저감된다는 점과, iii) 커넥터 조립체의 성질이 암수한몸이라는 점을 포함한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한다.
커넥터 조립체들은 패널 부재들 간에 효과적인 연결을 제공하지만, 현재로는 전선을 커넥터 조립체에 연결하도록 커넥터 조립체와 정합되는 장착된 커넥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선들을 빠르게 연결하고 커넥터 조립체들로부터 빠르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전원 커넥터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
그 해결책은, 전선 수용면으로부터 정합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 콘택트 공동과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해 제공된다. 정렬 공동들은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정렬 공동들은 전선 수용면을 향하여 정합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리셉터클 콘택트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 내에 위치한다. 리셉터클 콘택트는 리셉터클 전선 수용부와 리셉터클 콘택트부를 갖고, 여기서 리셉터클 전선 수용부는 종단되어 있는 전선을 갖고, 리셉터클 콘택트부는 정합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 내에 위치한다. 블레이드 콘택트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 내에 위치한다. 블레이드 콘택트는 블레이드 전선 수용부와 블레이드 콘택트부를 갖고, 여기서 블레이드 전선 수용부는 종단되어 있는 전선을 갖고, 블레이드 콘택트부는 정합면 근처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 내에 위치한다. 커넥터 래치 아암은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 고, 정합면 근처에서 래치 돌출부를 갖는다. 래치 돌출부는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 회로 기판들 상에서 미리 사용되는 정합 커넥터를 이용하는 회로 기판들이나 다른 시스템들의 스트링에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많은 이점이 있다. 플러그 커넥터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력 리드를 회로 기판에 납땜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더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시 플러그 커넥터가 쉽게 맞물림 해제될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이나 다른 구성요소를 수리 또는 교체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콘택트(80)와 블레이드 콘택트(90)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정합면(12) 및 대면하는 전선 수용면(14)을 갖는다. 제1 벽(16), 대면하는 제2 벽(18)(도 5), 제1 측벽(20), 제2 측벽(22)은 정합면(12)으로부터 전선 수용면(14)으로 연장된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커넥터 래치 아암(24)은 제2 측벽(22) 근처에 제공된다. 커넥터 래치 아암(24)은 제1 벽(16)과 제2 벽(18)으로부터 연장되는 피봇 부재들(26)을 구비한다. 피봇 부재들(26)은 커넥터 래치 아암(24)이 래치 아암 둘 레로 선회하도록 커넥터 래치 아암(24)의 길이 방향 중심 근처에 위치한다. 래치 돌출부(28)는 정합면(12) 근처에 배치된 커넥터 래치 아암(24)의 단부에 제공된다. 맞물림 해제 부재(30)는 커넥터 래치 아암(24)의 대향단에 제공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하우징(10)은, 전선 수용면(14)으로부터 정합면(12)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 및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은 전선 수용면(14)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인 면(lead-in surface; 34)을 갖는다.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은, 정합면(12)을 향하여 리드인 면(34)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 수용부(36), 고정부(38), 정합 콘택트 수용부(40)를 갖는다. 고정부(3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래치 아암 돌출부(46)를 갖는 콘택트 래치 아암(44) 및 유지 숄더(42)를 구비한다. 다시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정렬 공동(48)은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의 정합 콘택트 수용부(4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정합 콘택트 수용부(40)는, 제1 벽(50)과 제1 벽(50)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52)을 갖고, 이는 정합 콘택트 수용부(40)를 부분적으로 규정한다. 제1 벽(50)은 내부에 슬롯(54)을 갖고 제2 벽(52)은 내부에 두 개의 슬롯(56)을 갖는다. 슬롯들(54, 56)은 리셉터클 콘택트(8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은 전선 수용면(14)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인 면(64)을 갖는다.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은, 정합면(12)을 따라 리드인 면(64)으로부터 연장되는, 전선 수용부(66), 고정부(68), 정합 콘택트 수용부(70)를 갖는다. 고정부(68)는 유지 숄더(42)(도 5 참조)와 유사한 유지 숄더(도시하지 않음), 및 콘택트 래치 아암 돌출부(76)를 갖는 콘택트 래치 아암(74)(도 4 참조)을 구비한다. 다시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정렬 공동(78)은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32)의 정합 콘택트 수용부(70)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콘택트(80)는 전선(89)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전선 수용부(81)를 갖는다. 전선(89)은 내부에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전선 수용부(81)는 전선(89)에 대하여 주름 잡힐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알려져 있는 다른 방식으로 전선(89)에 대하여 종단될 수 있다. 전선 수용부(81) 및 전선(89)의 일부는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의 전선 수용부(36) 내에 유지된다. 전이부(82)는 전선 수용부(81)로부터 장착부(83)로 연장된다. 장착부(83)는 전선 수용부(81)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장착 숄더들(84a, 84b)은 장착부들(83) 상에 제공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장착 숄더들(84a, 84b)은 하우징(10)의 고정부(38)의 콘택트 래치 아암 돌출부(46)와 유지 숄더(42)의 협동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탄성 콘택트 래치 아암(44)을 이용함으로써, 리셉터클 콘택트(8)가 하우징(10)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제거될 수 있다. 조작자는 콘택트 래치 아암(44)과 래치 아암 돌출부(46)를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리셉터클 콘택트(8)가 전선 수용면(14)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콘택트 래치 아암(44)의 탄성 특성들은 이러한 많은 사이클 들을 허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장착 숄더들(84a, 84b)은 장착부들(83)의 면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수직인 면 내에서 장착부들(83)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장착 숄더들(84a, 84b)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콘택트부(85)는 전선 수용부(8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부(83)로부터 연장된다. 콘택트부(85)는 탄성 콘택트 아암(86)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탄성 콘택트 아암(86)이 제공된다.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은 제1 벽(50)과 제2 벽(52)의 각 슬롯들(54, 56)에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은 향상된 탄성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휘어진다. 각 탄성 콘택트 아암(86)은 정합 콘택트와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콘택트 영역(87)을 갖는다. 콘택트 영역들(87)은 필수적으로 선형 정렬로 배치된다. 리드인 면들(88)은 정합면(12)을 향하여 콘택트 영역들(87)로부터 연장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서 탄성 콘택트 아암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개수의 콘택트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은 선형 정렬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콘택트 영역들(87)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동안, 전선(89)은 리셉터클 콘택트(80)의 전선 수용부(81)에 대하여 종단된다. 이어서, 리셉터클 콘택트(80)는 전선 수용면(14)을 통해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에 삽입된다. 리드인 면(34)은 리셉터클 콘택트(80)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장착 숄더(84a)는 래치 아암 돌출부(46)와 맞물리고, 이에 따라 콘택트 래치 아 암(44)이 탄성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장착 숄더(84b)가 유지 숄더(42)와 맞물리면, 장착 숄더(84a)는 래치 아암 돌출부(46)를 지나 이동하게 되어, 콘택트 래치 아암(44)은 자신의 응력을 받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숄더(84b)가 유지 숄더(42)에 대하여 그리고 장착 숄더(84a)가 래치 아암 돌출부(46)에 대하여 저항을 갖게 되면, 리셉터클 콘택트(80)는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에 유지된다.
블레이드 콘택트(90)는 전선(99)과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맞물리는 전선 수용부(91)를 갖는다. 전선(99)은 내부에서 전력을 전도하도록 구성된다. 전선 수용부(91)는 전선(99)에 대하여 주름 잡힐 수 있으며, 또는 임의의 알려져 있는 다른 방식으로 전선(99)에 대하여 종단될 수 있다. 전선 수용부(91) 및 전선(99)의 일부는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의 전선 수용부(66) 내에 유지된다. 전이부(92)는 전선 수용부(91)로부터 장착부(93)로 연장된다. 장착부(93)는 전선 수용부(91)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장착 숄더들(94a, 94b)은 장착부들(93) 상에 제공된다. 장착 숄더들(84a, 84b)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 숄더들(94a, 94b)은 하우징(10)의 고정부(68)의 콘택트 래치 아암 돌출부(76)와 유지 숄더의 협동에 의해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탄성 콘택트 래치 아암(74)을 이용함으로써, 하우징(10)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블레이드 콘택트(90)가 제거될 수 있다. 조작자는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으로부터 콘택트 래치 아암(74)과 래치 아암 돌출부(76)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 콘택트(90)가 전선 수용면(14)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콘택트 래치 아암(74)의 탄성 특성들은 이러한 많은 사이클들을 허용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장착 숄더들(94a, 94b)은 장착부들(93)의 면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수직인 면 내에서 장착부들(93)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장착 숄더들(94a, 94b)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콘택트부(95)는 전선 수용부(9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부(93)로부터 연장된다. 콘택트부(95)는 블레이드 콘택트(90)의 재료 두께의 두 배의 두께를 갖는 콘택트부(95)를 제공하도록 블레이드 상에서 휘어지는 필수적으로 블레이드이다. 접혀진 전단(front end; 96)이 제공되고, 접혀진 전단(96)은 블레이드 콘택트가 정합 콘택트와 정합될 때 블레이드 콘택트의 스터빙(stub)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의 성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서 콘택트부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택트부는 돌출되는 콘택트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 동안, 전선(99)은 블레이드 콘택트(90)의 전선 수용부(91)에 대하여 종단된다. 이어서, 블레이드 콘택트(90)는 전선 수용면(14)을 통해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 내에 삽입된다. 리드인 면(64)은 블레이드 콘택트(90)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장착 숄더(94a)는 래치 아암 돌출부(76)와 맞물리고, 이에 따라 콘택트 래치 아암(74)이 탄성 배치된다. 다른 장착 숄더(94b)는 유지 숄더(72)와 맞물리고, 장착 숄더(94a)는 래치 아암 돌출부(76)를 지나 이동하게 되어, 래치 아암(74)은 자신의 응력을 받지 않는 위치로 복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숄더(94b)가 유지 숄더(72)에 대하여 그리고 장착 숄더(94a)가 래치 아암 돌출부(76)에 대하여 저항을 갖게 되면, 블레이드 콘택트(90)는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 내에 유지된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가 완전히 조립된 경우,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과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은 하우징(10)의 부분들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는 전력이 전도될 때 리셉터클 콘택트(80)와 블레이드 콘택트(90) 간의 단락 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플러그 커넥터(2)는 도 7과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정합 커넥터(102)에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정합 커넥터는, 도 6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정합면(112)과 기판 맞물림면(114)을 갖는 하우징(110)을 구비한다. 정렬 돌출부들(116)은 커넥터 정합면(112)에 필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커넥터 정합면(112)으로부터 연장된다. 정합 블레이드 콘택트(118)의 콘택트부(120) 및 정합 리셉터클 콘택트(122)의 콘택트 아암들(124)도 커넥터 정합면(112)으로부터 연장된다. 래치 숄더는 커넥터 정합면(112) 근처에서 하우징(110)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정합 커넥터(102)가 맞물리게 되면, 정렬 돌출부들(116)은 각 정렬 공동들(48, 78) 내에 이동하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정합 커넥터(102)가 적절히 정렬되지 않으면, 정렬 돌출부들(116)은 정렬 공동들 내로 들어가지 않고,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가 정합 커넥터(102)에 부적절하게 정합되 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정합 커넥터(102)가 적절히 정렬되면, 정렬 돌출부들(116)이 정렬 공동들(48, 78) 내로 계속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2)의 리셉터클 콘택트(80)가 정합 커넥터(102)의 블레이드 콘택트(118)와 맞물릴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2)의 블레이드 콘택트(90)가 정합 커넥터의 리셉터클 콘택트(122)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정렬 돌출부들(116)이 콘택트들과 맞물리기 전에 정렬 공동들(48, 78)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므로, 하우징(10)과 정렬 돌출부들(116)은 정합이 발생할 때 그리고 전력이 콘택트들을 통해 전도될 때 각 정합 콘택트들을 계속 분리한다.
리셉터클 콘택트(80)와 블레이드 콘택트(118)가 함께 이동하면, 블레이드 콘택트(118)는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의 리드인 면(88)과 맞물려, 이들이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이 외측으로 탄성 배치되므로,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은 제1 벽(50)과 제2 벽(52)의 슬롯들(54, 56) 내로 이동하게 된다. 슬롯들(54, 56)과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의 협동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트(80)와 블레이드 콘택트(90) 간의 중심선 이격이 정합 커넥터(102)의 리셉터클 콘택트(122)와 블레이드 콘택트(118) 간의 중심선 이격과 동일해질 수 있다. 슬롯들(54, 56)이 없다면, 제1 벽(50)과 제2 벽(52)은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이 이동할 수 있도록 더 이격될 것이다. 증가된 이격은, 정렬 공동들(48, 78)의 이격과 콘택트들(80, 90)의 이격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가 정합 커넥터(102)와 정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이 계속되면, 콘택트 영역들(87)은 블레이드 콘택트(118)의 콘택트 부(120)를 가로질러 미끄러진다. 콘택트 영역들(87)은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의 탄성 배치에 의해 콘택트부(120)에 대하여 바이어싱되므로, 콘택트 영역들(87)은 와이핑(wiping) 액션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콘택트부(120)나 콘택트 영역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오염물이나 잔해를 제거한다.
블레이드 콘택트(90)와 리셉터클 콘택트(122)는 함께 이동하므로, 리셉터클 콘택트(122)는 블레이드 콘택트(90)의 접혀진 선단(96)과 맞물리고, 이에 따라 리셉터클 콘택트(122)의 탄성 콘택트 아암들(124)이 서로 떨어져 이동하게 된다. 탄성 콘택트 아암들(124)은 외측으로 탄성 배치되므로, 탄성 콘택트 아암들(124)은 블레이드 콘택트(90)의 콘택트부(95)를 가로질러 미끄러진다. 탄성 콘택트 아암들(124)은 콘택트부(95)에 대하여 바이어싱되므로, 와이핑 액션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콘택트부(95)나 탄성 콘택트 아암들(124)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오염물이나 잔해를 제거한다.
플러그 커넥터(2)와 정합 커넥터(102)가 자신들의 완전 정합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커넥터 래치 아암(24)의 래치 돌출부(28)는 래치 숄더(126)에 의해 탄성 배치된다. 완전 정합 위치에 도달하면, 래치 돌출부(28)는 래치 숄더(126)를 벗어나 이동하게 되고, 커넥터 래치 아암(24)은 자신의 응력을 받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래치 돌출부(28)를 래치 숄더(126) 뒤에 배치시킨다. 래치 돌출부(28)와 래치 숄더(126)의 협동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가 정합 커넥터(102)로부터 불필요하게 정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래치 아암(24)을 이용함으로써, 조작자는 플러그 커넥터(2)를 정합 커넥터(102)로부터 쉽게 정합 해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로 기판(140) 및 기타 구성요소의 유지보수 및 수리가 쉽다.
플러그 커넥터(2)를 이용하게 되면, 회로 기판들 상에서 미리 사용되는 정합 커넥터를 이용하는 회로 기판들이나 다른 시스템들의 스트링에 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많은 이점이 있다. 플러그 커넥터(2)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전력 리드를 회로 기판에 납땜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더 신뢰성있고 효과적인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시 플러그 커넥터(2)가 쉽게 맞물림 해제될 수 있으므로, 회로 기판이나 다른 구성요소를 수리 또는 교체하는 기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된 플러그 커넥터의 콘택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콘택트를 제거하고 중심을 따라 절취된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제2 벽에 관하여 콘택트들이 콘택트 래치 아암들과 협동하는 위치에 배치된 콘택트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 콘택트가 내부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절취된 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의 정합 전 정합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가 완전히 정합된 위치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정합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정합 커넥터들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일련의 인쇄 회로 기판을 도시하며, 여기서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는 각 정합 커넥터와 정합되고, 플러그 커넥터는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 플러그 커넥터
10 하우징
12 정합면
14 전선 수용면
16 제1 벽
20 제1 측벽
22 제2 측벽
24 커넥터 래치 아암
32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
34 리드인 면
40 정합 콘택트 수용부

Claims (8)

  1. 전기 커넥터(2)로서,
    전선 수용면(14)으로부터 정합면(12)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및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 콘택트 공동(6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 콘택트 공동(6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 공동들(48, 78)을 갖는 하우징(10) - 상기 정렬 공동들(48, 78)은 전선 수용면(14)을 향하여 상기 정합면(12)으로부터 연장됨 - 과
    리셉터클 전선 수용부(81)와 리셉터클 콘택트부(85)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에 배치된 리셉터클 콘택트(80) -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부(85)는 상기 정합면(12) 근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에 배치됨 - 와,
    블레이드 전선 수용부(91)와 블레이드 콘택트부(95)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 콘택트 공동(62) 내에 배치된 블레이드 콘택트(90) - 상기 블레이드 콘택트부(95)는 상기 정합면(12) 근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수용 콘택트 공동(62) 내에 배치됨 - 와,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정합면(12) 근처에서 래치 돌출부(28)를 갖는 커넥터 래치 아암(24) - 상기 래치 돌출부(28)는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함 -
    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로 연장되는 제1 래치 아암 돌출부(46)와 제1 유지 숄더(4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래치 아암 돌출부(46)와 상기 제1 유지 숄더(4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 내에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80)를 유지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80)의 리셉터클 장착 숄더(84)와 협동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 아암 돌출부(46)는, 상기 제1 래치 아암 돌출부(46)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을 벗어나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배치될 수 있는 제1 콘택트 래치 아암(44) 상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8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 내로 연장되는 제2 래치 아암 돌출부(76)와 제2 유 지 숄더(72)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래치 아암 돌출부(76)와 상기 제2 유지 숄더(7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 내에 상기 블레이드 콘택트(90)를 유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콘택트(90)의 장착 숄더(94)와 협동하는, 전기 커넥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래치 아암 돌출부(76)는 상기 제2 래치 아암 돌출부(76)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으로부터 벗어나 이동시키도록 탄성 배치될 수 있는 제2 콘택트 래치 아암(74) 상에 제공되고,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콘택트(9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콘택트 수용 공동(6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콘택트 수용 공동(32)은 정합 콘택트 수용 영역(40)을 규정하는 벽들(50, 52)을 갖고, 상기 벽들(50, 52)은 상기 벽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롯들(54, 56)을 갖는, 전기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80)는, 정합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콘택트(80)와 정합될 때 상기 벽들(50, 52)의 슬롯들(54, 56)과 정렬되며 상기 벽들(50, 52)의 슬 롯들(54, 56) 내로 이동하는 탄성 콘택트 아암들(86)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전선 수용부(81)와 상기 블레이드 전선 수용부(91)는 종단된 전선들(89, 99)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90085255A 2008-09-12 2009-09-10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KR101562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9,340 US7731520B1 (en) 2008-09-12 2008-09-12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US12/209,340 200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71A true KR20100031471A (ko) 2010-03-22
KR101562398B1 KR101562398B1 (ko) 2015-10-21

Family

ID=4125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255A KR101562398B1 (ko) 2008-09-12 2009-09-10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31520B1 (ko)
EP (1) EP2164135B1 (ko)
JP (1) JP5557236B2 (ko)
KR (1) KR101562398B1 (ko)
CN (1) CN101685916B (ko)
CA (1) CA2676905C (ko)
ES (1) ES2388339T3 (ko)
MX (1) MX2009009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160A (ko) * 2015-05-22 2016-11-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678B1 (fr) * 2008-09-29 2010-11-05 Cemm Thome Lampe a diode electroluminescente
CN102723628B (zh) * 2011-03-30 2015-03-2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源端子及电源连接器
US8634901B2 (en) 2011-09-30 2014-01-21 Covidien Lp ECG leadwire system with noise suppression and related methods
WO2014007051A1 (ja) * 2012-07-03 2014-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接続端子
US8845368B1 (en) * 2012-08-31 2014-09-30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s
JP5724993B2 (ja) * 2012-11-22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ネクタ装置
CN105765797B (zh) 2013-11-27 2019-07-05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电力连接器
CN104485533A (zh) * 2014-12-29 2015-04-01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电源连接器的插座
JP2017199497A (ja) * 2016-04-26 2017-11-0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JP6774833B2 (ja) * 2016-09-30 2020-10-2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保持構造および成形品
US11251560B2 (en) * 2019-03-11 2022-02-1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TWI744799B (zh) * 2020-02-13 2021-11-01 映興電子股份有限公司 同槽複接式閘刀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4267A (en) * 1942-04-25 1945-09-04 Johan M Andersen Electrical connector
US4239319A (en) 1978-11-13 1980-1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mponent package for interconnection between plug and socket connectors
US4654743A (en) 1984-01-05 1987-03-31 Illinois Tool Works Inc. Transient voltage protector
US4596439A (en) 1984-01-05 1986-06-24 Illinois Tool Works Inc. Transient voltage protector
JPS62103180U (ko) * 1985-12-20 1987-07-01
US4685886A (en) * 1986-06-27 1987-08-1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header
JPS6315583U (ko) * 1986-07-16 1988-02-01
US4917624A (en) 1989-03-28 1990-04-17 Yu Mu Gen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US5034846A (en) 1989-09-11 1991-07-23 Donald E. Hodge Plug protector
US4963102A (en) 1990-01-30 1990-10-16 Gettig Technologies Electrical connector of the hermaphroditic type
EP0558876A1 (en) 1992-03-03 1993-09-08 STMicroelectronics S.r.l. A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with shaped parts for direct coupling to standard connectors
JPH08144230A (ja) * 1994-11-18 1996-06-04 Keiichi Osawa 連結式工事用保安照明器具のコネクターおよび単管ス タンド用ライトバー
US5564952A (en) 1994-12-22 1996-10-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blade receiving slots
KR100390972B1 (ko) 1995-02-01 2003-10-23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커넥터
US5664969A (en) * 1995-08-24 1997-09-0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positioning means
US5727961A (en) * 1996-04-30 1998-03-17 The Whitaker Corporation Two-way transversely matable electrical connector
US6045404A (en) 1997-06-30 2000-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007362A (en) * 1997-12-09 1999-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US6319075B1 (en) * 1998-04-17 2001-11-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
US6299492B1 (en) * 1998-08-20 2001-10-09 A. W.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s
JP2000268915A (ja) * 1999-03-17 2000-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コネクタ
EP1104048A3 (en) 1999-10-28 2003-12-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lind mate electrical connector with mechanical assist means
JP3706996B2 (ja) * 2000-04-21 2005-10-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雌雄同体コネクタ
JP3840039B2 (ja) * 2000-06-01 2006-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慣性ロックコネクタ
JP2002252063A (ja) * 2001-02-26 2002-09-0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CN1269261C (zh) * 2001-08-01 2006-08-09 莫莱克斯公司 具有嵌模端子模块的电连接器组件
US6802746B2 (en) 2002-12-11 2004-10-1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JP2005222816A (ja) 2004-02-05 2005-08-18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KR100657600B1 (ko) 2005-10-24 2006-12-19 (주)씨-넷 엘씨디모듈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커넥터
JP4742997B2 (ja) * 2006-06-05 2011-08-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48873B2 (en) * 2007-01-08 2008-1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160A (ko) * 2015-05-22 2016-11-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4135B1 (en) 2012-06-20
JP2010067606A (ja) 2010-03-25
CN101685916A (zh) 2010-03-31
US7731520B1 (en) 2010-06-08
MX2009009704A (es) 2010-07-01
JP5557236B2 (ja) 2014-07-23
CA2676905C (en) 2017-03-07
KR101562398B1 (ko) 2015-10-21
CA2676905A1 (en) 2010-03-12
EP2164135A1 (en) 2010-03-17
ES2388339T3 (es) 2012-10-11
CN101685916B (zh)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471A (ko)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전원 커넥터
JP4753055B2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CN112072400A (zh) 电连接器
EP3082197B1 (en) Connector
US8827724B2 (en) Board connector
US20110045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9252519A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EP2553768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50110333A (ko) 커넥터
JP2012059360A (ja) コネクタ
US7766664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assembly with contact protection mechanism
US8915652B2 (en) Optical connector device and mating optical connector device
WO2013052280A1 (en) Power cable connector
JP2002530822A (ja) ガイド部材および取外しリセスを有する噛み合い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40125884A (ko) 기판 커넥터
KR200495065Y1 (ko) 플로팅 커넥터
JP2010092811A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20160056556A1 (en) Connector assembly
CN108092111B (zh) 通信系统的插头连接器的插头触头
EP2500756A1 (en) Pluggable modules having latch mechanisms for gripping receptacle assemblies
CN106257753B (zh) 电力连接器以及配置为与电力连接器配合的可插拔连接器
EP2347476B1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CN212626388U (zh) 电连接器及电子设备
KR20190061888A (ko) 고속 신호 전송용 커넥터
KR101378702B1 (ko)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