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955B1 - 덜어내기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덜어내기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955B1
KR101457955B1 KR1020127005888A KR20127005888A KR101457955B1 KR 101457955 B1 KR101457955 B1 KR 101457955B1 KR 1020127005888 A KR1020127005888 A KR 1020127005888A KR 20127005888 A KR20127005888 A KR 20127005888A KR 101457955 B1 KR101457955 B1 KR 10145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ke
coefficient
adapter
coun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028A (ko
Inventor
겐지 노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프라스원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82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633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09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5896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프라스원테크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프라스원테크노
Publication of KR2012005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8Devices for counting or registering the number of articles handled, or the number of packages produced by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4Counting of piece goods, e.g. of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덜어내기 계수장치는, 정제 등의 피계수물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가능하게 하고,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의 배출부(3a)에 연결되어서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덜어내기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과,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4d)에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피계수물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7a)을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덜어내기통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계수 어댑터(7)와, 피계수물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를 구비하고, 이 계수 어댑터의 홈과 교합하여 계수 어댑터의 회전과 함께, 덜어내기통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을 구비하여 회전하며 기어 모양의 돌기(7ba)를 구비하는 날개판(7b)을 계수 어댑터의 내부에 구비하고, 날개판에 형성된 돌기의 한 장이 개구부(7ea)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날개판의 회전중심을 고정한다.

Description

덜어내기 계수장치{SEGMENTING/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정제(錠劑) 등의 입체(粒體)를 계수(計數)하여 배깅(bagging)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면(끝면)에 정제를 개별로 덜어내는 홈을 구비하는 계수 어댑터를 구비한 덜어내기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덜어내기 계수장치로서, 미립(微粒)이나 분말상태(粉末狀態)의 식품 첨가물을 자루에 수납하는 등 계량하여 작은 부대에 배깅하는 덜어내기 칭량장치(秤量裝置)를 사용하여 정제 등의 작은 입체의 칭량값을 1개당의 무게로 환산하여 소정수 만큼만 작은 부대에 배깅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가 있다. 이하에서 덜어내기 칭량장치를 사용하여 계수하였을 경우를 설명한다.
도6은, 종래의 덜어내기 칭량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덜어내기 칭량장치(110)는, 식품 첨가물(피칭량물)(111)을 수납하는 호퍼(112)와, 이 호퍼(112)의 배출부(112a)에 연결되어서 피칭량물(111)을 덜어내고 하방으로 경사진 적절한 길이의 덜어내기통(113)과, 이 덜어내기통(113)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모터 회전기구)(115)과, 덜어내기통(113)으로부터 투하된 피칭량물(111)을 받는 수용부재(116)와, 이 수용부재(116)가 받은 피칭량물(111)을 칭량하는 칭량기(118)와, 수용부재(116)의 배출구(116a)에 설치된 개폐뚜껑(117)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솔레노이드)(119)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칭량물(111)이라 함은, 호퍼(112)내로부터 덜어낼 수 있는 분립체(粉粒體), 편상체(片狀體), 소괴상체(小塊狀體) 등을 말한다.
또한 이 덜어내기 칭량장치(110)는, 호퍼(112)의 배출부(112a)와 덜어내기통(113) 사이에,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가 조정 가능한 통모양의 어태치먼트(141)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어태치먼트(141)는, 내부유로의 내경이 다르게 되게 하여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 조정을 하는 것이다.
이 어태치먼트(141)에는 호퍼(112)측의 단부에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 돌기(141a)가 설치되고, 또한 호퍼(112)측의 배출부(112a)에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 나선체(141d)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호퍼(112)의 배출부(112a)로부터 배출된 피칭량물(111)은, 회전수단(115)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고 하방으로 경사진 덜어내기통(11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덜어내어져서 수용부재(116)내로 투하되고, 칭량기(118)에 의하여 칭량되어 소정의 중량에 도달하면 개폐수단(119)에 의하여 수용부재(116)의 개폐뚜껑(117)을 열고, 칭량된 피칭량물(111)을 배출하기 때문에 정확한 소정량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칭량물(111)의 과잉 또는 과소한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히 회전하고 하방으로 경사진 적절한 길이의 덜어내기통(113)내를 피칭량물(111)이 서서히 흐르므로, 피칭량물(111)의 균일화가 이루어져서 덜어내기통(113)의 하단으로부터 정량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덜어내기의 양의 조정은 덜어내기통(113)의 회전속도나 경사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호퍼(112)의 배출부(112a)와 덜어내기통(113) 사이에 착탈가능한 어태치먼트(141)를 장착하기 때문에 호퍼내의 피칭량물을 덜어내기통(113)내로 유입시키는 덜어내기 조정이, 피칭량물(111)의 크기나 형상 등의 품종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호퍼(112)의 배출부(112a)로부터 배출된 유동성이 좋은 피칭량물(예를 들면 참깨)(111)은, 어태치먼트(141)를 통과할 때에 그 내경이 다른(유효통과 단면적이 다른) 내부유로를 통과하여 유량조정되므로, 입경(粒徑)이 작은 피칭량물(111)의 유량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덜어내기통(113)과 함께 어태치먼트(141)가 회전하면, 그 덜어내기 돌기(141a)가, 예를 들면 호퍼(112)의 배출부(112a) 부근에 어떤 굳어진 피칭량물(111)을 긁기 때문에, 덜어내기에 있어서 피칭량물(111)이 호퍼(112)의 배출부(112a) 부근에서 막히는 일이 없다.
또한 덜어내기통(113)과 함께 어태치먼트(141)가 회전하면, 그 덜어내기 나선체(141d)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덜어내기 나선체(141d)의 구부러짐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호퍼(112)의 배출부(112a) 부근에 있는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통(113)측으로의 유입을 촉진하고, 또 덜어내기 나선체(141d)의 구부러짐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호퍼(112)의 배출부(112a) 부근의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통(113)측으로의 유입을 억제하고, 피칭량물(111)의 품종에 따라 그 회전방향을 정역적(正逆的)으로 선택함으로써 피칭량물(111)의 덜어내기 조정의 폭이 넓어진다. 이렇게 호퍼(112)내의 피칭량물(111)을, 축심(a)이 하방으로 경사진 덜어내기통(113)을 회전수단(130)에 의하여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수용부재(116)로 투하하고, 그것을 칭량기(118)에 의하여 칭량하도록 했으므로, 정확한 소정량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칭량물(111)의 과잉 또는 과소한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호퍼(112)의 배출부(112a)에 착탈가능 하게 장착된 어태치먼트(141)에 의하여 호퍼(112)내의 피칭량물(111)을 덜어내기통(113)내로 유입시키는 덜어내기 조정을, 피칭량물(111)의 크기나 형상 등의 품종에 따라 간단하게 할 수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일본국 특허 제2649335호
그러나 미립이나 분말상태의 식품 첨가물을 자루에 수납하는 등 계량하여 작은 부대에 배깅하는 덜어내기 칭량장치를 사용하여 정제 등의 작은 입체를 계량하여 소정량을 작은 부대에 배깅하여 소정수의 정제의 계수에 사용한 경우에, 한개라도 계수를 틀리면 재공사를 하지 않으면 안되어 여분의 공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복수의 홈이나 이 홈과 교합하여 피계수물을 압출(壓出)하는 기어 모양의 돌기를 구비한 계수 어댑터를 설치함으로써, 정제 등의 피계수물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가능하게 하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에 관한 발명의 덜어내기 계수장치(1)는,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3)의 배출부(3a)에 연결되어서 상기 피계수물(2)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이 덜어내기통(4)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과, 상기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2)을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와, 상기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피계수물(2)을 개별로 수납하는 홈(7a)을 구비하고 원통형이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계수 어댑터(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계수 어댑터를 설치함으로써,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로서, 상기 계수 어댑터(7)는, 상기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내측에는 상기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계수 어댑터를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형의 내측에는 원기둥 중심축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등의 피계수물이 홈에 깔끔히 들어가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로서, 상기 계수 어댑터(7)는, 원통형의 기부(7g)와, 이 기부(7g)로부터 상기 기부(7g)의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돌기(7f)와, 상기 기부(7g) 및 상기 돌기(7f)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포위부(7e)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돌기(7f, 7f)와, 상기 포위부(7e)와의 사이에 홈(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홈이 입체의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피계수물인 정제 등의 입체가 홈에 깔끔히 들어가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홈(7a)은 상기 원기둥 축중심에 대하여 방사상(放射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홈을 원기둥 축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어,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홈(7a)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속도로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어,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홈(7a)은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7f)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계수 어댑터의 원통형 내면에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홈이 형성되어,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으므로,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계수 어댑터(7)는, 듀라콘(Duracon;공업용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계수 어댑터를 듀라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정제 등의 입체를 매끄러운 모양으로 용이하게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으므로,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2)을 받는 수용부재(6)와, 이 수용부재(6)의 배출측에 설치된 개폐뚜껑(8)과, 이 개폐뚜껑(8)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덜어내기통으로부터 배출된 피계수물을 받는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배출측에 설치된 개폐뚜껑과, 이 개폐뚜껑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수량을 한번에 배깅 등의 수납이 가능하게 되어,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으므로,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9에 관한 발명의 덜어내기 계수장치(1)는,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3)의 배출부(3a)에 연결되어서 상기 피계수물(2)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이 덜어내기통(4)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과, 상기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상기 덜어내기통(4)과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계수물(2)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7a)을 상기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상기 덜어내기통(4)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계수 어댑터(7)와, 상기 계수 어댑터(7)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2)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를 구비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계수 어댑터(7)는, 이 계수 어댑터(7)의 상기 홈(7a)과 교합하여 상기 계수 어댑터(7)의 회전과 함께 상기 덜어내기통(4)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7bb)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기어 모양의 돌기(7ba)를 구비하는 날개판(7b)을 상기 계수 어댑터(7)의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9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덜어내기통과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피계수물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을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덜어내기통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계수 어댑터의 상기 홈과 교합하여 상기 계수 어댑터의 회전과 함께 상기 덜어내기통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기어 모양의 돌기를 구비하는 날개판을 상기 계수 어댑터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홈에 수납된 피계수물을 날개판의 돌기에 의하여 압출하기 때문에 정제 등의 입체를 확실하게 배출하여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확실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10에 관한 발명은, 제9항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계수 어댑터(7)에는 상기 피계수물(2)을 배출하는 개구부(7ea)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7b)에 형성된 상기 돌기(7ba)의 한 장이 상기 개구부(7ea)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날개판(7b)의 회전중심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0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날개판에 형성된 돌기의 한 장이 개구부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날개판의 회전중심을 고정함으로써, 계수 어댑터의 홈과 교합하여 계수 어댑터의 홈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날개판에 형성된 돌기의 한 장이 개구부에 깊게 삽입되어서, 홈에 수납된 피계수물을 날개판의 돌기에 의하여 압출하기 때문에, 정제 등의 입체를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하여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11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10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개구부는 계수 어댑터의 홈이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를 계수 어댑터의 홈이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구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피계수물을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튀어나오게 함과 아울러 대략 비스듬한 아래로부터 늦어도 약간 비스듬하게 위로 튀어나오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청구항12에 관한 발명은 제9항에 기재되어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이며, 상기 날개판(7b)은 듀라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날개판을 듀라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연함과 내구성을 구비하여,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배출오류 없이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덜어내기 계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통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통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계수 어댑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a)에 나타나 있는 B화살표에서 본 도면, (c)는 날개형상의 돌기를 사용한 계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계수 어댑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실시예에 관한 계수장치로서 사용한 덜어내기 칭량장치의 정면도이다.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덜어내기 계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통의 주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통의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3의 (a)는 1개의 덜어내기통을 설치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3의 (b)는 3개의 덜어내기통을 설치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덜어내기 계수장치(1)는,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3)의 배출부(3a)에 연결되어서 피계수물(2)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이 덜어내기통(4)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모터)인 회전수단(5)과,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배출된 피계수물(2)을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와,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피계수물(2)을 개별로 수납하는 홈(7a)(도4 참조)을 구비하고 원통형이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계수 어댑터(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투하된 피계수물(2)을 받는 수용부재(6)와, 이 수용부재(6)의 배출구(6a)에 설치된 개폐뚜껑(8)과, 이 개폐뚜껑(8)의 개폐수단(9)을 구비하고, 덜어내기통(4)은, 외통(4a)과, 이 외통(4a)에 착탈하도록 외부에서 결합된 내통(4b)과, 외통(4a)에 있어서 호퍼측의 단부(4aa)에 접촉되어 있는 내통(4b)의 플랜지(4bb)를 구비한다. 내통(4b)은, 마찰계수가 작은 듀라콘을 사용하여 형성했다. 이 플랜지(4bb)를 외통(4a)에 있어서 호퍼(3)측의 단부(4aa)에 접촉시켜서, 내통(4b)과 외통(4a)을 착탈 가능하게 삽입함으로써, 피계수물(2)이 유동하는 부품을 떼어내서 세정하는 데에도 적절한 좋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덜어내기통(4)의 내통(4b)의 세정후에는, 내통(4b)을 외통(4a)에 삽입하여 외통(4a)의 단부(4aa)에 이 내통(4b)의 플랜지(4bb)를 접촉시킴으로써 위치결정 된다.
또한 덜어내기통(4)의 외통(4a)의 대략 양단부가 링 모양의 베어링에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대(12)상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덜어내기통(4)의 상부에 각각의 덜어내기통(4)에 대응하는 모터 회전기구(회전수단)(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4a)의 주위에 외부에서 결합하여 고정된 제1기어(평기어)(10)와, 회전수단(5)의 회전축(5a)에 고정된 제2기어(평기어)(11)가 교합하도록 설치되고, 제2기어(11)의 회전구동력이 제1기어(10)에 전달되어서 외통(4a) 및 내통(4b)을 회전시킨다. 설치대(12)는 지주(13)와 지주(14)에 지지되어 있다. 지주(13)와 설치대(12)는, 축(12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주(14)에는 지주(14)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구조가 너트(14a)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14)와 설치대(12)는, 설치대(12)가 축(12a)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축(12b)이 설치대(12)의 축구멍(12c)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높이 조정구조는 널링가공(knurling 加工)된 너트(14a)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주(14)를 상하로 이동시키지만, 전동기에 의하여 회전시켜서 자동으로 조정시켜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외통(4a)의 주위에 외부에서 결합하여 고정된 제1기어(10)와, 회전수단(5)의 회전축(5a)에 고정된 제2기어(11)가 교합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피계수물이 유동하는 부품을 떼어내서 세정하는 데에도 적절한 좋은 구조로 할 수 있고, 내통(4b)이 간단하게 떼어내지므로 피계수물이 덜어내지는 내면(4ba)의 세정을 쉽게 하는 위생적인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계수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4의 (a)는 정면도, 도4의 (b)는 (a)에 나타나 있는 B화살로부터 본 도면, 도4의 (c)는 날개형상의 돌기를 사용한 계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4의 (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덜어내기통(4)과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피계수물(2)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7a)을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덜어내기통(4)과 함께 회전 가능한 계수 어댑터(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수 어댑터(7)는, 원통형의 기부(7g)와, 이 기부(7g)로부터 기부(7g)의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7f)와, 기부(7g) 및 돌기(7f)의 외주를 덮는 포위부(7e)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돌기(7f, 7f)와 포위부(7e) 사이에는 홈(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계수 어댑터(7)는, 회전하지 않는 포위부(7e)와, 회전하는 그 이외의 계수 어댑터 본체로 나눌 수 있다. 이 포위부(7e)는 회전하지 않고 덜어내기 계수장치(1)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즉 계수 어댑터(7)는,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내측에는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7a, 7a…)이 형성되어 있다. 홈(7a)은 피계수물인 입체의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7a)은 원기둥 축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홈(7a, 7a…)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계수 어댑터(7)를 설치함으로써, 피계수물(2)인 정제 등의 입체가 홈(7a)에 깔끔히 들어간다. 또한 홈(7a)을 원기둥 축중심에 대하여 방사상 및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속도로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홈(7a)은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7f, 7f)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7f, 7f)에 둘러싸인 공간과 그 주위를 덮고 있는 포위부(7e)에 의하여 ㄷ자형의 홈(7a)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계수 어댑터(7)의 원통형 내면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7f, 7f)를 형성함으로써 8군데에 홈(7a)이 형성되고, 정제 등의 입체(2, 2…)를 한 개씩 개별로 계속하여 덜어낼 수 있다. 또한 홈(7a)의 수는 8개로 했지만, 24개의 실시예도 있고, 용도별로 적절하게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홈(7a)의 외측을 덮는 포위부(7e)는, 계수 어댑터(7)가 회전함과 아울러 돌기(7f)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포위부(7e)에는 개구부(7ea)가 1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7ea)는 계수 어댑터(7)가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구되어 있다. 또, 포위부(7e)는 원통형이어도 좋고, 피계수물(2)을 배출할 때까지의 일부의 홈(7a)만을 둘러싸는 곡면을 구비한 판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60∼100도의 각도는, 계수 어댑터로부터 정제가 배출되기 쉽도록 적절하게 미세조정 가능하고, 60∼100도의 각도의 전후가 되더라도 상관없다.
계수 어댑터(7)는, 이 계수 어댑터(7)의 홈(7a)과 교합하여 계수 어댑터(7)의 회전과 함께 덜어내기통(4)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을 구비하여 회전하며 기어 모양의 돌기(7ba)를 구비하고 듀라콘으로 형성된 날개판(7b)을 계수 어댑터(7)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날개판(7b)에 형성된 돌기(7ba)의 한 장이 개구부(7ea)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날개판(7b)의 회전중심(7bb)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덜어내기통과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피계수물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을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덜어내기통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계수 어댑터의 홈과 교합하여 계수 어댑터의 회전과 함께 덜어내기통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을 구비하여 회전하며 기어 모양의 돌기를 구비하는 날개판을 계수 어댑터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가 확실하게 가능하게 되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날개판에 형성된 돌기의 한 장이 개구부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날개판의 회전중심을 고정함으로써, 날개판의 돌기는 계수 어댑터의 홈과 교합하여 계수 어댑터 본체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여 날개판에 형성된 돌기의 한 장이 개구부에 깊게 삽입되어서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계수 어댑터의 홈이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구되어 있으므로, 피계수물을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튀어나오게 함과 아울러 대략 비스듬한 아래로부터 늦어도 약간 비스듬하게 위로 튀어나오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날개판을 듀라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연함과 내구성을 구비하고,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배출오류 없이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7ea)의 외측에는 수용부재(6)와의 사이의 위치에 계수 어댑터(7)로부터 배출된 피계수물(2)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수용 센서(16)는 광투과형 센서를 채용하고 있지만, 낙하하는 입체의 갯수를 계수할 수 있는 것이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식 센서이어도, 액추에이터식이더라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원통형의 회전의 최하점에 이른 홈(7a) 안에 정제 등의 피계수물(2)이 들어가고, 이렇게 들어간 피계수물(2)이 최하점으로부터 60도의 각도부근으로 올라왔을 때에, 원심력과 중력에 의하여 개구부(7ea)로부터 넘쳐흐르도록 수용부재(6)측으로 튀어나간다. 이 때 낙하하고 있는 정제 등의 피계수물(2)이 계수용 센서(16)의 빛을 가림으로써 피계수물(2)의 갯수가 계수된다. 그리고 수용부재(6)에 소정의 갯수가 수납되면 개폐뚜껑(8)이 열리고, 소정의 수의 정제의 피계수물(2)이 작은 부대에 수납된다.
계수 어댑터(7)는, 본원 발명에서는 특히 듀라콘으로 형성한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계수 어댑터(7)의 본체를 형성하는 기부(7g)나 돌기(7f), 포위부(7e) 및 날개판(7b)을 듀라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연함과 내구성을 구비하고,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배출오류 없이 개구부로부터 확실하게 압출할 수 있어,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4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수 어댑터(7´)는, 원통형의 기부(7g´)와, 기부(7g´)로부터 기부(7g´)의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돌기(7f´)와, 기부(7g´) 및 돌기(7f´)의 외주를 덮는 포위부(7e´)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돌기(7f´, 7f´)와 포위부(7e´) 사이에는 홈(7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4의 (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돌기(7f)를 날개 모양으로 얇게 형성한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덜어내기 계수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호퍼(3)의 배출부(3a)로부터 배출된 피계수물(2)은, 회전수단(5)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는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덜어내어져 수용부재(6)내로 투하되고, 수용부재(6)의 피계수물(2)이 소정수에 도달하면 전동의 개폐수단(9)에 의하여 수용부재(6)의 개폐뚜껑(8)을 열어 계수된 피계수물(2)을 배출한다. 여기에서 회전구동되는 덜어내기통(4)내를 피계수물(2)이 서서히 흐르므로, 피계수물(2)의 균일화가 도모되므로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하단으로부터 정량배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덜어내기의 양의 조정은 덜어내기통(4)의 회전속도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덜어내기통(4)은 수평라인(a)에 대하여 0∼10도, 바람직하게는 2∼5도 전후 정도 축심(b)이 수용부재(6)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원통형의 통체이다. 다만 덜어내기통(4)의 경사각은 이들의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덜어내기통(4)의 길이는 적어도 내경의 3∼5배 정도가 되어 있다. 이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설치된 계수 어댑터(7)로 보내져 온 피계수물(2)은, 그 계수 어댑터(7)의 원통형의 최하점에 있는 홈(7a)에 떨어지고, 계수 어댑터(7)의 회전과 함께 홈(7a)에 위치결정되어서 상승해 간다. 계수 어댑터(7)의 최하점에 위치하는 홈(7a)으로부터 60∼100도 회전한 위치에 형성되고 포위부(7e)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지 않은 개구부(7ea)로부터, 피계수물(2)이 계수 어댑터(7)의 외부로 송출되어 하방의 수용부재(6)로 낙하한다. 이 때에 계수용 센서(16)가 피계수물(2)의 통과를 검출하여 배출된 피계수물(2)의 계수결과를 적산하고, 미리 설정된 소정수만큼 수용부재(6)내에 피계수물(2)이 쌓였을 때에, 제어장치(도시 생략)는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수용부재(6)에 대한 피계수물(2)의 투하를 멈추고, 솔레노이드 구동의 개폐장치(9)에 의하여 개폐뚜껑(8)이 열린다. 이에 따라 계수가 끝난 피계수물(2)은, 수용부재(6)로부터 슈트(15)를 통하여 배깅 장치(도시 생략)로 보내진다. 계속하여 개폐뚜껑(8)을 닫고, 이하 지금까지의 계수조작을 반복한다.
종래의 계수장치는, 평면모양 드럼식이 사용되어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본원 발명의 계수장치는, 작은 직경의 관(파이프)을 사용하여 계수를 가능하게 한 본 분야에서는 획기적인 계수장치이다
이와 같이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계수 어댑터를 설치함으로써,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는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계수 어댑터를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형의 내측에는 원기둥 중심축 방향으로 복수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입체가 홈에 깔끔히 들어가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홈이 입체의 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피계수물인 정제 등의 입체가 홈에 깔끔히 들어가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홈을 원기둥 축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홈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속도로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계수 어댑터의 원통형 내면에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홈이 형성되고,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계수 어댑터를 듀라콘으로 형성함으로써, 정제 등의 입체를 매끄러운 모양으로 용이하게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덜어내기통으로부터 배출된 피계수물을 받는 수용부재와, 이 수용부재의 배출측에 설치된 개폐뚜껑과, 이 개폐뚜껑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정의 수량을 한번에 배깅하는 등의 수납이 가능하게 되고,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할 수 있고, 피계수물의 과잉 또는 과소의 덜어내기에 의한 비용증대나 불량품 처리의 시간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덜어내기 계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5의 (a)는 측면도, 도5의 (b)는 (a)에 나타나 있는 C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2실시형태가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제1실시형태에서는 덜어내는 정제의 피계수물(2)을, 계수 어댑터(7)의 원기둥이 회전하는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승한 곳에서 계수 어댑터(7)의 측면의 개구부(7ea)로부터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2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고, 포위부는 홈과 일체가 되고, 홈(27a)에 삽입된 정제는 최하점으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회전한 최상점으로부터 자연낙하 함으로써, 최상점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슈트(25)내로 낙하하여 슈트(25)를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하여 배출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수 어댑터(27)에는, 원기둥 축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위치의 4군데에 홈(27a)이 형성되어 있다. 피계수물(22)은 최하점에서 홈(27a)에 위치결정되어 최상점까지 들어 올려진다. 그 후에 최상점 부근으로 들어 올려진 피계수물(22)은 자연낙하 하여 홈통모양의 슈트(25)내로 들어간다. 이 때 계수용 센서(36)가 갯수를 검출한다. 또한 슈트(25)내를 활주하여 수용부재(26)내로 배출된다. 또, 계수용 센서(36)는 피계수물(22)이 최상점으로부터 자연낙하 하고 있는 도중에 검출하여도, 슈트내를 활주하고 있는 도중에 검출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재(26)에 일단 수납하여 소정수가 쌓였을 때에 개폐뚜껑(28)을 개방하여 배깅한다고 설명했지만, 수용부재에서 반드시 일단 모으지 않고 직접 배깅하여도 좋고, 그 이외의 수납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재(6, 26)에 일단 수납하여 소정수가 쌓였을 때에 개폐뚜껑(8, 28)을 개방하여 배깅한다고 설명했지만, 수용부재에서 반드시 일단 모으지 않고 직접 배깅하여도 좋고, 그 이외의 수납장치에 연결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호퍼의 형상이나 덜어내기통의 형상 등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계수물로서 정제를 채용했지만, 식품, 과자 등의 고형물 등이더라도 상관없고, 호퍼내로부터 덜어내기가 가능한 입체, 편모양체, 소괴상체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계수 어댑터의 홈의 형상은, 그 용도나 취급하는 피계수물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더라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정제 등의 입체의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가 가능하게 하고, 덜어내기통의 배출측 선단에 계수 어댑터를 설치함으로써 정확한 소정수의 덜어내기를 쉽게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에 적용된다.
1, 21 : 덜어내기 계수장치
2, 22 : 피계수물
3 : 호퍼
3a : 배출부
4, 24 : 덜어내기통
4a : 외통
4aa : 단부
4b : 내통
4bb : 플랜지
4d, 24d : 단부
5 : 회전수단, 모터
6, 26 : 수용부재
6a : 배출구
7, 27 : 계수 어댑터
7a, 27a : 홈
7b : 날개판
7ba : 돌기
7bb : 회전중심
7e, 7e´ : 포위부
7ea, 7ea´ : 개구부
7f, 7f´ : 돌기
7g, 7g´ : 기부
8, 28 : 개폐뚜껑
9 : 개폐수단, 솔레노이드
10 : 제1기어
11 : 제2기어
12 : 설치대
13 : 지주
14 : 지주
14c : 높이 조정구조
15, 35 : 슈트
16, 36 : 계수용 센서

Claims (12)

  1. 정제(錠劑) 등의 입체(粒體)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被計數物)(2)을 수납하는 호퍼(hopper)(3)와, 이 호퍼의 배출부(排出部)(3a)에 연결되어서 상기 피계수물(2)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이 덜어내기통(4)을 수평라인에 대해서 경사지는 방향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回轉手段)(5)과, 상기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2)을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計數用 sensor)(16)와,
    상기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피계수물을 개별로 수납하는 홈(7a)을 구비하고 원통형이며 상기 회전중심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계수 어댑터(計數 adaptor)(7)를 구비하고,
    상기 계수 어댑터(7)는, 원통형의 기부(基部)(7g)와, 이 기부에서 상기 기부의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7f)와, 상기 기부 및 상기 돌기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포위부(7e)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돌기와 상기 포위부 사이에 상기 홈(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어댑터(7)는, 상기 덜어내기통(4)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삽입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내측에는 상기 원기둥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상기 홈(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7a)은 상기 원기둥 축중심에 대하여 방사상(放射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7a)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7a)은 인접하는 2개의 날개모양의 돌기(7f)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어댑터(7)는 듀라콘(Duracon;공업용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덜어내기통(4)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2)을 받는 수용부재(6)와, 이 수용부재(6)의 배출측에 설치된 개폐뚜껑(8)과, 이 개폐뚜껑(8)을 개폐하는 개폐수단(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
  9. 정제 등의 입체로 이루어지는 피계수물(2)을 수납하는 호퍼(3)와,
    이 호퍼의 배출부(3a)에 연결되어서 상기 피계수물을 덜어내는 덜어내기통(4)과,
    이 덜어내기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5)과,
    상기 덜어내기통의 배출측의 단부(4d)에 상기 덜어내기통과 회전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장착 가능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계수물을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홈(7a)을 상기 원통형의 주변부에 구비하고 상기 덜어내기통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계수 어댑터(7)와,
    상기 계수 어댑터로부터 배출된 상기 피계수물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용 센서(16)를
    구비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1)에 있어서,
    상기 계수 어댑터는, 이 계수 어댑터의 상기 홈과 교합하여 상기 계수 어댑터의 회전과 함께 상기 덜어내기통의 회전중심과는 다른 일정위치에 고정된 회전중심(7bb)을 구비하여 회전하는 기어 모양의 돌기(7ba)를 구비하는 날개판(7b)을 상기 계수 어댑터의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어댑터에는 상기 피계수물을 배출하는 개구부(7ea)가 설치되고, 상기 날개판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한 장이 상기 개구부에 가장 깊게 삽입되는 위치에 오도록 상기 날개판의 회전중심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계수 어댑터의 홈이 최하점으로부터 60∼100도의 각도로 회전한 위치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은, 듀라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덜어내기 계수장치.
KR1020127005888A 2009-09-19 2010-09-15 덜어내기 계수장치 KR101457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8207A JP2011063307A (ja) 2009-09-19 2009-09-19 切り出し計数装置
JPJP-P-2009-218207 2009-09-19
JPJP-P-2010-200921 2010-09-08
JP2010200921A JP2012058969A (ja) 2010-09-08 2010-09-08 切り出し計数装置
PCT/JP2010/005616 WO2011033761A1 (ja) 2009-09-19 2010-09-15 切り出し計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028A KR20120053028A (ko) 2012-05-24
KR101457955B1 true KR101457955B1 (ko) 2014-11-04

Family

ID=4375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888A KR101457955B1 (ko) 2009-09-19 2010-09-15 덜어내기 계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7955B1 (ko)
WO (1) WO2011033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9053B2 (ja) * 2011-10-27 2013-06-26 株式会社夕原テクノグループ パイプ回転式食品搬送装置
CN105205529B (zh) * 2015-08-24 2017-09-29 泰州市奥德家具配件有限公司 一种自动数粒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824A (ja) * 1997-05-15 1998-12-04 Fuso Sangyo Kk 粉粒状物の連続秤量切り出し装置
JP2005035736A (ja) * 2003-07-15 2005-02-10 Unitec:Kk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319A (ja) * 1986-04-28 1987-02-06 三洋電機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
JPH08230826A (ja) * 1995-02-27 1996-09-10 Yuyama Seisakusho:Kk 薬剤供給容器
JP2004125760A (ja) * 2002-09-30 2004-04-22 Plus One Techno:Kk 粉粒状原料をより高速・正確に計量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824A (ja) * 1997-05-15 1998-12-04 Fuso Sangyo Kk 粉粒状物の連続秤量切り出し装置
JP2005035736A (ja) * 2003-07-15 2005-02-10 Unitec:Kk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028A (ko) 2012-05-24
WO2011033761A1 (ja)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2110B (zh) 用于分配测量量的松散材料的系统和方法
US5833097A (en) No-mess bulk dispenser/measurer
US5259533A (en) Fish, bird and small animal feed dispenser
US20050247733A1 (en) Device to store, sift and measure flour
US9456612B2 (en) Dry flour dispensing apparatus and using the same for a food preparation appliance
JPH087091B2 (ja) ばら物を計量調合する装置
JP7113413B2 (ja) 薬剤払出し装置、散薬秤量装置及び薬剤分包システム
KR101457955B1 (ko) 덜어내기 계수장치
JP2011063307A (ja) 切り出し計数装置
US20070199741A1 (en) Combined Weighing Apparatus
CN208149663U (zh) 一种食品料槽机构及应用该料槽机构的电子组合称
JP5019236B2 (ja) 秤量機能を有する切り出し計数装置
EP0665798B1 (en) Mechanical feeder having a hemispherical hopper
JP2001002003A (ja) 定量充填装置
CN209097041U (zh) 一种兽药分装设备
US6814111B1 (en) Adjustable volume side discharge feeder
CN217450008U (zh) 定量配料盒
JP4936260B2 (ja) 切り出し秤量装置
EP3661714B1 (de) Einrichtung zur einkornzuführung an eine verarbeitungsmaschine, insbesondere spritzgussmaschine
JP6226330B2 (ja) 散薬供給装置
EP0043875A1 (en) Packaging machine
KR101422402B1 (ko) 티백 제조기용 재료 이송장치
JP3768341B2 (ja) 米穀用の計量袋詰め機
CN221418695U (zh) 一种麦丽素称量装袋设备
CN214730080U (zh) 一种金枪鱼肽粉末填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