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088B1 - 가스레인지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088B1
KR101457088B1 KR1020130090076A KR20130090076A KR101457088B1 KR 101457088 B1 KR101457088 B1 KR 101457088B1 KR 1020130090076 A KR1020130090076 A KR 1020130090076A KR 20130090076 A KR20130090076 A KR 20130090076A KR 101457088 B1 KR101457088 B1 KR 10145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mixing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혜정
Original Assignee
홍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혜정 filed Critical 홍혜정
Priority to KR102013009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용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하면을 가열하는 제1 버너; 상기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벽면부; 상기 벽면부에 설치되며, 안착된 상기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하는 제2 버너; 상기 제1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믹싱밸브; 및 상기 제2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믹싱밸브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직화방식과 전도방식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에서는 가정용 가스레인지와는 달리 음식물을 이른 시간에 가열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가스레인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존의 음식점용 가스레인지는 음식의 조리를 위해 버너의 불꽃 세기를 높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함에도 불구하고, 버너로 가스와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원하는 불꽃의 강도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조절할 경우, 작업자는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의 손잡이부를 소화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손잡이부를 소화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가 차단되는 경우에는 버너가 소화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자는 버너를 재점화시켜야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조절함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한편, 음식물의 조리시, 화기에서 방사되는 직화열이 직접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직화방식과 화기에서 방사되는 직화열이 구이판 및 용기 등을 가열하여 전도열로 음식을 조리하는 전도방식이 있다. 일예로, 직화방식으로 숯불에서 고기를 굽게 되면 숯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 고기의 겉은 바삭하고, 고기의 내부는 부드럽게 된다.
이에 반해, 구이판을 이용하여 전도열로 고기를 굽게되면, 구이판에 맞닿은 고기의 표면은 익으면서 반대편으로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고기가 질겨지고, 고기 특유의 풍미가 사라지게 된다.
그러나, 직화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음식물의 식감은 높일 수 있으나, 음식물에서 배어나오는 기름이 화기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조리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너로의 가스와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버너의 화력 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조리용기의 담긴 음식물을 직화방식과 전도방식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용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하면을 가열하는 제1 버너; 상기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벽면부; 상기 벽면부에 설치되며, 안착된 상기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하는 제2 버너; 상기 제1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믹싱밸브; 및 상기 제2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믹싱밸브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믹싱밸브와 제2 믹싱밸브는 밸브를 차단(OFF)한 경우에도 상기 제1버너와 제2 버너로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용기 받침대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제1 버너의 중앙을 향하도록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40 ~ 60°의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믹싱밸브는,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홀과 에어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홀이 연통 형성되어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제2 버너로 공급하는 혼합부; 하부에 가스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 안내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노즐; 상기 혼합부를 감싸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스 노즐을 감싸는 제2하우징을 갖는 하우징부; 및 상기 혼합부의 타측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혼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노즐을 상하이동시키며 상기 가스 유입홀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가스 조절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혼합부로부터 혼합된 가스와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 상기 혼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혼합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부;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 캡; 상기 제1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방 캡; 및 일단부는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버너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된 가스와 공기를 상기 제2 버너로 공급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회전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부에 형성된 이동홈에 삽입되는 결합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 캡에 지지되는 돌출핀; 및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혼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탄발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캡에는 상기 돌출핀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즐캡; 일단부는 상기 가스 노즐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가스 노즐을 탄발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가스관으로부터 상기 가스 유입홀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공급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버너는 용기 받침대에 안착된 조리용기의 하면을 가열하고, 제2 버너는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져,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빠른시간에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너는 직화방식으로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기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식감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믹싱밸브와 제2 믹싱밸브는 밸브의 차단시에도 제1 버너와 제2 버너로 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토출관 및 연결관에 잔존하는 가스에 의해 역화(back fir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유입홀이 형성된 가스 노즐은 가스 조절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가스 안내홀로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노즐은 제1 버너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 및 윤활유 등에 의해 가스 유입홀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어 버너로 원활한 가스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버너의 화력이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 캡에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구비되어 제1 버너 또는 제2 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조절함에 있어 작업자는 제1 버너 또는 제2 버너가 소화되는 일없이 손쉽게 화력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믹싱밸브와 제1 버너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와 제2 버너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평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서 바라본 회전부와 혼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면에서 바라본 회전부와 혼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45°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9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16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믹싱밸브와 제1 버너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와 제2 버너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예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평면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2000)는 몸체부(1100), 제1 버너(1200), 벽면부(1300), 제2 버너(1400), 제1 믹싱밸브(1500) 및 제2 믹싱밸브(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0)는 가스레인지(20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각종 장치들이 지지하게 된다.
벽면부(1300)는 몸체부(1100)와 연결된 구성으로, 몸체부(1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벽면부(1300)는 가스레인지(2000)를 벽면에 밀착시킬 경우, 몸체부(1100)와 함께 벽면에 맞닿는 구성으로, 가스레인지(2000)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벽면부(1300)는 제2 버너(1400)로 혼합된 공기와 가스를 공급하는 연결관(520)을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제1 버너(1200)는 몸체부(1100)에 결합된 구성으로, 용기 받침대(10)에 안착된 조리용기(20)의 하면을 가열하여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1 버너(1200)는 제1 믹싱밸브(1500)의 선택적인 조작으로 제1 버너(1200)의 화력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버너(1200)는 조리용기(20)를 가열하여 전도열로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제2 버너(1400)는 벽면부(13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상부에 직화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버너(1400)는 제2 믹싱밸브(1600)의 선택적인 조작으로 제2 버너(1400)의 화력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버너(1400)는 제1 버너(1200)와 달리 조리용기(20)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익히는게 아니라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에 직접적으로 화력을 전달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제2 버너(1400)는 용기 받침대(10)에 조리용기(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로 직접적인 화력이 전달되도록 용기 받침대(10)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h)에 구비된다. 이는, 제2 버너(1400)로부터 방사되는 화력이 조리용기(20)에 구비되는 음식물에 직화로 가열이 가능하고, 작업자에게도 제2 버너(1400)로부터 방사되는 화력으로 안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제2 버너(1400)가 용기 받침대(10)로부터 20cm 초과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2 버너(1400)로부터 방사되는 화력의 범위가 넓어져 작업자가 조리작업 중 제2 버너(1400)로부터 화상을 입을 수 있고,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과 제2 버너(1400)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제2 버너(1400)는 강력한 화력을 분출시켜야 된다. 따라서, 가스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버너(1400)가 용기 받침대(10)로부터 15cm 미만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가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섞는 과정에서 조리용기(20)와 제2 버너(1400)가 부딪힐 수 있어, 조리 작업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제2 버너(1400)는 용기 받침대(10)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에 구비되어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직화로 가열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버너(1400)의 높이는 반드시 제1 버너(1200)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하게 위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2 버너(1400)는 제1 버너(1200)로부터 일정 거리(l) 떨어진 일측에 위치되며, 제1 버너(1200)의 중앙으로 제2 버너(1400)로부터 방사되는 화력이 분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 버너(1400)는 제1 버너(1200)로부터 일측에 위치되며, 제1 버너(12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40 ~ 60°의 경사각(a)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받침대(10)에 조리용기(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은 제2 버너(1400)에 의해 직화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버너(1400)는 제1 버너(120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버너(1200)의 중앙을 향해 화력이 방사되도록 위치되어, 작업자가 조리손잡이(21)를 움겨쥔 상태에서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조리용기(20)를 흔들며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상하로 이동시키며 섞을 경우,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이 상하로 이동되며 섞이는 과정에서 제2 버너(1400)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버너(1400)는 제1 버너(1200)로부터 일측에 위치되어 조리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섞는 과정에서 제2 버너(1400)와 음식물이 맞닿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에서 바라본 회전부와 혼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면에서 바라본 회전부와 혼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믹싱밸브(1600)는 혼합부(100), 가스 노즐(200), 하우징부(300) 및 가스 조절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부(100)에 형성된 가스 안내홀(110)은 가스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제2 버너(1400)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혼합부(100)에 형성된 공기 안내홀(120)은 에어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2 버너(1400)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혼합부(100)는 회전에 따라 가스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에어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혼합부(100)로 안내하고, 혼합부(100)는 혼합부(100)로 안내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한 후 제2 버너(14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안내홀(120)은 혼합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혼합부(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안내홀(120)은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제1하우징(310)에 형성된 제1홀(311)과 제2홀(312)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에어관(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토출관(510)으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혼합부(100)에 형성된 가스 안내홀(110)의 일측은 공기 안내홀(120)과 연통되고, 타측은 혼합부(100)의 타측면에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가스 안내홀(110)은 공기 안내홀(120)로부터 혼합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가스 노즐(20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공기 안내홀(120)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혼합부(100)는 공기 안내홀(120)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 안내홀(110)로 공급되는 가스를 혼합한 후 제1홀(311)을 통해 토출관(510)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부(300)는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32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310)은 혼합부(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혼합부(100)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하우징(320)은 제1하우징(310)의 타측부에 결합되며 가스 노즐(200)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하우징부(300)는 혼합부(100)로 유입되는 공기와 가스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혼합부(100)와 가스 노즐(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가스 노즐(200)의 하부에는 가스 유입홀(210)이 형성되어 가스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 안내홀(110)로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노즐(200)은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가스 유입홀(210)의 개폐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가스 유입홀(210)로 유입되는 가스량이 제어될 수 있다. 즉, 가스 조절부(400)는 혼합부(100)의 타측에 편심 결합되어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가스 노즐(200)의 가압 조절이 이루어져 가스 유입홀(210)의 개폐량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2 믹싱밸브(1600)는 토출관(510), 회전부(600), 스토퍼 캡(700), 후방 캡(800) 및 연결관(520)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토출관(510)은 제1하우징(310)과 결합되되, 제1홀(311)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혼합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공기와 가스를 제2 버너(1400)로 안내하게 된다.
회전부(600)는 혼합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회전부(600)에 구비된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킬 경우, 혼합부(100)는 손잡이부(6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부(620)의 회전을 통해 제2 버너(1400)로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제2 버너(1400)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스토퍼 캡(700)은 제1하우징(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부(600)의 회전각을 제어하게 된다. 즉, 스토퍼 캡(700)은 회전부(600)에 구비된 돌출핀(640)의 회전을 구속하여 회전부(600)의 회전각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스토퍼 캡(700)은 제1하우징(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후방 캡(800)은 제1하우징(3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1하우징(310)의 내측에 수용된 가스 또는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관(520)의 일단부는 토출관(510)과 결합되고, 연결관(520)의 타단부는 제2 버너(1400)에 연결되어 토출관(510)으로 배출되는 혼합된 가스와 공기를 제2 버너(14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관(520)은 제2 버너(14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연결관(520)의 길이는 가스레인지(20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관(520)의 타단부는 제2 버너(1400)와 결합되되, 연결관(520)과 결합된 제2 버너(1400)의 하단부가 용기 받침대(10, 도 1참조)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연결관(520)의 타단부는 제1 버너(1200)의 중앙을 향하도록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40 ~ 60°의 경사각을 형성한 상태로 제2 버너(1400)와 결합된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회전부(600)는 회전몸체(610), 손잡이부(620), 결합핀(630), 돌출핀(640) 및 제2탄성부재(650)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몸체(610)는 회전부(6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회전몸체(6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62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혼합부(100)와 결합되는 결합핀(630)이 구비된다. 그래서, 작업자가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킬 경우, 손잡이부(620)의 회전과 함께 혼합부(10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핀(630)은 혼합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30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결합핀(630)은 이동홈(30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소화 상태에 있는 제2 버너(1400)를 점화시키고자 할 경우에, 작업자는 손잡이부(620)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눌러 스토퍼 캡(700)의 고정홈(701)에 안착된 돌출핀(640)을 고정홈(701)의 외부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킴으로써 제2 버너(1400)의 점화 및 화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핀(640)이 고정홈(701)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회전부(60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손잡이부(620)를 눌러 돌출핀(640)을 고정홈(701)의 외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몸체(610)에 결합된 결합핀(630)도 손잡이부(620)의 누름 작업시 이동홈(301)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620)의 회전시 결합핀(630)은 회전 방향으로 이동홈(301)을 가압하며 혼합부(1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돌출핀(640)은 결합핀(63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몸체(6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작업자가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놓을 경우, 제2탄성부재(650)는 회전몸체(610)에 탄성력을 가하여 돌출핀(640)이 스토퍼 캡(700)의 지지홈(702)에 지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2탄성부재(650)의 일단부는 회전몸체(610)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혼합부(100)에 지지되어 회전몸체(610)를 탄발지지하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손잡이부(620)의 회전각을 통해 제2 버너(1400)의 화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캡(700)에는 한 쌍을 이루는 제1스토퍼(710)와 제2스토퍼(720)가 구비되어 돌출핀(640)의 회전각은 구속된다. 즉, 제1스토퍼(710)와 제2스토퍼(720)는 돌출핀(640)의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돌출핀(64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제1스토퍼(710)와 제2스토퍼(720)는 돌출핀(640)이 회전범위를 0°~ 180°미만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으나, 제2 버너(1400)가 소화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화력을 낮추기 위해 돌출핀(640)이 회전범위를 0°~ 160°이하의 범위로 제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측 방향 즉, 0°에 위치된 손잡이부(620)를 90°로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는 가스 노즐(2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가스 유입홀(210)을 열림 상태에 위치시켜 제2 버너(1400)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최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2 버너(1400)의 화력을 낮출 경우, 작업자는 소화측 방향으로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키지 않고 소화측 방향으로부터 90°를 넘어선 방향으로 즉, 90°~ 160°이하의 각도로 회전시켜 제2 버너(1400)가 소화되는 일없이 제2 버너(1400)의 화력을 선택적으로 낮출 수도 있고, 작업자는 90°미만의 소화측 방향으로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키며 제2 버너(1400)의 화력을 선택적으로 낮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믹싱밸브(1600)는 노즐 캡(910), 제1탄성부재(920) 및 가스공급 제어부(93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노즐 캡(910)은 제2하우징(320)의 내측에 구비되며, 가스 노즐(200)의 상하 이동시 가스 노즐(20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혼합부(100)에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가 회전되는 경우, 가스 노즐(200)은 가스 조절부(40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노즐 캡(910)은 상하로 이동되는 가스 노즐(20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관(1)으로부터 가스 유입홀(210)로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를 열림 상태라 하되, 가스 유입홀(210)이 노즐 캡(910)으로부터 완전 개방된 상태를 완전 열림 상태라 하고, 일부 개방된 상태를 일부 열림 상태라 한다. 그리고, 가스 유입홀(210)이 노즐 캡(910)에 막혀 가스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를 닫힘 상태라 한다.
다시 말해서, 혼합부(100)의 타측에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가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스 조절부(400)는 가스 노즐(20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가스 유입홀(210)을 노즐 캡(910)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가스 유입홀(210)로 가스가 유입되는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혼합부(100)의 타측에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가 혼합부(100)의 회전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스 조절부(400)는 제1탄성부재(920)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가스 노즐(200)은 상측으로 이동되며, 가스 유입홀(210)은 노즐 캡(910)의 내부로 이동되어 가스 유입홀(210)은 닫힘 상태가 된다. 즉, 가스 조절부(4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스 유입홀(210)의 개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스 노즐(200)의 하단부에는 실링부재(220)가 구비되어 가스 유입홀(210)이 닫힘 상태에서는 가스 노즐(200)과 노즐 캡(910)의 사이로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노즐(200)은 가스 조절부(400)의 가압에 따라 가스 노즐(200)이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가스 노즐(200)은 회전되는 구성이 아니다.
또한, 가스 노즐(200)은 토출관(5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용기 받침대(10, 도 1참조)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 믹싱밸브(1500, 도 1참조)는 연결관(5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가스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버너(1200, 도 1참조)로 원활한 가스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스 노즐(200)은 혼합부(100)와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가스 노즐(200)의 불량 또는 정비시 작업자는 손쉽게 가스 노즐(200)만을 분리하여 가스 노즐(200)의 교체 또는 정비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제2하우징(320)의 하측에는 가스공급 제어부(930)가 구비되며, 가스공급 제어부(930)는 전후 이동을 통해 가스관(1)으로부터 제2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가스공급 제어부(930)는 가스관(1)으로부터 제2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며, 가스 유입홀(210)로 가스를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부(620)의 회전에 따른 회전부(600)와 가스 노즐(200)의 작동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20)가 0°에 위치된 상태로, 제2 버너(1400, 도 5참조)가 소화된 상태이다. 이때의 돌출핀(640, 도 5참조)은 고정홈(701, 도 5참조)에 위치된 상태이며, 가스 유입홀(210)은 노즐 캡(910)에 의해 막혀 있는 즉, 가스 유입홀(210)은 닫힘 상태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 안내홀(120)은 제1하우징(310)에 막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혼합부(100)는 제1하우징(310)과 완전히 밀착되는 구성이 아니다. 즉, 혼합부(100)는 제1하우징(310)으로부터 회전되기 위한 최소의 이격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혼합부(100)는 회전을 통해 가스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제2 버너(140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혼합부(100)는 제1하우징(310)으로부터 회전되기 위해 혼합부(100)와 제1하우징(310) 사이에는 미세한 틈(313)이 형성된다.
즉, 손잡이부(620)가 0°에 위치된 상태인 밸브가 차단(OFF)된 상태에서는 가스 유입홀(210)은 완전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혼합부(100)로 가스의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에, 제2홀(312)로부터 제1하우징(310)과 혼합부(100)의 미세한 틈(313)로 유입된 공기는 제1홀(311)을 통해 토출관(510)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렇게 손잡이부(620)가 0°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토출관(510)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관(520)으로 공급되어 제2 버너(1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의 제2 버너(1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미량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620)가 0°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310)과 혼합부(100)의 미세 틈(313)으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관(510)과 연결관(520)의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를 제2 버너(1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어, 제2 버너(1400)의 점화시 토출관(510) 및 연결관(520)에 잔존하는 가스에 의해 화력이 역류하는 역화(back fire)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버너(1400)로부터 역화가 발생되어 연결관(520) 등의 각종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45°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20)가 0°기준점으로부터 45°로 회전된 경우로, 공기 안내홀(120)은 제1홀(311)과 제2홀(312)에 일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는 가스 노즐(200)을 하측으로 가압하며 가스 유입홀(210)의 일부분이 노즐 캡(9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가스 유입홀(210)로 가스 유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스 노즐(200)에 형성된 가스 유입홀(210)은 하측으로 갈수록 가스 유입홀(210)의 폭은 점차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가스 노즐(200)의 위치에 따라 가스 유입홀(210)로 유입되는 가스 유입량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620)가 45°로 회전된 경우에는 공기 안내홀(120)과 가스 유입홀(210)이 일부 개방된 상태로 공기 안내홀(120)과 가스 유입홀(210)의 연통된 부위로 공기와 가스는 유입되어 제2 버너(1400, 도 5참조)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9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20)가 90°로 회전된 경우로, 공기 안내홀(120)은 제1홀(311)과 제2홀(312)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가스 조절부(400)는 가스 노즐(200)을 하측으로 가압하되, 가스 유입홀(210)은 노즐 캡(910)의 외부로 완전 노출된 완전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편심 결합된 가스 조절부(400)는 가스 노즐(20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가스 유입홀(210)을 완전 개방 상태에 위치시켜 제2 버너(1400, 도 5참조)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최대로 공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버너(1400, 도 5참조)로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량이 최대를 이루기에 제2 버너(1400, 도 5참조)는 최대 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믹싱밸브의 손잡이부가 160°상태에서의 회전부와 가스 노즐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620)가 160°로 회전된 경우로, 공기 안내홀(120)은 제1홀(311)과 제2홀(312)과 일부분이 연통되되, 손잡이부(620)가 45°를 이루는 경우보다 연통되는 부분이 작아 제2 버너(1400, 도 5참조)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이 작다. 그리고, 가스 유입홀(210)의 경우에도 손잡이부(620)가 45°를 이루는 경우보다 가스 유입홀(210)의 연통되는 부분이 작아 제2 버너(1400, 도 5참조)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량도 작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손잡이부(620)가 90°로 제2 버너(1400, 도 5참조)가 최대 화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버너(1400, 도 5참조)의 화력을 낮출 경우, 손잡이부(620)를 0°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90°이상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기 안내홀(120)과 가스 유입홀(210)의 연통 부분을 조절하여 제2 버너(1400, 도 5참조)의 화력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캡(700)에는 한 쌍을 이루는 제1스토퍼(710)와 제2스토퍼(720)가 구비되어 돌출핀(640)의 회전각은 구속되어 손잡이부(620)는 0°~ 160°이하로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부(620)를 90°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최대 160°이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손잡이부(620)가 160°로 회전된 경우에는 공기 안내홀(120)은 제1홀(311)과 제2홀(312)에 일부분이 연통되고, 가스 안내홀(110)은 노즐 캡(91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일부 열림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버너(1400, 도 5참조)가 소화됨없이 제2 버너(1400, 도 5참조)의 화력을 안정적으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 버너(1400, 도 3참조)의 화력을 낮출 경우, 작업자는 소화측 방향(0° 방향)으로 손잡이부(620)를 회전시키지 않고 90°를 넘어선 방향으로 즉, 90°~ 160°이하의 각도로 손잡이부(620)를 회전시켜 제2 버너(1400, 도 5참조)가 소화되는 일없이 제2 버너(1400, 도 5참조)의 화력을 낮출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손잡이부(620)의 회전을 통해 공기 안내홀(120)과 가스 유입홀(21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제2 버너(1400, 도 5참조)의 화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믹싱밸브(1500)는 제2 믹싱밸브(1600)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1 믹싱밸브(1500)와 제2 믹싱밸브(1600)의 차이는 연결관이 제1 버너(1200)에 결합되는지 아니면 제2 버너(1400)에 결합되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즉, 제1 믹싱밸브(1500)에 구비된 연결관(520')은 제1 버너(1200)와 결합되어 제1 믹싱밸브(1500)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제1 버너(1200)의 화력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믹싱밸브(1500)는 제2 믹싱밸브(1600)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으므로, 제1 믹싱밸브(15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사시도로, 가스레인지(3000)에는 제1 버너(1200)와 제2 버너(1400)가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버너(1200)와 제2 버너(1400)의 개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버너(1200)와 제2 버너(14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1 믹싱밸브(1500) 및 제2 믹싱밸브(1600)의 개수도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혼합부 110: 가스 안내홀
120: 공기 안내홀 200: 가스 노즐
210: 가스 유입홀 300: 하우징부
400: 가스 조절부 510: 토출관
520, 520': 연결관 600: 회전부
700: 스토퍼 캡 710: 제1스토퍼
720: 제2스토퍼 800: 후방 캡
1100: 몸체부 1200: 제1 버너
1300: 벽면부 1400: 제2 버너
1500: 제1 믹싱밸브 1600: 제2 믹싱밸브
2000, 3000: 가스레인지

Claims (8)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용기 받침대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하면을 가열하는 제1 버너;
    상기 몸체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벽면부;
    상기 벽면부에 설치되며, 안착된 상기 조리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하는 제2 버너;
    상기 제1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믹싱밸브; 및
    상기 제2 버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믹싱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믹싱밸브와 제2 믹싱밸브는 밸브를 차단(OFF)한 경우에도 상기 제1 버너와 제2 버너로는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용기 받침대로부터 상측으로 15 ~ 20cm 떨어진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버너는 상기 제1 버너의 중앙을 향하도록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40 ~ 60°의 경사각을 이루며 상기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상부에서 직화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믹싱밸브는,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 안내홀과 에어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홀이 연통 형성되어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제2 버너로 공급하는 혼합부;
    하부에 가스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 안내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노즐;
    상기 혼합부를 감싸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스 노즐을 감싸는 제2하우징을 갖는 하우징부; 및
    상기 혼합부의 타측에 편심 결합되며, 상기 혼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노즐을 상하이동시키며 상기 가스 유입홀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가스 조절부가 포함되는 가스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혼합부로부터 혼합된 가스와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
    상기 혼합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혼합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부;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스토퍼 캡;
    상기 제1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방 캡; 및
    일단부는 상기 토출관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버너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된 가스와 공기를 상기 제2 버너로 공급하는 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가스레인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회전몸체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부에 형성된 이동홈에 삽입되는 결합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 캡에 지지되는 돌출핀; 및
    일단부는 상기 회전몸체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혼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몸체를 탄발지지하는 제2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가스레인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캡에는 상기 돌출핀의 회전을 구속하는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구비되는 가스레인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 노즐의 이동을 안내하는 노즐캡;
    일단부는 상기 가스 노즐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가스 노즐을 탄발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가스관으로부터 상기 가스 유입홀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가스공급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가스레인지.
KR1020130090076A 2013-07-30 2013-07-30 가스레인지 KR10145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76A KR101457088B1 (ko) 2013-07-30 2013-07-30 가스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076A KR101457088B1 (ko) 2013-07-30 2013-07-30 가스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088B1 true KR101457088B1 (ko) 2014-11-03

Family

ID=5228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076A KR101457088B1 (ko) 2013-07-30 2013-07-30 가스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33B1 (ko) * 2016-09-30 2018-01-05 김인배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KR102177814B1 (ko) * 2019-09-23 2020-11-11 박인범 업소용 기능성 직화레인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72Y1 (ko) * 1991-03-25 1993-05-10 이경일 가스구이기
KR20100132296A (ko) * 2009-06-09 2010-12-17 김상복 업소용 가스레인지
KR101052503B1 (ko) * 2011-04-29 2011-07-29 (주)디포인덕션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KR101118262B1 (ko) * 2011-07-05 2012-02-28 홍혜정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72Y1 (ko) * 1991-03-25 1993-05-10 이경일 가스구이기
KR20100132296A (ko) * 2009-06-09 2010-12-17 김상복 업소용 가스레인지
KR101052503B1 (ko) * 2011-04-29 2011-07-29 (주)디포인덕션 불요리가 가능한 인덕션 레인지
KR101118262B1 (ko) * 2011-07-05 2012-02-28 홍혜정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533B1 (ko) * 2016-09-30 2018-01-05 김인배 직화 구이기 및 이를 구비한 가스렌지
KR102177814B1 (ko) * 2019-09-23 2020-11-11 박인범 업소용 기능성 직화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30B1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2348933B (zh) 煤气燃烧器
KR101220550B1 (ko) 가스레인지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KR101457088B1 (ko) 가스레인지
KR101461402B1 (ko) 볶음기
KR101520548B1 (ko) 가스레인지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180031294A (ko)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148760B1 (ko) 가스 로스터
KR101498095B1 (ko) 연료공급 조절부를 구비한 액출버너
KR20150116603A (ko) 공기 공급구조를 갖는 업소용 직화 구이기
KR20090064606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442692B1 (ko) 가스레인지용 믹싱밸브
JPH1073256A (ja) ガス調理器
JP2008215814A (ja) ガスコンロ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402953B1 (ko)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200421210Y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CN112762484B (zh) 燃气炉
CN221005055U (zh) 燃烧器及具有其的燃气灶
CN217907392U (zh) 燃气烤炉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69014A (ko) 탑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