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440B1 -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440B1
KR101455440B1 KR1020107022383A KR20107022383A KR101455440B1 KR 101455440 B1 KR101455440 B1 KR 101455440B1 KR 1020107022383 A KR1020107022383 A KR 1020107022383A KR 20107022383 A KR20107022383 A KR 20107022383A KR 101455440 B1 KR101455440 B1 KR 10145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rous material
waist region
fibrous
arm memb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392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7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loo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11Female or loop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면 파스너 부분의 변형이나 순간적인 충격 박리력이 작용해도, 수부재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고, 수부재를 박리할 때에, 섬유질재가 빠지는 것에 의한 보풀 발생이 생기는 일이 없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를 제공한다. 섬유질재로 형성되고 상대 수부재에 결합 가능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복수열의 섬유 밀집부(2)와, 이들 섬유 밀집부(2) 사이에 마련되고 섬유 밀집부(2)보다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낮은 복수열의 섬유 성김부(3)로 이루어진다. 섬유 밀집부(2)가 탄성 변형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박리가 없어지고, 보풀 발생도 적어진다.

Description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FEMALE MEMBER FOR HOOK-AND-LOOP FASTENER, HOOK-AND-LOOP FASTENER EMPLOYING THE FEMALE MEMBER, AND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HOOK-AND-LOOP FASTENER}
본 발명은,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가 이용되는 일회용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신체에 대한 장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전개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면 파스너는 수부재와 암부재의 결합 및 해제에 의해 상호의 결합 및 분리를 행하는 것이며, 수부재에는 복수의 돌기군(훅)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면이 형성되는 한편, 암부재는 돌기군이 결합 가능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3에는, 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암부재의 종래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11-335960호 공보)에는, 30 ㎜∼100 ㎜인 주체섬유로 이루어지는 에어스루(air through) 부직포를 이용하고, 이 부직포의 전폭에 걸쳐 MD(Machine Direction) 방향과 교차하는 엠보스 처리를 실시하며, CD(Cross Direction) 방향의 2 N/25 ㎜ 가중 시의 신장률을 75% 이하로 하고 두께를 0.4 ㎜ 이상으로 한 암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기본적으로 평면적으로 배열된 층 구조로 되어 있고, 각 섬유 사이는 서로 융착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섬유가 많이 배열되어 있는 MD 방향과 교차하는 엠보스 패턴에서의 엠보스 처리를 행함으로써, 섬유층을 융착하여 일체화해서 각 섬유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여, 보풀 발생을 작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평6-33359호 공보)에는, 열수축 가능한 섬유 웨브(Web)에 스펀 본드 부직포를 포개어 일체화하고, 그 후에 열처리하여 섬유 웨브를 수축시키며, 이에 따라 스펀 본드 부직포에 깊이가 0.2 ㎜∼3 ㎜인 주름을 2 개/1 ㎠∼40 개/1 ㎠ 형성시킨 암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스펀 본드 부직포는 평면 형상으로 배열된 엔드리스의 섬유가 열엠보스 등으로 강고하게 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풀이 발생하기 어려운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 스펀 본드 부직포의 하층측에서 일체화한 열수축성 섬유 웨브를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스펀 본드 부직포에 다수의 주름을 발생시키고, 이 주름에 의해 수부재와의 결합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허 문헌 3(일본 특허 공개 평11-152669호 공보)에는, 열수축성의 섬유층과 비열수축성의 섬유층을 적층하고, 이 적층체에 고압 유체 흐름을 분사하여 섬유끼리를 교락(交絡)시킴과 동시에 섬유를 재배열시켜 개공(開孔) 부직포로 하며, 그 후, 가열 처리를 실시하여 열수축성 섬유층을 수축시켜 비열수축성 섬유층에 섬유 다발의 루프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랜덤한 방향으로 융기한 컬형상물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열융착에 의해 각 섬유의 연결이 부직포 평면의 전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또한 엠보스에 의해 더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부재와의 결합력이 크며 또한 보풀 발생은 작아지지만, 그 반면, 결합 박리 방향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탄성이 상실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 등의 착용 중에 면 파스너가 변형되거나, 순간적인 충격 박리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결합 상태에 접착성이 없어 면 파스너가 수부재로부터 간단히 박리된다.
특허 문헌 2에서도, 특허 문헌 1과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며, 동일한 과제를 갖고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섬유 다발의 루프가 형성되고, 또한 부직포 전체의 섬유 간 결합이 섬유 교락에 의해 루즈한 연결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와 같은 과제는 없으나, 반면, 섬유 교락에 의한 루즈한 섬유 간 결합으로 인해, 수부재를 결합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간단히 섬유가 빠져 보풀이 발생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섬유 교락의 정도를 강하게 하면, 부직포 전체가 지나치게 조여져 열수축에 의한 섬유 다발의 루프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부재가 걸리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면 파스너 부분의 변형이나 순간적인 충격 박리력이 작용해도, 수부재로부터 간단히 박리되는 일이 없고, 또한 수부재를 박리할 때에, 섬유질재가 빠지는 것에 의한 보풀 발생이 생기는 일이 없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면 파스너의 암부재는, 섬유질재로 형성되고 상대 수부재에 결합 가능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복수열의 섬유 밀집부와, 이들 섬유 밀집부 사이에 마련되고 섬유 밀집부보다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낮은 복수열의 섬유 성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 밀집부는 상기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형성된 볼록 형상의 융기부(ridge portion)이고, 상기 섬유 성김부는 상기 융기부 사이에 마련된 오목 형상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융기부는 두께가 0.3 ㎜∼6 ㎜이고, 융기부의 각 열 사이 피치가 2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홈부의 하부의 섬유질재의 두께분으로 이루어지는 기층부(基層部) 상에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상기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층부 상에 겹쳐 쌓여진 섬유질재의 용량은 상기 홈부 내의 용량에 상당하는 섬유질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 성김부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상기 융기부의 각 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질재는, 섬유질재를 구성하는 섬유끼리 뒤얽힌 상태로, 섬유질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까지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면 파스너는, 복수의 돌기군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면을 구비한 수부재와, 상기 결합면에 결합 가능한 상기 청구항 1 내지 6에 기재된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가랑이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부재와, 상기 가랑이 부재에 일체로 마련된 흡수체로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 또는 뒤 몸통 둘레 부재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결합면을 구비한 수부재와, 어느 다른쪽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면에 결합 가능한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암부재로 이루어지는 면 파스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으로서, 미리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뒤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뒤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면 파스너가 미리 접합됨으로써 전체가 팬츠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가랑이 부재로 이루어지는 외측 부재와, 상기 가랑이 부재에 일체로 마련된 흡수체로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섬유 밀집부가 두께 방향으로 인장될 때에, 그 폭이 줄어들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부재와의 결합에 접착성이 생겨 수부재와의 결합성이 양호해진다. 이 때문에 면 파스너의 변형이나 충격 박리력이 있어도 수부재로부터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섬유질재가 빠지지 않기 때문에, 보풀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암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의 A-A선 단면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암부재의 표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이면을 도시하는 바닥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암부재의 수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의 박리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암부재의 이면을 결합면으로 한 경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의 박리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암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핫에어 제트 노즐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면 파스너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135°필 시험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유지력 시험기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결합 접착성 시험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박리 작용에 대한 결합 접착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의 암부재(1)를 도시한다. 암부재(1)는 다수의 섬유질재를 구성 요소로 한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열풍에 의해 섬유질재를 서로 융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부재(1)는 섬유 밀집부(2) 및 섬유 성김부(3)를 구비하고 있다.
섬유 밀집부(2)는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부분이고, 섬유 성김부(3)는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낮은 부분이다. 단위 중량은 단위 면적당의 섬유질재의 중량(양)이며, 예컨대, g/㎡의 단위에 의해 표시된다. 섬유 밀집부(2) 및 섬유 성김부(3)는 MD 방향(제조 시에 반송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섬유 밀집부(2) 및 섬유 성김부(3)는 CD 방향(제조 시에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섬유 성김부(3)의 열은 섬유 밀집부(2)의 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섬유 밀집부(2)와 섬유 성김부(3)는 CD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섬유 밀집부(2)와 섬유 성김부(3)를 교대로 배치하는 경우, 섬유 밀집부, 섬유 성김부, 섬유 성김부, 섬유 밀집부, 또는, 섬유 성김부, 섬유 밀집부, 섬유 밀집부, 섬유 성김부라고 하는 배치도 포함한다.
섬유 밀집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풍에 의해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형성된 부분이며, 볼록 형상의 융기부(ridge portion; 4)로 되어 있다. 섬유 성김부(3)는 열풍에 의해 섬유질재가 배제된 부분이며, 오목 형상의 홈부(5)로 되어 있다. 이들 융기부(4) 및 홈부(5)는 MD 방향으로 연속하고, CD 방향에서는 교대로 배치된다. 융기부(4)를 구성하는 섬유질재는 그 융기부(4) 내에서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융기부(4)를 구성하는 섬유질재의 대부분은, 인접하고 있는 융기부(4)와는 독립되어 있다. 또한, 홈부(5)의 하부의 섬유질재의 두께분으로 이루어지는 기층부(基層部; 7) 상에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융기부(4)가 형성되고, 기층부(7) 상에 겹쳐 쌓여진 섬유질재의 용량은 홈부(5) 내의 용량에 상당하는 섬유질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홈부(5)의 하부측의 섬유 성김부(3)를 형성할 때에 열풍에 의해 배제된 섬유질재가 홈부(5)의 양측에 겹쳐 쌓여 융기부(4)인 섬유 밀집부(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융기부(4)에 있어서의 약간의 섬유질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4)의 바닥 부분[기층부(7)]에서 인접하고 있는 융기부(4)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에 의해 암부재(1)는 부직포 시트로서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5)[섬유 성김부(3)]에는,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는 암부재(1)의 표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는 열풍에 의해 섬유질재를 배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개구부(6)를 홈부(5)에 형성함으로써, 개구부(6)의 몫만큼, 섬유질재를 융기부(4)측에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융기부(4)의 단위 중량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융기부(4)가 도시하지 않은 수부재와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어, 수부재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개구부(6)의 주변의 섬유질재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D 방향으로 향하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CD 방향으로의 시트의 연신도(延伸度)가 향상된다. 또한, 개구부(6)에 대해서는, 형성해도 되고,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4)가 표면측에 형성되고, 이면측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나, 융기부(4)를 표리의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열풍에 의해 배제된 섬유질재가 홈부(5)의 양측에 겹쳐 쌓여 융기부(4)를 형성하였으나, 빗 형상의 것으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섬유질재를 배제하여 홈부(5)를 형성하고, 홈부(5)로부터 배제된 섬유질재를 홈부(5)의 양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융기부(4)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암부재(1)에 있어서의 치수, 재료 등의 조건에 대해서 설명한다.
암부재(1)를 구성하는 부직포 전체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5 g/㎡∼100 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50 g/㎡이다. 단위 중량이 15 g/㎡ 미만인 경우에는, 융기부(4)와 홈부(5) 사이의 단위 중량의 차를 작게 하지 않으면 홈부(5)의 섬유질재가 지나치게 적어져 CD 방향의 강도가 약해진다. 한편, 단위 중량이 100 g/㎡를 초과하면, 비용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융기부(4)의 각 열 사이 피치(P1)(도 2 및 도 3 참조)는 2 ㎜∼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10 ㎜이다. 피치(P1)가 2 ㎜ 미만이면, 상기 단위 중량 내에서 융기부(4)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없다. 섬유질재를 배제하여 융기부(4)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한편, 피치(P1)가 15 ㎜를 초과하는 경우, 홈부(5)의 폭을 작게 한 경우(예컨대, 1 ㎜∼2 ㎜), 융기부(4)가 넓어지고, 그 반면, 융기부(4)의 높이가 적어지기 때문에, 수부재와 원활하게 결합할 수 없다. 또한, 홈부(5)의 폭을 크게 한 경우(예컨대, 5 ㎜∼6 ㎜), 수부재와의 결합 면적이 적어져 결합력이 약해진다.
융기부(4)의 두께(H1)(도 1 참조), 즉 부직포의 두께는 0.3 ㎜∼6 ㎜이다. 두께(H1)가 0.3 ㎜ 미만인 경우에는, 수부재와의 걸림 상태가 나빠지고 융기부(4)의 탄성 변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두께(H1)가 6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암부재(1)의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취급이 불편해진다.
암부재(1)인 부직포에 이용하는 섬유질재는, 코어 시스(core-sheath)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가 선택된다. 이 복합 섬유는, 코어 성분을 구성하는 수지보다도, 시스 성분을 구성하는 수지가 더 저융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수지의 배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100%이다. 또한, 시스 성분보다도 고융점 재료의 다른 섬유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부직포 전체의 강도 저하나 보풀 빠짐 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예컨대, 부피를 크게 하기 위한 고권축(高捲縮) 타입의 섬유를 혼합하거나, 융기부(4)의 탄성 변형을 보관할 목적을 위한 신축 탄성사(彈性絲)를 혼합하는 것은 가능하다.
섬유질재로서는, 코어 성분/시스 성분이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PE(폴리에틸렌), PP/저융점 PP,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저융점 PET, PET/PE인 조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질재에 혼합하는 섬유로서는, 섬유질재의 시스 성분 수지와 상용성이 양호한 것이 선택된다. 예컨대, 레이온, PET, PP,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아크릴, 우레탄, 코튼 등의 섬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섬유질재에 혼합함으로써 웨브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이면 선택이 가능하다.
섬유질재의 굵기는, 1 dtex∼15 dtex이고, 바람직하게는 1.5 dtex∼9 dtex이다. 1 dtex 미만이면, 단사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 수부재와의 결합 시에 섬유 끊어짐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카드에서의 웨브 형성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15 dtex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감이 나빠지고, 단위 중량당의 섬유 개수가 적어져 수부재와의 결합 강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사용되는 섬유질재의 길이는, 25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60 ㎜이다. 길이가 25 ㎜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가 지나치게 짧기 때문에, 보풀 발생의 원인이 되고, 길이가 100 ㎜를 초과하면 카드에서의 웨브의 형성이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암부재(1)에 있어서는, 홈부(5)의 섬유질재가 융기부(4)에 더해지고 있기 때문에, 융기부(4)의 섬유질이 많아지고, 또한 부피도 커진다. 이 때문에, 수부재와의 결합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융기부(4)의 섬유질재는, 홈부(5)에 위치하고 있는 섬유질재가 에어 제트에 의해 날아감으로써 융기부(4)를 구성하기 때문에, 융기부(4)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질재는, MD 방향, CD 방향 나아가서는 두께 방향에 대해서도 랜덤한 섬유 배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접착성이 커서, 결합성이 우수해지고 보풀 발생도 적어진다. 이에 비하여, 가열 융착에 의해 섬유질재가 서로 접합하는 구조에서는, 보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 결합 접착성이 낮아져 결합성이 저하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 실시형태의 암부재(1)를 수부재(8)에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며, 도 4는 결합 상태, 도 5는 박리 상태이다. 수부재(8)는 복수의 돌기(9)를 가진 결합면(10)을 구비하고 있고, 이 결합면(10)이 암부재(1)를 향하고 있다. 암부재(1) 및 수부재(8)를 접근시켜 돌기(9)를 융기부(4)의 섬유질재와 결합시킨다. 이때, 홈부(5)는 결합 되도 되고, 결합 되지 않아도 된다.
도 5의 박리 상태에 있어서는, 융기부(4)를 구성하는 섬유질재의 대부분이 인접하고 있는 융기부(4)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융기부(4)의 정점 부분이 두께 방향으로 인장된다. 이 인장 시에는, 융기부(4)는 폭이 작아지면서 높이가 커진다고 하는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이와 같이 결합하고 있는 융기부(4)가 신축됨으로써, 절곡되거나, 복압(腹壓) 등에 의한 순간적인 충격력이 작용해도, 이들 쇼크를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부재(8)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암부재(1)가 박리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 6 및 도 7은, 암부재(1)의 이면을 결합면으로서 이용한 경우이며, 도 6은 수부재(8)의 결합 상태를, 도 7은 박리 상태를 도시한다. 암부재(1)는 표면이 흡수성 물품 등의 외부 부재에 접착되어 이용된다. 암부재(1)의 표면에는, 융기부(4) 및 홈부(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의 전체면이 접착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표면을 결합면으로서 이용하는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경향의 거동을 나타내며, 박리 시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을 일으킨다. 따라서, 절곡이나 복압 등의 충격력이 있어도 결합 상태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 8은 이 실시형태의 암부재(1)를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장치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8의 장치에 있어서의 융기부(4) 및 홈부(5)를 형성하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8에 있어서, 부호 12는 암부재(1)의 원료가 되는 섬유 웨브이다. 섬유 웨브(12)의 주행로에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핫에어 제트 노즐(13) 및 개공 플레이트 드럼(14), 열풍 가열로(15)가 배치되어 있다. 열풍 가열로(15) 내에는 흡인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부호 16은 섬유 웨브(12)를 형성하는 카드이다. 카드(16)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섬유 웨브(12)를 형성한 후, 섬유 웨브(12)를 개공 플레이트 드럼(14)에 접촉시킨다. 개공 플레이트 드럼(14)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부(14a)가 개구되어 있고, 구멍부(14a)로부터 화살표(18)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섬유 웨브(12)를 흡인한다. 핫에어 제트 노즐(13)은, 개공 플레이트 드럼(14) 상에 위치하고 있고, CD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13a)로부터 핫에어 제트를 섬유 웨브(12)에 분무한다. 이 개공 플레이트 드럼(14)에 있어서는, 섬유 웨브(12)를 하면으로부터 흡인하면서, 섬유 웨브(12)의 상면에 대하여 노즐(13a)로부터 섬유질재의 융점에 대하여 +50℃∼-50℃의 핫에어 제트를 분무한다.
핫에어 제트가 분무된 부분에 있어서의 섬유질재는, 양측으로 배제되기 때문에, 배제 부분에 홈부(5)가 형성되고, 배제된 섬유질재는 인접하는 노즐(13a) 사이에서 어묵 형상(가운데가 볼록한 형상)으로 겹쳐 쌓여 융기부(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핫에어 제트 노즐(13)을 통과함으로써 섬유 웨브(12)에는 융기부(4) 및 홈부(5)가 형성되어 가공 웨브(19)가 된다. 이 가공 웨브(19)는, 섬유질재가 반융착 상태인 채로 열풍 가열로(15) 안으로 유도되고, 일반적인 에어스루 부직포와 마찬가지로 130℃∼160℃의 열풍(20)이 분무된다. 이것에 의해, 섬유질재가 충분한 융착 상태가 되고, 롤(21)에 권취되어 제조가 종료된다.
이상의 제조에 있어서, 개공 플레이트 드럼(14)의 CD 방향으로, 핫에어 제트 노즐(13)과 동기하는 물결 형상을 부형(賦型)함으로써 웨브의 양면에 대하여 융기부(4) 및 홈부(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부(5)에 개구부(6)(도 2 및 도 3 참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개공 플레이트 드럼(14)에 있어서의 핫에어 제트가 분사되는 라인 상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구멍부(14a)가 없는 부분을 점재시킴으로써 가능하며, 구멍부(14a)가 없는 부분에서 개구부(6)가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3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흡수성 물품(31)은, 전개형 일회용 기저귀이며, 앞 몸통 둘레 부재(32), 뒤 몸통 둘레 부재(33) 및 이들 사이의 가랑이 부재(34)에 의해 외측 부재(35)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부재(34)의 내면에는, 흡수체(36)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흡수체(36)는 액 투과성이고, 외측 부재(35)는 액 불투과성으로 되어 있다.
뒤 몸통 둘레 부재(33)는, 앞 몸통 둘레 부재(32) 위에 포개지는 것이며,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수부재(37)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앞 몸통 둘레 부재(32)의 상부 외면에는 벨트 형상의 암부재(38)가 부착되어 있다. 수부재(37)를 암부재(38)에 결합시킴으로써 기저귀의 사용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암부재(38)를 앞 몸통 둘레 부재(32)의 전체를 덮도록 부착해도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31)의 암부재(38)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암부재(1)를 이용함으로써 암부재(38)가 수부재(37)와 양호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기저귀가 변형되거나, 순간적인 충격력이 작용해도 결합이 떨어지는 일이 없다.
도 11은 다른 흡수성 물품(41)을 도시하며, 도 10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대응시키고 있다. 앞 몸통 둘레 부재(32) 및 뒤 몸통 둘레 부재(33)에는, 암부재 및 수부재로 이루어지는 면 파스너가 폭 방향으로 부착되고, 면 파스너가 결합함으로써 전체가 팬츠형으로 되어 있다. 앞 몸통 둘레 부재(32)의 가장자리부 외면에는 수부재(37)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뒤 몸통 둘레 부재(33)의 가장자리부 내면에는 암부재(38)가 부착되어 있고, 암부재(38)와 수부재(37)가 결합함으로써 팬츠형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41)에 있어서도, 암부재(38)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암부재(1)를 이용함으로써 수부재(37)와의 원하지 않는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의 흡수성 물품(41)에서는, 암부재(38)가 장착자의 신체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암부재(38)는 융기부(4) 및 홈부(5)를 가진 구조이며, 유연하고 또한 투액성(透液性), 통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 위치에 배치해도 장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인 흡수성 물품(31)의 일부에 암부재(38)를 이용하였으나, 앞 몸통 둘레 부재(32), 뒤 몸통 둘레 부재(33) 중 적어도 한쪽을 상술한 암부재(38)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 이용하는 섬유의 특성을 나타낸다.
(제조 방법)
표 1의 배합 비율의 섬유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에 공급하여 면 파스너의 암부재(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 제조는, 구멍 직경 1.0 ㎜, 피치 50 ㎜의 노즐(13a)을 4열 배치하고, 핫에어 제트 노즐(13)로부터 온도 150℃, 풍량 0.12 ㎥/분/㎡의 핫에어 제트를 분무하며, 그 후, 열풍 가열로(15) 내에서 온도 150℃, 풍량 15 ㎥/분/㎡의 열풍(20)을 약 10초간 분무함으로써 행하였다. 이에 따라, 단위 중량 35 g/㎡, 융기부(4)의 피치가 5 ㎜, 홈부(5)의 폭이 1.3 ㎜인 표면을 가진 실시예 1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얻었다. 이 경우, 홈부(5)에는 MD 방향을 따라 5 ㎜ 피치의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비교예 1 및 2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서는, 핫에어 제트 노즐(13)로부터 핫에어 제트를 분무하지 않고 제조하고,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의 핫에어 제트의 풍량 조건을 10 ㎥/분/㎡로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보다도 두꺼운 부직포가 된다.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동일한 구조의 수부재를 MD 방향으로부터 결합시켜 박리 강도, 보풀 발생, 유지력, 결합 접착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두께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다. 이하에 평가 방법을 설명한다.
[두께 측정]
가로 세로 10 ㎝의 샘플을 두께 측정기(상품명 「PEACOK DIAL THICKNESS GAUGE No.CI1352」)에 의해 3 g/㎠의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135°필(peel) 시험]
암부재로 되어 있는 부직포를 3∼5 ㎝×5 ㎝로 커팅하여 시험편으로 하고, 이 시험편을 5 ㎝×8 ㎝의 스펀 본드 부직포(20 g/㎠∼30 g/㎠)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하여 암부재 샘플(53)로 하였다. 한편, 2 ㎝×3 ㎝의 수부재를 12 ㎝×3 ㎝의 스펀 본드 부직포(20 g/㎠∼30 g/㎠)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하여 수부재 샘플(56)로 하였다.
암부재 샘플(53)을 양면 점착 테이프에 의해 6 ㎝×10 ㎝의 스테인리스판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접착하고, 그 후, 수부재 샘플(56)을 암부재 샘플(53) 위에 포개며, 그 위에서 700 g 롤러를 300 ㎜/min의 속도로 1번 왕복시켜, 시험편(암부재)과 수부재를 결합시켰다. 그리고, 결합면에 전단력이 가해지도록, 결합시킨 수부재 샘플(56)의 한쪽 단부로부터 500 g의 하중을 3초간 작용시킨다. 또한, 롤러의 폭은 45 ㎜, 직경은 95 ㎜이고, 테이프 압착롤기는 테스터 산교(주)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12는 135°필 시험기를 도시하며, 상술한 스테인리스판을 오토그래프에 부착하고, 수부재 샘플(56)과 암부재 샘플(53)의 박리 각도가 135°가 되도록 수부재 샘플(56)의 한쪽 단부로부터 인장하여 박리시킨다. 이 박리에 필요한 힘을 135°박리력으로 한다.
오토그래프의 조건은 이하와 같이 설정한다.
측정 조건: 로드셀=5 ㎏, 인장 속도=300 ㎜/min
상측 척-샘플 사이=50 ㎜(수직 방향)
[유지력 시험]
도 13에 도시하는 유지력 시험에 이용하는 암부재 샘플(59)은, 5 ㎝×5 ㎝의 암부재(61)를 10 ㎝×10 ㎝의 스펀 본드 부직포(20 g/㎠∼30 g/㎠)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하여 작성한다. 또한, 유지력 시험에 이용하는 수부재 샘플은, 2 ㎝×4 ㎝의 수부재(54)를 4 ㎝×8 ㎝의 스펀 본드 부직포(20 g/㎠∼30 g/㎠)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하여 작성한다.
이상의 수부재 샘플을 암부재 샘플(59) 위에 포개고, 그 위로부터 700 g 롤러를 300 ㎜/min의 속도로 1번 왕복시켜 수부재(54)와 암부재(61)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 샘플을 20℃, 60% RH에서 30분간 방치한다.
도 13은 유지력 시험기이며, 암부재 샘플(59)의 상단부를 고정구(63)에 의해 매단 상태로 하고, 수부재 샘플(62)의 하단부에 800 g의 추(64)를 매달아 40℃ 분위기 중에 방치한다. 그리고, 결합이 떨어져 추(64)가 낙하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유지력으로 한다. 이 경우, 60분이 경과해도 낙하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대 유지력을 60분으로 한다.
[결합 접착성 시험]
도 14는 결합 접착성 시험에 이용하는 암부재 샘플은, 2 ㎝×4 ㎝의 암부재를 3 ㎝×5 ㎝의 스펀 본드 부직포(20 g/㎠∼30 g/㎠)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박리되지 않도록 접착하여 작성한다. 결합 접착성 시험에 이용하는 수부재는, 1.5 ㎝×3 ㎝의 크기로 하고, 그 이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접착한다. 이 수부재를 암부재 샘플 위에 포개고 그 위로부터 700 g 롤러를 300 ㎜/min의 속도로 1번 왕복시켜 수부재와 암부재를 결합시킨다.
도 14는 결합 접착성 시험기이며, 수부재와 암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샘플(68)을 상하 2개의 L자 금구(金具)(중량 13.5 g)(67) 사이에 끼워 넣고, 양면 점착 테이프로 상하의 L자 금구(67)에 접착한다. 계속해서, 상하의 L자 금구(67)를 상하의 오토그래프(69)에 부착하여 결합 접착력을 측정한다. 측정에 있어서는, 최대 부하 시의 변위 거리를 「최대 변위」로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0064618156-pct00001
Figure 112010064618156-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암부재는 표면 및 이면 모두, 1회∼5회의 135°필 시험에 의한 박리 강도, 보풀 발생, 유지력 시험, 결합 접착성 시험 모두에서 결과가 양호하다. 실시예 1에서는, 이면에 있어서 박리 시험 5회째의 유지력은 박리 시험 1회째의 유지력보다도 높은 결과이다. 이것은, 박리 시험을 반복함으로써 암부재의 두께가 회복되어 결합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은 박리 강도, 보풀 발생은 양호한 데 비하여, 유지력 시험 및 결합 접착성 시험은 불량이었다. 비교예 2에서는, 135°필 시험의 5회째의 박리 시험 시에 박리되어 파괴되었다. 따라서, 비교예 1 및 2는 양호한 암부재로서의 레벨을 갖고 있지 않다. 여기서, 파괴 상황은, 자재 자체의 Z 방향(두께 방향)의 결합이 떨어져, 층 형상으로 자재가 수부재에 달라붙어 박리되어 있다.
도 15는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결합 접착성의 특성도를 도시하며, 곡선 E는 실시예 1의 표면에 있어서의 결합 접착성을 나타내고, 곡선 F는 실시예 1의 이면에 있어서의 결합 접착성을 나타낸다. 곡선 G는 비교예 1의 표면의 결합 접착성을 나타내고, 곡선 H는 비교예 2의 표면의 결합 접착성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에서는, 표면 및 이면의 양쪽에 있어서 큰 결합 접착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56903호(2008년 3월 6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 파스너의 암부재에 따르면,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이 높은 섬유 밀집부가 두께 방향으로 인장될 때에, 폭이 줄어들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부재와의 결합에 접착성이 생겨 결합성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0)

  1. 섬유질재로 형성되고 상대 수부재에 결합 가능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서,
    상기 섬유질재의 복수열의 섬유 밀집부와,
    이들 섬유 밀집부 사이에 마련된 섬유질재의 복수열의 섬유 성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 밀집부의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은 상기 섬유 성김부의 섬유질재의 단위 중량보다 높고, 상기 섬유 밀집부는 상기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형성된 볼록 형상인 융기부(ridge portion)이고, 상기 섬유 성김부는 상기 융기부 사이에 마련된 오목 형상의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두께가 0.3 ㎜∼6 ㎜이고, 융기부의 각 열 사이 피치가 2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하부의 섬유질재의 두께분으로 이루어지는 기층부(基層部) 상에 섬유질재가 겹쳐 쌓여 상기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층부 상에 겹쳐 쌓여진 섬유질재의 용량은 상기 홈부 내의 용량에 상당하는 섬유질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성김부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개구부가 상기 융기부의 각 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재는, 섬유질재를 구성하는 섬유끼리가 뒤얽힌 상태로, 섬유질재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까지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의 암부재.
  6. 복수의 돌기군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구비한 수부재와,
    상기 결합면에 결합 가능한 상기 제1항에 기재된 암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파스너.
  7.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가랑이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부재와, 상기 가랑이 부재에 일체로 마련된 흡수체로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 또는 뒤 몸통 둘레 부재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고 결합면을 구비한 수부재와, 어느 다른 한쪽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면에 결합 가능한 제1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암부재
    를 포함하는 면 파스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미리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뒤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 및 뒤 몸통 둘레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배치된 면 파스너가 미리 접합됨으로써 전체가 팬츠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가랑이 부재를 포함하는 외측 부재와, 상기 가랑이 부재와 일체로 마련된 흡수체로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 몸통 둘레 부재, 뒤 몸통 둘레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면 파스너의 암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삭제
KR1020107022383A 2008-03-06 2009-03-05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KR101455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6903A JP5280710B2 (ja) 2008-03-06 2008-03-06 面ファスナーの雌部材、この雌部材を用いた面ファスナー及びこの面ファスナー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JP-P-2008-056903 2008-03-06
PCT/JP2009/054197 WO2009110564A1 (ja) 2008-03-06 2009-03-05 面ファスナーの雌部材、この雌部材を用いた面ファスナー及びこの面ファスナーを用いた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392A KR20100125392A (ko) 2010-11-30
KR101455440B1 true KR101455440B1 (ko) 2014-10-27

Family

ID=4105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383A KR101455440B1 (ko) 2008-03-06 2009-03-05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663187B2 (ko)
EP (1) EP2260739B1 (ko)
JP (1) JP5280710B2 (ko)
KR (1) KR101455440B1 (ko)
CN (1) CN101790331A (ko)
AU (1) AU2009220573B2 (ko)
BR (1) BRPI0906168A2 (ko)
CA (1) CA2717711A1 (ko)
CO (1) CO6300836A2 (ko)
EA (1) EA018409B1 (ko)
MA (1) MA32212B1 (ko)
MX (1) MX2010009798A (ko)
TW (1) TWI489019B (ko)
UA (1) UA99007C2 (ko)
WO (1) WO2009110564A1 (ko)
ZA (1) ZA201007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4838A (zh) * 2010-06-28 2010-12-15 北京大源非织造有限公司 一种新型非织造布
JP5930584B2 (ja) * 2011-01-07 2016-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JP6349148B2 (ja) * 2014-05-27 2018-06-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400945B2 (ja) * 2014-05-27 2018-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3000グラム以下の低体重児用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JP6509506B2 (ja) * 2014-07-09 2019-05-0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面ファスナー用ループ部材及び衛生用品
JP6622025B2 (ja) * 2014-08-26 2019-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雌部材
USD770774S1 (en) 2015-04-09 2016-11-08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uch with applied tape
USD773820S1 (en) 2015-05-27 2016-12-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Pouch with applied tape
CN107750132B (zh) 2015-05-29 2020-12-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带有单独固定的内侧部分和外侧部分的鞋面的鞋类制品
EP3156023A1 (en) * 2015-10-14 2017-04-19 Yuan-Long Cheng Nonwoven fabric fasten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59A (ja) * 1992-07-15 1994-02-08 Kuraray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
JPH11335960A (ja) * 1998-05-26 1999-12-07 Kao Corp 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5160967A (ja) 2003-12-05 2005-06-23 Ykk Corp 繊維製面ファスナー
JP2007268219A (ja) 2006-03-31 2007-10-18 Daio Paper Corp 面ファスナーの雌材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1624A (ja) * 1987-12-18 1989-06-26 Toshiba Corp 酸化物系超伝導線の製造方法
JP3846979B2 (ja) 1997-08-07 2006-11-15 大和紡績株式会社 剥離強力に優れた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9260B2 (ja) 1997-11-14 2005-09-28 大和紡績株式会社 嵩高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02963A (ja) 1998-04-20 1999-11-02 Idemitsu Petrochem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1822B2 (en) * 2004-07-21 2011-07-19 Aplix S.A. Hook and loop fastener device
FR2897621A1 (fr) * 2006-02-17 2007-08-24 Rieter Perfojet Sa Fermeture auto-agrippante en non-tisse pour un vetement.
JP4451420B2 (ja) * 2006-07-31 2010-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紙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59A (ja) * 1992-07-15 1994-02-08 Kuraray Co Ltd 面ファスナー雌材
JPH11335960A (ja) * 1998-05-26 1999-12-07 Kao Corp 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5160967A (ja) 2003-12-05 2005-06-23 Ykk Corp 繊維製面ファスナー
JP2007268219A (ja) 2006-03-31 2007-10-18 Daio Paper Corp 面ファスナーの雌材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9019B (zh) 2015-06-21
JP2009207844A (ja) 2009-09-17
US8663187B2 (en) 2014-03-04
MX2010009798A (es) 2010-09-30
AU2009220573B2 (en) 2012-09-06
EP2260739A1 (en) 2010-12-15
EP2260739A4 (en) 2012-05-02
JP5280710B2 (ja) 2013-09-04
UA99007C2 (ru) 2012-07-10
CA2717711A1 (en) 2009-09-11
WO2009110564A1 (ja) 2009-09-11
CO6300836A2 (es) 2011-07-21
AU2009220573A1 (en) 2009-09-11
MA32212B1 (fr) 2011-04-01
TW200946732A (en) 2009-11-16
EA018409B1 (ru) 2013-07-30
EA201001434A1 (ru) 2011-04-29
EP2260739B1 (en) 2016-03-02
BRPI0906168A2 (pt) 2015-06-30
CN101790331A (zh) 2010-07-28
ZA201007118B (en) 2012-01-25
KR20100125392A (ko) 2010-11-30
US20110118692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440B1 (ko)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JP5150588B2 (ja) 面ファスナー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263353B1 (ko) 재고착가능한 고착 장치용 부직 암형 부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348374B (zh) 吸收性物品
WO1999060881A1 (fr) Element de fixation et article absorbant comportant ledit element
PL183082B1 (pl) Materiał włókninowy
JP5386341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14536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80098317A (ko) 단섬유 부직포, 표면 체결구용 루프 부재, 및 위생 용품
EP3518853B1 (en) Loop member and diaper
EP3341513B1 (en) Loop member for surface fastener and adult diaper
JP5593124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23234098A1 (ja) 吸収性物品用の複合シート
JP4845597B2 (ja) 伸縮性不織布
TW202106269A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