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068B1 -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068B1
KR101455068B1 KR1020140037977A KR20140037977A KR101455068B1 KR 101455068 B1 KR101455068 B1 KR 101455068B1 KR 1020140037977 A KR1020140037977 A KR 1020140037977A KR 20140037977 A KR20140037977 A KR 20140037977A KR 101455068 B1 KR101455068 B1 KR 10145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control
toll
lane
control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흥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차로가 구비된 유료 도로의 진입 또는 진출시 통행료 관련한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위반차량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위반차량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절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로의 출구 측에 설치된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통행권 결제를 위한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신호 또는 키닫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열림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개방됨을 인지하고 상기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폐쇄됨을 인지하고 상기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금소 내에 설치되어 통행권 결제를 수행하는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또는 키닫힘 동작을 감지하여 차로 개방 또는 차로 폐쇄를 확인하고, 차로 폐쇄시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차로 개방시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재개함으로써 전력 절감 및 장비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Toll Collection System }
본 발명은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또는 키닫힘 동작을 감지하여 차로 개방 또는 차로 폐쇄를 확인하여 차로 폐쇄시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고속도로는 고속도로 입구에서 통행권을 발행하고, 출구에서 통행권을 반납하면서 요금을 정산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통행권을 발행하는 장비(HTIM)와 요금 정산장비는 통행요금 징수시스템(Toll Collection System ; TCS)으로 통합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 산업사회의 고도화와 경제성장에 따른 차량보유대수의 급증으로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급증하고 있다.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ETCS, Electronic Toll Collecting System)은 이용차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된 자동요금 단말기를 통해 요금 징수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차량이 톨게이트에서 정지하지 않고 통행 요금을 정산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100)은 차종분류장치(110), 안테나(120), 통합차로 제어기(130), 차량감지장치(140), 위반차량 촬영장치(150), 운전자 표시기(160) 및 차단기(170)을 포함한다.
차종분류장치(110)는 요금소에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 윤거 및 윤폭을 감지하여 차량의 차종을 판별한다. 안테나(120)는 차량에 설치된 자동요금 단말기로부터 요금 징수에 필요한 정보, 예컨대, 차량 식별정보 및 결제정보 등을 수신한다.
통합차로 제어기(130)는 차종분류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차종과 안테나(120)를 통해 수신한 차종 정보를 비교하여 위반 차량을 파악한다. 또한, 통합차로 제어기(130)는 자동요금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차량을 위반 차량 또는 정상적인 통신 처리가 되지 않은 차량을 위반차량으로 처리한다.
차량감지장치(140)는 요금소로부터 진출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차량감지장치(140)는 차량 진출 감지 신호를 통합차로 제어기(130)로 전송한다.
위반차량 촬영장치(150)는 통합차로 제어기(150)로부터 위반 차량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감지장치(140)의 감지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 사용하여 차량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차량영상 서버로 전송한다. 차량이 통행료를 납부하지 않고 도주하는 경우에 위반차량 촬영장치(150)가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영업소 서버 등의 상위 서버로 전송하고, 영업소 서버에서 추후 통행료 미납 고지를 위한 증빙 자료로 활용한다.
운전자 표시기(160)는 요금소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요금 징수 결과를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진출 부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차단기(170)는 위반 차량의 통과를 막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100)은 복수의 차로 각각에 설치되어 각 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개별적으로 인식하여 요금을 징수할 수 있다.
그런데,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100)은 복수의 차로 중 특정 차로가 폐쇄된 경우에 위반차량 촬영장치(150)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위반차량 촬영장치(150)에 전원이 인가되고, 해당 위반차량 촬영장치(150)에서 전송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OVD(Original Viedo Decoder, OVD)도 상시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100)은 요금소에 관리자 부재로 인해 차로가 폐쇄되어도 위반차량 촬영장치(150) 및 OVD에 상시 전원이 투입되어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0077114호 " 유료도로의 통행료 면탈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한국 등록특허 제10-0446965호 "전자식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본 발명은 통행권 결제를 위한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또는 키닫힘 동작을 감지하여 차로 개방 또는 차로 폐쇄를 확인하고, 차로 폐쇄시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력 절감 및 장비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차로가 구비된 유료 도로의 진입 또는 진출시 통행료 관련한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위반차량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위반차량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절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로의 출구 측에 설치된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통행권 결제를 위한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신호 또는 키닫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열림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개방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폐쇄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 또는 키열림 신호가 반복되는 경우에, 상기 키닫힘 신호가 최종 감지되는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총 시간값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상이면 전원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요금 관리 장치 내의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온도조절장치가 온동작 된 경우에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에 공급되는 전원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요금 관리 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고,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오프 동작된 경우에 절전 제어 모드 이전의 일반 모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유료 도로가 하이패스 차로인 경우에, 상기 키열림 신호를 하이패스 차로 열림 동작 신호로 대체하고, 상기 키닫힘 신호를 하이패스 차로 닫힘 동작 신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은 요금소 내에 설치되어 통행권 결제를 수행하는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또는 키닫힘 동작을 감지하여 차로 개방 또는 차로 폐쇄를 확인하고, 차로 폐쇄시 상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차로 개방시 위반차량 촬영 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의 전원 공급을 재개함으로써 전력 절감 및 장비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은 각 차로마다 위반차량 촬영 장치(150) 및 요금 관리 장치(200)를 포함한 차종 분류 장치, 안테나 장치, 통합 차로 제어기, 차량 감지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은 유료 도로의 입구 측에 통행권 발행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유료 도로의 출구 측에 통행권 확인기(210)가 설치되는데, 통행권 확인기(210)는 요금소 내의 정산원이 진출 차량의 통행권을 회수하여 이용 거리에 따른 통행료의 결제를 수행하는 수단이다.
요금 관리 장치(200)는 요금소 내에 설치되어 유료 도로의 이용 차량의 정보 기록, 정보 인쇄 및 정보 보관 기능, 차종 및 이용거리에 따른 통행료 결제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서, 관리 PC, 디스플레이 수단, 통신 수단, 인쇄 수단, 키입력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금 관리 장치(200)는 통행권 확인기(210), 요금 관리 제어 장치(220), 절전 제어 장치(230) 및 온도 조절 장치(24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행권 확인기(21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적인 키(Key) 수단을 구비하고, 요금 관리 장치(200)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키열림 동작되면 통행권 확인 개시 동작을 수행하고, 키닫힘 동작되면 통행권 확인 종료 동작을 수행한다. 통행권 확인기(210)는 통행권 확인 개시 동작시 적색 LED가 온 동작되고, 통행권 확인 종료 동작시 적색 LED가 오프 동작되면서 녹색 LED가 온 동작될 수 있다.
요금 관리 제어 장치(220)는 요금 관리 장치(200) 내 모든 장치에 대한 제어 기능과 영업소 서버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절전 제어 장치(230)는 요금 관리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전반(300)에서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하는 전원에 대한 절전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절전 제어 장치(230)는 운영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적인 키(Key)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운영자에 의해 오프 동작된 경우에 절전 제어 모드 이전의 일반 모드로 복귀되고, 운영자에 의해 온 동작되면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절전 제어 장치(230)는 요금 관리 제어 장치(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하드웨어적인 구성으로 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절전 제어 프로그램 형태로 요금 관리 제어 장치(220)에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절전 제어 장치(230)가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영상 관련 장치들은 위반차량 촬영 장치(150), 위반차량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OVD(Open Video Decoder), 조명장치, 루프디텍터, 환기팬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위반차량 촬영장치(150)와 OVD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차로 폐쇄시 상시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전원 공급이 진행되어 전력이 소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절전 제어 장치(230)는 운영자가 요금 관리 장치(200)에서 통행료 결제를 수행하고 있는 동안에만 위반차량 촬영장치(150)와 OVD의 상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절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240)는 OVD의 온도 유지를 담당하는 히터글래스(Heater glass)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은, 요금 관리 장치(200)의 운영자에 의해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통행권 확인기(210)가 운영자에 의해 키열림 동작되는지를 감지한다.(S1, S2) 이때,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통행권 확인기(210)의 키열림 동작시 DC 5V의 신호가 추출되므로 키열림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하이패스 차로인 경우에, 무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차량 단말기(OBU)가 설치된 차량이 하이패스 진입로와 진출로를 통과한 데이터를 영업소 서버로 전송하여 통행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ETCS)은 통행권 확인기 대신에 하이패스 차로 열림 동작 신호를 통행권 확인기(210)의 키열림 신호로 대체하고, 하이패스 차로 닫힘 동작 신호를 통행권 확인기(210)의 키닫힘 신호로 대체할 수 있다.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키열림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개방되고, 통행권 확인 개시 동작이 시작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위반차량 촬영 장치(150)와 영상 관련 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3, S4)
즉,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요금 관리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수단이나 PC, OVD에 상시 전원을 연결하고, 영상 관련 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키닫힘 시간이 임계 시간값 이상 유지될 경우에 해당 차로가 폐쇄되어 통행권 확인 동작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위반차량 촬영 장치(150)와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5, S6, S7)
이때,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임계 시간값을 10분 정도로 설정하지만, 경우에따라 운영자에 의해 임계 시간값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키닫힘 신호가 감지된 상태에서 온도 조절 장치(240)가 온동작 된 경우에 위반차량 촬영 장치(150)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하지만, OVD로 공급되는 상시 전원은 계속해서 공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요금 관리 장치 210 : 통행권 확인기
220 : 요금 관리 제어 장치 230 : 절전 제어 장치
240 : 온도 조절 장치

Claims (5)

  1. 복수 개의 차로가 구비된 유료 도로의 진입 또는 진출시 통행료 관련한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위반차량 영상 신호를 송출하는 위반차량 촬영장치를 포함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절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차로의 출구 측에 설치된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절전 제어 모드를 수행하는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요금 관리 장치 내에 설치되어 통행권 결제를 위한 통행권 확인기의 키열림 신호 또는 키닫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열림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개방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 차로가 폐쇄됨을 인지하고 해당 차로에 설치된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 또는 영상 관련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 또는 키열림 신호가 반복되는 경우에, 상기 키닫힘 신호가 최종 감지되는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한 총 시간값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값 이상이면 전원 차단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키닫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요금 관리 장치 내의 온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온도조절장치가 온동작 된 경우에 상기 위반차량 촬영장치에 공급되는 전원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요금 관리 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고,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이 오프 동작된 경우에 절전 제어 모드 이전의 일반 모드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유료 도로가 하이패스 차로인 경우에, 상기 키열림 신호를 하이패스 차로 열림 동작 신호로 대체하고, 상기 키닫힘 신호를 하이패스 차로 닫힘 동작 신호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KR1020140037977A 2014-03-31 2014-03-31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KR10145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77A KR101455068B1 (ko) 2014-03-31 2014-03-31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77A KR101455068B1 (ko) 2014-03-31 2014-03-31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068B1 true KR101455068B1 (ko) 2014-10-28

Family

ID=5199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77A KR101455068B1 (ko) 2014-03-31 2014-03-31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505B1 (ko) * 2018-04-25 2018-10-12 주식회사 맥서브 대기 전력 제어가 가능한 통합형 차로제어기 및 통합형 차로제어시스템
KR20180135683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면탈 차량 검출을 위한 톨게이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116A (ko) * 2007-02-05 2008-08-08 엘지엔시스(주) 카드발급기 그리고 이의 프린터헤더 전원인가방법.
KR2012007742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절전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116A (ko) * 2007-02-05 2008-08-08 엘지엔시스(주) 카드발급기 그리고 이의 프린터헤더 전원인가방법.
KR2012007742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절전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683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면탈 차량 검출을 위한 톨게이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49241B1 (ko) * 2017-06-13 2019-02-18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면탈 차량 검출을 위한 톨게이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07505B1 (ko) * 2018-04-25 2018-10-12 주식회사 맥서브 대기 전력 제어가 가능한 통합형 차로제어기 및 통합형 차로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0748609B1 (ko) 다차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요금징수시스템
CN203552312U (zh) 一种智能停车管理系统
JP2009140381A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CN105069847A (zh) 一种远程付费的停车场管理方法
KR100919983B1 (ko) 유료도로의 통행료 미납 및 불법차량 적발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192734B1 (ko) 위반차량 다빈도 진출입정보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5068B1 (ko)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의 절전 제어 방법
CN105528812A (zh) 一种高速公路收费站自动收费系统
JP2009116480A (ja) 不正通行車両の監視装置
CN109712285A (zh) 一种智慧停车管理系统
JP5781587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JP201007293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60102889A (ko) 전용차로 위반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5219361B2 (ja) 駐車管理システム
JP2016173860A (ja) 車両誘導システム
JP4066873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料金所端末装置、etc車載機、退場可否判定方法
JP2016170461A (ja) 課金処理装置、課金処理システム、課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32118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10020746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0066986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3263664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906405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2010183161A (ja) 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