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52B1 -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52B1
KR101454652B1 KR1020097010734A KR20097010734A KR101454652B1 KR 101454652 B1 KR101454652 B1 KR 101454652B1 KR 1020097010734 A KR1020097010734 A KR 1020097010734A KR 20097010734 A KR20097010734 A KR 20097010734A KR 101454652 B1 KR101454652 B1 KR 10145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tort
thermoplastic resin
retort processing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164A (ko
Inventor
토시키 사카구치
아츠시 코미야
유우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18Heating of preforms
    • B29C49/642Heating of preforms and shrinking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72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in several 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5/00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C2795/007Printing on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29C2949/302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 B29C2949/302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41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29C2949/304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5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5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29C2949/305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29C2949/3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having three or more components being compression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Joining
    • B29C49/42802Joining a closure or a sealing foil to the article or pincing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08Filling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04Thermal conditioning of the blown article
    • B29C49/6605Heating the article, e.g. for hot f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7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레토르트처리한 음식물을 수납하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에 있어서, 고가의 부재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이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으며, 레토르트 처리의 온도에 관한 경과뿐만 아니라, 레토르트 처리를 소정대로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고, 소비자도 상품이 레토르트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할 때에, 2단 블로우성형을 실시하여, 급냉수단에 의해 용기의 일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한다.
레토르트처리, 열가소성 수지 용기

Description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THERMOPLASTIC RESIN CONTAINER FOR WHICH COMPLETION OF RETORT PROCESSING CAN BE CONFIRME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토르트처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레토르트처리할 용기가 레토르트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열가소성 수지 프리폼(preform)을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하고, 그 후에 레토르트 가열 처리할 때에, 레토르트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과, 그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편리화 지향이나 소비자의 생활 스타일의 다양화 경향 등에 의해, 특히 소비자에 의한 소형의 휴대용 페트병음료를 각별히 사용하는 데서 볼 수 있듯이, 음료나 식품 등에 있어서도 통조림이나 플라스틱용기 제품의 수요나 기호가 점점 더 증대하고 있으며, 또, 음식물의 위생안전 관리를 엄격하게 하는데 따라서, 캔이나 플라스틱용기에 음식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에 레토르트처리(고온가열처리)하여 가열살균하는 것도 중요해지고 있다.
수납할 음식물 등을 수납·밀봉한 후에 레토르트 장치에 의해 레토르트 처리 하는 제조공정은, 고온에서 음식물을 가열처리하여 부패균을 살균함으로써 제품으로서 보존중인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하고, 또 박테리아균을 멸균하여 음식물의 변질을 억제하여 풍미를 변화시키지 않고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중요한 공정이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서 생산품이 레토르트처리된 것을, 제조 작업자가, 제품이 집적된 상자에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나타내는 라벨을 붙이거나, 또는 가열 경력에 따라서 변색하는 감열지를 이용하는 등 하여, 확인을 하고 엄밀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확인과 관리작업은, 제조 작업자에게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 되지만, 완전한 확인과 관리가 반드시 보증되는 것도 아니며, 레토르트 미처리의 제품이 잘못 출하되어, 제품인 음식물의 풍미가 변질되고, 만일 음식물 등이 부패를 일으키는 경우 생산자나 소비자에게 있어서 중대한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생산품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과 관리에 의한 제조 작업자의 부담을 없애고 나아가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레토르트 처리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라인에 편입시키면 좋겠으나, 통상적인 레토르트처리는 온도가 100℃ 또는 그 이상이며, 시간도 수분 또는 그 이상을 필요로 하고, 그 조건의 관리가 미세하고 까다롭다. 또, 음식물 등의 종류에 따라서 레토르트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레토르트처리의 자동화 공정에 의해 레토르트처리를 확실하고 엄밀하게 실시한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레토르트처리의 자동화 공정이나 그 밖의 공정에 있어서 자동화 생산라인에 트러블이 발생하면, 제조 작업자에 의해 그 트러블이 처리되고 생산라인이 재가동될 때에, 착오로 인해서 레토르트처리가 불충분하거나 또는 미처리된 생산품이 제조되어 출하될 우려도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생산품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과 관리에 따르는 제조 작업자의 부담을 없애고, 동시에 생산품의 레토르트처리의 확인과 관리를 엄밀하고 확실하게 실시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 종래부터 개발되고 있다.
기본적이고 또한 비교적 간이한 방법으로서, 레토르트처리에 있어서 고온에서 변색되거나 소색(消色)되는 시온성(示溫性) 잉크재료가 이용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적층포장재 시트의 적층 필름 사이에 살균온도에서의 수증기 변색성 인디케이터 잉크층을 형성하여, 레토르트처리의 충분한 가열과 완전한 살균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싼 값의 레토르트 포장재 시트(특허문헌1 참조), 소정의 가열살균 조건하에서 변색 내지 소색하는 형광 시온잉크에 의해 생산자의 데이터(캔의 내압 등)를 통조림캔에 인쇄하고, 살균공정 전·후의 시온잉크의 색을 비교 판정하여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고, 여기광(勵起光)을 조사하여 생산자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불량 통조림캔의 검출방법(특허문헌2 참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 온도변화를 바이메탈(bimetal)을 이용하여 검지하고 레토르트처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변동하는 2종류의 바이메탈에 의해 변위되는 감온부재(感溫部材)를 이용하는 온도 이력 센서를 사용하여, 온도 이력을 검지함으로써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방법(특허문헌3 참조), 온도변화에 의 한 바이메탈의 변동에 의해 작동하는 써모 체커(Thermo-Checker)의 위치변화를 자동적으로 판독하고, 음료를 봉입한 용기의 멸균상황을 검사하고 확인하는 멸균검사장치(특허문헌4 참조) 등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열처리완료 확인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레토르트처리할 생산품을 반송하는 공정라인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장치 부근의 가대(架台)에, 처리온도의 이력을 남길 수 있는 검출센서를 설치하고, 검출센서에 기억표시체를 씌워서 열이력을 확인하는, 열처리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완료 확인시스템(특허문헌5 참조)도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 레토르트처리에 있어서 고온에서 변색되거나 소색하는 시온성 잉크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특수하고 비교적 고가의 시온성 잉크를 필요로 하고, 인쇄장치와 인쇄공정도 필요로 하며, 인쇄한 잉크가 박리되는 경우도 있고, 또한 레토르트 처리온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고 해도 레토르트처리가 충분히 되어 있는지까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또, 온도변화를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검지하고 레토르트처리를 확인하는 방법에서는, 특수한 감온부재를 이용하는 온도 이력 센서나, 바이메탈의 변동에 의해 작동하는 써모 체커의 위치변화를 판독하는 멸균검사장치를 필요로 하여, 생산공정의 설비비가 상당한 고가를 필요로 한다.
또한, 열처리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완료 확인시스템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레토르트처리가 충분히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여도, 처리온도의 이력을 남길 수 있는 검출센서나 기억표시체 등을 부설하여야하기 때문에 상당히 고 가가 소요되는 특수한 열처리완료 확인시스템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종래의 어느 방법에서나, 생산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관점에서의 방법 내지는 장치이며, 특허문헌2에 있어서만, 소비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것에 대하여 약간 언급하고 있으나(요약 및 단락 0007), 형광 시온잉크의 색을 비교 판정하여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있어서 반드시 용이하고 간편한 확인방법이라고 할 수가 없으며, 레토르트처리를 충분히 받았는지까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최근에 있어서는, 생산자 및 소비자가 제품의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가 있는 용기로서, 내용액을 충전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와 같은 열처리에 의한 결정화에 의해 저면 중심부의 미연신(未延伸) 부분을 백화(白化)시킨, 2축 연신 블로우성형에 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제의 식품용 병체가 제시되어 있으며, 열처리공정에 따른 결정화에 의한 병체의 저면 중심부의 백화를, 제품의 열처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이용하는 제품제조공정의 관리방법으로 개시되어 있으나(특허문헌6 참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제의 식품용 병체 자체가 고온에서 장시간의 레토르트처리에 견디기가 어렵다고 생각되며, 실용화되는데 있어서 반드시 용이하다고 할 수가 없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3-334897호 공보(요약)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2004-203464호 공보(요약 및 단락 0007)
특허문헌3 : 일본국 특개2003-344174호 공보(요약)
특허문헌4 : 일본국 특개2002-104336호 공보(요약 및 단락 0016, 0020)
특허문헌5 : 일본국 특개2002-142736호 공보(요약)
특허문헌6 : 일본국 특개2005-313932호 공보(요약 및 특허청구의 범위)
배경기술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등을 충전한 통조림이나 플라스틱용기를 레토르트처리하는 것은 생산과정에 있어서의 중요한 공정인바, 제조 작업자에 의한 레토르트처리의 확인과 관리는 작업부담이 크고 완전한 확인과 관리가 곤란하기 때문에, 레토르트처리의 확인과 관리를 확실하고 완전하게 실시하기 위한 각종 방법이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종래의 대응방법에 있어서는, (i) 레토르트 처리 온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는 있어도 레토르트처리가 충분히 되었는지까지는 반드시 확인할 수가 없고, (ii) 특수한 감온부재를 이용하는 온도 이력 센서를 필요로 하거나, 써모 체커 판독장치나 온도이력 검출센서 등을 부설한 열처리완료 확인시스템의 설치가 필요하게 됨으로써 생산 공정의 설비비가 고가가 되며, (iii) 소비자가 직접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가 없다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는 상태가 현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꾀하고, 특수한 검출센서나 확인시스템 등의 고가의 부재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으며, 특히, 레토르트 처리 온도의 이력뿐만 아니라 레토르트처리를 소정대로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고, 소비자도 상품이 레토르트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용이하고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레토르트처리의 확인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발명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한 레토르트처리 확인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특히, 최근에 있어서 수요량이 크게 높아진, 이른바 페트병 등의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로 대표되는 플라스틱용기에 있어서, 이와 같은 레토르트처리의 확인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술한 종래의 각종 레토르트 확인방법을 기초로 하여, 신규의 확인방법을 탐색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각종 온도이력검지법이나 가열처리 검지시스템으로부터 레토르트처리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재료나 용기제조의 연신 블로우 성형공정 등에 걸쳐서, 여러가지 고찰과 검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 있어서, 플라스틱용기의 본체에 직접 레토르트처리가 완료되었다는 확인 표시를 부여할 수가 있다면, 고가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간단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의 특허문헌 6에 제시된 방법인,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의 연신 블로우성형 시에 미연신 내지 저연신의 부분이 후(後)가열에 의해 백화되는 현상을 가열이력을 표시하는데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그래서, 수납 음식물을 충전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에 의한 결정화에 의해 저면 중심부의 미연신 부분을 백화시킨, 2축 연신 블로우성형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의 실용화와 상품화를 검토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 6에 제시되어 있는, 레토르트처리에 의한 결정화에 의해 저면 중심부의 미연신 부분을 백화시키는 2축 연신 블로우성형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음식물용 용기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용기 자체가 고온에서의 장시간동안의 레토르트 처리에 견디기가 어렵고, 실용화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특허문헌 6에 있어서는, 1단 블로우성형에 의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 프리폼을 연신 로드(스트레치 로드) 및 지지핀(프레스 로드)으로 끼워 넣으면서 연신 로드를 전진시키고 지지핀을 후퇴시켜서 연신하며, 저면 중심부에 두껍고 투명한 미연신부를 형성하면서, 블로우성형에 의해 병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밀봉해 두고, 레토르트처리를 실시하면, 병체의 저면 중심부의 두꺼운 투명부가 백화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를 실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6의 단락 0006~0007, 0032및 도 3 참조 ).
그러나, 제시된 1단 블로우 성형법에 있어서는, 레토르트처리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용기를 성형할 수가 없고, 용기 자체의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제품으로서의 실용화에 적합하지 않다.
또,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을 얻고자, 종래의 2단 블로우 성형법을 이용하여 내열성 용기를 성형하고, 또한, 저부에 두꺼운 투명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1차 블로우 후의 중간체를 열수축시킬 때에, 두꺼운 투명부가 열수축을 위한 재가열시의 고온에 의해 충분히 백화되는 온도에 도달하고, 2단 블로우 후에 서서히 냉각되면 먼저 백화해 버리기 때문에, 레토르트처리 확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1단 블로우의 프리폼 가열 온도는 100℃ 전·후로 비교적 저온인 것에 대하여, 2단 블로우 전의 열수축시의 온도는 200℃ 전·후로 고온이기 때문에, 서서히 냉각시키면 두꺼운 투명부가 백화한다.)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중요한 문제점의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수지 재료나 용기제조의 연신 블로우 성형공정 등에 대한 검토를 계속하여, 용기 자체가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레토르트처리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에 있어서, 레토르트처리에 의한 결정화에 의해 저면 중심부의 미연신 부분을 백화시킨, 2축 연신 블로우성형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의 음식물용 용기의 실현을 위하여, 실험에 의한 실증을 거듭하였다.
그리고, 2단 블로우 성형법에 있어서의 2단 블로우 후의 서서히 냉각될 때에, 용기의 저면 중심부의 미연신부가 먼저 백화해 버리는 것을 피해서, 레토르트 처리시에 백화 시켜서 레토르트처리 확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플라스틱용기의 2단 연신 블로우 성형시에 용기의 일부에 미연신 내지 저연신의 부분을 남기면서 그 부분을 급냉시키면, 그 부분이 후가열에 의해 백화되기 때문에, 그 부분을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백화시켜,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부분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신규의 중요한 방법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규의 방법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성형한 용기의 일부에, 연신처리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한,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2단 블로우성형에 의한 내열성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 용기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한다.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은, 백화부가 제품에 있어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등의 이유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특히,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는, 연신 성형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내열성을 열결정화에 의해 부여하는 백화 노즐부분(용기의 목부)을 따라서, 노즐의 아래부분에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백화부를 이들 저면부와 노즐 하부의 쌍방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고, 그 밖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의 백화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할 때에, 2단 블로우 성형법을 사용하여, 프리폼의 일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내열성이 높은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우선, 바람직하게는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 성형시에,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에 의해 중간체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거나, 또는 저면부를, 연신 로드와 상면을 냉각시킨 지지핀으로 끼워 넣고,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다시 또는, 노즐 하부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의 두꺼운 부분을 블로우 금형의 냉각된 부분으로 끼워 넣고 급냉시키면서 블로우성형하여 용기를 형성하고, 용기에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을 형성해 두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투명 내지 반투명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용기의 노즐 하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과는 전혀 다른 관점에서, 미연신부의 백화에 의한 레토르트처리 확인수단으로서, 실용화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신규의 발명에 있어서,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2단 블로우 성형용기에 사용하는 것을 주요한 구성의 요건으로 하는 방법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플라스틱용기 제품의 저면부 및/또는 노즐의 하부 등에 형성된, 레토르트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백화부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레토르트처리를 받았는지 아닌지의 확인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2단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i) 가열 이력을 검지하기 위한 고가의 부재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으며, (ii) 제조 작업자가 음식물을 수납하는 플라스틱용기 제품의 생산공정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를, 작업부담이나 확인실수 없이, 확실하게 확인하고 완전히 관리할 수가 있으며, (iii) 백화부가, 레토르트처리 온도를 단지 거쳤을 때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온도와 시간으로 레토르트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생성되기 때문에, 레토르트 처리의 온도에 도달한 것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레토르트처리가 충분히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보증할 수가 있으며, (iv) 플라스틱 연신 블로우성형의 공정중에 있어서, 백화부의 형성을 위한 예비적 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v) 생산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관점에서도, 소비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vi) 백화부의 존재 여부의 확인에 의한, 소비자에게 있어서 용이하고 간편한 확인방법으로서, 그 확인에 의해 소비자는 수납한 음식물이 양호하게 보존되고 풍미의 변질도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특히 유유아 등의 음식물에 있어서, 위생적인 보존면에서 안심하고 음식물을 소비할 수가 있다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볼 수 없는 종합적인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을 기초로 하여 감안한 특허문헌 6 이외에 있어서는, 배경기술에 있어서 기재한 종래의 특허문헌이나 그 밖의 관련 특허문헌을 정밀히 조사하여도, 본 발명의 구성의 요건과 특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문헌 6을 포함하여 상기 선행기술 등과는 명백하게 다른 발명으로서, 상기 선행기술로부터는 아무런 시사도 없는 우수한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창작된 경위, 및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특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총괄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발명단위군으로 구성되는 것이며,[1]및 [8]의 발명을 기본적인 발명으로 하고, 그 이외의 발명은, 기본적인 발명을 구체화 또는 실시형태화하는 것이다. (이하, 발명군 전체를 합쳐서 「본 발명」이라고 한다.)
[1]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2단 블로우성형한 내열성 용기의 일부에, 연신 처리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2] 상기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용기의 저면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3] 상기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4] 상기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용기의 노즐 하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5]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6] 상기 열가소성 수지 용기가, 105℃ 이상에서 1~50분간의 레토르트 살균이 가능한 레토르트 대응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7]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중간체의 일부에 급냉된 투명 내지 반투명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
[8]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중간체의 일부에 급냉된 투명 내지 반투명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9]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저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에 의해 중간체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0]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저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 성형할 때에,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와, 상면을 냉각시킨 지지핀에 의해 끼워 넣고,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중간체를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1]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노즐 하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 성형할 때에, 노즐 하부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의 두꺼운 부분을 블로우 금형의 냉각된 부분에 끼워 넣고 급냉시키면서 블로우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2]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용기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을 수납한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2단 블로우성형한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 용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2단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가열 이력을 검지하기 위한 고가의 부재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 처리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으며, 제조 작업자가 음식물을 수납하는 플라스틱용기 제품의 생산공정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를, 작업부담이나 확인상의 실수 없이, 확실하게 확인하고 완전하게 관리할 수가 있으며, 레토르트처리의 온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는 것만이 아니라, 레토르트처리가 충분히 되었는지는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생산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관점에서도, 소비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용이하고 간편한 확인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가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토르트처리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금형 내에서의 3차 중간체의 블로우 성형상태를 설명하는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수축한 중간체를 2차 블로우하는 성형상태를, 연속도면으로 예시하는 단면 연속도.
(부호의 설명)
(a-1):노즐부       (b-1):노즐 하부
(b-2):저면 중심부     (f-1):백화한 노즐 하부
(f-2):백화한 저면 중심부  (2-1):금형
(2-2):연신 로드      (2-3):지지핀
(2-4):냉각 블록     (2-5):냉각 블록
(2-6):냉각 블록     (2-7):블로우 노즐
(2-8):단열재        (2-9):단열재
(2-10):바닥형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따라서 상술하였으나, 이하에 있어서는, 상술한 본 발명군에 있어서의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
(1) 기본적인 구성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는,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2단 블로우 성형용기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성형한 용기의 일부에, 연신처리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발생한 백화부로 이루어지는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이 형성된다.
(2) 백화부의 형성
열가소성 수지 용기를 연신 블로우로 성형할 때에 미연신 내지 저연신하는 투명한 부분이 후가열에 의해 백화하기 때문에, 이 현상을 가열 이력을 표시하는데 이용하여, 플라스틱용기의 본체에 직접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표시를 부여할 수가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플라스틱용기의 2단 블로우 성형시에, 용기의 일부를 급냉시키면서 미연신 내지 저연신의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을 남기면, 그 부분이 후가열에 의해 백화하기 때문에, 그 부분을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백화시켜서,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으로 형성시킨다.
(3) 백화부의 형성부분
백화부의 형성부분은 용기의 어느 부분이라도 좋으나, 제품에 있어서 백화부가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냉각 연신 로드로서 형성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저면부에 형성하고, 특히, 도 1(f)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용기의 목부(노즐 하부)도, 연신 블로우성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연신을 받지 않기 때문에, 그 부분을 백화 확인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미연신 내지 저연신의 부분은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지는바, 그 부분을 두껍게 하거나, 연신 로드로 수지를 밀어넣거나, 레토르트의 후가열에 의한 열고정에 의해, 기계적인 강도가 보충된다.
2. 레토르트 처리
레토르트처리는, 일반적으로, 가압하의 100℃ 부근 내지는 100℃ 이상 125℃ 정도의 가열살균처리로서 수분간 정도~수십분까지 실시된다. 가열처리는, 가열 가 압솥 내에서 실시되고, 가열매체는 통상적으로 가열 수증기나 끓는 물이 사용된다.
생산라인에서 음식물 등의 수납용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수납용기를 바스켓에 집적시켜 배치처리(batch processing)한다.
레토르트조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열수 샤워에 의한 등압제어로, 액체의 온도 20℃에서부터 레토르트처리를 개시하고, 20분간 액체온도 125℃ 및 레토르트솥의 내압이 245KPa가 되도록 제어(시간 비례 제어), 30분간 레토르트처리한 후, 20분간 액체온도 20℃ 및 레토르트솥의 내압이 대기압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105℃ 이상의 온도에서 5분간 이상의 가열처리를 실시하면, 일반적으로 레토르트처리 요건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3. 내(耐)레토르트 용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레토르트처리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에 있어서는, 고온과 장시간의 가혹한 레토르트처리의 처리 조건하에서도, 용기의 변형이나 수축이 가급적 발생하지 않는, 내 레토르트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결하고, 이 점에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6에 있어서의 선행기술과 본질적으로 다르다.
이와 같은 내열성이 높은 내레토르트 용기는, 기본적으로는 2단 블로우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최근, 내 레토르트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발명에 대하여 선출원을 한 상태이며, 2축 연신 2단 블로우 성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발명 을 기본으로 하여, 2축 연신 2단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의 성형조건이나 금형의 구 조 또는 성형품의 열처리방법이나 프리폼의 재료, 또는 1차 성형품의 열수축처리나 2차 블로우 후의 히트셋(heat-set) 처리 등에 관하여 다각적인 개량을 실시한, 내 레토르트 용기의 발명을 출원하고 있는 상태이다(일본국 특원 2004-378384[특개 2006-181884] 및 특원2005-131624 등).
따라서, 예를 들면, 선원 발명으로서의,「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1차 금형으로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1차 성형품으로 하고, 1차 성형품을 가열 수축시켜서 2차 성형품으로 하며, 2차 성형품을 표면처리된 2차 금형으로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그대로 2차 금형 내에서 블로우 성형품의 표면 온도를, 210℃를 초과하고 250℃ 이하의 온도에서 히트셋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어, 2차 금형에서의 2축 연신 블로우성형에 있어서, 용기 몸통부의 두께 감소율이 5~30%가 되도록 성형되며, 오토클레이브로 125℃에서 30분간 처리한 용기의 수축 용량이 1%이하이며, 열기계 분석(TMA) 측정에 있어서 용기의 둘레방향에 관하여 수축 개시 온도가 120℃이상, 125℃에서 1~50분간의 레토르트 살균이 가능할 수 있는, 레토르트 대응 폴리에스테르 용기.」를, 본 발명의 레토르트용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4.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레토르트처리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는, 내열성 플라스틱용기의 연신 블로우 성형시에, 용기의 일부에 미연신 내지 저연신의 투명한 부분을 남기고, 그 부분을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백화시켜,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가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 성형할 때에, 프리폼의 일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내열성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백화부가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저부 또는 노즐 하부 등에,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되도록 2축 연신 1차 블로우 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한다. 또한, 저부의 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은, 연신 로드와 지지핀으로 저면을 끼워서 블로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노즐 하부는 블로우시에 연신되지 않기 때문에, 미연신부가 형성된다.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축 연신 2차 블로우 성형할 때에, 중간체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 저면의 중심부 또는 노즐 하부 등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이, 도 1의 (a)~(f)에 개략도로서 예시되어 있다. (a)는, 미리 노즐부(a-1)만 결정화시켜서 백화시킨 프리폼(1차 중간체)이다. (b)는, 프리폼을 1차 블로우시킨 후의 2차 중간체이며, 노즐 하부(b-1)가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고, 저면 중심부(b-2)도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c)는, 2차 중간체를 열수축시킨 3차 중간체이다. (d)는, 3차 중간 체를 2차 블로우한 성형 용기이며, 노즐 하부는 금형의 냉각 블록으로 급냉되고, 저면 중심부는 연신 로드 및/또는 지지핀으로 급냉되기 때문에, 급냉되는 각부분은 투명 내지 반투명이 된다. (e)는, 성형된 용기에 음식물이 수납되고 밀봉된 충전품이다. (f)는, 충전품을 레토르트처리한 음식물 수납제품이며, 노즐 하부(f-1)와 저면 중심부(f-2)가 레토르트처리의 고온 가열에 의해 백화부가 되어 레토르트처리의 확인부분이 된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할 때에, 1차 블로우 후에 가열수축시킨 후의 2차 블로우에 있어서,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에 의해 프리폼을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경우에는, 2차 블로우 성형할 때에, 3차 중간체의 저면을, 로드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와, 상면을 냉각시킨 지지핀에 의해 끼워 넣고,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중간체를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한다. 급냉된 부분은 급냉에 의해 투명 내지 반투명의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노즐 하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 성형할 때에, 노즐 하부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의 두꺼운 부분을 블로우 금형의 냉각된 부분으로 끼워 넣어 급냉시키면서 2차 블로우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용기의 노즐 하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을 병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2차 블로우성형과 금형장치 등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금형(2-1) 내에서의 3차 중간체의 블로우성형 상태가 예시되고, 연신 로드(2-2)와 지지핀(2-3)이 각각의 냉각 블록(2-4와 2-5)에 미리 냉각되고, 3차 중간체의 노즐 하부도 냉각 블록(2-6)에 의해 냉각되어, 각각의 냉각 블록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된다. 지지핀은 하부가 냉각되어 있으나, 열전도에 의해 그 선단부도 냉각되며, 단열재(2-8과 2-9)에 의해 금형(2-1)과 바닥형틀(2-10)로부터의 열의 영향이 경감되고 있다. 2차 블로우성형은, 블로우 노즐(2-7)로부터 3차 중간체 내에 고압의 에어가 취입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도 3의 (a)~(e)에 있어서는, 열수축한 중간체를 2차 블로우하는 성형상태가 연속도면으로 예시되어 있다. (a)에 있어서, 3차 중간체가 금형에 삽입되고, 노즐 하부가 냉각 블록에서 급냉된다. (b)에 있어서, 블로우 노즐이 하강하고 지지핀이 상승하며, (c)에 있어서 연신 로드가 하강하고, 양 로드에 의해 3차 중간체의 저면 중심부가 급냉된다. (d)에 있어서, 연신 로드가 다시 하강하여 지지핀을 눌러 내려서 하사점까지 하강한다. (e)에 있어서, 블로우 노즐로부터 고압 에어가 3차 중간체의 내부에 취입되어, 2차 블로우성형이 실시된다.
연신 로드의 저면부의 냉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또한,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장치에 있어서 금형 내에 보유된 상태에 있는 연신 로드의 하부와 지지핀의 상부를, 냉각수를 내부 순환시키고 있는 냉각 블록에서,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또는, 연신 로드의 내부에 있어서 저부 형상에 대응한 저부 내면의 소정의 위치에 냉각수 또는 냉각 공기를 순환시켜서, 연신 로드의 저면 부분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냉각 로드로서는, 일본국 특개2000-343590호 공보의 요약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5.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원재료
(1)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플라스틱용기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나, 용기로서의 여러 성능이나 가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에스테르 반복 단위의 대부분, 일반적으로 70몰% 이상, 특히 80몰% 이상을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로 차지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적합하다. 그 밖에도, 2축 연신 블로우성형 및 결정화가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라면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유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 폴리에스테르 수지류와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가 있다.
(2) 적층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다른 수지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수지 용기는, 내외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의 중간층에 산소 차단층이나 산소 흡수층을 형성한 다층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산소 차단성이나 산소 흡수성은, 수납 음식물의 미생물 부패나 화확적 변질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산소 차단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가 있다.
산소 흡수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중에 산소 흡수제를 배합한 층이 사용되며, 산소 흡수제로서는, 환원성을 갖는 금속분말을 예시할 수 있다.
(3) 프리폼
프리폼은, 사출성형기나 압출성형기 및 압축성형기 등에 의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형성되고, 재료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통칭 PET)를 소재로 하며, 또한, 적절히 적층 프리폼을 사용할 수도 있 다.
6.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로서의 제품
(1) 음식물 수납 제품
본 발명은,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용기 저면의 중심부 등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을 수납한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도, 실시형태로서의 발명으로 한다.
(2) 수납 음식물
수납하는 음식물로서는, 아무런 제한 없이 통상적인 음식물을 수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밀크커피, 코코아, 밀크티, 녹차 등의 음료나, 스프, 조리가 끝난 각종 식품, 유유아식 등이 바람직하게 수납된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실제의 예로서 설명하는바, 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며,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그 범위의 적응성을 보다 넓게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의한 실시예의 설명]
도 1~도 3의 도면에 의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2축 2단 블로우성형에 의한 실시예의 설명]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리폼(1차 중간체)의 입구부(노즐부)를 미리 가열수단에 의해 결정화(백화)시킨 후, 프리폼을 유리전이점 이상의 온도인 110℃로 가열하고, 금형 온도가 160℃의 블로우금형에 의해, 연신 배율이 세로 3배·가로 3배의 2축 연신 블로우성형을 실시하며, 노즐 하부와 저면 중심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의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이 형성된 2차 중간체로 하였다.
이어서 2차 중간체를 표면의 온도가 210℃가 되도록 재가열하여 열수축시켜 3차 중간체로 하고, 3차 중간체를 그대로, 형틀 온도 230℃에서, 용기를 형성하는 면이 PFA 불소수지로 코팅된 2차 블로우성형 금형에 삽입하여 블로우성형하고, 그 때에, 3차 중간체의 노즐 하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15℃로 냉각시킨 상기 2차 블로우 금형으로 3차 중간체를 끼워서, 다시,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15℃로 냉각시킨 연신 로드 및 상면을 15℃로 냉각시킨 지지핀으로 끼워 넣은 상태에서 3차 중간체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의 노즐 하부, 및, 저면의 중심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의 투명 내지 반투명의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였다.
[레토르트 처리]
상기의 성형용기 내에 음식물 수납물을 수납하여 밀봉한 후에, 105℃·5분간의 레토르트처리 조건으로 가열을 실시하고,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의 형성 은, 용기의 노즐 하부 또는, 저면의 중심부 중 어느 한쪽이라도 좋고, 또, 투명 내지 반투명의 두꺼운 부분을 용기의 저면의 중심부에 형성할 때에는, 연신 로드 또는 지지핀의 적어도 한쪽을 냉각시켜 두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레토르트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2단 블로우 성형 용기에 있어서, 가열 이력을 검지하기 위한 고가의 부재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 레토르트 처리완료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가 있으며, 제조 작업자가 음식물 수납 플라스틱용기 제품의 생산공정에 있어서의 레토르트 처리를, 확실하게 확인하고 완전하게 관리할 수가 있으며, 레토르트 처리 온도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는 것만이 아니라, 레토르트처리를 충분히 받았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고, 생산자가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확인하는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관점에서도, 소비자도 레토르트처리의 완료를 용이하고 간편한 확인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을 수납하는 플라스틱용기 분야의 산업에 있어서,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실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중간체의 일부에 급냉된 투명 내지 반투명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용기.
  8.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중간체의 일부에 급냉된 투명 내지 반투명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 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저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에 의해 중간체를 수직방향으로 연신하여,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연신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저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로드 선단부의 저면을 냉각시킨 연신 로드와, 상면을 냉각시킨 지지핀에 의해 끼워 넣고, 용기 저면의 중심부에 급냉된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중간체를 블로우하여 용기를 성형하고, 상기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프리폼을 노즐 하부에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이 발생하도록 2축 연신 블로우성형하여 중간체를 형성하고, 상기 중간체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 후, 2차 블로우성형할 때에, 노즐 하부의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의 두꺼운 부분을 블로우 금형의 냉각된 부분에 끼워 넣고 급냉시키면서 블로우성형하고, 용기 내에 수납물을 수납하고 밀봉한 후의 레토르트처리의 가열에 의해 미연신 또는 저연신 부분을 백화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처리 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의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097010734A 2006-10-27 2007-10-29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454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3362 2006-10-27
JP2006293362A JP4863114B2 (ja) 2006-10-27 2006-10-27 レトルト処理済みが確認可能な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PCT/JP2007/071063 WO2008050890A1 (fr) 2006-10-27 2007-10-29 Conteneur en résine thermoplastique pour lequel l'achèvement d'un traitement en autoclave peut être confirmé et procédé de production de celui-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164A KR20090101164A (ko) 2009-09-24
KR101454652B1 true KR101454652B1 (ko) 2014-10-27

Family

ID=393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734A KR101454652B1 (ko) 2006-10-27 2007-10-29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21829B2 (ko)
EP (1) EP2088085A4 (ko)
JP (1) JP4863114B2 (ko)
KR (1) KR101454652B1 (ko)
CN (1) CN101557992B (ko)
WO (1) WO2008050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8812A1 (de) * 2008-09-24 2010-04-01 Kh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binierten Herstellung und Abfüllung von Behältern aus Kunststoff
SG10201405659QA (en) 2009-07-09 2014-11-27 Advanced Tech Materials Substantially rigid collapsible liner and flexible gusseted or non-gusseted l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for limiting choke-off in liners
JP6087833B2 (ja) 2010-11-23 2017-03-01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ナーベースの分注器
WO2012118527A1 (en) 2011-03-01 2012-09-0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011102056B4 (de) * 2011-05-19 2016-05-12 Khs Corpoplast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efüllten Behältern aus Vorformlingen
US8795579B2 (en) 2012-01-27 2014-08-05 Altira, Inc. Localized shaping for container decoration
ES2628619T5 (es) * 2012-08-31 2023-02-24 Sa Des Eaux Minerales Devian Et En Abrege S A E M E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a botella hecha de monómeros de FDCA y diol
EP2957515B1 (en) * 2014-06-18 2017-05-24 Sidel Participations Container provided with an invertible diaphragm and a central portion of greater thickness
JP6437379B2 (ja) * 2015-04-30 2018-1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液体ブロー成形方法
WO2019065993A1 (ja) * 2017-09-29 2019-04-0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方法及びブロー成形装置
CN110744803A (zh) * 2019-09-10 2020-02-04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吹瓶机底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614B2 (ja) * 1996-07-23 2002-12-03 東洋製罐株式会社 耐熱耐圧性に優れた自立容器の製造方法
US20040211746A1 (en) 2001-04-19 2004-10-2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ulti-functional base for a plastic, wide-mouth, blow-molded container
JP2005313932A (ja) 2004-04-28 2005-11-10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製壜体及びその壜体に係る製品の製造工程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732B2 (ja) * 1994-05-16 2000-06-05 東洋製罐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容器の製造方法
JP3612775B2 (ja) * 1995-03-28 2005-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耐熱耐圧自立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577996B2 (ja) 1999-06-02 2004-10-20 東洋製罐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104336A (ja) 2000-10-03 2002-04-10 Toyo Kogyo Kk 滅菌検査装置
JP2002142736A (ja) 2000-11-10 2002-05-21 Kato Seikan Tekkosho:Kk 食品の熱処理工程における熱処理済確認システム
JP3918613B2 (ja) * 2002-04-05 2007-05-23 東洋製罐株式会社 耐熱性ポリエステ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206226B2 (ja) 2002-05-22 2009-01-07 日油技研工業株式会社 レトルト包材シート
JP2003344174A (ja) 2002-05-23 2003-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温度履歴センサ
JP4268799B2 (ja) 2002-12-26 2009-05-27 大和製罐株式会社 不良缶詰検出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示温インク印刷缶詰
JP2005131624A (ja) 2003-10-10 2005-05-26 Tama Tlo Kk サイクロン型遠心分離装置
JP4811700B2 (ja) 2004-12-28 2011-11-09 東洋製罐株式会社 レトルト対応ポリエステ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3614B2 (ja) * 1996-07-23 2002-12-03 東洋製罐株式会社 耐熱耐圧性に優れた自立容器の製造方法
US20040211746A1 (en) 2001-04-19 2004-10-28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ulti-functional base for a plastic, wide-mouth, blow-molded container
JP2005313932A (ja) 2004-04-28 2005-11-10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製壜体及びその壜体に係る製品の製造工程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63114B2 (ja) 2012-01-25
US8621829B2 (en) 2014-01-07
KR20090101164A (ko) 2009-09-24
CN101557992A (zh) 2009-10-14
CN101557992B (zh) 2011-04-13
WO2008050890A1 (fr) 2008-05-02
EP2088085A1 (en) 2009-08-12
US20110076432A1 (en) 2011-03-31
EP2088085A4 (en) 2013-11-13
JP2008110768A (ja)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52B1 (ko) 레토르트처리완료의 확인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용기 및 그 용기의 제조 방법
US5251424A (en) Method of packaging products in plastic containers
US5281387A (en)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low crystallinity
KR101308299B1 (ko) 내열압성 폴리에스테르 병 및 그 제조 방법
CN101678935B (zh) 多层聚酯容器及其生产方法
EP3039074B1 (en) Blow molding method for forming containers using a highly modified polyesters
US20110101573A1 (en) Hollow contain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780756B2 (ja) 充填体の製造方法
JP2017013798A (ja) 充填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ボトル、充填体、及び充填体の製造装置
JP6786786B2 (ja) プリフォーム、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109415134B (zh) 聚酯制拉伸吹塑成形容器及其生产方法
JP5282295B2 (ja) レトルト処理済みが簡易に確認可能な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JP2003160123A (ja) 樹脂製容器、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樹脂製容器入り飲料
JP6668672B2 (ja) プリフォーム、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プリフォームの結晶化装置、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充填体の製造方法
JPS5935333B2 (ja) ポリエステル容器の製造方法
JP4399784B2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製壜体及びその壜体に係る製品の製造工程管理方法
JP6710904B2 (ja) 充填体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ボトル、充填体、及び充填体の製造装置
JP6862698B2 (ja) ポリエステル製ブロー容器
WO2018003790A1 (ja) ポリエステル製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5050B1 (ko) 자립형 대형 내열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의성형방법
JPH0134877B2 (ko)
JP2018083630A (ja) ポリエステル製延伸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