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188B1 -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188B1
KR101453188B1 KR1020130004882A KR20130004882A KR101453188B1 KR 101453188 B1 KR101453188 B1 KR 101453188B1 KR 1020130004882 A KR1020130004882 A KR 1020130004882A KR 20130004882 A KR20130004882 A KR 20130004882A KR 101453188 B1 KR101453188 B1 KR 10145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ever
carding machine
shaf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615A (ko
Inventor
신성식
Original Assignee
신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식 filed Critical 신성식
Priority to KR1020130004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1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76Stripping or cleaning carding surfaces; Maintaining cleanliness of carding area
    • D01G15/80Arrangements for stripping cylinders or rollers
    • B08B1/165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76Stripping or cleaning carding surfaces; Maintaining cleanliness of carding area
    • D01G15/82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31/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D01G31/003Detection and removal of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는 박판 형상의 칼날을 구비한 이송부와, 카딩머신의 회전부재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이송부를 메달아 거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한 거치부를 포함한다. 이송부는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고정 설치한 톱날대의 틈새에 칼날을 위치시킬 수 있고,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이송부에 고정된 칼날이 회전부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틈새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카딩머신의 기대에 설치된 회전부재에 인접하여 이송부와 거치부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레버를 잠금해제 시킨 이후부터 이송부가 거치부의 걸이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 작업을 자동 수행하므로 쉽고 간편하게 회전부재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서 카딩머신의 청소 과정에서 수작업을 배제하고 작업원의 노고를 줄이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딩머신용 청소장치{Cleaning Device For Carding Machine}
본 발명은 옷솜이나 이불솜 등 이미 사용된 솜을 상하좌우로 이어진 웹 형태로 가공하는 카딩머신에 설치된 드럼이나 롤러에 고착된 이물과 찌꺼기를 쉽고 간편하게 제거하는 카딩머신용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딩 외투나 이불, 침낭 등의 보온성 제품이나 베게 등의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성 제품에 사용되는 솜은 털 모양의 흰 섬유질의 물질로서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되는 솜은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액체 등의 이물질이 접촉한 후 마르게 되면 더러워지며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푹신 푹신한 느낌이 사라짐과 함께 보온의 효과도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기능 저하된 솜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하려면 이미 사용된 솜을 수집하고, 수집된 솜에 섞여진 불순물을 걸러내고 부풀린 다음 가공하기 쉽도록 카딩머신을 이용하여 웹 형태로 만들며, 그 다음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재생된 솜을 이용하여 의류, 여과솜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문헌1]에는 솜을 재활용하기 위한 카딩머신(carding machine)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딩머신은 기대에 솜을 공급하는 공급롤, 그리고 카딩하는 드럼 및 롤러들을 설치하고, 모터 동력을 이용하여 공급롤과 드럼 및 롤러를 구동시키게 된다. [문헌1]에서는 입구에서 공급되는 솜을 타서 이송시키도록 공급롤과 카딩 드럼과 카딩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지도록 톱날대를 나선형으로 고정 설치한다.
한편 카딩머신을 사용하다 보면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감겨진 톱날대의 틈새에 쇳가루, 섬유 부스러기나 먼지 등 이물과 찌꺼기가 눌어 붙어서 고착되므로 카딩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쇠꼬챙이나 금속제 긁개를 이용하여 틈새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긁어 내어야 하기 때문에 청소 작업이 힘들고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톱날 부분에 긁히거나 구조물과 부딪히는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의 청소 방법으로 이물과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는 화학 약품을 이용할 수 있으나, 고가의 화학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따르며, 카딩머신의 기대에 공급롤과 드럼 및 롤러 등 중량물이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 준비 작업으로 복잡하고 무거운 구성 부품을 일일이 분리해야 하고 청소 작업이 끝나면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문헌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11744호(1998.05.25. 공개)
없음
본 발명의 일측면은 카딩머신의 회전부재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톱날대에 고착된 이물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청소 작업을 쉽고 간편하며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카딩머신의 기대에 설치되어 모터 동력으로 회전하는 중량물을 해체하지 않고도 청소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여 청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는, 박판 형상의 칼날을 구비한 이송부; 및 카딩머신의 회전부재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이송부를 메달아 거치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한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고정 설치한 톱날대의 틈새에 상기 칼날을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공급롤과 카딩 드럼과 카딩 롤러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에 고정된 상기 칼날이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틈새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고정 다리와, 상기 고정 다리에 일체 결합되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상기 이송부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걸이대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가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 지지 프레임은 상기 걸이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게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 양측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를 상기 통공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청소 대상물인 상기 회전부재의 대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복수개의 평판을 이용하여 만든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조물에 상기 칼날을 승강가능하게 고정하는 칼날 지지대와, 상기 칼날 지지대에서 상기 칼날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칼날 지지대에 설치되어 지렛대로 기능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거리 떨어진 제1평판 및 제2평판과, 상기 제1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연결하는 상판 및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평판 및 상기 제2평판은 상기 거치부의 프레임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과, 상기 칼날 지지대의 양측이 끼워져 승강할 수 있는 안내레일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거치부의 프레임에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롤러와 롤러 지지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러는 상기 제1평판 및 상기 제2평판의 관통홈을 각각 관통하는 상기 거치부의 프레임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 지지구는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평판과 상기 상판 및 연결봉에 각각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날 지지대는 상기 칼날의 양측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칼날 고정구와, 상기 칼날 고정구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레버에 타측이 결합된 승강축과, 상기 칼날 고정구와 상기 레버를 연결하는 상기 승강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축삽입구와, 상기 축 삽입구의 외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져 승강하는 끼움편과, 상기 승강축이 삽입되고 상기 축삽입구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상판의 바닥에 타측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구조물에 일체로 형성한 레버 걸이구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 걸이구에 상기 레버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고, 상기 레버가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칼날의 일단이 틈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가 거치부의 걸이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 작업을 자동 수행하므로 쉽고 간편하게 회전부재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어 청소 과정에서의 수작업을 배제하여 작업원의 노고를 줄이고, 단시간에 청소 작업하면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딩머신의 구성 부품을 해체하지 않고도 청소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청소 장치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카딩머신을 보인 실사 이미지이다.
도 1b는 도 1a의 카딩머신에 분리한 카딩 롤러로서, 카딩 롤러의 외주면에 톱날대를 나선형으로 설치한 경우를 보인 실사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카딩머신을 이용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의 구성도로서, 회전부재의 하나로서 카딩 롤러의 톱날대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청소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를 구성하는 이송부가 걸이대에 삽입된 경우를 보인 실사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4의 이송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이송부에 설치된 레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레버 위치에 따른 칼날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레버 걸이구에서 레버를 잠금 해제시켜 칼날이 톱날대의 틈새에 위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b)는 레버 걸이구에 레버가 잠금되어 칼날이 톱날대에서 이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재활용하기 위하여 수집된 솜에서 잡물을 걸러내거나 합성 솜 등의 보조재(補助材)를 섞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이후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카딩머신을 이용하여 웹 형태로 가공하는 카딩 작업이 이어지게 된다.
카딩머신은 모터 동력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회전부재를 구동시켜 이전 공정으로부터 공급되는 약간 부풀어진 솜을 서로 맞댄 회전부재들 사이에 생긴 좁은 간극 사이로 이송시켜서 눌러 펴주게 되며, 이때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수 ㎝의 균일한 높이로 돌출된 톱날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볍고 푹신한 솜을 안정적이고 고르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b는 카딩머신에서 분리한 회전부재의 하나로서 톱날대를 설치한 카딩 롤러의 예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카딩머신을 이용한 처리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카딩머신(1)은 전처리 공정에 연결되어 송풍기(미도시)의 송풍력에 의해 솜을 공급하는 입구(2)로부터 가공 처리된 솜을 배출하는 타측까지 여러 개의 회전부재들(3)(4)(5)이 정렬되어 기대에 고정 설치되는데, 모터와 풀리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부재들(3)(4)(5)을 구동시킨다. 즉, 서로 맞대어진 공급롤(3)과 카딩 드럼(4) 사이로 솜이 진입하고, 진입된 솜은 고속회전하는 카딩 드럼(4)과 저속회전하는 카딩 롤러(5) 사이를 지나가며 이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이 회전부재들(3)(4)(5)의 외주면에 톱날대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 카딩머신(1)을 사용하다 보면 나선형으로 촘촘하게 감겨진 톱날대의 틈새에 쇳가루, 섬유 부스러기나 먼지 등 이물과 찌꺼기가 눌어 붙어서 고착되면 카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는 카딩머신(1)에 설치된 회전부재들(3)(4)(5)의 톱날대에 고착된 이물과 찌꺼기를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수작업을 최소화하며 자동으로 청소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의 구성도로서, 회전부재의 하나로서 카딩 롤러의 톱날대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청소하는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회전부재는 공급롤과 카딩 드럼과 카딩 롤러 중 어느 하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톱날대가 촘촘하게 나선형으로 고정된 회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딩머신용 청소장치(10)는 박판 형상의 칼날(150)을 구비한 이송부(100)와, 카딩머신(1)의 카딩 롤러(5)에 근접한 위치에 이송부(100)를 메달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200)를 포함한다.
카딩 롤러(5)가 회전하는 경우 이송부(100)에 고정된 칼날(150)이 카딩 롤러(5)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톱날대(6)의 틈새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긁어내어 청소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고정 다리(230)와, 고정 다리(230)에 일체 결합되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이송부(100)를 메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카딩 롤러(5) 양측에 대향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210)과,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걸이대(220)를 포함한다.
복수개 지지 프레임(210)은 걸이대(22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211)을 형성하는데, 이 걸이대(200) 양측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21)가 대응 높이의 통공(211)에 끼워 고정된다.
거치부(200)는 청소 대상물인 회전부재의 대응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 다리(230)에 설치한 바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100)가 걸이대(220)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100)는 카딩 롤러(5)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톱날대(6)의 톱날과 톱날 사이의 틈새에 칼날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송부(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여, 이송부(100)는 복수개의 평판(121)(122)을 이용하여 만든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본체(100)의 구조물에 칼날(150)을 승강가능하게 고정하는 칼날 지지대(160)와, 칼날 지지대(160)에서 칼날(15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칼날 지지대(160)에 설치되어 지렛대로 기능하는 레버(180)를 포함한다.
제1평판(121)과 제2평판(1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 거치대(200)의 프레임 즉 걸이대(220)가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1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평판(121)과 제2평판(122)의 일측에는 관통홈(124)과 이웃한 위치에 후술하는 칼날 지지대(160)의 끼움편(166) 양측이 끼워지는 안내레일(123)이 각각 형성된다.
제1평판(121)과 제2평판(122)은 일정 거리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평판(121)과 제2평판(122)은 일측 상부에 상판(130) 양단이 결합되고, 타측 상부에 연결봉(140) 양단이 결합되는데, 상판(130)과 연결봉(140)은 볼트(125)에 의해 각각 체결된다.
이송부(100)는 거치부(200)의 걸이대(220)에서 본체(1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190)와 롤러 지지구(1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내롤러(190)는 롤러 지지구(191)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1 및 제2평판(121)(122)과 상판(130) 및 연결봉(140)에 각각 고정 설치한다. 복수개 롤러 지지구(191)는 볼트(125)에 의해 체결되는데, 제1평판(121)의 내측 관통홈(124)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제2평판(122)의 내측 관통홈(124)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이 롤러 지지구(191)에 지지된 안내롤러(190)가 관통홈(124)에 삽입된 걸이대(2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본체(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복수개 롤러 지지구(191)가 서로 떨어진 제1평판(121)과 제2평판(122)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설치되어, 이 롤러 지지구(191)에 지지된 안내롤러(190)가 걸이대(22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본체(11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본체(110) 내부에 롤러 지지구(191)에 지지된 안내롤러(190)가 삽입된 걸이대(220)의 상면과 하면 및 양측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칼날 지지대(160)는 칼날(150)의 양측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칼날 고정구(161)와, 칼날 고정구(161)에 일측이 결합되고 레버(180)에 타측이 결합된 승강축(162)과, 칼날 고정구(161)와 레버(180)를 연결하는 승강축(162)이 삽입되는 축삽입구(164)와, 축삽입구(164)의 외측에 일체 결합되고 안내레일(123)에 끼워져 승강하는 끼움편(166)과, 승강축(162)이 삽입되고 축삽입구(164)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판(130)의 바닥에 타측이 지지되어 승강축(16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칼날(150)은 얇은 강성 재질의 판재로 만들어지고 일측을 뾰족하게 형성한다.
칼날 고정구(161)는 얇은 판재들 사이에 칼날(150)를 끼운 상태로 볼트 체결하여 칼날(150)을 압박 고정하며, 타측에 축고정볼트(165)를 이용하여 승강축(162)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체결한다.
승강축(162)의 상단은 축머리(163)에 고정됨과 더불어 축머리(163)와 상판(130) 사이에 개재된 레버(180)의 일측이 관통된다. 레버(180)는 레버고정 볼트(181)에 의해 상판(130)에 고정되는데, 레버(180)를 누르면 레버(180) 일측이 축머리(163)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는 레버고정 볼트(181)를 지지점으로 하여 레버(180)가 지렛대 기능을 수행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레버(180)에 의해 축머리(163)가 들어 올려지면, 축머리(181)에 고정된 승강축(162)이 올라가고 이에 따라 축삽입구(164)에 결합된 끼움편(166) 및 축고정볼트(165)에 의해 결합된 칼날 고정구(161)가 함께 올라가게 된다. 이때 탄성 스프링(170) 하단은 승강축(162)에 고정되어 있어 승강축(162)과 함께 올라감에 따라 탄성 스프링(170)이 상판(130)의 저면으로 압착되고 그 탄성력이 승강축(162)에 가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180)에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탄성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축(162)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레버(180)가 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평판(122)의 상단에 레버 걸이구(18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레버 걸이구(182)는 수직방향으로 입설되고 수평방향으로 굴곡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일측이 개구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레버 걸이구(182)의 개구부를 통해 레버(180)를 밀어 넣을 수 있고, 레버 걸이구(182)에서 레버(180)를 빼내면 탄성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축머리(163)가 내려가면서 레버(180) 일측이 함께 내려가고 레버 걸이구(182)에서 빠져 나온 레버(180) 타측은 올라간다.
회전부재(3)(4)(5)에 대한 청소 작업을 수행 시 도 7의 (a)에서와 같이 레버(180)를 레버 걸이구(182)에서 빼내어 잠금 해제시킨다. 그러면 칼날 지지대(160)에 고정된 칼날(150)이 톱날대(6)의 틈새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카딩 롤러(5)가 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 나선형으로 감겨진 톱납대(6)의 틈새에 삽입된 칼날(150)은 걸이대(22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청소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레버 걸이구(182)에 레버(180)를 집어 넣어 잠금시킨다. 도 7의 (b)와 같이 레버(180) 일단이 레버 걸이구(182)에 잠금되면 레버(180) 타단이 축머리(163)를 들어 올려 칼날 고정구(161)에 고정된 칼날(150)이 톱날대(6) 위로 올라가게 된다.
청소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인접한 카딩 롤러(5)이나 카딩 드럼(4) 및 공급 롤(3)에 대응한 위치로 거치부(200)를 이동시킨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180)를 잠금 해제시켜 칼날(150)의 일단을 톱날대의 틈새에 삽입하여 이물이나 찌꺼기를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딩머신(1)의 기대에 설치된 회전부재(3)(4)(5)에 인접하여 이송부(100)와 거치부(200)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으로 레버(180)를 잠금해제 시킨 이후부터 이송부(100)가 거치부(200)의 걸이대를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 작업을 자동 수행하므로 쉽고 간편하게 회전부재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서 카딩머신의 청소 과정에서 수작업을 배제하고 작업원의 노고를 줄이며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 : 카딩머신 2 : 입구
3 : 공급롤 4 : 카딩 드럼
5 : 카딩 롤러 10 :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100 : 이송부 110 : 본체
121 : 제1평판 122 : 제2평판
123 : 안내레일 130 : 상판
140 : 연결봉 150 : 칼날
160 : 칼날 지지대 161 : 칼날 고정구
162 : 승강축 163 : 축머리
164 : 축삽입구 165 : 축고정 볼트
166 : 끼움편 170 : 탄성 스프링
180 : 레버 181 : 레버고정 볼트
182 : 레버 걸이구 190 : 안내 롤러
191 : 롤러 지지구 200 : 거치부
210 : 지지 프레임 211 : 통공
220 : 걸이대 221 : 끼움돌기
230 : 고정다리 240 : 바퀴

Claims (9)

  1. 제1 및 제2 평판(121)(122)과 상판(130) 및 연결봉(140)을 이용하여 만든 구조물로 이루어진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구조물에 칼날(150)을 승강가능하게 고정하는 칼날 지지대(160)와, 상기 칼날 지지대(160)에서 상기 칼날(150)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칼날 지지대(160)에 설치되어 지렛대로 기능하는 레버(180)와, 상기 레버(180)를 밀어 넣거나 빼내어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레버 걸이구(182)를 구비하고, 카딩머신의 회전부재(3)(4)(5)에 고정된 톱날대(6)의 틈새에 상기 칼날(150)을 위치시킬 수 있는 이송부(100); 및
    고정 다리(230)와, 상기 고정 다리(230)에 일체 결합되고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상기 이송부(10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210)과, 상기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걸이대(220)와, 상기 걸이대(22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 지지 프레임(210)에 형성한 복수개 통공(211)과, 상기 통공(211)에 끼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걸이대(220) 양측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221)와, 상기 회전부재(3)(4)(5)의 대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다리(230)에 설치한 바퀴(240)를 구비한 거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칼날 지지대(160)는, 상기 칼날(150)의 양측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칼날 고정구(161)와, 상기 칼날 고정구(161)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레버(180)에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레버(180)에 의해 들어 올려지도록 상단에 형성한 축머리(163)를 구비한 승강축(162)과, 상기 칼날 고정구(161)와 상기 레버(180)를 연결하는 상기 승강축(162)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축삽입구(164)와, 상기 축삽입구(164)의 외측에 일체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평판(121)(122)에 형성된 안내레일(123)에 끼워져 승강하는 끼움편(166)과, 상기 승강축(162)이 삽입되고 상기 축삽입구(164)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상판(130)의 바닥에 타측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축(16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스프링(17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3)(4)(5)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이송부(100)에 고정된 상기 칼날(150)이 상기 회전부재(3)(4)(5)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톱날대(6)의 틈새에 고착된 이물이나 찌꺼기를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0004882A 2013-01-16 2013-01-16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KR10145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82A KR101453188B1 (ko) 2013-01-16 2013-01-16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82A KR101453188B1 (ko) 2013-01-16 2013-01-16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15A KR20140092615A (ko) 2014-07-24
KR101453188B1 true KR101453188B1 (ko) 2014-10-22

Family

ID=5173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82A KR101453188B1 (ko) 2013-01-16 2013-01-16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207A (zh) * 2016-03-27 2016-07-20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梳棉机的清理机构
CN105780208A (zh) * 2016-03-27 2016-07-20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清理梳棉机主罗拉的方法
CN107227517A (zh) * 2017-07-24 2017-10-03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梳理机上的矫正机构
CN107287702A (zh) * 2017-07-24 2017-10-24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梳理机
CN115287789B (zh) * 2022-08-11 2023-07-14 吉祥三宝高科纺织有限公司 梳理机用防坚硬杂物罗拉给棉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246B2 (ja) 1986-04-22 1997-04-23 ツリユツラ−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ローラに付属する少なくとも1つの分離ナイフを備え、綿繊維用のカード、クリーナ等に設ける装置
JP2002173834A (ja) 2000-10-18 2002-06-21 Truetzschler Gmbh & Co Kg カードに設けられる装置
US6557215B1 (en) * 1999-07-13 2003-05-06 Graf + Cie A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ll-steel sawtooth arrangements of a sw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246B2 (ja) 1986-04-22 1997-04-23 ツリユツラ−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ローラに付属する少なくとも1つの分離ナイフを備え、綿繊維用のカード、クリーナ等に設ける装置
US6557215B1 (en) * 1999-07-13 2003-05-06 Graf + Cie Ag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all-steel sawtooth arrangements of a swift
EP1070774B1 (de) * 1999-07-13 2004-01-02 Graf + Ci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Sägezahn-Ganzstahlgarnituren
JP2002173834A (ja) 2000-10-18 2002-06-21 Truetzschler Gmbh & Co Kg カードに設けられ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615A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188B1 (ko) 카딩머신용 청소장치
CN209096299U (zh) 一种高效的布料印花装置
CN110973747B (zh) 一种服装生产打样装置
CN107711956A (zh) 自动擀圆饼机扫边装置
CN209162475U (zh) 一种剪毛机导向辊的清理装置
KR100871414B1 (ko) 드럼통 재생장치
JP2001300437A (ja) 自動畳表清浄装置
CN211005990U (zh) 法兰绒梳理机的收料装置
CN209970419U (zh) 一种铝模板抛光机上的夹紧装置
CN207109412U (zh) 面料自动裁剪装置
CN112842900A (zh) 一种杜仲药材初加工装置和方法
CN220224706U (zh) 纺织面料裁切装置
CN214455454U (zh) 一种砂纸裁切用的原料输送机
CN214033121U (zh) 一种纺织布料裁剪装置
CN110871230B (zh) 一种钢板加工用压延装置
CN111304901A (zh) 一种带有清刀机构的自动切片机
CN219363898U (zh) 一种边角料开松机
CN110871231B (zh) 一种钢板加工用压延装置的工作方法
CN217809932U (zh) 一种环形毡毯针刺机
CN220030823U (zh) 一种开炼机的自动上料系统
CN219362766U (zh) 一种适应型拉布机
CN214071980U (zh) 一种服装加工传送装置
US4917839A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molded members
CN219490487U (zh) 一种加工送料装置
CN209970429U (zh) 一种铝模板抛光机上的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