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558B1 -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 Google Patents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558B1
KR101451558B1 KR1020140099306A KR20140099306A KR101451558B1 KR 101451558 B1 KR101451558 B1 KR 101451558B1 KR 1020140099306 A KR1020140099306 A KR 1020140099306A KR 20140099306 A KR20140099306 A KR 20140099306A KR 101451558 B1 KR101451558 B1 KR 10145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guide
ri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식
Original Assignee
장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식 filed Critical 장혜식
Priority to KR102014009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에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좌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가 형성된 양측 보호벽을 각각 감싸게 설치된 보호벽프레임과, 하천측 보호벽프레임에 설치된 암나사와, 상기 개폐문의 양쪽 상,하측에 개폐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핸들과, 상기 개폐문의 상측 안내프레임에 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과, 일측 보호벽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각각 안내롤러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레일에 가이드되게 설치된 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Description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Rivers barrier that is installed on open and close gate}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됨에 따라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여 이재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 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보호벽을 설치하여 홍수 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고 설치하여 도심하천 인근 주민이 하천으로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있었다.
요즘 도심하천의 제방과 고수부지에는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산책로, 자전거 도로 및 운동기구가 설치되고 자동차 주차장이 설치되어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국내에 본원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10-1294557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양측면에 손잡이와 좌측면의 상측에 안내돌기와 우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양측 보호벽에 각각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 고정부가 하천측 바닥에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우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조작핸들에 의해 개폐문을 보호벽 측으로 밀어 개폐문의 오링과 보호벽의 밀착프레임이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홍수 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개폐문의 오링과 보호벽의 밀착프레임이 밀착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고정프레임과 안내롤러 들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미관상 보기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출원인은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미관상 보기좋게 하고 홍수시 손쉽게 개폐문을 닫아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개발하게 되었다.
국내 특허등록 제0865370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국내 특허등록 제1294557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시 미관상 보기좋게 하고 개폐문을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에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좌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가 형성된 양측 보호벽을 각각 감싸게 설치된 보호벽프레임과, 하천측 보호벽프레임에 설치된 암나사와, 상기 개폐문의 양쪽 상,하측에 개폐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핸들과, 상기 개폐문의 상측 안내프레임에 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과, 일측 보호벽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각각 안내롤러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레일에 가이드되게 설치된 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문의 상측 고정핸들에는 스크류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이 보호벽프레임에 설치된 암나사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의 하측 고정핸들에는 기어가 설치된 기어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이 개폐문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축이 설치된 하측에 기어가 설치되 회전축을 설치하여 상기 기어축의 기어와 회전축의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개폐문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단은 개폐문의 선단 가이드홈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브라켓의 상측에는 파이프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원형롤러의 볼이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상측과 밀착되며 가이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문의 양측 하단에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의 스톱퍼가 고정브라켓에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시 미관상 보기좋게 하고 개폐문을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개폐문이 설치된 측면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에 고정핸들이 설치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개폐문이 설치된 측면 구성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에 고정핸들이 설치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보호벽(100)을 설치한다.
상기 보호벽(100)의 외측에는 외벽(200)을 설치하되 상기 외벽(200)은 돌 또는 대리석을 설치한다.
상기 보호벽(100)과 보호벽(100)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통행로(10)를 형성한다.
상기 통행로(10)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에 가이드레일(50)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홈(11)의 내측벽에 밀착되게 밀착프레임(110)을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40)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110)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과 좌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21)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20)을 설치한다.
상기 통행로(10)가 형성된 양측 보호벽(100)을 각각 감싸게 설치된 보호벽프레임(101)을 설치하고, 하천측 보호벽프레임(101)에는 암나사(102)를 설치한다.
상기 개폐문(20)의 양쪽 상,하측에 개폐문(20)의 오링(31)이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핸들(60)을 설치한다.
상기 개폐문(20)의 상측 안내프레임(21)에 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22)과, 상기 안내홈(22)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23)과, 일측 보호벽(100)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각각 안내롤러(71)가 상기 안내홈(22)에 삽입되어 안내레일(23)에 가이드되게 롤러브라켓(70)을 설치한다.
상기 개폐문(20)의 상측 고정핸들(60)에는 스크류축(6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61)이 보호벽프레임(101)에 설치된 암나사(102)에 결합되게 설치한다.
상기 개폐문(20)의 하측 고정핸들(60)에는 기어(63)가 설치된 기어축(6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62)이 개폐문(20)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67)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축(62)이 설치된 하측에 기어(65)가 설치되 회전축(64)을 설치하여 상기 기어축(62)의 기어(63)와 회전축(64)의 기어(65)가 체인(66)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64)이 개폐문(20)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68)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64)의 축선단(64a)은 개폐문(20)의 선단 가이드홈(11)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롤러브라켓(70)의 상측에는 파이프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81)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8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원형롤러(80)의 볼(81)이 상기 개폐문(21)을 개폐시 상측과 밀착되며 가이드되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의 양측 하단에는 스톱퍼(24)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20)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90)을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20)의 스톱퍼(24)가 고정브라켓(90)에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상부에 안착되는 레일바퀴(40)는 가이드레일(50)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50)의 폭보다 레일바퀴(40)의 디귿자형 레일홈이 약간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에 오링(31)이 돌출된 오링프레임(30)이 설치된 양쪽 하측에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유도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상부원형롤러(80)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81)이 상기 개폐문(20)을 개폐시 개폐문(20)을 상측을 하천측 후방으로 밀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하고, 상기 유도원형롤러가 상기 개폐문(20)을 개폐시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보호벽프레임(101)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며 상기 개폐문(2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서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의 상측에 형성된 안내프레임(21)의 안내홈(22)의 내부에 설치된 안내레일(23) 끝단부 양측이 경사면(23a)을 형성하여 롤러브라켓(70)의 안내롤러(71)로 원활하게 삽입되며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을 열때 상측 고정핸들(60)을 왼쪽으로 회전시켜 풀면 스크류축(61)이 보호벽프레임(101)의 암나사(102)에서 빠지게 되고, 하측 고정핸들(60)을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기어축(62)이 회전되며 왼나사(67)에 의해 내측으로 들어가며 조여지게 되고 이때 체인(66)에 결합된 하측의 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되며 회전축(64)이 회전되며 왼나사(67)에 의해 내측으로 들어가며 조여지게 되므로 축선단(64a)이 가이드홈(11) 벽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유도원형롤러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개폐문(2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후 개폐문(20)이 슬라이딩되며 열리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측 보호벽(100)과 우측 보호벽(100) 사이의 통행로(10)에 개폐문(20)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된 개폐문(20)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100)사이의 통행로(10)에 개폐문(20)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10)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개폐문(20)을 닫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된 개폐문(20)은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통행로(10)의 가이드홈(11)에 보호덮개(120)를 설치하여 인근주민과 차량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되는 개폐문(20)은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개폐문(20)의 고정핸들(60)을 돌려 스크류축(61)이 보호벽프레임(101)의 암나사(102)에서 빠지게 하고 나서 상기 개폐문(20)의 밀게 되면 하단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며 개폐문(20)이 열리게 된다.
이때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눌려진 상태로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오링(31)이 복원된다.
이후, 개폐문(20)을 좌측으로 밀게 되면 개폐문(20)에 오링프레임(30)의 좌,우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는 경사진 가이드홈을 따라 밀착프레임(11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안착된 개폐문(20)의 하측이 유동원형롤러에 의해 하천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지며 개폐문(20)이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이때 개폐문(20)의 상측은 좌측 보호벽(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원형롤러(80)가 스프링력에 의해 볼(81)이 개폐문(20)의 안내프레임(21) 상측을 하천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문(20)을 좌측으로 밀게되면 개폐문(20)의 좌측 상측에 형성된 안내프레임(21)에 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22)의 내부에 설치된 안내레일(23)이 보호벽(10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롤러브라켓(70)의 안내롤러(71)에 가이드되며 개폐문(20)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강기 개폐문(20)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며 열리면서 개폐문(20)의 하단에 설치된 스톱퍼(24)가 가이드레일(50)의 우측 끝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0)의 탄성고무에 밀착되면 상기 개폐문(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것이다.
이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통행로(10)의 가이드홈(11)에 보호덮개(120)를 설치하여 인근주민과 차량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개폐문(20)이 열린 상태에서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개폐문(20)을 닫고자 할때에는 개폐문(20)의 좌측을 밀게 되면 하단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며 개폐문(20)이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20)이 닫힐때 상기 개폐문(20)이 유동원형롤러와 상부원형롤러(80)에 의해 하천측으로 약간 밀린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져 오링(31)을 보호하며 개폐문이 닫히게 된다.
이후 개폐문(20)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며 닫히면서 개폐문(20)이 가이드레일(50)의 우측 끝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0)의 탄성고무에 밀착되면 상기 개폐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것이다.
이때 개폐문(20)의 오링프레임(30) 좌,우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는 경사진 가이드홈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은 가이드홈(11)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100)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밀착프레임(110)과 보호벽프레임(10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문(20)의 상측 고정핸들(60)을 오른쪽으로 돌려 스크류축(61)이 회전되며 보호벽프레임(101)에 설치된 암나사(102)에 결합되며 개폐문(20)을 보호벽프레임(101)측으로 당겨지며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후 개폐문(20)의 하측 고정핸들(60)을 회전시켜 고정핸들(60)을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기어축(62)이 회전되며 왼나사(67)에 의해 외측으로 나오면서 풀리게 되고 이때 체인(66)에 결합된 하측의 회전축(64)이 동시에 회전되며 회전축(64)이 회전되며 왼나사(68)에 의해 외측으로 나오면서 풀리게 되므로 축선단(64a)이 가이드홈(11) 벽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개폐문(20)이 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되어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개폐문(20)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천물이 개폐문(20)까지 올라와도 상기 보호벽프레임(101)과 밀착프레임(110)에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밀착되어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10)의 개폐문(20)을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고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시 미관상 보기좋게 하고 개폐문을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통행로 11:가이드홈
20:개폐문 21:안내프레임
22:안내홈 23:안내레일
24:스톱퍼 30:오링프레임
31:오링 40:레일바퀴
50:가이드레일 60:고정핸들
61:스크류축 62:기어축
63:기어 64:회전축
64a:축선단 65:기어
66:체인 67,68:왼나사
70:롤러브라켓 71:안내롤러
80:상부원형롤러 81:볼
90:고정브라켓 100:보호벽
101:보호벽프레임 102:암나사
110:밀착프레임 120:보호덮개
200:외벽

Claims (4)

  1.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에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좌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가 형성된 양측 보호벽을 각각 감싸게 설치된 보호벽프레임과, 하천측 보호벽프레임에 설치된 암나사와, 상기 개폐문의 양쪽 상,하측에 물이 차단되도록 개폐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핸들과, 상기 개폐문의 상측 안내프레임에 횡방향으로 개구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안내레일과, 일측 보호벽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각각 안내롤러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레일에 가이드되게 설치된 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상측 고정핸들에는 스크류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축이 보호벽프레임에 설치된 암나사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의 하측 고정핸들에는 기어가 설치된 기어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이 개폐문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축이 설치된 하측에 기어가 설치되 회전축을 설치하여 상기 기어축의 기어와 회전축의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이 개폐문 내측에 결합된 왼나사와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선단은 개폐문의 선단 가이드홈에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라켓의 상측에는 파이프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원형롤러의 볼이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상측과 밀착되며 가이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양측 하단에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개폐문의 스톱퍼가 고정브라켓에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20140099306A 2014-08-01 2014-08-0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45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306A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08-0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306A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08-0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558B1 true KR101451558B1 (ko) 2014-10-16

Family

ID=5199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306A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08-0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5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43B1 (ko) 2018-07-30 2019-04-29 (주)도래샘 진입로 출입 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2095167B1 (ko) 2019-11-13 2020-03-31 김원기 하천진입로 자동 차단 게이트 장치
KR102095166B1 (ko) 2019-11-13 2020-05-27 김원기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3972B1 (ko) 2019-12-18 2020-08-12 (주)도래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KR102301082B1 (ko) 2020-04-28 2021-09-14 (주)도래샘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15A (ja) 2001-10-15 2003-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走行機構、戸車機構及び引き戸
KR20110097538A (ko) * 2010-02-25 2011-08-31 강윤모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1294557B1 (ko) 2013-05-11 2013-08-07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339154B1 (ko) 2013-06-13 2013-12-09 (주)엠닉스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115A (ja) 2001-10-15 2003-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走行機構、戸車機構及び引き戸
KR20110097538A (ko) * 2010-02-25 2011-08-31 강윤모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1294557B1 (ko) 2013-05-11 2013-08-07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339154B1 (ko) 2013-06-13 2013-12-09 (주)엠닉스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643B1 (ko) 2018-07-30 2019-04-29 (주)도래샘 진입로 출입 통제용 게이트장치
KR102095167B1 (ko) 2019-11-13 2020-03-31 김원기 하천진입로 자동 차단 게이트 장치
KR102095166B1 (ko) 2019-11-13 2020-05-27 김원기 하천진입로 차단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3972B1 (ko) 2019-12-18 2020-08-12 (주)도래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KR102301082B1 (ko) 2020-04-28 2021-09-14 (주)도래샘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557B1 (ko)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451558B1 (ko)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NL1035546C2 (en) Self-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the same.
KR102110084B1 (ko) 이단동작 맨홀 개폐용 힌지
KR20150040441A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136460B1 (ko) 맨홀과 그레이팅 개폐용 힌지
KR100825374B1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JP2006188937A (ja) 地下車庫等濁流浸入防止機
KR101242586B1 (ko) 배수로 개폐장치
KR20200104774A (ko) 침수 차단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018358B1 (ko) 수로용 일체식 문비
KR100699328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KR101821570B1 (ko) 확장형 탄성채움재가 구비된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91160A (ko) 역류 방지 배수 그레이트
KR100836715B1 (ko) 배수 기능을 갖는 스틸 그레이팅
GB2533948B (en) Flood defence apparatus and method
KR200356591Y1 (ko)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CN216076876U (zh) 防止雨水流入地下车库的防护装置和地下车库
JP7351514B2 (ja) 水止め用ハンプ
KR100943411B1 (ko) 관정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셔틀식 관정장옥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