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328B1 -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328B1
KR100699328B1 KR1020060105735A KR20060105735A KR100699328B1 KR 100699328 B1 KR100699328 B1 KR 100699328B1 KR 1020060105735 A KR1020060105735 A KR 1020060105735A KR 20060105735 A KR20060105735 A KR 20060105735A KR 100699328 B1 KR100699328 B1 KR 10069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oundary stone
block
rainwater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0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10-589444호에 대한 제반사항을 개선하여 우수가 보도블록 하부로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 사이의 토사층(700)에 모래층(800)을 깔고, 그 상측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의 하부 지지틀(410)이 각 경계석(200)(300)의 내측 요입홈(210)(310)으로 끼워 설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지지틀(410)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교차된 상측에 안착되게 저면에 '+'자 형상의 끼움홈(421)과 상면 모서리에 걸림턱(422)이 형성된 보도블록(420)을 실링재(430)를 개재시킨 후 시공토록 하고, 그 보도블록(420)간의 걸림턱(422)과 걸림턱(422) 사이와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끼움홈(220)(320)에 배수홈(510)이 형성된 배수부재(500)를 개재하여 구성된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단면 각 양측에 위치결정홈(230)(330)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경계석(200)(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위치결정홈(230)(330)에 끼워 설치되도록 위치결정돌기(6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보도블록(420)간 걸림턱(422) 사이에 개재되는 배수부재(510)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요홈(620)을 가지며, 보도 경계 석(300)으로부터 차도 경계석(200)쪽으로 우수의 흐름이 안내되도록 구배면(630)이 형성된 우수배수블록(600)을 구성한 것이다.
경계석, 우수, 하부지지틀, 우수배수블록, 위치결정돌기, 구배면

Description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MOUNTING STRUCTURE OF PAVEMENT BLOCK OF COLLECTIVE BUILDING AREA}
도 1은 종래의 보도블록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의 실시상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 실시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차도 경계석, 200: 보도 경계석,
210, 310: 요입홈, 230, 330: 위치결정홈,
410: 하부 지지틀, 420: 보도블록,
421: 끼움홈, 422: 걸림턱,
430: 실링재, 500: 배수부재,
510: 배수홈, 600: 우수배수블록,
610: 위치결정돌기, 620: 안착요홈,
630: 구배면,
본 발명은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10-589444호에 대한 제반사항을 개선하여 우수가 보도블록 하부로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이동하는 보도(또는 인도)로 크게 구분되며, 상기 보도에는 표면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우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보도블록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보도구간에는 보도블록의 하부에 모래층이 형성되어 보도에 내리는 우수를 빠르게 배수처리함과 아울러 보도블록을 통행하는 보행자의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의 보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1)의 양측면에 경계석(2)이 설치되고 그 차도 경계석(2)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보도 경계석(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도 경계석(3)은 보도(4)와 조경부(5)를 분할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보도(4)의 토사층(6) 상면에는 배수력을 확보함과 아울러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모래층(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래층(7)의 상면에 복수개의 보도블록(8)을 설치하되, 상기 보도블록(8)의 상면과 차도 경계석(2)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도는 사람이 밟고 이동하는 것이며, 빗물이 보도의 표면에 유입되면 보도블록(8)의 사이로 배수된 후 모래층(7) 및 토사층(6)을 통하여 배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도블록(8)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도는 장기간 사용시 빗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모래층(7) 및 토사층(6)의 일부분이 빗물과 함께 이동되어 침하하는 부등침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6년 6월 7일자에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10-589444호(이하, 선행등록특허라 함)에 그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선행등록특허의 기술적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의 사이에 형성된 보도로 유입되는 우수의 배수력 및 평탄도를 유지하도록 토사층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모래층을 깔고, 그 모래층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상의 하부 지지틀(410)을 구비하여, 상기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요입홈(210)(310)에 끼워 설치하며, 상기 하부 지지틀(410)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교차된 상측에 안착되게 저면에 '+'자 형상의 끼움홈(421)과 상면 모서리에 걸림턱(422)이 형성된 보도블록(420)을 구비하여, 상기 보도블록(420)과 하부 지지틀(410) 사이에 실링재(430)를 개재시킨 후 상기 보도블록(420)을 시공토록 하고, 그 보도블록(420)간의 걸림턱(422)과 걸림턱(422) 사이와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220)(320)에 배수홈(510)이 형성된 배수부재(500)를 구비 설치하여 우수가 보도블록 하부로 누수되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구성적 특징이라 하겠다.
즉, 상기 선행등록특허에서, 차도 경계석과 보도 경계석은 일정한 규격에 의해 제작되고, 그 경계석들의 사이폭에 맞추어서 보도블록이 설치되는데, 도면상에서 이러한 경계석들과 보도블록들이 건축구간에서 설치되는 하나의 단위구간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즉, 이러한 단위구간의 경계석 및 보도블록들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차도 경계석과 보도 경계석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보도블록은 그 경계석 사이에서 또 다른 단위구간에 해당되는 면적에 시공되는 단계를 연속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 비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등록특허의 기술을 제안한 본 출원인이 실제 적용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보도블록이 시공될 전체 구간에서 하나의 단위구간에 시공되는 보도블록들은 서로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져 우수가 토사층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지만 그 다음 시공되는 다른 단위구간과는 연결관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차량에 의한 진동이나 보도블록 위를 빈번하게 다니는 오토바이 등 여러 가지 방해요인들로 인해 틈새가 생겨 그 틈새로 우수가 침투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누수현상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계석들로 하여금 부등침하현상을 초래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 출원인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특허 제10-589444호에 대한 제반사항을 개선하여 우수가 보도블록 하부로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도 경계석과 보도 경계석 사이의 토사층에 모래층을 깔고, 그 상측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의 하부 지지틀이 각 경계석의 내측 요입홈으로 끼워 설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지지틀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교차된 상측에 안착되게 저면에 '+'자 형상의 끼움홈과 상면 모서리에 걸림턱이 형성된 보도블록을 실링재를 개재시킨 후 시공토록 하고, 그 보도블록간의 걸림턱과 걸림턱 사이와 차도 경계석 및 보도 경계석의 끼움홈에 배수홈이 형성된 배수부재를 개재하여 구성된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도 경계석 및 보도 경계석의 단면 각 양측에 위치결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위치결정홈에 끼워 설치되도록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보도블록간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배수부재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요홈을 가지며, 보도 경계석으로부터 차도 경계석 쪽으로 우수의 흐름이 안내되도록 구배면이 형성된 우수배수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 실시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589444호의 개선사항이며, 연속적인 구성을 갖는다.
즉,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 사이의 토사층(700)에 모래층(800)을 깔고, 그 상측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의 하부 지지틀(410)이 각 경계석(200)(300)의 내측 요입홈(210)(310)으로 끼워 설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지지틀(410)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교차된 상측에 안착되게 저면에 '+'자 형상의 끼움홈(421)과 상면 모서리에 걸림턱(422)이 형성된 보도블록(420)을 실링재(430)를 개재시킨 후 시공토록 하고, 그 보도블록(420)간의 걸 림턱(422)과 걸림턱(422) 사이와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끼움홈(220)(320)에 배수홈(510)이 형성된 배수부재(500)를 개재하여 구성된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단면 각 양측에 위치결정홈(230)(330)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경계석(200)(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위치결정홈(230)(330)에 끼워 설치되도록 위치결정돌기(6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보도블록(420)간 걸림턱(422) 사이에 개재되는 배수부재(510)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요홈(620)을 가지며, 보도 경계석(300)으로부터 차도 경계석(200)쪽으로 우수의 흐름이 안내되도록 구배면(630)이 형성된 우수배수블록(600)을 구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사층(700)에 모래를 깔고 보도블록(420)을 설치하기 위한 한 구간의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 하부 지지틀(410), 보도블록(420)의 시공방법은 등록특허 제10-589444호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이 후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과 그 다음 구간의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 사이에 본 발명의 우수배수블록(600)을 위치시키는데, 각 경계석(200)(300)의 단면에 형성된 일정깊이의 위치결정홈(23)(330)에 상기 우수배수블록(600)의 위치결정돌기(610)를 끼워 각 경계석(200)(300) 및 보도블록(420) 사이를 완전하게 밀착시켜 우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 다음 상기 배수부재(500)를 보도 블록(420) 간 걸림턱(422) 사이에 시공하면서 그 끝단이 우수배수블록(600)의 안착요홈(620)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서 한 구간의 시공이 완료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연속적으로 시공하게 되면 전체 시공구간에 대해 간단히 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우수배수블록은 각 경계석과 위치결정돌기에 의해 맞추어 결합하는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가지고 있고 각 부재간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우수가 토사층으로 누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 우수는 도로쪽으로 배수되도록 안내되도록 하며, 무엇보다 교통흐름에 의한 진동이나 보도블록으로부터 가해지는 여러 충격들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각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틈새가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 및 그 틈새로 우수가 침투하여 토사층 및 모래층을 교란시키는 문제점 등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차도 경계석(200)과 보도 경계석(300) 사이의 토사층(700)에 모래층(800)을 깔고, 그 상측에 가로바와 세로바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격자형의 하부 지지틀(410)이 각 경계석(200)(300)의 내측 요입홈(210)(310)으로 끼워 설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부 지지틀(410)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교차된 상측에 안착되게 저면에 '+'자 형상의 끼움홈(421)과 상면 모서리에 걸림턱(422)이 형성된 보도블록(420)을 실링재(430)를 개재시킨 후 시공토록 하고, 그 보도블록(420)간의 걸림턱(422)과 걸림턱(422) 사이와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끼움홈(220)(320)에 배수홈(510)이 형성된 배수부재(500)를 개재하여 구성된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도 경계석(200) 및 보도 경계석(300)의 단면 각 양측에 위치결정홈(230)(330)이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각 경계석(200)(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위치결정홈(230)(330)에 끼워 설치되도록 위치결정돌기(6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보도블록(420)간 걸림턱(422) 사이에 개재되는 배수부재(510)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안착요홈(620)을 가지며, 보도 경계석(300)으로부터 차도 경계석(200)쪽으로 우수의 흐름이 안내되도록 구배면(630)이 형성된 우수배수블록(60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KR1020060105735A 2006-10-30 2006-10-30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KR10069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35A KR100699328B1 (ko) 2006-10-30 2006-10-30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35A KR100699328B1 (ko) 2006-10-30 2006-10-30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328B1 true KR100699328B1 (ko) 2007-03-26

Family

ID=4156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35A KR100699328B1 (ko) 2006-10-30 2006-10-30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3596U1 (de) * 2013-04-09 2014-04-15 Erwin Müller GmbH Taktil erfassbares Leitsystem für Sehbehinderte
KR101932911B1 (ko) * 2018-07-05 2018-12-28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보도블록 침하 방지구조
AT18004U1 (de) * 2022-04-13 2023-10-15 Jv Projekt Vh S R O System aus einem Kunststoff-Versickerungsgitter und mindestens einem Pflasterste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44B1 (ko) * 2005-11-10 2006-06-14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44B1 (ko) * 2005-11-10 2006-06-14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89444000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3596U1 (de) * 2013-04-09 2014-04-15 Erwin Müller GmbH Taktil erfassbares Leitsystem für Sehbehinderte
KR101932911B1 (ko) * 2018-07-05 2018-12-28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 보도블록 침하 방지구조
AT18004U1 (de) * 2022-04-13 2023-10-15 Jv Projekt Vh S R O System aus einem Kunststoff-Versickerungsgitter und mindestens einem Pflasterst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740B2 (ja) 自動車道路用のトンネルの監視員通路および路面排水用水路からなるトンネル構造体
JP2017002565A (ja) コンクリート床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00699328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
JP2006125185A (ja) 側溝を備えた舗装路の構造及び側溝ブロック
CN108239905B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JP6041118B2 (ja) 噴砂防止構造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JP3119258U (ja) 側溝用蓋板ブロック
JP3232407U (ja) 上下分割型側溝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100589444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JP3152392U (ja) 法面保護ブロック
JP2004060341A (ja) 歩道巻き込み部の排水構造
JP6144319B2 (ja) 境界ブロック
JP2003253611A (ja) 境界ブロック
JP2011047107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歩車道境界排水構造
JP200124100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その設置構造
JP2014134018A (ja) 歩車道境界用縁石ブロック
KR102179225B1 (ko)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KR100781488B1 (ko) 도로용 배수구
JP2005290745A (ja) 側溝用ブロック
KR100464500B1 (ko) 도로의 보도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