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972B1 -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 Google Patents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972B1
KR102143972B1 KR1020190170053A KR20190170053A KR102143972B1 KR 102143972 B1 KR102143972 B1 KR 102143972B1 KR 1020190170053 A KR1020190170053 A KR 1020190170053A KR 20190170053 A KR20190170053 A KR 20190170053A KR 102143972 B1 KR102143972 B1 KR 10214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opening
closing door
win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달성
황의석
박상배
배태인
Original Assignee
(주)도래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래샘 filed Critical (주)도래샘
Priority to KR102019017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변, 등산로, 교량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폭우 시와 같이 위급상황이나 심야시간 대에 진입로를 폐쇄하고 안전한 상황이 되면 진입로를 개방하여 지정된 인력의 비상출동 없이도 진입로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을 게시하는 광고판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ENTRY AND EXIT BLOCKING GATE APPARATUS}
본 발명은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변, 등산로, 교량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폭우 시와 같이 위급상황이나 심야시간 대에 진입로를 폐쇄하고 안전한 상황이 되면 진입로를 개방하여 지정된 인력의 비상출동 없이도 진입로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을 게시하는 광고판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심 속 하천의 경우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사업을 통해 하천 고유의 기능이 회복되도록 하고 있고, 하천변에는 산책로, 자전거 도로 등이 조성되어 인근 주민들의 휴식 및 건강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심 속 하천은 갑작스럽게 폭우가 내리는 경우 순식간에 범람하는 특성이 있어서 자칫하면 하천변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명을 앗아갈 위험이 상존한다. 이에 따라 폭우로 인해 하천이 범람하거나 범람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각 지방단체들에서 이를 파악하여 인명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할지역의 하천변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하천변 출입을 통제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지정된 인력이 비상출동하여 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관계로 인력 배치의 어려움이 많았고 야간 시간대에는 신속한 출동의 어려움도 있었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모든 구역에서 제대로 된 조치가 취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51558호(2014.10.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변, 등산로, 교량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폭우 시와 같이 위급상황이나 심야시간 대에 진입로를 폐쇄하고 안전한 상황이 되면 진입로를 개방하여 지정된 인력의 비상출동 없이도 진입로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을 게시하는 광고판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는, 하천변, 등산로, 교량 중 어느 한 곳의 진입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게이트장치로서, 진입로 일편에 설치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일단부가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상승하면 진입로를 개방하고, 하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하강하면 진입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일단부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단부와 하부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광고판을 형성하되, 그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제2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90도 각도 플립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바람이 통하도록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단위플립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가 더 설치되어, 감지된 풍속 수치가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단위플립판을 플립시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개방하여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풍속센서가 감지하는 풍속 수치가 일정 이상인 경우 풍속이 강할수록 제1경보단계와 제2경보단계로 구분 설정하고, 제1경보단계에서는 단위플립판을 플립시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개방하고, 제1단계 경보단계보다 풍속 수치가 더 높은 제2단계 경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도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 호스와, 상기 호스의 개방된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호수 내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센서로 이루어진 접촉감지 센서모듈을 더 구비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하강 시 상기 공기압센서가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으로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하강을 중지한 후 재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연결지점 하측 인근에서 지지프레임 본체에 대하여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꺾임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되, 상기 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에 일정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꺾임을 허용하며, 이같은 꺾임상태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던 모멘트가 사라지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와의 겹침 부위에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평상시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겹침 부위와 접촉하여 눌려 있다가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꺾이는 순간 눌림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전기신호를 제어기로 보내 개폐도어의 하강을 중지하고 재상승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플립판은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플립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 마그넷을 구비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전면에는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이 게시되는 교체식 부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 인근에 세워진 기둥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풍력과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한 후 상기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풍력 발전기와 태양광 발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는, 하천변, 등산로, 교량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폭우 시와 같이 위급상황이나 심야시간 대에 진입로를 폐쇄하고 안전한 상황이 되면 진입로를 개방하여 지정된 인력의 비상출동 없이도 진입로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을 게시하는 광고판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도어의 하강 시 접촉감지 센서모듈,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꺾임구조 및 이를 감지하는 스위치에 의한 다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사람이 포함된 피접촉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개폐도어의 손상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속이 강한 경우 단계별 대응을 통해 광고판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외지에서도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조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단위플립판이 플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장치 본체와 개폐도어의 후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개폐도어가 회전하여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낸 일련의 참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단위플립판의 플립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세부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꺾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단위플립판의 교체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단위플립판이 플립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서 장치 본체와 개폐도어의 후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는 장치 본체(110), 개폐도어(120), 접촉감지 센서모듈(130), 풍속센서(140), 태양광 발전기(150) 및 풍력 발전기(16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이를 통해 하천변, 등산로, 교량 등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갑작스러운 폭우 시와 같이 위급상황이나 심야시간 대에 진입로를 폐쇄하고 안전한 상황이 되면 진입로를 개방하여 지정된 인력의 비상출동 없이도 진입로를 안전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을 게시하는 광고판으로서의 기능도 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진입로 일편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도어(120)를 지지하며, 상기 개폐도어(120)를 구동하기 위한 제1모터를 비롯하여,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도어(120)는 상기 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일단부가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도 6과 같이 상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상승하면 진입로를 개방하고, 반대로 하방향 회전에 의해 타단부가 하강하면 진입로를 차단한다.
상기 개폐도어(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일단부가 각각 제1회전축(121a)과 제2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프레임(121) 및 하부 프레임(122)과, 상기 상부 프레임(121)의 타단부와 하부 프레임(122)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122)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도록 한 지지프레임(123)과, 상기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 사이에서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광고판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플립판(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플립판(124)은 각각 상부 프레임(121)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별개로 구비된 제2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125)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플립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 사이 영역(A1)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단위플립판(124)이 플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이 게시 혹은 표시된 단위플립판(124)의 전면이 정면을 향하고 있지만 단위플립판(124)이 90도 플립된 상태에서는 폭이 좁은 단위플립판(124)의 두께면이 정면을 향하면서 단위플립판(124)과 단위플립판(124) 사이사이로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플립판(124)을 플립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도 7에는 수직 회전축(125)의 상단부나 하단부에 설치된 피니언(126a)과 각각의 수직 회전축(125)의 모든 피니언(126a)과 치합되어 제2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랙(126b)의 동력전달 구조가 예시되었다. 참고로 도면부호 126c는 제2모터 측 랙(126b)과 치합되어 제2모터의 동력을 랙(126b)으로 전달하는 피니언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따르면 최초 도 7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2모터를 구동시켜 동력축 피니언(126c)을 회전시키면 도 7의 (b)와 같이 랙(126b)를 통해 수직 회전축(126)의 피니언(126a)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수직 회전축(126)에 결합된 단위플립판(124)이 플립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도어(120)의 경우 하강하였을 때는 직사각 패널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상승하였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프레임(121), 하부 프레임(122) 및 지지프레임(123)이 접철되어 면적을 매우 좁힌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의 각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장치 본체(110)에 대하여 상하 이격된 지점에 별도의 제1회전축(121a)과 제2회전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23)은 상부 프레임(121) 및 하부 프레임(122)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단위플립판(124)의 수직 회전축(125)도 상기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접촉감지 센서모듈(130)은 개폐도어(120)의 하강 시 사람이나 장애물들과 같은 피접출물을 감지하여 안전사고 발생 및 개폐도어(1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이같은 접촉감지 센서모듈(130)은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122)의 하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 호스(131)와, 상기 호스(131)의 개방된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호수 내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센서(132)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개폐도어(120)의 하강 시 피접촉물의 호스(131) 접촉으로 인해 야기되는 공기압의 변화를 공기압센서(132)가 감지하면, 제어기가 개폐도어(120)의 하측으로 사람이나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개폐도어(120)의 하강을 중지한 후 재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이같은 접촉감지 센서모듈(130)의 구성에 의해 개폐도어(120)의 하측 영역 거의 전체에 대하여 피접촉물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접촉물에 의한 돌발적인 안전사고 발생과 개폐도어(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접촉감지 센서모듈(130)이 감지하지 못하는 유일한 사각지대가 있다면 하부 프레임(122)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프레임(123)의 하단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 프레임(122)과의 연결지점 하측 인근에서 지지프레임의 하단부(123b)가 피접촉물(OB)에 접촉하면 꺾임 가능하도록 핀(123c)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3)을 기준 축으로 하여 기준 축 대비 경사진 각도로 외력이 가해지면서 일정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지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꺾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개폐도어(120)의 하강 시 상기 지지프레임(123)의 돌출된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123a)에 대해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에 일정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으면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가 꺾이지 않도록 저항하다가 일정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지면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의 꺾임을 허용하는 토션스프링(미도시됨)이 핀(123c)에 설치된다. 상기 토션스프링은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가 꺾인 상태에서 가해졌던 모멘트가 사라지는 경우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를 원위치로 복귀시켜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123a)에서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와의 겹침 부위에는 상기 개폐도어(120)의 하강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스위치(123d)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123d)는 평상시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의 상단에 형성된 겹침 부위와 접촉하여 눌려 있다가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123b)가 꺾이는 순간 눌림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전기신호를 제어기로 보내 제어기가 개폐도어(120)의 하강을 중단하고 재상승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도어(120)에서 단위플립판(124)은 상기 수직 회전축(125)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여 플립되는 베이스판(124a)과 상기 베이스판(124a)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전면에는 공지사항 또는 홍보물이 게시되거나 표시된 교체식 부착판(12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24a)의 상단부와 하단부 모서리에는 각각 상기 교체식 부착판(124b)을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 마그넷(124c)이 설치된다. 이같은 고정 마그넷(124c)은 상기 베이스판(124a)에 대하여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요입된 형태로 설치되어 교체식 부착판(124b)이 밀착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풍속센서(140)는 상기 장치 본체(110)나 개폐도어(120)의 상부 프레임(121)에 설치되어 풍속을 감지한다. 상기 풍속센서(140)는 풍속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간단한 센서로 이루어지며, 이처럼 팬의 회전속도에 의해 풍속을 측정하는 형태의 풍속센서(140)의 경우 정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나 후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모두 측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면 풍속이나 후면 풍속이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제1경보단계에서는 제어기가 제2모터를 구동하여 단위플립판(124)을 플립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121)과 하부 프레임(122) 사이 이격공간을 통해 바람이 지나가도록 허용하며, 그보다 더 강한 풍속이 측정되는 제2경보단계로 격상되면 상기 제어기가 제1모터를 구동하여 개폐도어(120)를 상승시켜 접철시킴으로써 바람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풍속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에서도 손상없이 안전하게 유지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태양광 발전기(150)와 풍력 발전기(160)는 장치 본체(110) 인근에 세워진 기둥(180)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태양광과 풍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한 후 장치 본체(110)에 공급하여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태양광 발전기(150)와 풍력 발전기(160)가 설치되어 필요한 전기를 자체 조달할 수 있게 되면 전력선이 설치되지 않은 외지에서도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장치 본체 120: 개폐도어
123d: 스위치 124 : 단위플립판
124a : 베이스판 124b : 부착판
124c : 고정 마그넷 125 : 수직 회전축
130 : 접촉감지 센서모듈 140 : 풍속센서
150 : 태양광 발전기 160 : 풍력 발전기

Claims (8)

  1. 하천변, 등산로, 교량 중 어느 한 곳의 진입로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게이트장치로서,
    진입로 일편에 설치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일단부가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상승하면 진입로를 개방하고, 하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하강하면 진입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개폐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일단부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타단부와 하부 프레임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하나의 광고판을 형성하되, 그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서 제2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90도 각도 플립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바람이 통하도록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단위플립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 본체 또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가 더 설치되어, 감지된 풍속 수치가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단위플립판을 플립시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개방하여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풍속센서가 감지하는 풍속 수치가 일정 이상인 경우 풍속이 강할수록 제1경보단계와 제2경보단계로 구분 설정하고, 제1경보단계에서는 단위플립판을 플립시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 영역을 개방하고, 제1단계 경보단계보다 풍속 수치가 더 높은 제2단계 경보단계에서는 상기 개폐도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 공기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 호스와, 상기 호스의 개방된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호스 내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센서로 이루어진 접촉감지 센서모듈을 더 구비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하강 시 상기 공기압센서가 공기압의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개폐도어의 하측으로 장애물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하강을 중지한 후 재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과의 연결지점 하측 인근에서 지지프레임 본체에 대하여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꺾임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되, 상기 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에 일정 이상의 모멘트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꺾임을 허용하며, 이같은 꺾임상태에서 외부에서 가해지던 모멘트가 사라지면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와의 겹침 부위에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평상시 지지프레임 하단부의 겹침부위와 접촉하여 눌려 있다가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가 꺾이는 순간 눌림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전기신호를 제어기로 보내 개폐도어의 하강을 중지하고 재상승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플립판은 상기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플립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 마그넷을 구비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며 전면에는 공지사항이나 홍보물이 게시 또는 표시된 교체식 부착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 인근에 세워진 기둥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풍력과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한 후 상기 장치 본체에 공급하는 풍력 발전기와 태양광 발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KR1020190170053A 2019-12-18 2019-12-18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KR10214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53A KR102143972B1 (ko) 2019-12-18 2019-12-18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53A KR102143972B1 (ko) 2019-12-18 2019-12-18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72B1 true KR102143972B1 (ko) 2020-08-12

Family

ID=7203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53A KR102143972B1 (ko) 2019-12-18 2019-12-18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987A (zh) * 2021-07-28 2021-10-08 深圳市开门红实业有限公司 一种小区汽车通道门禁系统自感应广告播放装置
KR20220134345A (ko) * 2021-03-26 2022-10-05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진입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799U (ja) * 1992-02-21 1993-09-10 ダイシンフレーム株式会社 スライドゲート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10-16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799U (ja) * 1992-02-21 1993-09-10 ダイシンフレーム株式会社 スライドゲート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10-16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345A (ko) * 2021-03-26 2022-10-05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진입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4564B1 (ko) * 2021-03-26 2023-01-06 예성산업개발주식회사 터널진입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487987A (zh) * 2021-07-28 2021-10-08 深圳市开门红实业有限公司 一种小区汽车通道门禁系统自感应广告播放装置
KR102615686B1 (ko) * 2023-03-17 2023-12-20 주식회사 한국아이오티기술원 침수위험 도로 스마트 자동차단 통합재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972B1 (ko)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KR102301082B1 (ko) 차수장치, 진출입 차단 게이트장치, 스마트 볼라드장치 및 타이어 킬러 타입 차량진입 차단장치를 통합 관리 및 제어하는 광역 안전시스템
KR100867673B1 (ko) 차단바 꺾임시 자동개방이 가능한 차량 차단기
CN206818238U (zh) 城市洪涝灾害监测预警及管控系统
KR101973643B1 (ko) 진입로 출입 통제용 게이트장치
US6034609A (en) Motorless traffic-control sign automatically responsive to state of electrical power
KR102427167B1 (ko) 재난방재용 차량 통제장치
KR102346532B1 (ko) Iot 기반 스마트 롤러블 스크린 안전 돌출간판
KR20200142718A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US20240003179A1 (en) Vehicle Barrier Gate System
KR101750000B1 (ko) 현수막 게시대
CN214942803U (zh) 一种市政工程用的交通指挥岗亭
CN203179197U (zh) 太阳能银行警示系统
KR102635779B1 (ko)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KR200434432Y1 (ko) 동력게시대용 현수막의 위치제어장치
KR20230150687A (ko) 지하통로박스 진입차단장치
CN103557567A (zh) 一种空调室外机的安全防护装置
KR102635186B1 (ko) 지표면 수위 계측장치
CN218601857U (zh) 一种用于户外健康码核验及门禁控制的防疫终端
AU2012238272B2 (en) Flood safety traffic barrier system
CN212105336U (zh) 一种用于高速公路的应急道路监控装置
CN212612117U (zh) 一种新型路桥限高架
KR102121656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JP4021989B2 (ja) 開閉柵
KR20240014706A (ko) 차량통제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