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557B1 -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 Google Patents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557B1
KR101294557B1 KR1020130053469A KR20130053469A KR101294557B1 KR 101294557 B1 KR101294557 B1 KR 101294557B1 KR 1020130053469 A KR1020130053469 A KR 1020130053469A KR 20130053469 A KR20130053469 A KR 20130053469A KR 101294557 B1 KR101294557 B1 KR 10129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pening
river
frame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혜식
Original Assignee
장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혜식 filed Critical 장혜식
Priority to KR102013005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양측면에 손잡이와 좌측면의 상측에 안내돌기와 우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양측 보호벽에 각각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 고정부가 하천측 바닥에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우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Rivers barrier that is installed on open and close gate}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됨에 따라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여 이재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 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보호벽을 설치하여 홍수 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고 설치하여 도심하천 인근 주민이 하천으로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있었다.
요즘 도심하천의 제방과 고수부지에는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산책로, 자전거 도로 및 운동기구가 설치되고 자동차 주차장이 설치되어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본원출원인은 도심하천의 경계에 홍수 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개발하게 되었다.
국내 특허등록 제0865370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목적은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양측면에 손잡이와 좌측면의 상측에 안내돌기와 우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양측 보호벽에 각각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 고정부가 하천측 바닥에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우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의 후방에 상,하측에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는 조작핸들이 형성된 숫나사와 상기 숫나사의 끝부분에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측 보호벽의 상부에는 파이프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개폐문에 오링프레임이 설치된 양쪽 하측에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유도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상부원형롤러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 개폐문을 상측을 하천측 후방으로 밀어 상기 오링프레임의 오링이 상기 밀착프레임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하고, 상기 유도원형롤러가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보호벽에 하측에 횡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롤러가이드에 의해 밀착되며 상기 개폐문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의 오링이 상기 밀착프레임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개폐문과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개폐문이 설치된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 가이드롤러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이 열릴때 가이드하는 상,하부원형롤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 상측을 조작핸들로 보호벽의 프레임과 밀착시키는 요부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 하측을 조작핸들로 보호벽의 프레임과 밀착시키는 요부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이 열린상태에서 통행로에 보호덮개를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닫힌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이 열린상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개폐문이 설치된 측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된 개폐문 가이드롤러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이 열릴때 가이드하는 상,하부원형롤러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 상측을 조작핸들로 보호벽의 프레임과 밀착시키는 요부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 하측을 조작핸들로 보호벽의 프레임과 밀착시키는 요부상세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문이 열린상태에서 통행로에 덮개를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의 통행로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보호벽(100)을 설치한다.
상기 보호벽(100)과 보호벽(100)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통행로(10)를 형성한다.
상기 통행로(10)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에 가이드레일(50)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홈(11)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100)에 각각 밀착되게 밀착프레임(110)을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40)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110)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과 양측면에 손잡이(24)와 좌측면의 상측에 안내돌기(23)와 우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21)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게 개폐문(20)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상부에 안착되는 레일바퀴(40)는 가이드레일(50)에서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50)의 폭보다 레일바퀴(40)의 디귿자형 레일홈이 약간 크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양측 보호벽(100)에 각각 설치되며 보호벽(100)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61)가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 고정부가 하천측 바닥에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20)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62)가 설치된 고정프레임(60)을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프레임(6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가이드프레임(70)이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70)는 우측 보호벽(100)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71)가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20)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72)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양측 보호벽(10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60)의 후방에 상,하측에 암나사(6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63)에 결합되는 조작핸들(64)이 형성된 숫나사(65)와 상기 숫나사(65)의 끝부분에 탄성체(66)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우측 보호벽(100)의 상부에는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81)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8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개폐문(20)에 오링(31)이 돌출된 오링프레임(30)이 설치된 양쪽 하측에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유도원형롤러(25)를 고정되게 설치한다.
상기 상부원형롤러(80)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81)이 상기 개폐문(20)을 개폐시 개폐문(20)을 상측을 하천측 후방으로 밀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하고, 상기 유도원형롤러(25)가 상기 개폐문(20)을 개폐시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우측 보호벽(100)의 하측에 횡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롤러가이드(120)에 의해 밀착되며 상기 개폐문(2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20)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90)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라켓(90)에 개폐문(20)과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9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의 우측면 상측에 형성된 안내프레임(21)의 끝단부 양측이 경사면(22)을 형성하여 가이드프레임(70)의 전,후 안내롤러(72)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되며 가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좌측 보호벽(100)에 설치된 밀착프레임(110)의 하측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안내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문(20)을 열때 유도원형롤러(25)가 안내부(111)를 따라 상기 밀착프레임(110)의 선단과 밀착되며 유도원형롤러(25)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개폐문(20)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과 떨어저 개폐문(20)이 슬라이딩되며 열리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개폐문(20)의 좌측면 상측에 형성된 안내돌기(23)는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폐문(20)이 닫힐때 좌측 보호벽(100)에 설치된 고정프레임(60)의 전,후 안내롤러(62)사이로 원활하게 삽입되며 가이드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의 경계에 설치된 좌측 보호벽(100)과 우측 보호벽(100) 사이의 통행로(10)에 개폐문(20)을 설치하여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된 개폐문(20)은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좌,우측보호벽 (100)사이의 통행로(10)에 개폐문(20)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10)를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개폐문(20)을 닫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된 개폐문(20)은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통행로(10)의 가이드홈(11)에 보호덮개(130)를 설치하여 인근주민과 차량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하천의 보호벽(100)에 설치되는 개폐문(20)은 평상시에는 열어놓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이 닫힌 상태에서 좌,우측 보호벽(100)에 각각 설치된 고정프레임(60)의 조작핸들(64)을 돌려 숫나사(65)의 탄성체(66)가 개폐문(20)에서 떨어지게 하고 나서 상기 개폐문(20)의 좌측면에 형성된 손잡이(24)를 잡고 밀게 되면 하단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며 개폐문(20)이 열리게 된다.
이때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눌려진 상태로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오링(31)이 복원된다.
이후, 개폐문(20)을 우측으로 밀게 되면 개폐문(20)에 오링프레임(30)의 좌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25)는 경사진 안내부(111)를 따라 밀착프레임(11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우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25)는 우측 보호벽에 하측에 설치된 롤러가이드(120)의 경사진 가이드부(121)에 안내되어 롤러가이드(120)의 선단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안착된 개폐문(20)의 하측이 유동원형롤러(25)에 의해 하천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지며 개폐문(20)이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이때 개폐문(20)의 상측은 우측 보호벽(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원형롤러(80)가 스프링력에 의해 볼(81)이 개폐문(20) 상측을 하천측으로 약간 밀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개폐문(20)을 우측으로 밀게되면 개폐문(20)의 우측 상측에 형성된 안내프레임(21)의 끝단 경사면(22)이 가이드프레임(70)의 전,후 안내롤러(62) 사이도 안내되며 개폐문(20)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며 열리면서 개폐문(20)이 가이드레일(50)의 우측 끝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0)의 탄성고무(91)에 밀착되면 상기 개폐문(20)이 완전히 열린 상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20)이 열릴때 개폐문(20)이 유동원형롤러(25)와 상부원형롤러(80)에 의해 하천측으로 약간 밀리면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지게 하여 오링(31)을 보호 하는 것이다.
이후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통행로(10)의 가이드홈(11)에 보호덮개(130)를 설치하여 인근주민과 차량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와 같이 개폐문(20)이 열린 상태에서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개폐문(20)을 닫고자 할때에는 개폐문(20)의 우측에 형성된 손잡이(24)를 잡고 밀게 되면 하단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며 개폐문(20)이 닫히게 된다.
이때 개폐문(20)의 좌측면 상측에 설치된 삼각형 형상의 안내돌기(23)이 좌측 보호벽(100)에 설치된 상측에 설치된 고정프레임(60)의 전,후 안내롤러(62) 사이로 원할하게 삽입되며 개폐문(20)의 상측을 전,후 안내롤러(62)가 가이드하며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20)이 닫힐때 상기 개폐문(20)이 유동원형롤러(25)와 상부원형롤러(80)에 의해 하천측으로 약간 밀린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상기 밀착프레임(110)에서 떨어져 오링(31)을 보호하며 개폐문이 닫히게 된다.
이후 개폐문(20)의 레일바퀴(40)가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되며 닫히면서 개폐문(20)이 가이드레일(50)의 좌측 끝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90)의 탄성고무(91)에 밀착되면 상기 개폐문(20)이 완전히 닫힌 상태인 것이다.
이때 개폐문(20)의 오링프레임(30) 좌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25)는 경사진 안내부(11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오링프레임(30) 우측 하측에 설치된 유동원형롤러(25)는 롤러가이드(120)의 경사진 가이드부(121)에 위치하며, 상기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은 가이드홈(11)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100)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밀착프레임(110)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 보호벽(100)의 고정프레임(60)에 각각 상,하로 설치된 조작핸들(64)을 돌려 숫나사(65)가 고정프레임의 암나사(63)의해 조여지며 숫나사(65)의 끝단에 설치된 탄성체(66)가 개폐문(20)을 보호벽(100)측으로 밀게되어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밀착프레임(110)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천물이 개폐문(20)까지 올라와도 상기 밀착프레임(110)에 개폐문(20)의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30)의 오링(31)이 밀착되어 홍수시 하천의 물이 통행로(10)의 개폐문(20)을 통하여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침범하지 못하고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홍수시 하천의 물이 상승되어도 하천물이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범람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인근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통행로 11:가이드홈
20:개폐문 21:안내프레임
22:경사면 23:안내돌기
24:손잡이 25:유동원형롤러
30:오링프레임 31:오링
40:레일바퀴 50:가이드레일
60:고정프레임 61:고정부
62:안내롤러 63:암나사
64:조작핸들 65:숫나사
66:탄성체 70:가이드프레임
71:고정부 72:안내롤러
80:상부원형롤러 81:볼
90:고정브라켓 91:탄성고무
100:보호벽 110:밀착프레임
111:안내부 120:롤러가이드
121:가이드부 130:보호덮개

Claims (4)

  1. 하천의 경계에 홍수시 주변도로 및 인근 주택가로 하천물이 침범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보호벽과, 상기 보호벽과 보호벽 사이에 인근주민과 차량이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통행로와, 상기 통행로의 하천측 바닥에 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벽과 양측 보호벽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된 밀착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안착되는 레일바퀴가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밀착프레임과 일치되게 전면하측과 양쪽에 설치되는 오링프레임과 양측면에 손잡이와 좌측면의 상측에 안내돌기와 우측면 상측에 안내프레임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는 개폐문과, 상기 양측 보호벽에 각각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되고 이격된 타측 고정부가 하천측 바닥에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우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며 보호벽 상측에 절곡된 일단 고정부가 고정된 상부 하단에 개폐문 상측이 가이드되게 전,후로 안내롤러가 설치된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보호벽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의 후방에 상,하측에 암나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에 결합되는 조작핸들이 형성된 숫나사와 상기 숫나사의 끝부분에 탄성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보호벽의 상부에는 파이프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상부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개폐문에 오링프레임이 설치된 양쪽 하측에 내부에 스프링과 선단에 볼이 형성된 유도원형롤러를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기 상부원형롤러의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 개폐문을 상측을 하천측 후방으로 밀어 상기 오링프레임의 오링이 상기 밀착프레임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도록하고, 상기 유도원형롤러가 상기 개폐문을 개폐시 스프링력에 의해 볼이 보호벽에 하측에 횡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롤러가이드에 의해 밀착되며 상기 개폐문이 후방으로 밀려 상기 오링프레임의 오링이 상기 밀착프레임과 떨어저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끝단에는 각각 개폐문이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출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개폐문과 접촉시 완충역할을 할수 있도록 탄성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20130053469A 2013-05-11 2013-05-1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294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69A KR101294557B1 (ko) 2013-05-11 2013-05-1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469A KR101294557B1 (ko) 2013-05-11 2013-05-1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557B1 true KR101294557B1 (ko) 2013-08-07

Family

ID=4922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469A KR101294557B1 (ko) 2013-05-11 2013-05-11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5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54B1 (ko) * 2013-06-13 2013-12-09 (주)엠닉스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KR101368883B1 (ko) 2013-10-11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슬라이드 방재 게이트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10-16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CN105862668A (zh) * 2016-05-31 2016-08-17 天津大学 一种平开式挡水墙
US10889977B1 (en) 2019-11-26 2021-01-12 A.H. Beck Foundation Co. Inc. Border security barrier
KR102325614B1 (ko) * 2021-03-10 2021-11-12 주식회사 윤창 슬라이딩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718716A (zh) * 2021-08-31 2021-11-30 张方磊 一种用于水利工程闸门槽的防护装置
KR102463799B1 (ko) * 2021-12-02 2022-11-04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82A (ja) * 1994-03-29 1995-10-20 Trinity Ind Corp 熱処理炉の開閉扉
JP2003120115A (ja) 2001-10-15 2003-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走行機構、戸車機構及び引き戸
KR20110097538A (ko) * 2010-02-25 2011-08-31 강윤모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1067715B1 (ko) 2011-04-20 2011-09-2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수중보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어도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0082A (ja) * 1994-03-29 1995-10-20 Trinity Ind Corp 熱処理炉の開閉扉
JP2003120115A (ja) 2001-10-15 2003-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走行機構、戸車機構及び引き戸
KR20110097538A (ko) * 2010-02-25 2011-08-31 강윤모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1067715B1 (ko) 2011-04-20 2011-09-28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수중보를 이용한 환경친화형 어도시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54B1 (ko) * 2013-06-13 2013-12-09 (주)엠닉스 승, 하강 기능이 구비되는 슬라이딩 게이트
KR101368883B1 (ko) 2013-10-11 2014-03-03 일성보산업(주) 슬라이드 방재 게이트
KR101451558B1 (ko) 2014-08-01 2014-10-16 장혜식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CN105862668A (zh) * 2016-05-31 2016-08-17 天津大学 一种平开式挡水墙
CN105862668B (zh) * 2016-05-31 2018-07-20 天津大学 一种平开式挡水墙
US10889977B1 (en) 2019-11-26 2021-01-12 A.H. Beck Foundation Co. Inc. Border security barrier
KR102325614B1 (ko) * 2021-03-10 2021-11-12 주식회사 윤창 슬라이딩 월파방지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718716A (zh) * 2021-08-31 2021-11-30 张方磊 一种用于水利工程闸门槽的防护装置
KR102463799B1 (ko) * 2021-12-02 2022-11-04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KR102495505B1 (ko) * 2021-12-02 2023-02-06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557B1 (ko)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101451558B1 (ko) 하천의 보호벽에 설치되는 개폐문
KR20150040441A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1132131B1 (ko) 건축물의 지하공간 우수유입 차단장치
KR102110084B1 (ko) 이단동작 맨홀 개폐용 힌지
KR200467597Y1 (ko) 자석을 이용하여 신속설치가 가능한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KR102036733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차수장치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0715225B1 (ko) 도로의 역류방지용 배수박스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623426B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부재가 설치된 도로 배수로
KR100887243B1 (ko) 하수구용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1018358B1 (ko) 수로용 일체식 문비
KR20200104774A (ko) 침수 차단장치
KR101021648B1 (ko) 공동주택의 지하공간 우수유입방지장치
CN203654437U (zh) 一种下水道井盖
KR100683863B1 (ko) 도로의 비탈면 토사 표면 슬라이딩 진단 구조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KR20210051327A (ko) 하수구의 악취 저감 장치
ES2410589B1 (es) Sistema de barrera autónoma contra inundación.
KR102515153B1 (ko) 높이 조절용 접철식 차수판 구조체
KR200356591Y1 (ko)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JP200317667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