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596B1 -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96B1
KR101449596B1 KR1020130031140A KR20130031140A KR101449596B1 KR 101449596 B1 KR101449596 B1 KR 101449596B1 KR 1020130031140 A KR1020130031140 A KR 1020130031140A KR 20130031140 A KR20130031140 A KR 20130031140A KR 101449596 B1 KR101449596 B1 KR 10144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way vehicle
case
piezoelectric sensor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870A (ko
Inventor
나희승
서승일
사공명
문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3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9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9/00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 B61L9/04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oints, form signals, or gates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B61L5/18Light signals; Mechanisms associated therewith, e.g. b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7/00Features of ligh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칭에 관한 것으로, 철도 도상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센서와; 압전센서에 연결 설치되어 압전센서에서 생성된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Passage detecting device of the railway vehicles }
본 발명은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간에 철도차량이 선로 상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철도차량의 주행상황을 육안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승객을 운송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경우 야간에도 실내등이 켜진 상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화차의 경우 기관실 부분에만 점등이 가능하므로 야간에 가로등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육안으로 화차의 통과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3741호에는 철도 건널목의 열차통과 자동 경보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건널목으로 진입하는 열차를 경보하는 장치에 있어서, 열차진입감지부와; 열차통과감지센서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열차통과경보부와; 메인 콘트롤러 및; 상기 메인콘트롤러와 상기 제어부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철도 건널목의 차량진입구 전방에서 열차통과를 시청각적으로 1차경보하고, 건널목 부근에서 신호등을 점등시켜 2차경보함으로써, 건널목을 횡단하는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철도 건널목임을 강력하게 경각시켜 줌은 물론, 야간에 건널목 안내판을 점등시켜 사전에 효과적으로 경보함으로써, 건널목에서의 열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가 까다로우며, 철도 건널목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철도 건널목이 아닌 구간에서는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것을 식별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철도차량의 차체에 발광물질을 포함시키거나, 발광수단을 설치하는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발광이 불필요한 부분에서도 작동할 수 있어 전력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7374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압전센서 및 발광부가 설치된 케이스를 철도 도상의 자갈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추가적인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단순한 작업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전센서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켜 발광부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로 없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는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철도차량의 통과시 발생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통과할 때만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 도상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센서와; 압전센서에 연결 설치되어 압전센서에서 생성된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분리 형성되되 외측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는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과 광원이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압전센서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발광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압전센서 및 발광부가 설치된 케이스를 철도 도상의 자갈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추가적인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단순한 작업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센서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켜 발광부에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는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철도차량의 통과시 발생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이 통과할 때만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건널목의 열차통과 자동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형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형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단면도.
도 8의 (a) 내지 (f)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형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형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8의 (a) 내지 (f)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의 다양한 형태에 따른 외형도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110), 압전센서(130), 발광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는 철도의 도상(20)에 자갈과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후술할 압전센서(130) 및 발광부(140)가 삽입 설치된다.
다음, 압전센서(130)는 철도차량의 주행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케이스(110)에 전달된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삽입홈(111)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발광부(140)는 상기 압전센서(130)에 연결 설치되어 압전센서(130)에서 생성된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142)과 광원(142)이 설치되는 지지판(14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144)은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삽입홈(112)에 삽입 설치되어 발광부(140)가 케이스의 내측에 고성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광원(142)은 지지판(144)에 고정 설치되어 압전센서(130)에서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원(142)으로는 사용기간이 길고 빛을 멀리까지 전달할 수 있는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철도차량의 주행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전달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압전센서(130)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전력공급장치가 없어도 광원(142)의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외측에는 다수의 관통공(118)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18)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발광부(140)의 광원(142)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이나 날이 어두운 경우, 관통공(118)을 통해 방사되는 빛에 의해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의 구성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으로 분할 형성되어 나사 결합 또는 접착 등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가 도상(20)에 설치되면,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도상(2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케이스(110)에 압력이 가해지고,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압전센서(130)에 압력이 전달되어 전력이 생성되며, 이 전력을 이용하여 광원(142)에서 빛이 발생되어 케이스(110) 외측에 형성된 관통공(118)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야간에도 철도차량의 통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발광부(140)에서 발생한 빛이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이격된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하우징(110a)이 제2하우징(110b)과 마주보는 면의 상, 하측에는 연결부(11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0a)과 제2하우징(110b)의 마주보는 면에 연결부(110c)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연결홈(117)에 삽입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110c)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에 강도를 부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110c)는 제1하우징(110a)의 좌, 우측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연결부(110c)는 제2하우징(110b)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상, 하부에 각각 하나씩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어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마주보는 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된 연결홈(117)에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사이에는 압전센서(130) 및 발광부(140)가 연결 설치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사이에 압전센서(130) 및 발광부(14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하우징(110a,110b)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압전센서(130)가 삽입 설치되는 제3 및 제4삽입홈(113,114)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발광부(140)가 삽입 설치되는 제5 및 제6삽입홈(115,116)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의 작용관계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발광부(140)의 지지판(144)의 하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50)는 조도센서(미도시)로부터 전해지는 신호에 의해 발광부(14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10)의 내측에는 축전지(16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축전지(160)는 압전센서(130)와 발광부(14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압전센서(13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주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가 가동되지 않아도 육안으로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조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전해지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150)의 제어를 통해 발광부(140)에서 빛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하고, 철도차량의 통과시 압전센서(130)에서 생성된 전기는 축전지(160)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없이도, 발광부(140)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철도궤도의 도상(20)에 자갈과 함께 설치되는 것이므로 철도차량의 통과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설치된 압전센서(130) 및 발광부(14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에폭시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즉, 철도차량의 통과시 발생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도상(20)의 자갈에 피로가 누적되고, 자갈들 사이의 충돌로 인해 파손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 또한 도상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도상(20)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다.
나아가, 도 8의 (a) 내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구형, 다면체형, 십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100)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로등과 같은 조명수단이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도 야간에 철도차량이 통과하는 상황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압전센서(130)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통과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켜 발광부(140)에 공급함으로써 추가적인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철도차량이 통과할 때만 빛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며, 케이스가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철도차량의 통과시 발생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으며, 압전센서 및 발광부가 설치된 케이스를 철도 도상의 자갈 사이사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추가적인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단순한 작업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20: 도상 100: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110:케이스 110a: 제1하우징
110b: 제2하우징 110c: 연결부
111: 제1삽입홈 112: 제2삽입홈
113: 제3삽입홈 114: 제4삽입홈
115: 제5삽입홈 116: 제6삽입홈
117: 연결홈 118: 관통공
130: 압전센서 140: 발광부
142: 광원 144: 지지판
150: 제어부 160: 축전지

Claims (7)

  1. 철도 도상에 자갈과 혼합되어 설치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및 제2하우징으로 분리 구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압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압전센서에서 생성된 전력에 의해 빛을 발생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사이에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는 도상의 자갈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과 광원이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은 제1 및 제2하우징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는 광원이 설치되고, 지지판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발광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압전센서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7. 삭제
KR1020130031140A 2013-03-22 2013-03-22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KR10144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40A KR101449596B1 (ko) 2013-03-22 2013-03-22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140A KR101449596B1 (ko) 2013-03-22 2013-03-22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70A KR20140115870A (ko) 2014-10-01
KR101449596B1 true KR101449596B1 (ko) 2014-10-08

Family

ID=5199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140A KR101449596B1 (ko) 2013-03-22 2013-03-22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85A (ja) * 1991-04-26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接近検知装置
JP2005029069A (ja) 2003-07-09 2005-02-03 Sanyo Electric Co Ltd ホームに設置される電車の表示装置
KR20100081142A (ko) * 2009-01-05 2010-07-14 대아티아이(주)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8235A (ko) * 2010-11-29 2012-06-07 (주) 태평양지질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85A (ja) * 1991-04-26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接近検知装置
JP2005029069A (ja) 2003-07-09 2005-02-03 Sanyo Electric Co Ltd ホームに設置される電車の表示装置
KR20100081142A (ko) * 2009-01-05 2010-07-14 대아티아이(주)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8235A (ko) * 2010-11-29 2012-06-07 (주) 태평양지질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870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5703A1 (en) Traffic crossing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of an oncoming locomotive object
KR100961489B1 (ko)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KR101449596B1 (ko)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US20120313793A1 (en) Truck mounted stop light display
CN112984458A (zh) 带有集成光元件的不透明外透镜
KR200457930Y1 (ko) 차량사고예방용 유도비상등 시스템
KR102271463B1 (ko) 역주행 차량 방지용 안전유닛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30046091A (ko) 갓길용 차량안전 경고시스템
JP4199226B2 (ja) 保守用車自動停止装置
KR101387436B1 (ko) 노면전차용 차량기기정보 통합 표시장치
KR102264369B1 (ko) 모듈형 led 발광 유닛을 구비하는 도로안전 표시 시스템
KR20170059839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신호등 장치
KR10229221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형 자동차의 주행 자동 제어시스템
US20200223354A1 (en) Led safety sign system
ITRM20120107A1 (it) Dispositivo mobile di segnalamento ferroviario e sistema mobile di segnalamento includente detto dispositivo
KR20130045782A (ko) 로드킬 방지 시스템
KR20190019697A (ko) 노면전차의 교통사고 방지방법
KR20170083277A (ko) 차량용 비상 알림장치
ES2246785T5 (es) Instalacion de alarma de vehiculo automovil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la misma.
KR20150040061A (ko) 하이브리드 자가 발전 시스템을 가진 횡단보도 안전용 엘이디 조명 장치
JP4175614B2 (ja) 保守用車分岐器停止装置
CA227738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ailcar visibility at grade crossings
JP4788595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及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の車線番号認識方法とこれに用いる車載機
KR0170857B1 (ko) 자동차의 충돌예상시 주의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