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782A - 로드킬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드킬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782A
KR20130045782A KR1020110126976A KR20110126976A KR20130045782A KR 20130045782 A KR20130045782 A KR 20130045782A KR 1020110126976 A KR1020110126976 A KR 1020110126976A KR 20110126976 A KR20110126976 A KR 20110126976A KR 20130045782 A KR20130045782 A KR 2013004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road
display unit
wild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강제
Original Assignee
(주) 세경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경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세경정보통신
Publication of KR2013004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도로에 인접하는 범위 내에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야생 동물을 상기 범위 밖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며 얼람 신호를 발생하는 얼람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접근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주의 운전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 및 상기 감지부,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드킬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OTECTING A ROAD-KILL}
본 발명은 로드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운행중인 차량에 의하여 이동중인 야생 동물에 대한 차량 사고를 억제할 수 로드킬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도로로 주행중인 운전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 도로의 상황을 판단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야간에 야간 가로등이 많이 설치되지 않은 지방 도로로 운전하는 운전자는 도로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야생동물이 있을 것을 대비하여 계속해서 주의 운전을 하여야 하므로, 운전의 피로도가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운전자가 과속이나 운전 부주의에 따라 도로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야생동물을 확인하지 못할 경우에, 야생동물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운전자가 도로를 가로질러 횡단하는 야생동물과의 사고를 회피하기 위하여 차량 방향을 전환할 경우 다른 차량과 충돌하거나 인접하는 구조물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로에 접근하는 야생 동물이 차도로 진입을 억제하고 나아가 차도에 진입한 야생 동물을 차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도에 인접하거나 진입한 야생 동물을 감지하여 차도로 운행중인 운행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도로에 인접하는 범위 내에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야생 동물을 상기 범위 밖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며 얼람 신호를 발생하는 얼람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접근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주의 운전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 및 상기 감지부,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상기 감지부,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전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얼람부는 얼람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얼람 광을 발생시키는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감지부에 인접하여 얼람 신호를 발생하는 얼람부를 구비함으로써 도로에 접근하는 야생 동물이 차도로 진입을 억제하고 나아가 차도에 진입한 야생 동물을 차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표시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차도에 인접하거나 진입한 야생 동물을 감지하여 차도로 운행중인 운행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1의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도로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1의 감지부, 얼람부, 전원부 및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표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1의 로드킬 방지 시스템을 도로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100)은 감지부(110), 얼람부(120), 표시 유닛(130) 및 제어 유닛(150)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킬 방지 시스템(100)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도로에 인접하여 이동하는 야생 동물을 감지하여 차량의 운행자에 안전 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110)는 인접하여 이동중인 야생 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유닛(130)보다 선행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10)가 야생 동물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표시 유닛(130)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얼람부(120)가 얼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이동중인 야생 동물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야생 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10)는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람부(120)는 상기 감지부(110)가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얼람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얼람 신호는 상기 야생 동물에 경고를 줄 있는 신호이면 충분하다. 상기 얼람 신호는 예를 들면, 충격파, 충격음 또는 경고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람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야생 동물이 상기 얼람 신호에 반응하여 더 이상 얼람부(120)가 위치한 곳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얼람부(120)가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될 경우 상기 야생 동물이 도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얼람부(120)는 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이 상기 얼람부(120)의 얼람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로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람부(120)는 상기 충격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수 및 파장을 갖는 충격음을 발생시켜 상기 야생 동물에 충격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람부(120)는 상기 경고빛을 발생하는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고등이 경고빛을 발생할 경우 상기 경고빛에 야생 동물이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야생 동물이 상기 얼람부(120)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유닛(130)은 상기 감지부(110)가 야생 동물의 이동을 감지할 경우, 도로에 주행중인 차량에 야생동물의 출현을 인식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예를 들면, "야생 동물 출현"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유닛(130)은 상기 감지부(110)보다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선행하여 이격 거리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10)가 야생 동물의 움직임 감지할 경우 상기 표시 유닛(130)은 야생 동물의 위치보다 앞에서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경고 메시지에 따라 보다 주의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는 예를 들면, 80m 내지 150m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유닛(130)은 엘이디(LED) 소자, 액정표시소자, 유기발광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감지부(110), 상기 얼람부(120) 및 상기 표시 유닛(130)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10), 상기 얼람부(120) 및 상기 표시 유닛(130)을 제어한다.
상기 감지부(110)가 상기 야생 동물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제어 유닛(150)에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 유닛(150)은 상기 얼람부(120) 및 상기 표시 유닛(130)에 각각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얼람부(120) 및 상기 표시 유닛(130)은 각각 얼람 신호 및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50)은 예를 들면, 상기 감지부(110)에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얼람부(120) 및 상기 표시 유닛(13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지그비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50)은 상기 감지부(11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51) 및 상기 표시 유닛(130)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10) 및 상기 얼람부(120)는 하나의 제1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1의 감지부, 얼람부, 전원부 및 제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은 상기 감지부(110) 및 상기 얼람부(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모듈은 제1 포스트(101), 제1 전원 공급기(161) 및 제1 제어부(15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포스트(101)는 도로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포스트(101)는 도로에 인접하는 토지의 표면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스트(101)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토지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61)는 상기 제1 포스트(10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61)는 태양열 전력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61)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61)는 상기 제1 포스트(101)에 설치된 감지부(110), 얼람부(120) 및 제1 제어부(151)에 각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 얼람부(120) 및 제1 제어부(151)는 상기 제1 전원 공급기(161)로부터 발생한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130)은 표시판(133) 및 메시지 보드(131)를 구비하는 제2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1의 표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은 상기 제2 포스트(103), 제2 전원 공급기(163), 표시 유닛(130) 및 제2 제어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포스트(103)는 도로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포스트(103)는 도로에 인접하는 토지의 표면에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트(103)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매설될 수 있다. 상기 제2 포스트(103)는 차량의 진행 방향기준으로 상기 제1 포스트(101)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63)는 상기 제2 포스트(103)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63)는 태양열 전력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63)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63)는 상기 제2 포스트(163)에 설치된 표시 유닛(130) 및 제2 제어부(153)에 각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유닛(130) 및 제2 제어부(153)는 상기 제2 전원 공급기(163)로부터 발생한 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감지부에 인접하여 얼람 신호를 발생하는 얼람부를 구비함으로써 도로에 접근하는 야생 동물이 차도로 진입을 억제하고 나아가 차도에 진입한 야생 동물을 차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경고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표시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차도에 인접하거나 진입한 야생 동물을 감지하여 차도로 운행중인 운행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드킬 방지 시스템은 국도나 지방도에 설치되어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100 : 로드킬 방지 시스템 110 : 감지부
120 : 얼람부 130 : 표시유닛
131 : 메시지 보드 133 : 표시판
160 : 전원부 161 : 제1 전원 발생기
163 : 제2 전원 발생기

Claims (4)

  1. 도로에 인접하는 범위 내에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야생 동물을 상기 범위 밖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되며 얼람 신호를 발생하는 얼람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가 상기 야생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경우 동기화 되어 상기 감지부를 향하여 접근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주의 운전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 및
    상기 감지부,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받아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얼람부 및 상기 표시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전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람부는 얼람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 또는 얼람 광을 발생시키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 시스템.
KR1020110126976A 2011-10-26 2011-11-30 로드킬 방지 시스템 KR20130045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0097 2011-10-26
KR1020110110097 2011-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782A true KR20130045782A (ko) 2013-05-06

Family

ID=4865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976A KR20130045782A (ko) 2011-10-26 2011-11-30 로드킬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7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44B1 (ko) * 2014-04-18 2014-05-29 김영춘 로드킬 방지시스템
KR20160092650A (ko) 2015-01-28 2016-08-05 송무상 접근 방지를 위한 촬영 및 경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44B1 (ko) * 2014-04-18 2014-05-29 김영춘 로드킬 방지시스템
KR20160092650A (ko) 2015-01-28 2016-08-05 송무상 접근 방지를 위한 촬영 및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311B1 (ko) 스마트 가드레일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728080B1 (ko) 도로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750008B1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20200082970A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102657398B1 (ko) 복합기능이 구비되는 볼라드
KR20170139811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73053B1 (ko) 보행신호 음향안내 보조장치
JP2012062718A (ja) 有機el照明を用いた横断歩道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20170139800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40755B1 (ko) 속도감응형 차량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212641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200115911A (ko)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102339582B1 (ko) 신호등 연계 횡단보도 차단 시스템
WO2014051417A1 (en) High user accessibility traffic light system using optical manipulation and vlc technology
KR20130045782A (ko) 로드킬 방지 시스템
KR20100071654A (ko) 교차로에서 차량 또는 사람의 접근을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730B1 (ko)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JP2002038428A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JP2015184928A (ja) 車両情報表示装置を備えたカーブミラー
KR20160082185A (ko) 곡선도로용 안전표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